KR200232026Y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026Y1
KR200232026Y1 KR2019980014116U KR19980014116U KR200232026Y1 KR 200232026 Y1 KR200232026 Y1 KR 200232026Y1 KR 2019980014116 U KR2019980014116 U KR 2019980014116U KR 19980014116 U KR19980014116 U KR 19980014116U KR 200232026 Y1 KR200232026 Y1 KR 200232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asing
spring member
coupl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806U (ko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4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0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0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일단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터브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이격형성된 힌지점을 갖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상기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신장유지시키는 회동손잡이와; 상기 회동손잡이에 상기 힌지점으로부터 소정 이격형성된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손잡이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터브 및 케이싱에 스프링부재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일단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상향 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전면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전면개구(103)가 형성된 케이싱(101)과, 케이싱(101)의 상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톱커버(105)와, 케이싱(101)의 전면개구(103)를 회동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도어(107)를 가진다.
케이싱(101)의 전면상부영역에는 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세제통(109)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세제통(109)의 일측에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버튼(113)이 구비된 전면조작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01)의 후방영역에는 외부로부터의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관접속부(114)가 마련되며, 급수관접속부(114)에서는 세탁수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급수밸브(116)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01)내에는 일측이 개구된 드럼형상을 가지는 터브(115)가 설치되어 있다.
터브(115)내에는 케이싱(101)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123)을 가지며,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스핀바스켓(119)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핀바스켓(119)에는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탈수공(12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스핀바스켓(119)의 개구대향측에는 회전축(123)이 외측으로 연장형성으로 있다. 이 회전축(123)은 터브(115)를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노출측 단부에는 피동풀리(125)가 결합되어 있다.
터브(115)의 하측영역에는 스핀바스켓(119)의 정역구동을 위한 구동모터(127)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27)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129)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풀리9129)와 피동풀리(125)는 상호 벨트(131)에 의해 동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터브(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양측 중앙영역에는 터브(115)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완충기(118)가 하향경사지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01)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부개구의 양측연부에는 보강브래킷(141)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보강브래킷(141)의 전후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43)이 형성되어 있다. 터브(115)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영역에는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프링고정브래킷(145)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각 스프링고정브래킷(145)에는 보강브래킷(141)이 관통공(143)에 일단이 결합된 스프링부재(117)의 타단이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1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스프링부재의 일단을 케이싱측(또는 터브측)에 연결하고, 스프링부재의 타단을 당겨서 신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터브측(또는 케이싱측)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단이 케이싱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스프링부재의 체결과정 전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15 : 터브
17 : 스프링부재 41 : 보강브래킷
43 : 관통공 45 : 고정브래킷
53 : 회동손잡이 61 : 연결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일단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을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이격형성된 힌지점을 갖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상기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신장유지시키는 회동손잡이와; 상기 회동손잡이에 상기 힌지점으로부터 소정 이격형성된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손잡이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소정 이격된 힌지점을 형성하는 고정브래킷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손잡이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신장시 상기 회동점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케이싱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힌지점을 최단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상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동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스프링부재의 체결과정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도 종래의 세탁기와 마찬가지로, 상향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전면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전면개구(3)가 형성된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상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톱커버(5)와, 케이싱(1)의 전면개구(3)를 회동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도어(7)를 가진다.
케이싱(1)의 전면상부영역에는 세제통(9)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세제통(9)의 일측에는 세탁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버튼(13)이 구비된 전면조작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의 후방영역에는 외부로부터의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관접속부(14)가 마련되며, 급수관접속부(14)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급수밸브(16)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내에는 일측이 개구된 드럼형상을 가지는 터브(15)가 설치되어 있다.
터브(15)내에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스핀바스켓(19)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핀바스켓(19)에는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탈수공(2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스핀바스켓(19)의 후방단부에는 회전축(23)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23)은 터브(15)를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노출측 단부에는 피동풀리(25)가 결합되어 있다.
터브(15)의 하측영역에는 스핀바스켓(19)의 정역구동을 위한 구동모터(27)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모터(27)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29)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풀리(29)와 피동풀리(25)는 상호 벨트(31)에 의해 동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터브(15)의 하부 양측 중앙영역에는 터브(15)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완충기(18)가 결합되어 있다.
케이싱(1)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부개구의 양측연부에는 보강브래킷(41)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보강브래킷(41)의 전후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43)에는 터브(15)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17)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터브(15)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에는 각 관통공(43)에 결합된 스프링부재(17)의 타단을 신장 및 신장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체결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체결장치는 터브(15)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45)과, 고정브래킷(45)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손잡이(53)와, 회동손잡이(53)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프링부재(17)의 타단을 걸림유지시키는 연결부재(61)를 가진다.
고정브래킷(45)은 거의 "L" 형상을 가지며 터브(15)에 접촉되는 고정부(47)와, 고정부(47)로부터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49)를 가진다. 고정부(47)에는 터브(15)에 스크류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연장부(49)에는 회동손잡이(53)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다.
회동손잡이(53)는 고정브래킷(45)의 절곡연장부(49)의 단부영역에 배치된 힌지핀(51)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아암(55)과, 회동아암(55)의 회동단부영역에 회동핀(57)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동핀공을 사이에 두고 절곡연장된 손잡이부(59)를 가진다. 회동손잡이(53)에는 회동핀공에 수용된 회동핀(57)을 축으로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연결부재(61)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61)는 만곡된 막대상을 가지며, 타단에는 스프링부재(17)의 타단이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걸림공(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부재(17)의 일단을 케이싱(1)의 상부개구연부에 형성된 관통공(43)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동손잡이(53)를 관통공(43)측을 향하도록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손잡이(53)에 결합된 연결부재(61)가 스프링부재(17)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부재(61)의 일단에 형성된 스프링걸림공(63)에 스프링부재(17)의 타단을 걸고, 회동손잡이(53)의 손잡이부(59)를 힌지핀(51)을 축으로 터브(15)의 단부측으로 회동시켜 회동손잡이(53)이 단부영역이 터브(15)의 단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회동손잡이(53)에 결합된 회동핀이 힌지핀(51)과 관통공(43)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스프링부재(17)의 인장력은 회동손잡이(53)의 단부가 터브(15)의 단부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스프링부재(17)의 신장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고정브래킷을 형성하여 터브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터브로부터 돌출되어 회동손잡이를 회동지지하는 힌지결합부를 터브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이 케이싱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터브와, 일단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이격형성된 힌지점을 갖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상기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신장유지시키는 회동손잡이와;
    상기 회동손잡이에 상기 힌지점으로부터 소정 이격형성된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손잡이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소정 이격된 힌지점을 형성하는 고정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손잡이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신장후위치시 상기 회동점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케이싱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힌지점을 최단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상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동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9980014116U 1998-07-29 1998-07-29 세탁기 KR200232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16U KR200232026Y1 (ko) 1998-07-29 1998-07-29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16U KR200232026Y1 (ko) 1998-07-29 1998-07-29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06U KR20000003806U (ko) 2000-02-25
KR200232026Y1 true KR200232026Y1 (ko) 2001-10-25

Family

ID=6951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16U KR200232026Y1 (ko) 1998-07-29 1998-07-29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0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195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195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806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2026Y1 (ko) 세탁기
KR10046569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US5778705A (en) Motorized apparatus with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KR200228519Y1 (ko) 드럼세탁기의도어힌지
KR101369319B1 (ko) 드럼세탁기
US7290413B2 (en) Washing machine having transient vibration sensor assembly
US4785643A (en) Basket access for automatic washer
US2004010774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thereof
KR20020036378A (ko) 조명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KR100277583B1 (ko) 세탁기
KR100303532B1 (ko) 세제공급장치를갖는세탁기
KR200232031Y1 (ko) 세탁기
KR200204611Y1 (ko) 세탁기
KR200214974Y1 (ko) 세탁기
JP7198979B2 (ja) 洗濯機
KR10045235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20000001106A (ko) 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277584B1 (ko) 세탁기
KR0126933Y1 (ko) 세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용 모터지지 브라켓트
KR200204613Y1 (ko) 드럼형 세탁기
KR101223439B1 (ko) 드럼세탁기
KR100300124B1 (ko) 드럼형세탁기
KR20060095843A (ko) 식기세척기
KR200207706Y1 (ko) 세탁기
KR0128897Y1 (ko) 세탁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