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884Y1 -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884Y1
KR200231884Y1 KR2020000021645U KR20000021645U KR200231884Y1 KR 200231884 Y1 KR200231884 Y1 KR 200231884Y1 KR 2020000021645 U KR2020000021645 U KR 2020000021645U KR 20000021645 U KR20000021645 U KR 20000021645U KR 200231884 Y1 KR200231884 Y1 KR 200231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power
light
illuminan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정보
Priority to KR2020000021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884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등 자동제어장치(Automatic Tunnel Lighting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통행에 이용되는 터널등 및 접속도로가로등을 제어함에 있어서 터널의 규모와 이용도 및 관리 여건등을 감안하여 터널내부와 접속도로의 밝기를 적정상태로 유지하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마이크로컴퓨터와 주변장치를 이용하여 터널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터널등 제어기와; 상기 터널등 제어기에 연결되어 터널안의 조도를 감지, 터널안 공기의 혼탁함을 감지, 터널의 차량흐름을 감지, 터널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터널등의 상태를 알리는 표지판과 상기 터널등 제어기와 연결되어 터널등과 접속도로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널등수배전반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터널등 자동제어장치{Automatic Tunnel Lighting Controller}
본 고안은 터널등자동제어장치(Automatic Tunnel Lighting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통행에 이용되는 터널 및 접속도로의 전기조명을 제어함에 있어서 터널의 규모와 이용도 및 관리여건을 감안하여 터널내부와 접속도로의 밝기를 적정상태로 유지하고 전력소모가 최소화 되도록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널등을 제어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터널주변의 밝기를 기준하여 터널등을 단계별로 점등하는 것이 통상적이었고 터널등의 광원(光源)으로는 일반적으로 저압나트륨등과 같은 방전관이 이용되었다.
그런데 가로등이나 터널등의 광원으로 이용되는 방전관은 사용초기와는 다르게 이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속이 약해지고 전등의 수명이 다하여 켜지지 않게 되거나, 통행차량에 의한 배출가스의 영향으로 터널등에 매연이 끼고 공기의 오염으로 빛의 투과력이 낮아지므로 인하여 터널내부의 밝기가 오염의 정도에 따라 현저하게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터널등을 신설할 때 조명의 보수율이 적용되므로 평상시 보다 설치초기에 높은 휘도로 조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초기에는 기준보다 실제가 더 밝게되어 낭비가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서 오래되어지면 기준보다 어두워서 차량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터널내부 여건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고 외부 조도상태에 따라 터널조명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터널의 밝기를 맞추기는 실제 어렵다.
또한, 가로등은 차량통행이 적은 심야에 통상 격등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외부조도를 기준으로 하여 제어하는 종래의 터널등 제어장치에서는 심야의 밝기를 구분할 수 없어서 일반도로의 밝기와 합치하지 못하게 되고 오히려 차량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이머에 의하여 정해진 차량통행이 한산한 심야시간에 격등을 실시할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요일에 따라 심야통행 빈도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명절과 연휴와 휴가철에는 심야통행이 많아져서 늦은 밤까지 혼잡하게 되고 정해진 시간에 따른 가로등 격등제 운영이 오히려 운전자의 시야를 좁게 만들고 통행여건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자동차 통행에 이용되는 터널 및 접속도로의 전기조명을 제어함에 있어서 터널의 규모와 이용도 및 관리여건을 고려하여 터널내부와 접속도로의 밝기를 적정상태로 유지하고 전력소모가 최소화 되도록 제어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터널등 자동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터널등 자동제어장치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3은 본 고안의 터널등 수배전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터널등 자동제어장치의 점등단계별 조도표.
도 5는 본 고안의 조도 보상제어표.
도 6은 본 고안의 오염도 보상제어표.
도 7은 점등단계별 목표조도와 점등회로수 관계도.
도 8은 터널등 및 접속도로가로등 배치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터널등 제어기 3 : 감지수단
4 : 터널등 수배전반 5 : 경보 표지판
20 : 마이크로프로세서 21 : 설정부
22 : 표시부 23 : 출력표시부
24 : 시험용신호부 25 : 보조타이머
26 : 표지판제어장치 27 : 신호변환부
28 : 아이피롬 31 : 터널조도감지기
32 : 터널오염도감지기 33 : 차량감지기
34 : 접속도로조도감지기 41 : 고전압수전부
42 : 단로기 43 : 파워퓨즈
44 : 고압회로개폐기 45 : 변압기
46 : 저압회로개폐기 47 : 분기차단기
48 : 전자개폐기 49 : 피뢰기50 : 적산전력장치 51 : 역률보상 및 계측장치52 : 무정전 비상전원장치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널등의 작동을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터널등 제어기와; 터널등 제어기에 연결되어 터널안의 조도를 감지, 터널안 공기의 오염도 감지, 터널의 차량흐름 감지, 터널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터널등 제어기에와 연결되어 터널등과 접속도로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널등수배전반과 경보 표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를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터널등 자동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인 터널등 자동제어장치(1)는 터널등(100)의 밝기를 제어하는 터널등 제어기(2)과 터널안의 조도를 감지, 터널안 공기의 오염감지, 터널의 차량 흐름을 감지, 터널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터널등 제어기에 전달하는 감지수단(3)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터널등과 접속도로에 설치된 가로등(200)을 제어하는 터널등수배전반(4)과 경보용 표지판(5)으로 대별 구성되어 있다.
상기 터널등 제어기(2)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와 주변장치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수단(3)의 각 감지기에서 검출된 신호가 전달되어 터널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중심으로 터널등수배전반(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터널등제어기(2)와 각부에 공급하도록 하는 파워서플라이(29a)와 신호감지수단(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입력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27)와, 검출수단(3)의 검출된 정보와 설정된 프로그램자료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22)와, 검출되어 전달되는 신호들을 프로그램에 적용하도록 하는 설정부(21) 및 터널등과 접속도로가로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출력부(29b)와, 출력된 값을 표시하는 출력표시부(23), 시험용 신호부(24)와, 보조타이머(25), 표지판제어장치(26)와 현재시간을 구동하는 알티시(RTC ; Real Time Clock)와 알티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29c)와, 정전시에도 설정된 자료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이피롬(EEPROM)(28)이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신호변환부(27)에 연결 설치된 감지수단(3)은 터널안의 조도를 감지하는 터널조도감지기(31)와, 터널안 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터널오염도감지기(32)와, 터널안과 터널주변의 차량 흐름을 검출하는 차량감지기(33)와, 터널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접속도로조도감지기(3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터널등 제어기(2)에는 제어기로부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터널등(100)과 접속도로가로등(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널등수배전반(4)이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도 3 의 블럭다이어그램을 들어 그 터널등수배전반(4)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상용고전압 수전부(41)와 연결되는 단로기(42)와 피뢰기(49)와 파워퓨즈(43)와 적산전력량장치(50)와 고압회로개폐기(44)와 역률보상 및 고압계측장치(51)와 변압기(45)와 저압계측장치 및 계전기(53)와 저압회로개폐기(46)와 무정전 비상전원장치(52)와 분기차단기(47)와 전자개폐기(48)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5는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전조등을 점등시키도록 운전자에게 표시하며 터널등제어장치로부터 경보를 출력하는 표지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터널등수배전반(4)에 상용 고압전원을 수전하여 단로기(42)에 연결되면 회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용을 하고 피뢰기(49)를 통하여 낙뇌시 뇌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파워퓨즈(43)를 통하여 과부하를 차단하고 계량기용변성기와 전력량계로 구성된 적선전력장치(50)에서 고압전원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출력하고, 과전류와 부족전압과 집지상태를 감지하는 계전기와 함께 이루어진 고압회로개폐기(44)를 통하여 단락사고시와 접지사고시와 과부하시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이상전원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부하전류를 차단하며, 역률보상 및 계측장치(51)의 진상용 콘덴서를 통하여 유도부하의 역률을 개선하고 고압계측장치를 통하여 상간의 전압과 전류를 표시하고, 변압기(45)를 통하여 고압전원을 저압으로 변환하고, 부하전류의 과도한 상승과 누설과 불평형 및 상시의 부하전류를 차단하는 저압회로차단기(46)를 통하고 저압계측장치 및 계전기(53)가 연결되어 변압기 2차 저압측의 전압과 전류를 표시하고 과전류와 접지계전기의 신호에 따라 저압회로차단기를 작동시키고, 터널등과 접속도로 가로등에 연결된 분기차단기(47)와 전자개폐기(48)에 공급되는 한편,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충전시설과 비상 자체발전시설로부터 자체전원이 수배전반 저압회로에 즉시 공급되어 터널등(100)과 접속도로가로등(200) 및 터널등 제어기(2)가 비상 작동되며 다시 상용전원이 공급될 때 자체발전시설의 작동을 중단하고 충전지가 충전되며, 분기차단기(47)에서 부하회로의 누전상태를 감지하여 분기회로를 차단하며 전자계폐기(48)가 터널등 제어기(2)와 연결되고 여러 회로로 분기되어서, 터널등(100)과 접속도로가로등(200)의 분기회로수대로 분배되는 전원공급을 통제하므로서 터널등(100)과 접속도로 가로등(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분기차단기(47)로부터 파워서플라이(29a)를 통해 터널등제어기(2)에 전원이 공급되면 터널등제어기(2) 및 감지수단(3)과 경보 표지판과 터널등(100)과 접속도로 가로등(200)이 작동된다.
터널등수배전반(4)을 통하여 전원을 수전하고 터널등(100) 정격전원으로 변성하고 터널등제어기(2)에 의하여 전자개폐기(48)가 작동되어 터널등군을 단계적 으로 점등하므로서 터널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터널등 제어기(2)는 터널등 수배전반(4)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자체적으로 구동되어지며 설정부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터널등 회로별 상시등과 심야격등과 주간등 및 접속도로가로등을 구분하고 일출몰시간과 24시간타이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터널등제어기(2)는 자체프로그램으로 일출몰시간과 24시간타이머에 의하여 제어하며 감지수단의 신호가 정상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감지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므로서 안전성이 높은 보완제어 작용을 한다.한편, 신호가 정상 연결되어 있을때 신호변환부(27)에 연결 설치된 감지수단(3)이 작동되면 각 감지신호, 예컨대 터널안을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기(33)에 의한 차량감지신호, 터널안의 조도를 측정하는 터널조도감지기(31)에 의해 검출된 터널조도감지신호, 터널안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터널오염도감지기(32)에 의해 검출된 터널오염도신호, 접속도로조도감지기(34)에 의해 검출된 터널 입구 주변의 접속도로조도감지신호들이 신호변환부(27)에 의하여 변환/변조되어 터널등 제어기(2)의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변환부(27)에 의해 변환된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전달되면 접속도로조도감지기(34)에 의해 검출된 접속도로의 밝기에 따라 터널등(100)의 1차 목표도조를 설정하고, 터널오염도감지기(32)에 의해 검출된 터널오염도와 터널조도감지기(31)에 의해 검출된 터널조도를 감안하여 터널내부의 밝기를 적정 값이 되도록 2차로 조도 보상값에 따라 설정하며 필요시 터널등(100)을 제어하는 터널등수배전반(4)의 각 분기회로별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터널등 제어기(2)에 입력되는 감지신호들이 터널등 제어에 작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접속도로조도감지기(34)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야간으로부터 주간으로 바뀌어감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고, 터널밝기와 격차가 커지게 되어 차량 운전자의 사야에 장애를 일으킨다.
이때, 터널외부의 접속도로조도감지기(34)에 의해 검출된 조도를 기준으로 터널등(100)을 추가로 점등하여 터널의 밝기를 높인다.
터널등(100)이 추가로 점등되어 빛의 발산이 안정되면 터널조도감지기(31)의 검출신호 즉, 터널내부의 실제조도를 접속도로 조도에 대응하는 터널조도의 목표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값이 다음 목표조도 단계와의 조도차이 값보다 커질때, 터널조도가 기준보다 높으면 터널등(100) 전원회로 수를 감소시켜 터널밝기를 한단계 낮추고, 낮으면 터널등 전원공급 회로수를 추가하여 터널밝기를 높여주게 된다.
상기 터널공기오염감지기(32)에 의해 검출된 터널공기오염정도를 감지한 결과에 대하여는 터널조도의 보상방법과 같이 점등하지 않은 나머지 터널등 회로에 추가로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터널등 전원공급 회로수를 증가시켜 공기오염에 따른 시야장애 정도를 보상하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터널조도와 터널외부접속도로조도와 터널내부오염도와 통행차량감지신호를 입력하고, 터널등(100)의 점등단계별로 입력신호를 연계하여 터널등(100)을 작동하도록 하고, 터널내부조도와 기준조도의 차이에 따라운전자에게 전조등을 켜도록 지시하는 것이다.
설정부(21)를 통하여 터널등(100)의 출력회로별 점등단계를 설정하고 조도와 오염도와 차량의 통행빈도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이이피롬(28)에 설정값을 저장하여 설정값 번경시까지 유지하여 정전시에도 자료를 보존하며 제어기의 전원이 차단되면 백업(BACK UP)용 충전지(29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알티시를 구동하므로서 파워서플라이(29a)에 전원이 다시 공급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가동되면 알티시로부터 현재시간을 인식하여 정상 작동하게 한다.
상기 터널등(100)의 밝기가 기준값에 미달하면 표지판 제어장치(26)를 통하여 표지판(5)을 구동하므로서 터널에 진입하는 차량이 라이트를 켜서 차량운전자에게 시야를 확보하도록 알리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터널등(100)과 접속도로가로등(200)의 분기회로별 점등과 소등조건으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적용값을 구분 입력하고 표지판의 작동과 오염도의 표시를 설정한다.
터널등(100)의 주간밝기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접속도로 조도값을 터널등 전원회로별 작동신호로 설정하고 터널오염도와 터널조도를 보상기준으로 설정하므로서 주간의 접속도로 조도값에 대응하여 터널내부의 조도가 일정상태로 유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야간이 되면 터널등(100)의 야간밝기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최소밝기를 기준으로 주야 상시등이 점등하게 된다.
터널등(100)의 1차 점등조건으로 이용되는 접속도로조도감지기(34)가 검출한 조도값이 일정치 이하가 되면 전체 가로등(200)이 점등되고 미리 정한 심야 시간대가 되어 차량통행이 줄어들면 일부 가로등을 차량 통행빈도에 따라 꺼지게 하므로서 전력절감 제어모드로 전환되게 한다.
전력절감제어 상태에서와 터널내부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로 내려갈 때면 터널을 진입하는 차량운전자에게 라이트를 켜도록 알리고, 터널의 오염도를 표시하여 터널을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주지시켜서 터널통행에 주의하도록 한다.
또한 터널오염도감지기(32)에 의하여 검출된 터널오염정도가 일정치 이상 심화될 때 터널등 불빛의 투과를 막고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서 통행에 장애가 되는 만큼에 대하여 나머지 터널등(100)을 추가로 점등하여 터널내부를 더욱 밝게 하므로서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야장애를 보상할수 있게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들어 그 실제작용을 설명하면, 방전등을 터널등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방전등이 완전하게 밝아지기까지 일정시간이 필요하므로 터널조도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회로에 전원을 공급한후 일정시간의 시간지연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제어조건으로 필요한 일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프로그램 타이머가 이용된다.
도 4의 예시안을 들어 작용을 설명하면, 접속도로 조도가 높아져서 50Lux에 이르면 터널등 3단계 제어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점차 높아져서 100Lux에 이르면 4단계 터널등제어가 실행되며 더욱 상승하여 50,000 Lux에 달하면 9단계까지 실행하게 된다.
한편, 접속도로의 조도가 1,000Lux이고 터널내부조도값이 30Lux이고 공기오염도가 10%일때를 예시하여 작동을 설명하면, 접속도로의 밝기가 1,000 Lux일때 목표조도치는 50Lux로 5단계로 작동되어야하나 터널조도가 30Lux이므로 기준보다 20 Lux가 낮아서 2단계 상향 보상한 상태의 상향조정치가 되었으며 공기오염도 10%는 도 5에 도시된바에 의하여 보상단계가 0이므로 제어결과는 조도보상 단계에 의하여 2단계 상향된다.
하향은 접속도로조도가 10,000Lux이고 터널조도가 90Lux이고 오염도가 35% 일때의 보상제어선형으로 과잉조도에 따른 2단계하향 보상과 공기오염에 따른 1단계상향보상결과 1단계하향 보상된 제어상태를 보여준 것이다.
접속도로가 점차 어두워져서 조도가 낮아지면 상응하는 터널점등단계가 낮아지고 터널접속도로 조도가 50Lux 미만이 되면 2단계제어를 실행하게되며 접속도로의 가로등 전체를 켠다.
심야 절전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면, 심야절전 적용시간 대역을 미리 정하여 22:00 ~ 04:00시까지로 설정하였을 때 22:00가되고 차량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시간대비 통행량 빈도를 산출하여 일정치 이하가 될 때부터 1단계제어를 실행한다. 시간이 흐르고 다시 04:00가되거나 통행량이 증가하면 2단계제어를 실행한다.
터널등이 1단계 제어상태일 때는 터널접속도로 가로등제어는 A단계이며, 2단계 제어일 때는 B단계를 제어한다.
상기의 작용은 감지된 신호를 제어에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보인 것이며 제어단계별 적용조도와 보상단계와 시간의 설정과 적용출력 회로와 각 조건들을 터널의 여건에 맞도록 설정하고 변경하도록 하므로서 터널의 여건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터널등과 접속도로 가로등의 회로구성과 전등배치와 제어조건을 맞출 수 있게 하는것이다.
이와 같이 터널등 자동제어기는 터널의 여건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터널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은 터널내부의 조도를 항상 적정한 밝기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부족조명이나 과잉조명으로 인한 차량통행 장애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실제의 터널내부조도를 인식하여 제어하므로 필요이상의 전력낭비를 방지하게되는 잇점이 있고, 터널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보상조명을 하게되므로 차량 운전자의 시야장애를 해소하여 안전한 통행여건을 마련하는 것이며, 터널등이 기준조도에 미치지 못하게될 때는 진입차량의 운전자에게 라이트를 켜도록 알려주어 터널통행에 안전성을 높일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널오염이 심화되면 운전자에게 창문을 닫거나 주의운전을 하도록 하는 등의 운전자가 알아야할 터널내의 상황을 미리 알리어 위험에 적당하게 대처하도록 하므로서 터널통행에 장애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용전원 정전시에 비상용 예비전원을 즉시 공급하여 터널등을 정상 점등하므로서 갑작스런 정전으로부터 차량통행의 위험을 해소하게 하는 것이다.터널조명 상태를 감지하여 단계별로 적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억제할 수 있고, 심야에 차량통행이 한산하면 터널과 접속도로의 밝기를 임의적으로 낮추어 절약제어 하므로서 추가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터널등 및 접속도로 가로등을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인자동화 하므로서 관리부담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터널등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터널등 제어기와;
    상기 터널등 제어기에 연결되어 터널안의 조도를 감지, 터널안 공기의 혼탁함을 감지, 터널안과, 터널주변의 차량 흐름을 감지, 터널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터널등 제어기와 연결되어 터널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널등수배전반과;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에게 터널내부의 상태를 알리는 경보 표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상기 터널등 제어기는 각 감지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변조시키는 신호변환부와,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그램과 연결하는 설정부와 변환된 신호를 전달받고 터널등의 자동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터널등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설정된 조건값을 저장하는 자료저장부와, 정전보상용 충전장치와, 현재시간을 구동하는 시계구동부와, 프로그램 운영상태와 신호값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과, 출력표시등 및 터널등수배전반을 통하여 티널등회로의 전원을 자동으로 통제하는 출력부와, 시험용신호부와, 표지판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등수배전반은 상용 고압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
    상기 수전부에 회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용을 하는 단로기와;
    과부하를 차단하는 파워퓨즈와;
    계량기용변성기와 전력량계로 구성된 전력량계측장치와;
    상기 전력량계측장치에서 고압전원의 사용량을 누적하여 출력하고, 과전류와 부족전압과 접지상태를 감지하는 계전기와 함께 이루어진 고압차단기와;
    단락사고시와 접지사고시와 과부하시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이상전원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부하전류를 차단 및 역률보상을하는 역률보상장치와;
    상기 역률보상장치의 콘덴서를 통하여 유도부하의 역률을 개선하고 고압계측장치를 통하여 상간의 전압과 전류를 표시하고, 변압기를 통하여 고압전원을 저압으로 변환하며 부하전류의 과도한 상승과 누설과 불평형 및 상시의 부하전류를 차단하는 저압차단기와;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충전시설과 비상 자체발전시설로부터 자체전원이 수배전반 저압회로에 즉시 공급되어 터널등과 접속도로가로등 및 터널등 제어기가 비상작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전원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터널안의 조도를 감지하는 터널조도감지기와, 터널안 공기의 혼탁함을 검출하는 터널오염도감지기와, 터널안과 터널주변의 차량 흐름을 검출하는 차량감지기와, 터널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접속도로조도감지기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접속도로조도감지기에 의해 검출된 조도에 따라서 터널등의 1차 목표조도가 설정되고 터널오염도감지기에 의해 검출된 터널오염도와 터널조도감지기에 의해 검출된 터널조도를 감안하여 터널내부의 밝기를 적정값이 되도록 2차 보상조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등 밝기가 기준값에 미달하면 표지판 제어장치를 통하여 표지판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KR2020000021645U 2000-07-28 2000-07-28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KR200231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45U KR200231884Y1 (ko) 2000-07-28 2000-07-28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45U KR200231884Y1 (ko) 2000-07-28 2000-07-28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684A Division KR100696797B1 (ko) 2001-07-20 2001-07-20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884Y1 true KR200231884Y1 (ko) 2001-07-19

Family

ID=7308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645U KR200231884Y1 (ko) 2000-07-28 2000-07-28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8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52B1 (ko) * 2002-03-26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지상형 이동변압기
KR100784434B1 (ko) 2006-12-06 2007-1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내 조도 및 휘도측정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52B1 (ko) * 2002-03-26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지상형 이동변압기
KR100784434B1 (ko) 2006-12-06 2007-1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내 조도 및 휘도측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383B1 (ko) 비상유도 기능을 갖는 led 램프 제어시스템
KR101375229B1 (ko) 계통 연계형 가로등 시스템 내의 가로등 제어 장치
CN104918366A (zh) 一种隧道照明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0231884Y1 (ko)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KR100696797B1 (ko) 터널등 자동제어장치
KR100491889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
KR100833683B1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등주 주간 감시 시스템
KR20090092359A (ko) 가로등 절전 및 감시 시스템
KR100647743B1 (ko) 터널 조명등 원격 제어시스템
KR101521165B1 (ko) 도시 시설물용 지능형 무정전 전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91890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US20070103337A1 (en) Backup traffi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2208981B1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실외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70023506A (ko) 상용전원과 안전전압에서 이용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JPH09153396A (ja) 照明灯監視システム
JP2017016808A (ja) 停電補償付き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夜間照明システム
KR200436449Y1 (ko) 가로등 전원공급 제어기
CN206831771U (zh) 空调电控系统以及空调
KR200329073Y1 (ko) 고장부위 표시 및 자동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조명등의점등회로
TWM478314U (zh) 路燈控制系統
KR100201302B1 (ko) 가로등 및 안정기의 이상 유무 자동 감지 장치
KR200213074Y1 (ko) 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 보호형 안정기
KR200357674Y1 (ko) 절전형 가로등 제어기
KR200397375Y1 (ko) 무전원 가로등 전력선 감시 장치
KR200391211Y1 (ko) 인공지능 등주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6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