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610Y1 - 퓨즈장치 - Google Patents

퓨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610Y1
KR200231610Y1 KR2020010005189U KR20010005189U KR200231610Y1 KR 200231610 Y1 KR200231610 Y1 KR 200231610Y1 KR 2020010005189 U KR2020010005189 U KR 2020010005189U KR 20010005189 U KR20010005189 U KR 20010005189U KR 200231610 Y1 KR200231610 Y1 KR 200231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use
lead
terminal
fus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정
Original Assignee
이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정 filed Critical 이규정
Priority to KR2020010005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61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과전류 등의 발생시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퓨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용체 및 가용체를 한쪽으로 당겨주는 스프링을 갖는 퓨즈요소와; 퓨즈요소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직선형의 수납부와, 수납부의 양측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가지며,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중 어느 하나가 수납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ㄴ'자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제1 인출부에 장착되고, 퓨즈요소의 가용체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1 터미널과; 케이스의 제2 인출부에 장착되며, 퓨즈요소의 스프링을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2 터미널과; 케이스의 수납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퓨즈요소의 가용체와 스프링이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케이스에 내장됨으로써, 구성요소가 크게 감소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높으며, 가격이 현저하게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퓨즈요소가 케이스에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퓨즈장치 전체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전기제품에서 차지하는 설치공간도 줄일 수 있으며,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이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어 전선이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퓨즈장치{FUSE DEVICE}
본 고안은 퓨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부에 퓨즈요소를 직접 내장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퓨즈장치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압의 변동이나 단락(Shot), 그리고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가용체(可溶體)가 용단, 즉 가열되어 녹아 끊어지면서 전로(電路)를 차단하여 전기회로를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전자부품과 전기회로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장치의 하나이며, 저압전력용과 고압전력용으로 나뉘어져 있다.
일반적인 저압전력용 퓨즈는 유리관의 중앙에 선재의 가용체가 수용되어 있고, 유리관의 양쪽에는 가용체의 양단이 접속되는 캡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캡은 회로기판의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에 각각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고압전력용 퓨즈는 가용체의 일단이 스프링에 의하여 캡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가용체의 용단시 스프링은 용단된 가용체의 일부를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당겨서 가용체의 용단부분을 이격시킴으로써, 전로를 완전히 차단한다. 이러한 고압전력용 퓨즈는 스파크(Spark), 단락 등의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퓨즈홀더에 의하여 감싸서 설치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48470호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렌지용 퓨즈홀더에서는, 케이스의 안착부에 퓨즈를 내장하고, 케이스의 클립에 퓨즈의 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터미널을 장착하며, 케이스의 안착부를 커버에 의하여 덮어주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퓨즈를 퓨즈홀더에 간편하게 내장하여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퓨즈는 구성요소가 많고 제조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낮으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격이 비싼 퓨즈와 퓨즈홀더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기제품의 제조단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퓨즈의 캡을 제1 및 제2 리셉터클 터미널의 링소켓에 끼워 케이스에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퓨즈와 제1 및 제2 리셉터클 터미널이 퓨즈홀더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홀더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전기제품에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성요소가 크게 감소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한 퓨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체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퓨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이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어 교차 지점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퓨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가용체 및 가용체를 한쪽으로 당겨주는 스프링을 갖는 퓨즈요소와; 퓨즈요소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직선형의 수납부와, 수납부의 양측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가지며,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중 어느 하나가 수납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ㄴ'자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제1 인출부에 장착되고, 퓨즈요소의 가용체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1 터미널과; 케이스의 제2 인출부에 장착되며, 퓨즈요소의 스프링을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2 터미널과; 케이스의 수납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퓨즈장치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의 커버를 분리하여 퓨즈요소, 케이스,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의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의 케이스, 제1 터미널과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의 케이스, 제2 터미널과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퓨즈요소 12: 가용체
14: 스프링 20: 케이스
22: 수납부 26: 제1 인출부
28: 제2 인출부 40: 제1 터미널
42: 접속부 44: 클립
46: 지지편 50: 제2 터미널
52: 접속부 54: 클립
56: 지지편 60: 커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퓨즈장치는 퓨즈요소(10)를 갖추고 있으며, 퓨즈요소(10)는 가늘고 긴 선재로 이루어진 가용체(12)와, 이 가용체(12)의 일단에 접속되어 가용체(12)를 한쪽으로 당겨주는 스프링(14)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용체(12)와 스프링(14) 각각의 끝단은 도전성을 갖는 제1 접속부재(16)를 매개로 하여 압착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가용체(12)와 스프링(14) 각각의 끝단을 제1 접속부재(16)에 관통시킨 후, 제1 접속부재(16)를 프레스 등에 의하여 압착시키면 가용체(12)와 스프링(14)이 제1 접속부재(16)를 매개로 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가용체(12)의 타단에는 도전성을 갖는 제2 접속부재(18)가 압착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20)의 내측에 퓨즈요소(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수납부(22)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0)의 양측에 수납부(22)의 양단부와 연통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1 인출부(26)와 제2 인출부(28)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인출부(26)와 제2 인출부(28)에는 전선(1, 2)을 인입하여 배선할 수 있는 배선구(26a, 2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인출부(26)와 근접하는 케이스(20)의 내면에는 지지리브 (3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인출부(28)의 배선구 (28a)는 전선(2)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고압트랜스포머 등과 같은 전기부품의 터미널을 직접 끼울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인출부(26, 28)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2 인출부(28)는 수납부(2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20)는 대략 'ㄴ'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하측면에는 걸림턱(32)과 걸림돌기(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케이스(20)의 제1 인출부(26)에는 제1 터미널(40)이 장착되고, 제1 터미널(40)의 일단은 지지리브(30)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제1 터미널(40)의 일단에 퓨즈요소(10)의 가용체(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접속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인출부(26)의 배선구(26a)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립(4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터미널 (40)의 접속부(42)에는 가용체(12)의 끝단이 직접 끼워져 걸리는 슬릿(42a)이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42)의 슬릿(42a)에 끼워진 가용체(12)의 끝단은 접속부(42)의 압착에 의하여 접속한다. 이때, 제2 접속부재(18)는 접속부(42)의 압착에 의하여 접속부(42)에 걸려 슬릿(42a)으로부터 가용체(12)의 끝단이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제1 터미널(40)의 접속부(42)와 클립(44) 사이에는 케이스(20)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을 갖는 지지편(46)이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케이스(20)의 제2 인출부(28)에는 제2 터미널(50)이 장착된다. 제2 터미널(50)의 일단에 퓨즈요소(10)의 스프링(1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인출부(28)의 배선구(28a)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립(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 터미널(50)의 접속부(52)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 원통형 접속부(52)에 스프링(14)의 끝단을 끼운 후 압착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제2 터미널(50)의 접속부(52)는 고압트랜스포머 등과 같은 전기부품의 터미널을 직접 끼워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터미널(50)의 접속부(52)와 클립(54) 사이에는 케이스(20)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을 갖는 지지편 (56)이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20)의 수용부(22), 제1 인출부(26)와 제2 인출부(28)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60)가 조립된다. 커버(60)의 가장자리에는케이스(20)의 걸림턱(32)과 걸림돌기(34)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걸림유지되는 걸림돌기(62)와 걸림홈(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0)의 제2 인출부(28)와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60)의 하측면에는 제2 터미널(50)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리브(6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20)와 커버 (60)는 별도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케이스(20)와 커버(60)는 일측을 힌지 (Hinge) 또는 폴드(Fold)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퓨즈장치에서는, 제1 터미널(40)의 접속부(42)와 제2 터미널(50)의 접속부(52)에 퓨즈요소(10)의 가용체(12)와 스프링 (14)이 각각 접속되고, 스프링(14)은 인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인출부(26, 28)의 배선구(26a, 28a)를 통하여 제1 및 제2 터미널(40, 50)의 클립(44, 54)에 전선(1, 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제품의 전기회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압의 변동이나 단락, 그리고 과전류가 전기회로에 흐르게 되면, 퓨즈요소(10)의 가용체(12)가 용단된다. 가용체(12)의 용단시 스프링(14)은 탄성변형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용단된 가용체(12)의 일부를 제2 터미널(50)쪽으로 당겨서 용단부분을 이격시킴으로써, 전로를 완전히 차단하여 전기회로를 오프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퓨즈장치에 있어서는, 제1 터미널(40)의 접속부(42)와 제2 터미널(50)의 접속부(52)에 퓨즈요소(10)의 가용체(12)와 스프링(14)이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퓨즈에서 사용되었던 유리관과 캡이 배제됨으로써, 그에 따른 구성요소의 감소로 인하여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이 간편해져생산성이 높아지며, 가격이 저렴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터미널(40, 50)의 클립(44, 54)에 전선(1, 2)을 간편하게 접속하여 케이스(20)의 제1 및 제2 인출부(26, 28)에 장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20)의 수납부(22)에 퓨즈요소(10)의 가용체(12)와 스프링(14)이 일직선으로 수납되어 설치됨으로써, 퓨즈장치 전체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퓨즈장치가 전기장치에서 차지하는 설치공간도 줄일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다.
그리고, 제2 인출부(28)가 수납부(2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1 터미널(40)과 제2 터미널(50)이 교차되어 배치되므로, 전선(1, 2)의 교차 지점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케이스(20)의 제2 인출부(28)를 통하여 제2 터미널(50)의 클립(54)에는 고압트랜스포머 등과 같은 전기부품의 터미널을 직접 끼워 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퓨즈장치에 의하면, 퓨즈요소의 가용체와 스프링이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케이스에 내장됨으로써, 구성요소가 크게 감소되어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높으며, 가격이 현저하게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퓨즈요소가 케이스에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퓨즈장치 전체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전기제품에서 차지하는 설치공간도 줄일 수 있으며,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이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어 전선이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용체 및 가용체를 한쪽으로 당겨주는 스프링을 갖는 퓨즈요소와;
    상기 퓨즈요소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직선형의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양측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중 어느 하나가 상기 수납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ㄴ'자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1 인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퓨즈요소의 가용체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1 터미널과;
    상기 케이스의 제2 인출부에 장착되며, 상기 퓨즈요소의 스프링을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제2 터미널과;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 각각에는 상기 케이스의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통하여 배선되는 전선이 접속되는 클립과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을 갖는 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치.
KR2020010005189U 2001-02-27 2001-02-27 퓨즈장치 KR200231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89U KR200231610Y1 (ko) 2001-02-27 2001-02-27 퓨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89U KR200231610Y1 (ko) 2001-02-27 2001-02-27 퓨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610Y1 true KR200231610Y1 (ko) 2001-07-19

Family

ID=7309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189U KR200231610Y1 (ko) 2001-02-27 2001-02-27 퓨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6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187A (en) Subminiature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382525B2 (en) Direct-connect fuse unit for battery terminal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CA2631387A1 (en) Insulated cable termination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US6270360B1 (en) Electric junction box with a relay
US20110298577A1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US6116754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nternal connections
EP1103998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fuse link and external terminals
CA2157952C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KR20170042852A (ko) 다용량 퓨즈
KR200231610Y1 (ko) 퓨즈장치
KR100521236B1 (ko) 소형저압방전램프
JPH053090B2 (ko)
US4486067A (en) Fuse holder, especially fuse holder for miniaturized fuses
KR200218886Y1 (ko) 퓨즈장치
US5938477A (en) Plug structure for use in miniature light bulb series
US4613192A (en) Power cord strain relief
USRE31017E (en) Method for fusing male plug at end of power line cord
ES2290025T3 (es) Filtro.
US6483417B1 (en) Fuseholder contact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US4880398A (en) Fuse holder for holding a flat-type fuse block
JP4308636B2 (ja) 特に電気的な動作手段用の接続装置
JP4309791B2 (ja) ヒューズホルダ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
KR200393122Y1 (ko) 형광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