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63Y1 -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 Google Patents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63Y1
KR200230663Y1 KR2020010000607U KR20010000607U KR200230663Y1 KR 200230663 Y1 KR200230663 Y1 KR 200230663Y1 KR 2020010000607 U KR2020010000607 U KR 2020010000607U KR 20010000607 U KR20010000607 U KR 20010000607U KR 200230663 Y1 KR200230663 Y1 KR 200230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using
desk
wire
wir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6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to KR2020010000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63Y1/en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캡에 관한 것으로, 각종 전자기기들의 플러그 및 전선이 통과하도록 책상 윗면에 부착된 전선캡에 있어서, 전선캡의 뚜껑을 회동구에 의해 회동 및 수직 승강하도록 설치하여 완전 개폐함으로써 플러그 및 전선의 배선처리가 자유롭고 용이하도록 한 전선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ap, the plug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the wire cap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to pass the wire, the cover of the wire cap is installed by rotating and vertically lifting by the rotating hole to open and close the plug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ire cap which enables free and easy wiring processing of electric wires.

Description

전선캡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Wire Cap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본 고안은 전선캡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각종 전자기기들의 플러그 및 전선의 배선처리를 위하여 전선캡의 뚜껑을 개폐 시 뚜껑이 회동구에 의해 회동 및 수직 승강하도록 하여 완전히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플러그 및 전선의 배선처리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전선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ap, and in particula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of the wire cap for the wiring process of plugs and wire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 plug is rotated and vertically lifted by the pivoting hole so that the plug can be completely opened and closed. And it relates to a wire cap easy to wire processing and easy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각 사무실의 책상 주변은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들이 비치되면서 이들 기기에 연결된 전선이 책상 위나 사무실 바닥에 늘어진 상태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사무환경에 커다란 지장을 주고 있다.In general, as the spread of office automation equipment increas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printers, and telephones are provided around desks in each office, and the wires connected to these devices are tangled in a state of being tangled on the desk or the floor of the office. It is a big obstacle to the environment.

이로 인해 전자기기들의 전선 배선처리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그에 대한 대책으로서 이러한 전선들은 대부분 책상 주변에 설치된 파티션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배선 처리하거나 또는 책상의 상면 일부 또는 측면에 전선캡을 부착하여 플러그 및 전선을 통과하도록 하여 배선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This necessitated wire wiring of electronic devices. As a countermeasure, most of these wires are wired using an internal space of a partition installed around a desk, or a wire cap is attached to a part o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A method of wiring processing by passing wires has been used.

특히, 전선캡의 경우 파티션에 비해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사용이 용이하여 더욱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wire cap is more widely used because it is simpler to install, less expensive, and easier to use than the partition.

이에 따라, 각종 전자기기들의 전선의 배선처리를 위한 전선캡에 관한 기술이 개발된 바, 그 예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94-03949호의 전선홀 크기 조절수단을 갖는 책상부착용 전선캡 및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0-149435호의 책상부착용 전선캡의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Accordingly, a technology related to a wire cap for wiring the wire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a wire cap for attaching a desk having a wire hole size adjusting means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94-3939 and a domestic utility The structure of the desk attaching wire cap of model No. 2000-149435 is known.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전선홀의 크기가 인출홈 이상으로 형성될 수 없으므로 그 단부에 콘센트, 플러그 등이 결합된 전선을 통과시킬 수 없게 됨에 따라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전선에서 분리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콘센트 및 플러그가 전선과 일체로 된 제품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전선에 분리할 수 없어 전선의 배선이 어려우며, 한편 전선의 배선작업 시 전선캡의 커버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커버에 힘을 가하여 몸체 내부 양측에 형성된 돌기를 넘어 억지로 개폐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와 같은 행위를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면 몸체가 바깥쪽으로 벌어져 커버가 몸체 상에 안전하게 안착되지 않고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커버가 완전 개방되지 않으므로 전선들을 자유자재로 관통시키기 불편하거나 또는 배선작업을 하기 위해 커버를 손으로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 technique, since the size of the wire hole cannot be formed beyond the drawing groove, the outlet and the plug cannot be passed through the wires having the outlet, plug, etc. coupled to the end thereof. Since most of the products are integrated with wires and plugs, outlets and plug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wir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wire the wires. There are inconveniences of forcibly opening and closing beyond the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if this is done repeatedly, the body may open outward and the cover may not be securely seated on the body, and the cover may be detache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penetrate the wires freely or wiring work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having to hold the cover by hand to do the job.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전선캡의 뚜껑을 회동 및 수직 승강하도록 작동하여 뚜껑을 완전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전선의 배선처리를 용이하도록 한 전선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cap to facilitate the wiring process of the wire by operating the cover of the wire cap to rotate and vertically lift the cap to fully open or clos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선캡의 뚜껑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하우징의 상부면에 힌지결합된 뚜껑을 단순히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뚜껑을 완전히 개폐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전선의 배선처리를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nd safely wire wiring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by the user simply press the lid hin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lid of the wire cap is not easily detached.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캡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ire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뚜껑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lid of Figure 1

도 3 은 도 1 의 뚜껑이 완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Figure 1 fully open

도 4 는 도 1 의 전선캡에 전선을 배선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wired to the wire cap of Figure 1

도 5 는 도 2 의 중앙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도 6a, 6b 는 본 고안의 뚜껑이 수직으로 개방되어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6a,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vertically lowered

도 7 은 도 6b의 A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6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 : 전선캡 2 : 하우징1: wire cap 2: housing

3 : 뚜껑 4 : 회동구3: lid 4: rotation hole

5 : 걸림부 6 : 돌기5: latching part 6: protrusion

7 : 슬롯 8 : 테두리부7: slot 8: border

9 : 관통구 10 : 고정부9 through hole 10 fixing part

20 : 전선 30 : 책상20: wire 30: des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선캡은, 책상 면에 매립 설치되어 배선정리를 하는 전선캡에 있어서, 책상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및 수직 승강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동 및 수직 승강시키는 회동구 및 상기 하우징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p is embedded in the desk surface is installed in the wire arrangement, the housing is fixed to the edge of the desk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A lid pivotally and vertically lifted to open and close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includes a rotating hole for rotating and vertically lifting the lid an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portion for seating the lid.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전선캡의 하우징은 상기 회동구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 걸림부 상에 길고 가늘게 형성된 슬롯; 책상의 가장자리부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 책상의 가장자리부 하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of the wir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ot long and thinly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s on both sides so that the rotational opening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dge extending at right angles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so as to be seated on an upper edge of a desk;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be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desk.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캡은 뚜껑의 타측 끝단에 수직 승강하는 뚜껑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p further includes a projection that is caught on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lid vertically eleva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d is not separated from the housin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캡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선캡(1)은 하우징(2)과, 뚜껑(3), 회동구(4) 및 걸림부(5)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슬롯(7), 테두리부(8) 및 고정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의 끝단에는 돌기(6)가 형성된다.1 to 4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re cap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using (2), a lid (3), a rotating hole (4) and the locking portion (5), the housing is a slot (7), the edge portion 8 and the fixing portion 10, the end of the lid is formed with a projection (6).

하우징(2)은 전선(20)이 책상의 측면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책상의 가장자리부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은 상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이루어져 있으며, 후술하는 테두리부(8) 및 고정부(10)에 의해 책상으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하다.The housing 2 is embedded in the edge of the desk so that the electric wire 20 can pass through the side of the desk. The housing 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opened, and the edge 8 and the high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from a desk by the government 10.

뚜껑(3)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장방형의 판상(版狀)으로 되어 있고, 상기 뚜껑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중앙에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lid 3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recess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lid.

회동구(4)는 상기 뚜껑의 일측에 형성되고, 뚜껑을 수평에서 수직방향으로 또는 수직에서 수평방향으로 90°만큼 회동 및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완전히 개폐하게 된다.Rotating opening (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it is possible to rotate and lift by 90 degrees in the horizontal to vertical direction or vertical to horizont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top of the housing completely.

걸림부(5)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폐쇄 시 상기 회동구에 의해 회동 작동하는 뚜껑(3)이 상기 걸림부 상에 수평방향으로 안착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locking portion 5 protrudes from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ousing so that the lid 3, which is rotated by the rotation hole when the lid is closed, is s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ocking portion to maintain a closed state.

돌기(6)는 상기 뚜껑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에 의해 뚜껑을 열고 이 뚜껑을 수직방향으로 내렸을 때 상기 뚜껑의 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뚜껑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protrusion 6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d, and when the lid is opened by the pivoting hole and the lid is lower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rotrusion of the lid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so that the lid does not detach from the housing. do.

이때, 상기 돌기(6)가 상기 걸림부(5)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의 모서리부분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도 7 에 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corn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inward so that the protrusion 6 is not caught and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5. This is illustrated in FIG. 7.

슬롯(7)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걸림부 상에 수직방향으로 길고 가늘게 형성된 홈으로, 상기 뚜껑의 회동구(4)가 상기 슬롯에 끼워진 상태로 이 슬롯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slot 7 is a long and thin groov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the slot 4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slot with the pivoting hole 4 of the lid fitted in the slot.

상기 슬롯의 윗부분은 상기 회동구가 슬롯에 삽입된 상태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slot is rounded so that it can be freely rotated while the pivot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slot.

테두리부(8)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하우징이 책상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The edge portion 8 is formed to extend at a right angle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by the edge portion.

한편, 상기 뚜껑(3)의 길이는 하우징(2)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뚜껑으로 하우징을 완전히 닫았을 때 상기 뚜껑과 하우징의 길이 차이만큼 하우징의 한쪽 끝에 자연스럽게 관통구(9)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각종 전자기기들의 전선(20)이 관통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lid 3 is mad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ousing 2, when the housing is completely closed with the lid, a through hole 9 is natu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housing by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lid and the housing. The wires 20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고정부(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책상의 가장자리부에 매립 설치 시 이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d is fixed by the fixing part when the housing is embedd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desk.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전선캡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using the wir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책상(30)의 가장자리부에 관통홈(도시 안함)을 형성한 후 본 고안에 따른 전선캡(1)의 하우징(2)을 테두리부(8)와 고정부(10)를 이용하여 책상의 관통홈에 매립 설치한다(도 1 참조).After forming a through groove (not shown) at the edge of the desk 30 through the housing 2 of the wire c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dge portion 8 and the fixing portion 10 through the desk It is embedded in the groove (see Fig. 1).

상기 전선캡의 설치가 완료된 후,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캡의 뚜껑(3)의 끝부분을 누르면 압력을 받은 뚜껑은 회동구(4)에 의해 회동하면서 도 2 와 같이 수직으로 상승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cap is completed, pressing the end of the cap 3 of the wire cap, as shown in Figure 1, the pressurized cap is rotated vertically as shown in Figure 2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ng hole (4) .

수직으로 상승된 뚜껑은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구(4)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5) 내측면의 슬롯(7)에 삽입된 상태로 슬롯을 타고 자연스럽게 밑으로 내려옴과 동시에 뚜껑의 타측에 형성된 돌기(6)가 걸림부(5)에 걸림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가 완전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되고(도 3 및 도 6a, 6b 참조), 책상(30)의 측면을 따라 사무실 바닥에서 올라오는 전선(20)을 완전 열림 상태의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하여 정리한 후 다시 뚜껑을 닫는다. 이때, 상기 뚜껑의 저면은 하우징 내부의 걸림부(5)에 안착하면서 완전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전선은 뚜껑에 의해 한쪽으로 밀려 관통구(9)에 위치하게 된다(도 4 참조).The lid is vertically raised, while the rotational opening 4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is inserted into the slot 7 on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5 of the housing, the lid naturally descends and the other side of the lid. As the formed protrusion 6 is caught by the catching part 5,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is maintained in the fully opened state while preventing the li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housing (see FIGS. 3 and 6A and 6B), and the desk 30 Along the side of the office wires 20 coming up from the floor through the housing in a fully open state to organize and close the lid again.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lid is seated on the engaging portion 5 inside the housing to maintain a completely closed state, the wire is pushed to one side by the lid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9 (see Fig. 4).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캡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wire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캡에 따르면, 전선캡의 뚜껑을 회동구에 의해 회동 및 수직 승강하도록 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뚜껑을 완전 개폐할 수 있고, 뚜껑이 전선캡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종 전자기기들의 플러그 및 전선의 배선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책상 면의 깔끔한 정리정돈이 가능하므로 궁극적으로 책상 상단에 전자기기의 배치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re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of the wire cap can be rotated and vertically lift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hole to completely open and close the lid from the housing, and prevent the li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of the wire cap. The wiring and wiring of the electronic devices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and accordingly, the neat arrangement of the desk surface is possible, and ultimately, the electronic devices can be easily placed on the top of the desk.

Claims (3)

책상 면에 매립 설치되어 배선정리를 하는 전선캡에 있어서,In the electric wire cap which is installed on the desk surface to clean the wiring, 책상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하우징(2);A housing 2 fixed to the edge of the desk and having a top and bottom open;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및 수직 승강하는 뚜껑(3);A lid (3) for pivoting and lifting vertically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뚜껑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동 및 수직 승강시키는 회동구(4) 및Rotating opening (4)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for rotating and vertically lifting the lid and 상기 하우징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이 안착되는 걸림부(5)를 포함하는 전선캡.Wire caps formed on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atching part 5 on which the lid is sea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2)은 상기 회동구(4)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 걸림부(5) 상에 길고 가늘게 형성된 슬롯(7);The housing (2) has a slot (7) long and thinly formed on both side engaging portions (5) so that the pivoting hole (4)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책상의 가장자리부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8);An edge portion (8) extending at right angles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so as to be seated above the edge of the desk; 책상의 가장자리부 하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10)를 더 포함하는 전선캡.Wire caps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be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des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뚜껑(3)의 타측 끝단에, 수직 승강하는 뚜껑이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부(5)에 걸리는 돌기(6)를 더 포함하는 전선캡.The other end of the lid (3), the wire cap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6) is caught on the locking portion (5) so that the vertically rising lid is not separated from the housing (2).
KR2020010000607U 2001-01-10 2001-01-10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KR2002306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07U KR200230663Y1 (en) 2001-01-10 2001-01-10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07U KR200230663Y1 (en) 2001-01-10 2001-01-10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63Y1 true KR200230663Y1 (en) 2001-07-19

Family

ID=7309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607U KR200230663Y1 (en) 2001-01-10 2001-01-10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6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113C (en) Pivoting or retractable cord lid with cord exit for floor box
US6133531A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5605466A (en) Wall outlet adapter having sawtooth profile
CA2688044C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US8022298B2 (en) Weatherproof outlet and gasket assembly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US10079481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US5455388A (en) Electrical floor box access cover
JP2006109694A (en) Housing device equipped with connection box, and connection box for the housing device
CA2661115C (en) Ultra shallow floor box
US7129413B1 (en) Universal outlet plate cover assembly
EP3284146B1 (en) Socket with cover
KR100875879B1 (en) Cable arranging apparatus
KR200230663Y1 (en) a cap for protecting the cables
JP2002027630A (en) Drip-proof plate for wiring appliance
CN112802724B (en) Electric connection box
WO2021004134A1 (en) Protective case and socket device
US9553436B2 (en) Floor box cover
KR20190055895A (en) Power outlet for vehicle
KR20190027048A (en) Power outlet for vehicle
JPH0815365B2 (en) Floor outlet
KR200267081Y1 (en) cap for wiring
KR200240901Y1 (en) Electric wire arrangement device for desk
CN206451912U (en) A kind of socket water proof and dust proof box
CN219246997U (en) Multi-section flip cover and flip cover typ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