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86Y1 -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 Google Patents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586Y1
KR200230586Y1 KR2019980008261U KR19980008261U KR200230586Y1 KR 200230586 Y1 KR200230586 Y1 KR 200230586Y1 KR 2019980008261 U KR2019980008261 U KR 2019980008261U KR 19980008261 U KR19980008261 U KR 19980008261U KR 200230586 Y1 KR200230586 Y1 KR 200230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entrance
front plate
opening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415U (ko
Inventor
박호일
Original Assignee
박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일 filed Critical 박호일
Priority to KR2019980008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586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586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봉(32)과 수평봉(34)이 교차되어 격자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 출입구(36)가 마련된 전면판(30)을 가진 케이지(20)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0)의 전면판(30)에 장착되어 그 출입구(36)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소정형상을 갖는 차단부재(102)와, 상기 차단부재(102)의 상단 양측에서 돌설되고 그 상단이 절개되어 상기 전면판(30)의 출입구(36) 상측에 형성된 수평봉(34)에 끼워지는 힌지부재(104)와, 상기 차단부재(102)의 차단판(102c)하단에 적어도 상기 출입구(36)의 폭보다 길게 수평되도록 설치되는 멈춤봉(106)으로 구성된 개폐수단(100)과; 상기 전면판(30)의 수평봉(34)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차단부재(102)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개폐수단(100)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10)로 이루어져 닭이 함부로 출입구(110a)를 열지 못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DOOR STRUCTURE FOR POULTRY FARMING CAGE}
본 고안은 양계(養鷄)용 케이지(Cage)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수단을 케이지 내부로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되, 적당한 장력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닭이 마음대로 출입구를 열지 못하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계, 산란계, 채란계 등 양계(養鷄)를 위해 닭을 가두어 기르는데 그 닭들을 가두기 위해서는 소정형상의 케이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양계용 케이지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넓이를 갖고 그 일단에 알받이(12)가 형성된 하부판(10)의 상면으로 대략 다수개의 철선을 종횡으로 부착하여 내부에 닭을 기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사각형틀의 케이지(20)가 설치된다. 특히 그 케이지(20)의 전면판(30)에는 케이지(20) 내부로 닭의 이동 및 취급이 가능하도록 출입구(36)가 형성되고, 그 출입구(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40)이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도어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20)의 전면판(30)은 다수개의 수직봉(32)과 수평봉(34)이 교차되어 격자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닭의 출입과 취급이 가능한 정도의 출입구(36)가 형성되고, 그 출입구(36)의 상단 수평봉(34)에는 개폐수단(40)이 끼워지도록 측면모양이 대략 ㄴ자인 걸림부재(50)가 부착된다.
개폐수단(40)은 일측에 걸림돌기(42a)가 형성된 대략 ㅌ자의 차단부재(42)와, 그 차단부재(42)의 하단에 적어도 출입구(36)의 폭보다 길게 수평되도록 설치되어 그 양단이 ㄷ자로 절곡된 절곡부(44a)를 가진 가이드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구조는 전면판(30)의 수평봉(34)에 부착된 걸림부재(50)에 차단부재(42)의 상측이 입설되고, 전면판(30)의 출입구(36)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수직봉(32)에는 가이드부재(44)의 절곡부(44a)가 끼워져 대략 전면판(30)의 출입구(36)가 막아지도록 되어있고, 그 출입구(36)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개폐수단(40)의 차단부재(42)를 잡고 상측으로 올리면 되는데, 이때, 걸림돌기(42a)에 의해 닭이 함부로 출입구(36)를 열지 못하도록 된다. 그리고, 잡고있던 차단부재(42)를 놓으면 자유낙하되어 출입구(36)가 막아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구조는 개폐수단이 상하로 개폐되는 자유낙하식이어서 출입구의 개방시 항상 개폐수단을 사람의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므로 닭을 케이지 안으로 넣거나 밖으로 이동시킬 때, 그 취급이 매우 곤란하여 노동력이 증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걸림돌기는 그 가공이 매우 어렵고 가공 후에도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장기간 사용시 마모되거나 휘어져 닭이 부리나 다리 또는 날개 등으로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게되어 닭이 케이지 밖으로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고, 닭의 신체 일부가 개폐수단에 끼어 부상당하거나 심하게는 폐사되므로 많은 재산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닭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출입구가 개폐되어 다른 기계장치에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도어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수단이 케이지 내부로 회동가능되게 하는 한편, 충분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개폐부재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어 닭의 취급이 용이하고, 닭의 힘으로는 출입구를 개방할 수 없어 닭이 케이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닭이 개폐수단에 끼어서 발생하는 부상과 폐사를 방지하는 한편, 다른 기계장치를 보호하도록 된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봉과 수평봉이 교차되어 격자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 출입구가 마련된 전면판을 가진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전면판에 장착되어 그 출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적어도 상기 출입구의 폭보다 짧게 수평되도록 재질이 금속인 결합봉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을 재료가 습동이 잘되는 플라스틱으로 감싸되, 그 형상은 대략 상측에 상기 결합봉이 위치되고, 그 결합봉의 일부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소정길이 만큼 절개되고 하방으로 소정길이 만큼 경사지게 연장된 사각의 판형몸체가 형성되고, 그 판형몸체의 하측 양단과 중앙에서 일체로 소정 폭과 길이 만큼 수직되게 연장된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의 상단 양측에서 돌설되고 그 상단이 절개되어 상기 전면판의 출입구 상측에 형성된 수평봉에 끼워지는 힌지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의 차단판 하단에 적어도 상기 출입구의 폭보다 길게 수평되도록 설치되는 멈춤봉으로 구성된 개폐수단과; 상기 전면판의 수평봉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결합봉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에 따르면, 개폐수단이 케이지 내측으로 회동가능되게 구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므로 닭의 취급이 용이하고, 닭이 함부로 출입구를 개폐하지 못하도록 되어있다.
도 1은 종래의 양계용 케이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도어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가 장착된 케이지를 나타낸 측단 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케이지, 30: 전면판,
32: 수직봉, 34: 수평봉,
36: 출입구, 100: 개폐수단,
102: 차단부재, 102a: 결합봉,
102b: 판형몸체, 102c: 차단판,
104: 힌지부재, 106: 멈춤봉,
110: 탄성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도면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구조는 상기 케이지(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수직봉(32)과 수평봉(34)이 교차되어 격자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는 닭의 출입과 취급이 가능할 정도의 출입구(36)가 형성된 전면판(30)에 회동가능되게 장착되는 개폐수단(100)과, 상기 전면판(30)과 개폐수단(100)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수단(100)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재(110)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수단(100)은 상기 전면판(30)에 장착되어 그 출입구(36)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적어도 상기 출입구(36)의 폭보다 짧게 수평되도록 결합봉(10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102a)을 재료가 습동이 잘되는 플라스틱으로 감싸되, 그 형상은 대략 상측에 상기 결합봉(102a)이 위치되고, 그 결합봉(102a)의 일측이 외부로보여지도록 소정길이 만큼 절개되어 하방으로 소정길이 만큼 경사지게 연장된 사각의 판형몸체(102b)가 형성되고, 그 판형몸체(102b)의 하측 양단과 중앙에서 일체로 소정 폭과 길이 만큼 수직되게 연장된 차단판(102c)을 포함하는 차단부재(102)와, 상기 차단부재(102)의 판형몸체(102b)상면 양측에서 돌설되고 그 상단이 절개되어 상기 전면판(30)의 출입구(36) 상측에 형성된 수평봉(34)에 끼워지는 힌지부재(104)와, 상기 차단부재(102)의 차단판(102c)하단에 적어도 상기 출입구(36)의 폭보다 길게 수평되도록 설치되는 멈춤봉(106)으로 구성된다.
탄성부재(110)는 대략 소정의 폭을 갖는 판형으로 그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일단은 상기 전면판(30)의 수평봉(3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차단부재(102)의 결합봉(102a)에 고정되어 상기 개폐수단(100)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며 닭의 힘으로는 상기 개폐수단(100)을 개폐할 수 없을 만큼의 탄성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구조가 장착된 케이지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100)을 케이지(20) 내측으로 밀면 상기 전면판(30)의 수평봉(34)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수단(100)이 회동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110)의 중앙부가 상기 전면판(30)의 수평봉(34)에 닿게되어 상기 개폐수단(100)이 일정한 각도만큼만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전면판(30)의 출입구(36)가 열린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개폐수단(100)을 상기 케이지(20)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출입구(36)가 막아진다.이때, 상기 개폐수단(100)의 멈춤봉(106)이 상기 전면판(30)의 수직봉(32)에 닿으면 회동이 멈춰지고 상기 탄성부재(110)에 의해 닫힘상태가 유지되며 닭의 힘으로는 상기 개폐수단(100)을 회동시킬 수 없으므로 닭이 함부로 출입구(36)를 열 수 없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에 의하면, 개폐수단이 케이지 내부로 회동가능되게 하는 한편,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개폐부재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므로 닭의 취급이 용이하여 노동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탄성부재는 닭의 힘으로는 열 수 없는 만큼의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닭이 케이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닭이 개폐수단에 끼어서 발생하는 부상과 폐사를 방지하여 재산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정상적인 출입구 개폐로 다른 기계장치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수직봉(32)과 수평봉(34)이 교차되어 격자모양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 출입구(36)가 마련된 전면판(30)을 가진 케이지(20)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0)의 전면판(30)에 장착되어 그 출입구(36)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적어도 상기 출입구(36)의 폭보다 짧게 수평되도록 재질이 금속인 결합봉(10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102a)을 재료가 습동이 잘되는 플라스틱으로 감싸되, 그 형상은 대략 상측에 상기 결합봉(102a)이 위치되고, 그 결합봉(102a)의 일부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소정길이 만큼 절개되고 하방으로 소정길이 만큼 경사지게 연장된 사각의 판형몸체(102b)가 형성되고, 그 판형몸체(102b)의 하측 양단과 중앙에서 일체로 소정 폭과 길이 만큼 수직되게 연장된 차단판(102c)을 포함하는 차단부재(102)와, 상기 차단부재(102)의 상단 양측에서 돌설되고 그 상단이 절개되어 상기 전면판(30)의 출입구(36) 상측에 형성된 수평봉(34)에 끼워지는 힌지부재(104)와, 상기 차단부재(102)의 차단판(102c)하단에 적어도 상기 출입구(36)의 폭보다 길게 수평되도록 설치되는 멈춤봉(106)으로 구성된 개폐수단(100)과;
    상기 전면판(30)의 수평봉(34)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차단부재(102)의 결합봉(102a)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개폐수단(100)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케이지의 도어구조.
KR2019980008261U 1998-05-19 1998-05-19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KR200230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61U KR200230586Y1 (ko) 1998-05-19 1998-05-19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61U KR200230586Y1 (ko) 1998-05-19 1998-05-19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15U KR19990041415U (ko) 1999-12-15
KR200230586Y1 true KR200230586Y1 (ko) 2001-09-25

Family

ID=6951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261U KR200230586Y1 (ko) 1998-05-19 1998-05-19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5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535B1 (ko) * 2014-08-22 2017-01-24 이범성 새끼오리 및 병아리 사육용 직립식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15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9882A1 (en) Animal crate with swing or drop door
US11528883B2 (en) Animal crate with swing or drop door assembly
EP0442190B1 (en) Polygonal bait station
US3906655A (en) Trap and cage for aquatic animals
CN107258555B (zh) 用于动物笼具的门组合件及动物笼具
US4829701A (en) Bird cage trap
CA3013890A1 (en) Animal crate latch
US6035575A (en) Marine animal trap entrance gate
US10568296B2 (en) Pen front
US7874097B2 (en) Lobster trap with ring guard assembly
US3113395A (en) Animal trap
KR200230586Y1 (ko) 양계용케이지의도어구조
KR101071876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장치
US4450788A (en) Cage for rearing small animals for experiments
KR200483169Y1 (ko)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US4173092A (en) Rat capturing device
US2037431A (en) Fly paper protective device
KR20020076446A (ko) 쥐덫
US3620559A (en) Cage door handle and latch assembly
KR102397932B1 (ko) 햄스터 하우스
DE202017004266U1 (de) Vorrichtung zum Bekämpfen und Eliminieren von Kleinnagern wie Mäusen und Ratten
US1655361A (en) Trap
KR200234404Y1 (ko) 쥐덫
JPH065510Y2 (ja) 住宅用窓シャッターのカーテン巻込み防止構造
DK201570131A1 (en) Cage system with fast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