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03Y1 -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503Y1
KR200230503Y1 KR2020010002945U KR20010002945U KR200230503Y1 KR 200230503 Y1 KR200230503 Y1 KR 200230503Y1 KR 2020010002945 U KR2020010002945 U KR 2020010002945U KR 20010002945 U KR20010002945 U KR 20010002945U KR 200230503 Y1 KR200230503 Y1 KR 200230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ntents
withdrawal
storage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9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2020010002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5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503Y1/en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황토 등으로 소성된 황토재 저장용기에 쌀과 같은 다양한 곡식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전기밥솥이나 전자레인지 등을 안치하는 안치대, 그리고 수납선반 등을 동시에 구비한 통상의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쌀과 같은 곡식류의 내용물 인출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용기의 안정된 결합으로 저장용기를 인출 및 인입시 안정성도 일층 배가시킨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for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grains such as rice in a loess material storage container fired with ocher, etc., and a stand for placing an electric rice cooker or a microwave oven, and a storage shelf. In the general kitchen multipurpose cabinet equipp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withdraw the contents of grains, such as rice, and provides a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for the doubled stability of the storage container withdrawal and withdrawal by the stable combination of storage containers To do it.

즉, 본 고안은 주로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저장용기(5)를 구비한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5)의 유동 등으로 인한 파손 및 내용물의 누출 등과 같은 문제점을 수개의 클램프(4b)와 결속수단(6)으로 잡아줌으로서 일소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종래 저장용기(5)에 수납된 내용물 인출 시 받침대(4)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인출한 후 별도의 인출용기 등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인출하던 번거로운 작업을 손잡이(11)의 푸싱작동에 의해 인출셔터(8)가 개방되면서 내용물이 인출용기(12) 상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내용물 인출상의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itchen multi-purpose cabinet 1 having a storage container 5 mainly made of ocher as a main component, problems such as damage and leakage of the contents due to the flow of the storage container 5, etc. It is possible to sweep by holding with several clamps (4b) and the binding means (6), and when taking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5) slides the pedestal (4) to the front and then separate take-out container, etc. By using the cumbersome operation to pull out the contents using the push (11) by the push operation of the withdrawal shutter (8) while the contents are withdrawn on the takeout container (12)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contents withdrawal .

Description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본 고안은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황토 등으로 소성된 황토재 저장용기에 쌀과 같은 다양한 곡식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전기밥솥이나 전자레인지 등을 안치할 수 있는 안치대(=선반) 등을 동시에 구비한 통상의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쌀과 같은 곡식류의 내용물 인출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용기의 안정된 결합으로 저장용기를 인출 및 인입시 안정성도 일층 배가시킨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for kitchens,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riety of grains such as rice in a loess material storage container fired by loess, etc., and a stand for placing an electric rice cooker or a microwave oven (= shelf). In the general kitchen multipurpose cabinet equipped with the back,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withdraw the contents of grains, such as rice, and the multipurpose cabinet for the kitchen that doubled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withdrawing and importing the storage container with a stable combination of storage containers To provide.

근자에 들어 주로 주방용 수납가구로서 사용되고 있는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은 주방의 필수용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kitchen cabinets, which are mainly used as kitchen cabinets, are becoming essential items for kitchens.

이러한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의 경우 주로 쌀 등과 같은 곡식류의 보관 및 다양한 주방용품, 음식준비용품 등을 수납 및 정리할 수 있는 선반 등을 동시에 갖춘 것으로서, 종래에는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 본체에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구성된 저장용기를 일체로 갖추어 쌀 등과 같은 곡식류를 보관하였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저장용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multipurpose cabinet for kitchen, it is equipped with a shelf for storing and arranging grains such as rice and various kitchen utensils, food preparation products, etc. At the same time, conventionally, a kitchen made of synthetic resin or wood in a multipurpose cabinet body for storage The grains such as rice were stored in one container, but the storage containers mainly made of loess are mainly used.

기존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 저장용기의 경우는 황토를 주재로 하여 옹기 형태의 저장용기를 소정온도로 소성가공하여 표면에 다시 유약을 도포하여 재차 소성가공하는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storage container mainly composed of ocher, it is manufactured by using a loess as a main material, plastic processing of the onggi-type storage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pplying glaze on the surface again to plastic processing again.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는 통상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받침대상에 안치하여 쌀 등과 같은 곡식류 등을 인입 및 인출코자 할 시에는 슬라이드식 받침대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저장용기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인출 시에는 별도의 바가지 등과 같은 인출용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인출한 후 다시금 슬라이드식 받침대를 인입시키는 작동으로 내용물 인출작업을 행하여 왔는바,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is usually placed on a pedestal that can slide out before and after, to draw and withdraw grains such as rice, and to withdraw the slide pedestal forward to store the contents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to separate After taking out the contents using a drawer container such as gourd, etc., the contents have been taken out by the operation of drawing the slide-type pedestal again.

이러한 기존의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의 경우는 내용물 보관을 위한 저장용기 인출 시에 저장용기를 잡아주는 수단이 부재하여 자칫 슬라이드식 받침대를 전방으로 인출시 황토재로 이루어진 저장용기가 개방에 따른 관성에 의하여 뒤로 넘어져 저장용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내용물 인출을 위하여 곡식류가 저장된 무거운 받침대 전체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 내용물을 별도로 인출용기를 사용하여 인출하여야 하므로 내용물 인출에 따른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힘든 것이었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multipurpose cabinet for kitchen, there is no means for holding the storage container 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taken out for storing the contents. The storage containers were often damaged due to falling, and the heavy pedestals containing grains were pulled forward to take out the contents, and the contents were to be taken out using a separate take-out container, which was very cumbersome and difficult.

이에 본 고안에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저장용기를 사용하고 있는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저장용기가 안치되는 슬라이드식 받침대의 인출 및 인입 작동시 저장용기가 파손될 우려를 미연에 일소토록 함과 동시에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인출작업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kitchen multipurpose cabinet using a storage container manufactured mainly using ocher, which is widely used,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damaged during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peration of the slide-type base o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is placed. At the same time, withdrawal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t the same ti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technical problem of the devise in providing a means that can be easily mad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적용된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의 일부1 is a part of the multi-purpose cabinet for kitchen to whic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분해 상태 사시도Exploded perspective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저장용기 인출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extracting the storage container withdrawal unit configuration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저장용기 인출부 구성을 발췌한 저면 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withdrawal por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main part of drawing ■

1:주방용 다용도 수납장 2:수납장1: multipurpose cabinet for the kitchen 2: cabinet

3:안치대 4:받침대3: bracing 4: pedestal

4a:전면부재 4b:클램프4a: front member 4b: clamp

4c:인출공 5:저장용기4c: Drawer 5: Storage Container

5a:인출공 6:결속수단5a: Draw-out 6: Binding Means

7:록커 8:인출셔터7: Locker 8: Drawer shutter

8a:인출셔터공 9:가이드레일8a: Drawer Shutter Ball 9: Guide Rail

10:스프링 11:손잡이10: Spring 11: Handle

12:인출용기12: withdrawal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저장용기(5) 인출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cabinet 1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ion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5,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the like showing the main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these drawings as follows.

통상 목재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의 전면부에는 주방용품 이나 각종 음식물 재료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슬라이드 인출식, 또는 힌지 개폐식 등의 소형 수납장(2) 등이 수개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는 전자레인지 또는 전기밥솥 등을 안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안치대(3) 등이 설치되며, 이의 하부측에 주로 쌀 등을 저장, 보관하며 필요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개략 측면상에서 L형 등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드식 받침대(4)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식 받침대(4) 상면부에 황토(黃土)를 주성분으로 하여 옹기 형태로 제조된 저장용기(5)를 구비한 통상의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에 있어서,In the front part of the kitchen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1), which is usual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wood, several small cabinets (2), such as a slide pull-out type or a hinged opening / closing type for storing kitchen utensils and various food materials, ar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 slide type rest table (3) for installing a microwave oven or an electric rice cooker, etc., is installed, and an L type ligh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reof so as to mainly store and store rice, and to withdraw it if necessary. A general kitchen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having a slide base (4) consisting of, and having a storage container (5) manufactured in an ong form with loess as a main compon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base (4) In 1),

본 고안은 상기 저장용기(5)가 받침대(4)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인출 및 인입시에 유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용기(5)의 파손율을 줄임과 동시에 저장된 쌀 등의 곡물(이하 '내용물'이라 칭한다.)을 인출 시 원터치 손잡이(11)에 의해 인출용기(12) 상으로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받침대(4)의 상면부에 저장용기(5)의 해당 규격에 맞추어 설계되고 저장용기(5)의 좌우와 후측면을 유동이 불가하게 지지하면서 잡아줄 수 있는 돌출형의 클램프(4b)를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저장용기(5)의 상측부를 홀딩하는 형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로프 등으로 구성되는 결속수단(6)을 설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breakage rate of the storage container (5) while storing the storage container (5) is placed in the pedestal (4) so as not to flow during slide withdrawal and withdrawal (hereinafter 'contents' In this case, the withdrawal can be made on the withdrawal container 12 by the one-touch handle 11 at the time of withdrawal.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4 of the storage container 5. Desig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each of which forms a projection clamp (4b) that can hold while holding the left and right and rear sides of the storage container 5 in an unsupportable manner, and also h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5) The binding means 6 which consists of a binding rope etc. which can bind in a form is provided.

상기 결속수단(6)은 받침대(4)의 전면부재(4a) 후측에 고정되고, 저장용기 (5) 분리 시를 고려하여 결속수단(6)의 중도에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록커(7)를 연결구비토록 한다.The binding means (6)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member (4a) of the pedestal (4), the locker (7) that can be locked and released in the middle of the binding means (6) in considera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5) Make sure to connect.

그리고 저장용기(5)의 바닥면에는 소정 치수의 인출공(5a)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용기(5)를 받침대(4)에 안치하였을 시에 인출공(5a) 하부에 대응하는 받침대(4) 바닥면에는 대응 인출공(4c)을 형성하며, 이의 하부측에는 인출셔터공 (8a)을 가진 인출셔터(8)를 가이드레일(9) 상에 안내되면서 전후 슬라이드 개폐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인출셔터(8)는 가이드레일(9)에 양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스프링(10)과 후측부에서 개략 화살표 형상 등으로 탄력설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후방압력을 가하지 않는 한 전방으로 탄력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5) is formed with a drawing hole (5a) of a predetermined size, when the storage container (5) is placed in the pedestal (4) pedestal (4)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ing hole (5a)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corresponding withdrawal hole (4c), the lower side of the withdrawal shutter 8 having the withdrawal shutter hole (8a) to be guided on the guide rail (9) to allow the front and rear slid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pull-out shutter 8 is elastically cl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unless a separate rear pressure is applied by allowing the guide rail 9 to be stably fixed to the guide rail 9 at both ends of the spring 10 and the rear side in the shape of an arrow. To maintain.

그리고 상기 인출셔터(8) 전방에는 사용자가 상기 인출공(5a,4c)과 인출셔터공(8a)을 개방 시에 사용하는 손잡이(11)가 설치되며, 인출셔터(8)의 하부에는 서랍형태로 받침대(4) 하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인출 및 인입작동될 수 있는 인출용기 (12)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take-out shutter 8 is provided with a handle 11 for the user to open the take-out hole (5a, 4c) and the take-out shutter hole (8a), the lower portion of the take-off shutter 8 At the bottom of the furnace pedestal 4, a withdrawal container 12 is installed which can be slidably pulled out and pulled out.

도면중의 부호 12a는 인출용기(12)에 형성된 손잡이, 13은 받침대(4) 전후 인출을 안내지지하는 가이드레일, 14는 인출셔터(8)의 슬라이드 폭을 결정하는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2a denotes a handle formed in the take-out container 12,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take-out before and after the pedestal 4, and 14 a stopper for determining the slide width of the take-out shutter 8.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은 각종 주방용품이나 음식준비물 등을 수개의 수납장(2) 등에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안치대(3) 상에는 주로 전자레인지나 전기밥솥 등을 안치하여 주방공간을 효율적으로 정리, 수납하여 사용하고, 받침대(4)상에 안치된 저장용기(5)에는 주로 쌀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납, 보관하여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받침대(4) 상면부에 저장용기(5)를 안치시 이를 정위치에서 잡아서 지지해줄 수 있는 수개의 클램프(4b)와 저장용기(5)의 상부를 잡아주는 결속수단(6)에 의해 받침대(4)를 전후 슬라이드식으로 인출 및 인입시킬 때 저장용기(5)가 넘어져 파손되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kitchen multipurpose cabin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tore and store various kitchen utensils or food preparations, etc. in several cabinets 2, and mainly on the cubicle 3, a microwave oven or an electric rice cooker. Equipped with a back to effectively organize and store the kitchen space, and the storage container 5 placed on the base (4) is mainly used to store and store the contents, such as rice, withdrawal when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amps (4b) and the binding means (6) for h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5) that can hold and hold it in place when the storage container (5)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4) When the base 4 is pulled out and pulled back and forth by the slide type, the storage container 5 falls and prevents the closed end from being broken or the contents spilling outward.

그리고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옹기형으로 제조된 상기 저장용기(5) 상에 저장된 내용물은 내부 습도가 자동으로 유지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차단하고, 각종 해충방지와 유해 전자파 등을 차단하는 기능도 동시에 행하여 내용물 저장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일소하게 되는 것이며, 저장용기(5)에 저장해 둔 내용물을 인출코자 할 시는 받침대(4)의 전면부재(4a) 하측에 위치한 인출셔터(8)의 손잡이(11)를 후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도 4의 가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0)에 탄력설치된 인출셔터(8)가 스프링(10)의 탄성을 극복하고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인출셔터(8)에 형성된 인출셔터공(8a)이 받침대(4)와 저장용기(5)에 형성된 인출공 (4c,5a)과 상호 연통하게 되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하여 내용물이 인출셔터공(8a)을 통하여 하부의 인출용기(12)상으로 낙하, 인출되는 것이다.And the contents stored on the storage container (5) made of clay on the basis of ocher as the main component to automatically maintain the internal humidity to block the deterioration of the contents,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various pests and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etc. The problem that may occur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is to be eliminated, and when you want to withdraw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5, the handle 11 of the take-out shutter 8 located under the front member 4a of the pedestal 4 When pushed to the rear side, as shown in the imaginary line of FIG. 4, the withdrawal shutter 8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spring 10 overcome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 and slides to the rear side to be formed on the withdrawal shutter 8. The drawing shutter hole 8a communicates with the drawing holes 4c and 5a formed in the pedestal 4 and the storage container 5 so that the contents are drawn out through the drawing shutter hole 8a by the weight of the contents. (12) It will be a fall, take-off.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 인출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손잡이(11)에서 손을 분리하면 스프링(10)의 복원탄성에 의하여 인출셔터(8)가 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셔터공(8a)이 인출공(4c,5a)과 상호 어긋나므로 내용물의 인출은 자동으로 중단되며, 사용자는 인출용기(12)의 손잡이(12a)를 잡고 인출용기(12)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다른 주방용기(밥솥 등) 상으로 간단히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s have been withdrawn to the desired amount, when the user removes the hand from the handle 11, the withdrawal shutter 8 slides to the front side by restoring elasticity of the spring 10, and the withdrawal shutter hole 8a is withdrawn ( 4c, 5a) and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is automatically stopped because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12a) of the take-out container 12 to take out the take-out container 12 to the other kitchen vessel (rice cooker, etc.) You can simply withdraw it.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은 주로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저장용기(5)를 구비한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에서 상기 저장용기(5)의 유동 등으로 인한 용기파손 및 내용물의 누출 등과 같은 문제점을 수개의 클램프(4b)와 결속수단(6)으로 잡아줌으로서 일소할 수 있는 것이며, 종래 저장용기(5)에 수납된 내용물 인출 시 받침대(4)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인출한 후 별도의 인출용기 등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인출하던 번거로운 작업을 손잡이(11)의 푸싱작동에 의해 인출셔터(8)가 개방작동되면서 내용물이 인출용기(12) 상으로 낙하, 인출되도록 하여 내용물 인출상의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kitchen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w of the storage container 5 in the kitchen multipurpose storage cabinet 1 having a storage container 5 mainly manufactured with ocher as a main component.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container and leakage of the contents due to the back can be eliminated by catching the clamps 4b and the binding means 6, and the base 4 for taking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5 can be removed. After the slide is withdrawn forward, the cumbersome work of withdrawing the contents using a separate withdrawal container, etc. is opened by the pushing shutter 8 of the handle 11, and the contents are drawn onto the withdrawal container 12. Expected effects are unexpectedly great such that they can be dropped and withdrawn to maximize the benefits of the contents withdrawal.

Claims (1)

수개의 소형 수납장(2) 및 안치대(3)를 구비하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고 쌀 등과 같은 각종 내용물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저장용기(5)를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받침대(4) 상에 안치구성한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1)에 있어서;A storage container 5 including several small storage cabinets 2 and a rest table 3, which are made mainly of ocher, and which can store and store various contents such as rice on a pedestal 4 which can slide back and forth. In the kitchen versatile storage cabinet 1 configured; 상기 저장용기(5)가 안치되는 받침대(4)의 대응부에는 수개의 클램프(4b)와, 저장용기(5)를 받침대(4)와 결속할 수 있는 록커(7)를 갖는 결속수단(6)을 받침대 (4)를 구성하는 전면부재(4a) 후측에 고정설치하며,Binding means 6 having a plurality of clamps 4b and a locker 7 for engaging the storage container 5 with the support 4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upport 4 o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5 is placed. )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member (4a) constituting the pedestal (4), 상기 저장용기(5)가 안치되는 받침대(4)에는 상호 상하로 연통되는 인출공 (5a,4c)을 각각 형성하고,In the pedestal (4), the storage container (5) is placed, the drawing holes (5a, 4c) whic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p and down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인출공(4c) 하부에는 가이드레일(9)에 안내되며 스프링(10)에 탄력설치되어 전후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인출셔터공(8a)을 갖는 인출셔터(8)를 설치하며,The drawer 8 is guided to the guide rail 9 at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hole 4c and elastically installed at the spring 10 to have a drawing shutter 8 having a drawing shutter hole 8a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lide back and forth. 상기 인출셔터(8)의 하부에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인출용기(1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수납장.Multi-purpose cabinet for the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can be slide-out drawer 12 is installed below the take-out shutter (8).
KR2020010002945U 2001-02-07 2001-02-07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KR2002305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945U KR200230503Y1 (en) 2001-02-07 2001-02-07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945U KR200230503Y1 (en) 2001-02-07 2001-02-07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503Y1 true KR200230503Y1 (en) 2001-07-19

Family

ID=7309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945U KR200230503Y1 (en) 2001-02-07 2001-02-07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50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871B2 (en) Cutting board assembly having cutting board storage recess
US4082386A (en) Drawer for knives and other utensils and tools
US20070262683A1 (en) Jewelry storage cabinet
US20100007253A1 (en) Drawer storage system
US4724974A (en) Dispensing container for drinking straws and the like
KR20090004539A (en) Kitchen rack
CA2080262C (en) Multi-stage storage case for cassettes or cassette blocks
US20020029993A1 (en) Dual-function tea tray
KR200230503Y1 (en) Multi-purpose closet for the kitchen use
WO1993012693A1 (en) Container storage cabinet
US9801501B1 (en) Tray holder
KR200458331Y1 (en) Side dishes carrier
US4298139A (en) Cup dispenser
US20170071339A1 (en) Vertically-Oriented Organizing Container
US2555332A (en) Portable supply bin
US6722748B2 (en) Sewing accessories box
KR200344264Y1 (en) Multipurpose furniture with pottery rice-box possible of slide
KR200307210Y1 (en) Multipurpose furniture with pottery rice-box
KR200458821Y1 (en) Multypurpose spice chest
KR200399995Y1 (en) Laboratory cabinet
JP2005226967A (en) Refrigerator
KR100844212B1 (en) a single use cup holder
US20210401170A1 (en) Kitchen furniture item having a special closure element
KR200210917Y1 (en) The moving cart for supplying foods
CN103976581B (en) A kind of lo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