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079Y1 -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079Y1
KR200228079Y1 KR2020000035839U KR20000035839U KR200228079Y1 KR 200228079 Y1 KR200228079 Y1 KR 200228079Y1 KR 2020000035839 U KR2020000035839 U KR 2020000035839U KR 20000035839 U KR20000035839 U KR 20000035839U KR 200228079 Y1 KR200228079 Y1 KR 200228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amer
discharge amount
reduced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2020000035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07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등에 부착되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는 포말기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어 직경이 축소된 관로를 통과시 압력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박리현상 또는 와류등에 의해 토출수의 사용감을 떨어뜨리지않고 토출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수도꼭지 소정위치에 내설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에 있어서, 내부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 전후에서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수디스크를 포말기에 대해 소정간극을 유지하여 설치하되, 관통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켜 손실수두를 발생시키는 요홈이 절수디스크에 관통부를 확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주방용 등의 수도꼭지에 부착된 포말기에 의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게되며, 포말기에 대해 소정간극을 유지하는 절수디스크의 내부직경이 축소된 관통부를 통과하는 토출수의 사용감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절수디스크의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 전후에서의 수압 및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물의 낭비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discharge controler of having bubbler}
본 고안은 주방용 수도꼭지 등에 부착되는 포말기에 의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게되며, 포말기에 대해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관로의 단면적이 축소된 절수디스크를 통과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절수디스크를 구비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포말기에 소정간극을 유지하는 절수디스크의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를 토출수가 통과시 압력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박리현상 또는 와류(渦流)등에 의한 손실수두를 응용하여 사용감을 떨어뜨리지않으면서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를 통과하는 유량은 동일 사이즈를 갖는 수도관이라고 가정하는 경우에도 각 수도기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유량이 상이하게 되는 데, 이는 물탱크가 설치된 위치 또는 물탱크와 각 수도기기간의 거리차이등으로 인해 각 가정마다 수도관을 통해 이동하는 수압 및 토출양이 상이하며, 오래된 수도관인 경우 내부에 스케일등의 이물질이 발생되어 토출량이 상이하게 된다.
이로 인해, 특히 고층빌딩 또는 고층아파뜨인 경우 저층에서는 필요이상의 수압으로 인해 토출량 일부가 낭비되어 발생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꼭지등에 부착된 포말기에 의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게되며, 포말기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는 절수디스크의 내부직경이 축소된 관통부를 통과하는 토출수의 사용감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수디스크의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 전후에서의 수압 및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물의 낭비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수도꼭지
2; 캡
3; 걸름망
4; 포말기
5; 관통부
6; 절수디스크
7; 0링
8; 요옴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꼭지 소정위치에 내설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에 있어서, 내부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 전후에서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수디스크를 포말기에 대해 소정간극을 유지하여 설치하되, 관통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켜 손실수두를 발생시키는 요홈이 절수디스크에 관통부를 확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1) 소정위치에 내설되는 캡(2)과, 캡(2)의 토출구에 형성되어 스케일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해주는 걸름망(3)과, 캡(2)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토출되는 물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4)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에 적용되며, 이들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할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5) 전후에서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수디스크(6)를 포말기(4)에 대해 O링(7)을 통해 소정간극을 유지하여 설치하되, 관통부(5)를 통과하는 유체에 와류 또는 박리현상을 발생시켜 손실수두를 발생시키는 요홈(8)이 절수디스크(6)에 관통부(5)를 확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방식의 손잡이(9)가 부착되는 수도관 몸체(10)의 배출구측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토출구(11)에 전술한 포말기(4)가 내설되는 캡(2) 및 캡(2)에 대해 소정간극을 유지하는 절수디스크(6)가 설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손잡이(9)를 원터치 조작에 의해 수도관 몸체(10)의 개폐부를 개방시킴에 따라, 수도관 몸체(10)를 통과하는 유체는 절수디스크(6)의 관통부(5), 캡(2)일구측에 내설된 포말기(4)를 통과한 후, 캡(2)출구측에 내설된 걸름망(3)을 통하여 토출되는 것이다. 전술한 포말기(4)에 의해 수도꼭지(1)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전술한 수도관 몸체(10)를 통과하는 유체가 내부 직경이 축소된 절수디스크(6)의 관통부(5)를 통과할 때, 관통부(5)의 단면적 변화로 인해 관통부(5)를 통과한 유체에 발생되는 박리현상 또는 와류에 의해 손실수두가 발생한다. 이로인해 관통부(5)의 단면적이 축소되어 유체의 압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관통부(5)를 통과하는 유체의 사용감(사용자가 느끼는 수압 및 유량을 말함)을 떨어뜨리지않게 되므로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도꼭지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수도꼭지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주방용, 세면기용, 샤워기용, 일반수도용등으로서 변형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주방용 등의 수도꼭지에 부착된 포말기에 의해 토출수의 정류작용을 하게되며, 포말기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는 절수디스크의 내부직경이 축소된 관통부를 통과하는 토출수의 사용감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수디스크의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 전후에서의 수압 및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물의 낭비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수도꼭지의 토출수를 정류시키는 포말기와 절수용 디스크의 관련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기술내용 일부를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수도꼭지 소정위치에 내설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에 있어서:
    내부 직경이 축소된 관통부 전후에서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수디스크를 상기 포말기에 대해 소정간극을 유지하여 설치하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켜 손실수두를 발생시키는 요홈이 상기 절수디스크에 상기 관통부를 확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KR2020000035839U 2000-12-20 2000-12-20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KR200228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839U KR200228079Y1 (ko) 2000-12-20 2000-12-20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839U KR200228079Y1 (ko) 2000-12-20 2000-12-20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079Y1 true KR200228079Y1 (ko) 2001-06-15

Family

ID=7309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839U KR200228079Y1 (ko) 2000-12-20 2000-12-20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0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6B1 (ko) 2010-02-11 2012-04-09 대류산업 주식회사 정유량 절수기가 내장된 포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6B1 (ko) 2010-02-11 2012-04-09 대류산업 주식회사 정유량 절수기가 내장된 포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573A (en) Fluid flow stop valve
KR102179943B1 (ko)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HK1063754A1 (en) Water spout with removable laminar flow cartridge
CA2647104C (en) Spout including a stream straightener
US7090144B2 (en) Water fountain attachment for a faucet
AU2002342142B2 (en) Washing platform
US6449784B1 (en) Easy operating diverter tub spout
US2846691A (en) Spout-shower plumbing fixture
US7000266B2 (en) Lavatory with a removable washing platform
KR200228079Y1 (ko) 포말기가 부착된 토출량 조절기
MXPA02009050A (es) Dispositivo regulador del flujo de agua.
JP2001026954A (ja) 切り替え弁
JP4237025B2 (ja) 節水具及び節水装置
KR200444676Y1 (ko) 절수기
KR20210050770A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JP2588246Y2 (ja) 浄水器付水栓
EP1457608A3 (de) Brauseanordnung
KR200185082Y1 (ko) 거울의 김서림 제거장치
JP3001309U (ja) 定流量吐水管
KR20010077633A (ko) 다기능 수도꼭지
US20220112701A1 (en) Water output device
KR102264495B1 (ko) 미스트 분사를 위한 수전 부품
KR200409582Y1 (ko) 수도꼭지
JPS61237724A (ja) 水道用口具
US3465368A (en) Water diver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