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24Y1 -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24Y1
KR200227924Y1 KR2020000037391U KR20000037391U KR200227924Y1 KR 200227924 Y1 KR200227924 Y1 KR 200227924Y1 KR 2020000037391 U KR2020000037391 U KR 2020000037391U KR 20000037391 U KR20000037391 U KR 20000037391U KR 200227924 Y1 KR200227924 Y1 KR 200227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ood storage
buffer
holes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세일
Original Assignee
양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세일 filed Critical 양세일
Priority to KR2020000037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24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저장고의 본체 일측면에 설치되어서 도어의 닫힘 시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일단 닫힘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Door buffer device of food storage}
본 고안은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저장고의 본체 일측면에 설치되어서 도어의 닫힘 시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일단 닫힘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냉장이나 냉동 등에 이용되는 식품저장고는 고내온도와 외기온도간의 차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그 개방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장이나 냉동식품의 취출 또는 수납 후 도어를 신속하게 폐쇄하기 위하여 그것에 순간적으로 강한 힘으로 작용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어의 회전모멘트가 크게 증가하여 식품저장고 전체에 충격을 주게된다. 또한, 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으면 냉기가 누설되기 때문에 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는지 확인할 여러 가지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용상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도어 개폐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강구하지 못하였으며, 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는지 확인할 대책을 강구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닫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도어가 완전히 닫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수단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정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고의 완충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몸체 2,3 : 측벽
4,5 : 힌지공 6 : 나사홈
8 : 홀 9 : 나사공
10 : 걸림턱 11 : 나사홀
12 : 힌지축 20 : 제 1보조완충부재
20a : 제 2보조완충부재 20b : 제 3보조완충부재
30 : 스프링수단 40 : 제 1완충부재
40a : 제 2완충부재 40b : 제 3완충부재
50 : 회동수단 60 : 완충조절수단
70 : 회전방지부재 100 : 완충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식품저장고의 본체 후면 상부에 취부되어서, 상단면에 연장되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에는 힌지공이 천공되며, 상기 각각의 측벽 사이의 상단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몸체와; 도어의 일측면이 고정되도록 구비된 고정편에 상기 몸체의 측벽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나사 체결하여 이루어진 회동수단과; 상기 다수의 홀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회동수단에 결합된 회동부재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하는 완충수단과; 상기 몸체의 홀 하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완충수단의 완충력을 조절하는 완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식품저장고의 본체 후면 상부에 취부되어서 식품저장고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에 결합된 회동수단과 몸체의 홀에 삽입 안착된 완충수단의 상호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단계적으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도어의 급작스러운 개방 및 닫힘을 방지함으로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수단의 결합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식품저장고의 본체에 고정되는 직사각 형상의 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1)는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에서 연장되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2,3)을 가진다. 이들 각각의 측벽(2,3)에는 원형의 힌지공(4,5)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본체와 접하는 몸체(1)의 정면 특정부분에는 다수개의 나사홈(6)이 뚫려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는 나사홈(6)에 보울트 등을 끼워서 식품저장고의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측벽(2,3) 사이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홀(8)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홀(8)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나사공(9)이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즉, 상기 몸체(1)의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1)에 형성된 홀(8)의 하단부에는 걸림턱(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0)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나사홀(1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8)에는 도 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수단(100)은 제1,2,3보조완충부재(20)(20a)(20b)와 제1,2,3완충부재(40)(40a)(40b)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수단(30)을 개재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1,2,3보조완충부재(20,20a,20c)들은 상기 다수개의 홀(8)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10)에 안착되는 원형의 지지판(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21)의 상단면 중앙에는 스프링수단(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2,3완충부재(40,40a,40b)들은 상기 몸체(1)의 홀(8)에 삽입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좌우 이동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8)의 형상도 상기 제 1,2,3완충부재(40,40a,40b)들의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완충부재(40)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홀(8)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 상단부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42,43)을 가진다. 이들 각각의 측벽(42,43)에는 원형의 힌지공(44,4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측벽(42,43)사이에는 상기 힌지공(44,45)에 결합되는 힌지축(46)에 의해 로울러(47)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완충부재(40)의 몸체(41)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수단(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48)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완충부재(40a)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홀(8)에 삽입 고정되는 제 1완충부재(40)의 몸체(41) 보다 길이가 작은 몸체(41a)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a) 상단부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42,43)을 가진다. 이들 각각의 측벽(42,43)에는 원형의 힌지공(44,4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측벽(42,43) 사이에는 상기 힌지공(44,45)에 결합되는 힌지축(46)에 의해 로울러(47)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완충부재(40a)의 몸체(41a)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수단(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48)가 형성된다.
상기 제 3완충부재(40b)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홀(8)에 삽입 고정되는 제 2완충부재(40a)의 몸체(41a) 보다 길이가 작은 몸체(41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b) 상단부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42,43)을 가진다. 이들 각각의 측벽(42,43)에는 원형의 힌지공(44,4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측벽(42,43) 사이에는 상기 힌지공(44,45)에 결합되는 힌지축(46)에 의해 로울러(47)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3완충부재(40b)의 몸체(41b)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수단(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48)가 형성된다.
또한, 제 1완충부재(40)의 몸체(41) 일측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제 1가이드 홈(49)이 형성되고, 제 2완충부재(40a)의 몸체(41a) 일측면에는 제 1가이드 홈(49) 보다 길이가 작은 제 2가이드 홈(49a)이 형성되며, 제 3완충부재(40b)의 일측면에는 제 2가이드 홈(49a) 보다 길이가 작은 제 3가이드 홈(49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홀(8)을 관통하는 나사공(9)에 고정핀(200,200a,200b)들을 나사 체결하여 상기 제 1,2,3가이드 홈(49,49a,49b)들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200,200a,200b)들의 상단부에는 상기 나사공(9)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10)에 연장되어 상기 고정핀(200,200a,200b)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220)가 구비된다.
도 1(다)는 도어에 고정되는 회동수단(5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회동수단(50)은 'ㅜ'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편(5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51)의 상단부에는 도어에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구멍(51a)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51a)을 통과하여 보울트 등으로 도어의 일측면에 나사 체결된다. 또한, 고정편(51)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1)의 측벽(2,3)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53)의 일측면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52)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수단(50)의 결합단면도로서, 상기 회동부재(53)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힌지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공(54)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54)을 중심으로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편(51)을 나사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나사홈(5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공(54)을 중심으로 외주연에 제 1곡면(5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곡면(56)을 따라 연장되어 제 1곡면(56)보다 곡률이 큰 제 2곡면(57)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곡면(57)을 따라 연장되어 제 2곡면(57)보다 곡률이 큰 제 3곡면(58)이 형성된다. 또한, 제 3곡면(58)의 끝부분에 연장되어 경사면(59)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가)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홀(11)에 결합하여 상기 완충수단(100)의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완충조절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조절수단(60)의 상단부에는 상기 나사홀(11)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6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부(61)에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부(62)가 형성된다.
또한,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의 한쌍의 측벽(2,3) 중 어느 하나의 측벽(2,3)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홈(10)에 나사 체결하여 상기 회동수단(50)에 구비된 고정편(51)의 일측면이 접촉되어서 더 이상 상기 회동수단(50)이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70)는 정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구멍(71)이 형성되어 상기 보울트 등을 끼워서 상기 몸체(1)에 형성된 나사홈(13)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정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측면도이다.
도어(300)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 있어서 완충장치의 작동상태로 도 4a 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완충부재(40)에 구비된 로울러(47)는 회동부재(53)의 제 1곡면(56)에 접촉되고, 제 1고정핀(200)은 상기 제 1완충부재(4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가이드 홈(49)의 하단부 끝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2완충부재(40a)에 구비된 로울러(47)는 제 1곡면(56)에 접촉되지 않고, 제 2고정핀(200a)은 상기 제 2완충부재(40a)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가이드 홈(49a)의 하단부 끝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3완충부재(40b)에 구비된 로울러(47)는 제 1곡면(56)에 접촉되지 않고, 제 3고정핀(200b)은 상기 제 3완충부재(40b)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3가이드 홈(49b)의 하단부 끝에 위치하게 된다.
도어(300)를 닫기 시작하면, 회동부재(53)가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도어(300)가 반쯤 닫혔을 경우 완충장치의 작동상태는 도 4b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완충부재(40)에 구비된 로울러(47)는 회동부재(53)의 제 1곡면(56)을 따라 제 2곡면(57)으로 접촉 이동하면서 점차 제 3곡면(58)으로 접근한다. 그런데, 제 2곡면(57)은 제 1곡면(56) 보다 곡률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제 1완충부재(40)는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스프링수단(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저항력이 가해지므로, 그 힘이 로울러(47)를 통하여 고정편(51)에 전달되고, 그 결과 도어(300)에는 타측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가해진다. 즉, 스프링수단(30)의 탄성력이 도어의 일측방향 회전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스프링수단의 저항력은 도어가 닫힘에 따라 점차 증가하게 되며, 도어의 폐쇄 속도는 점차 감소한다. 제 1고정핀(200)은 상기 제 1완충부재(4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가이드 홈(49)을 따라 하단 끝에서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2완충부재(40a)에 구비된 로울러(47)는 제 2곡면(56)을 따라 제 3곡면(57)으로 점차 접근한다. 여기에서도 상기에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수단(30)의 탄성력이 도어의 일측방향 회전에 대한 저항력이 작용하여 도어의 폐쇄 속도를 더 감소하게 된다. 제 2고정핀(200a)은 상기 제 2완충부재(40a)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가이드 홈(49a)의 하단부 끝에서 중앙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3완충부재(40b)에 구비된 로울러(47)는 제 2곡면(56)에 접촉되고, 제 3고정핀(200b)은 상기 제 3완충부재(40b)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3가이드 홈(49b)의 하단부 끝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가 완전히 닫힐 경우, 완충장치의 작동상태는 도 4c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완충부재(40)에 구비된 로울러(47)는 회동부재(53)의 제 3곡면(56)을 따라 경사면(58)에 접촉된다. 그런데, 제 3곡면(56)에서 경사면(58)으로 접촉되고, 스프링수단(30)의 탄성력이 갑자기 완화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혔음을 확인시켜준다. 제 1고정핀(200)은 상기 제 1완충부재(4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가이드 홈(49)을 따라 중앙부에서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상단 끝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2완충부재(40a)에 구비된 로울러(47)는 회동부재(53)의 제 2곡면(56)을 따라 제 3곡면(57)에 접촉 이동하면서 경사면(58)에 접촉된다. 상기에 기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수단(30)의 탄성력이 갑자기 완화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혔음을 확인시켜준다. 제 2고정핀(200a)은 상기 제 2완충부재(40a)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가이드 홈(49a)의 하단부 끝에서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상단 끝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3완충부재(40b)에 구비된 로울러(47)는 제 3곡면(57)을 따라 경사면(8)에 접촉된다. 상기에 기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수단(30)의 탄성력이 갑자기 완화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혔음을 확인시켜준다. 제 3고정핀(200b)은 상기 제 3완충부재(40b)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3가이드 홈(49b)의 하단부 끝에서 상단부로 이동하면서 상단 끝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조절수단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완충조절수단(60)에 구비된 나사부(61)가 상기 몸체(1)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나사홀(11)에 결합되고 상기 완충조절수단(60)에 구비된 손잡이부(62)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상기 완충수단의 완충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완충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폐쇄시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어가 완전히 닫혔음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식품저장고의 본체의 후면 상부에 취부되어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완충역할을 해주는 도어완충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2,3)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2,3)에는 힌지공(4,5)이 천공되며, 상기 각각의 측벽(2,3) 사이의 상단면에는 다수의 홀(8)이 형성된 몸체(1)와,
    도어의 일측면이 고정되도록 구비된 고정편(51)에 상기 몸체(1)의 측벽(2,3)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53)를 나사 체결하여 이루어진 회동수단(50)과,
    상기 다수의 홀(8)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회동수단(50)에 결합된 회동부재(53)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하는 완충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식품저장고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에 결합된 상기 회동수단(50)과 상기 몸체(1)의 홀(8)에 삽입 안착된 완충수단의 상호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단계적으로 완충작용해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는 정면 일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홈(6)과, 상기 몸체(1)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홀(8)을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공(9)과, 상기 다수의 홀(8)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0)과, 상기 걸림턱(10)과, 상기 걸림턱(10)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몸체(1)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나사홀(11)과, 상기 몸체(1)의 한쌍의 측벽(2,3) 중 어느 하나의 측벽(2,3)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홈(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한쌍의 측벽(2,3) 중 어느 하나의 측벽(2,3)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홈(13)에 나사 체결하여 상기 회동수단(50)에 구비된 고정편(51)의 일측면이 접촉되어서 더 이상 상기 회동수단(5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정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구멍(71)이 형성된 회전방지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하단면을 관통하는 나사홀(11)에 결합되어 상기 완충수단(100)의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는 상기 나사홀(11)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6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부(61)에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62)로 이루어진 완충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50)은 'ㅜ'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편(5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51)의 상단부에는 도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51a)과, 상기 고정편(51)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1)의 측벽(2,3)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53)의 일측면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53)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힌지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공(54)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54)을 중심으로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홈(55)과, 상기 힌지공(54)을 중심으로 외주연에 형성된 제 1곡면(56)과, 상기 제 1곡면(56)을 따라 연장되어 제 1곡면(56)보다 곡률이 크게 형성된 제 2곡면(57)과, 상기 제 2곡면(57)을 따라 연장되어 제 2곡면(57)보다 곡률이 크게 형성된 제 3곡면(58)과, 상기 제 3곡면(58)의 끝부분에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면(5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00)은 다수개의 보조완충부재와 다수개의 완충부재 사이에 스프링수단(30)을 개재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완충부재는 원형의 지지판(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21)의 상단면 중앙에는 스프링수단(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각각의 길이가 다른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한쌍의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원형의 힌지공이 천공되며, 상기 측벽 사이에는 상기 힌지공에 결합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몸체 일측면에는 각각 길이가 다른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몸체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수단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KR2020000037391U 2000-12-29 2000-12-29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KR200227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91U KR200227924Y1 (ko) 2000-12-29 2000-12-29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91U KR200227924Y1 (ko) 2000-12-29 2000-12-29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24Y1 true KR200227924Y1 (ko) 2001-06-15

Family

ID=7306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391U KR200227924Y1 (ko) 2000-12-29 2000-12-29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233672T3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construction
US20050132535A1 (en) Home-b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786966B1 (ko) 냉장고
KR100735100B1 (ko) 냉장고
US20050188506A1 (en) Door hin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11319740B2 (en) Multi-link hinge device
KR101266871B1 (ko) 냉장고
KR200227924Y1 (ko) 식품저장고의 도어완충장치
KR101145725B1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KR200194674Y1 (ko) 여닫이 문용 경첩
JP4264838B2 (ja) 冷蔵庫
KR100457981B1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KR100507534B1 (ko) 자동차용 도어첵커의 작동억압장치
KR100366505B1 (ko)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KR920009031Y1 (ko) 냉동고의 도어완충장치
KR102356366B1 (ko) 도어 회동바 내의 스프링 캠 댐핑장치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100603732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KR200266489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0453011B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JP2009097323A (ja) スライド式開閉体の挟み込み防止装置
JP7037808B2 (ja) 扉用ヒンジ装置
KR101012383B1 (ko) 도어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