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757Y1 -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757Y1
KR200226757Y1 KR2020000033279U KR20000033279U KR200226757Y1 KR 200226757 Y1 KR200226757 Y1 KR 200226757Y1 KR 2020000033279 U KR2020000033279 U KR 2020000033279U KR 20000033279 U KR20000033279 U KR 20000033279U KR 200226757 Y1 KR200226757 Y1 KR 200226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tobacco
temperature
humidity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뉴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to KR2020000033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757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배 살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제1 온습도 검출기;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포함된 해충을 살해하는 전자파를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발사하는 전자파 발생기; 상기 전자파 발생기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제2 온습도 검출기; 상기 제1 및 제2 온습도 검출기들 및 상기 전자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가 담배 제조 공정에 투입되면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 하여금 상기 전자파를 발사하게 하며, 상기 전자파 발생기를 소정 온습도 이내로 유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습도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 처리 단계와 담배 제조 과정 중에 담배에 포함된 해충을 완전히 죽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Device for eliminating cigarette beetle by using microwave}
본 고안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제거하는 담배 살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 사회에서 기호식품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식품들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호식품의 제조 공정이 보다 정밀하게, 빠르게, 위생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호식품은 사람들에 의해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그 품질과 위생의 정도 등은 날로 까다로워지고 엄격하게 처리 및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호식품 중에서도 담배는 인간의 역사에 비추어 볼 때에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사람들에 의해 애용되어왔다. 담배가 이용되던 초기에 사람들은 담배 잎들을 직접 이용하였으며, 국가에서 일괄 구입하여 국가가 운영하는 사업으로 운영해왔다. 초기의 사업은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품질이나 정밀도 및 제조 공정에서 또는 제품에서 위생 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제품의 질과 위생상태, 작업 상황의 청결도 등이 제품의 성공 비결로 제시될 만큼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담배는 그 원료가 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배의 모든 원료는 농가에서 직접 재배하여 제품화가 이루어진다. 담배를 제품으로 만들어 내는 데에는 상당히 많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담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을 통과해야 하므로 원재료 및 반재료를 가공하여 제품이 만들어지는 동안 원재료 및 반재료로부터 가공 과정에서 권련벌레, 다색 알락명나방, 옷나방, 검쌀 명나방, 가루응애, 쌀 바구미, 톱가슴 허리대장, 쌀도둑 등 원재료 및 반재료에 서식, 기생하거나 가공의 공정과정에서, 이러한 해충들의 활동, 번식시기, 계절의 영향으로 원재료 및 반재료부터 제품이 되었을 때에 크고 작은 많은 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대체적으로, 물질적인 피해를 일으키게 되어 원재료 및 반재료의 질을 떨어뜨리게 되며, 제품의 질적인 면도 함께 하락하게되며, 위생적인 면에서도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등 피해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피해들을 줄이기 위해 종전에 취하고 있는 방법으로는 화학약품, 예컨대 포스톡신을 이용한 훈증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담배 제조 작업자가 원재료 및 반재료 및 가공 단계나 저장 창고 등에 직접 투입이 되어 성충 및 유충 알 등을 직접 잡아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도 해충에 대한 방제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다소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조 완료된 제품에서 해충의 유충이 살아서 발견되는 문제 등이 이러한 예이다. 원재료 및 반재료에서 살충이 되었다 하더라도 작업과정에서 나방이나 벌레가 산란으로 알을 낳을 수도 있는 상황 등이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알들이 온도와 습도가 적절히 유지되는 상황에서 부화되어 애벌레가 되는 사례가 발생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 처리 단계와 담배 제조 과정 중에 담배에 포함된 해충을 완전히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를 이용한 담배 살충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제1 온습도 검출기;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포함된 해충을 살해하는 전자파를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발사하는 전자파 발생기; 상기 전자파 발생기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제2 온습도 검출기; 상기 제1 및 제2 온습도 검출기들 및 상기 전자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가 담배 제조 공정에 투입되면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 하여금 상기 전자파를 발사하게 하며, 상기 전자파 발생기를 소정 온습도 이내로 유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습도와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담배 살충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담배 살충 장치는 상기 전자파 발생기 및 제2 온습도 검출기를 내장하며,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키는 봉합체; 상기 봉합체에 부착되며 상기 봉합체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때 상기 봉합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봉합체의 외부로 유출되는 전자파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전자파 검출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파가 상기 봉합체의 외부로 유출될 때 상기 전자파 발생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담배 살충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파에 의해 살충된 담배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3 온습도 검출기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전자파는 2450[㎒]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이며, 상기 전자파 발생기는 마그네트론을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로파를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의 발생 강도 및 전자파 발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는 30℃미만이고, 습도는 13%±0.5∼1%이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냉각기는 공랭식, 수냉식 및 펠티어 소자 중 한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봉합체를 냉각시킨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여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 처리 단계와 담배 제조 과정 중에 담배에 포함된 해충은 완전히 제거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를 이용한 담배 살충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담배 살충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온습도 검출기들(111∼113), 전자파 발생기(121), 제어기(101), 전자파 검출기(151), 디스플레이(161) 및 봉합체(131)를 구비한다.
제1 온습도 검출기(111)는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제어기(101)에 전달한다. 제1 온습도 검출기(111)는 담배 제조 공정에 따라 이동하는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센서가 제1 온습도 검출기(111)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온습도 검출기(111)에 의해 측정된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는 디스플레이(161)에 표시된다. 제어기(101)는 제1 온습도 검출기(111)에 의해 검출된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와 제2 온습도 검출기를 비교하여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습도가 소정 범위, 예컨대, 온도가 30℃이하이고 습도가 13%±0.5∼1%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자파 발생기(121)로 하여금 전자파를 발생하여 전자파의 발생 강도를 조절하여 동작시킨다. 전자파 발생기(121)를 통과하기 전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습도는 표준 보다 다소 높은 14∼15 %정도로 유지된다. 담배의 원재료는 담배잎을 나타내고, 담배의 반재료는 담배잎이 조금이라도 가공된 상태를 나타낸다.
전자파 발생기(121)는 전자파를 발생하여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발사한다. 상기 전자파에 의해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포함된 해충은 죽게된다. 담배는 주원료가 농가에서 재배되는 담배잎이므로 자연히 식물에 서식하는 벌레, 애벌레 및 알 등이 담배잎에 서식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사람에게 유해한 벌레, 애벌레나 및 알 등은 담배 잎을 수확하여 말리고 찌는 등의 원료 가공 단계에서부터 대부분 제거되어 지지만 그 중에 일부는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남아있다. 이렇게 남아있는 해충을 상기 전자파가 완전히 제거한다. 전자파는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있는 물분자를 진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마찰열이 발생한다. 전자파는 순간적으로 마찰을 시키므로,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 및 원재료 및 반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해충의 수분까지도 마찰을 시켜서 해충을 죽인다.
전자파 발생기(121)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포함된 해충을 죽인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2450[㎒]의 주파수와 700[W]급의 큰 전력을 갖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한다.
전자파 발생기(121)의 마그네트론은 담배 가공 및 제조시의 특수성으로 장시간 가동이 되어져야하는 특수성이 있으므로 마그네트론을 4개 혹은 6개를 하나의 전자파 발생기로 구성하여 시간대별, 장치의 노후로 인한 고장 시 자동으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전자파 발생기(1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이 발생하고, 전자파가 봉합체(131)의 내벽에 부딪히게 될 경우에 발생하는 반사손실열로 인하여 전자파 발생기(121) 및 봉합체(131)에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랭식이나 수냉식 또는 펠티어 소자를 사용한 냉각기(141)가 구비된다.
제2 온습도 검출기(112)는 전자파 발생기(121)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제어기(101)에 전달한다. 만일 제2 온습도 검출기(112)에 의해 측정된 전자파 발생기(121)의 온도 및 습도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기(101)는 전자파 발생기(121)의 온도 및 습도를 상기 소정 범위로 만들어준다. 제어기(101)는 제2 온습도 검출기(112)에서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전자파 발생기(121)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발생 강도 및 전자파 발생 시간을 조절한다.
봉합체(131)는 전자파 발생기(121) 및 제2 온습도 검출기(112)를 내장하고, 전자파 발생기(1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만 발사되고, 봉합체(131)의 외부로는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킨다. 봉합체(131)는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봉합체(131)의 외부 또는 내부에 냉각기가 부착된다. 전자파 발생기(1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봉합체(131)의 내벽에 부딪칠 때 봉합체(131)에는 열이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봉합체(13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봉합체(131)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전자파 발생기(121)의 온도도 올라가며, 전자파 발생기(121)의 온도가 올라가면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 및 반재료의 품질 저하와 향이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봉합체(131)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때 냉각기는 봉합체(131)를 냉각시켜서 봉합체(131)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냉각기는 제어기(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기(101)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냉각기는 수냉식, 공랭식, 펠티어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파 검출기(151)는 봉합체(131)의 외부로 유출되는 전자파를 검출하여 제어기(101)에 전달한다. 전자파는 사람에게 해롭기 때문에 봉합체(131) 외부로 유출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검출되면 제어기(101)는 전자파 발생기(12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Display)(161)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봉합체(131)를 점검하여 전자파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틈을 찾아서 그 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다시 전자파 발생기(121)를 동작시킨다. 물론 전자파 발생기(121)의 동작이 멈추어지면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이동도 멈추어진다. 제어기(101)는 전자파 검출기(151)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를 통하여 유출된 전자파의 강도와 방향을 검색해낼 수 있다.
제3 온습도 검출기(113)는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가 전자파 발생기(121)를 통과하고난 후의 온도 및 습도의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초기의 온도 및 습도와 살충 처리 후의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기(101)는 제1 내지 제3 온습도 검출기(111,112,113)들, 전자파 발생기(121), 전자파 검출기(151) 및 디스플레이(1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101)는 전자파 발생기(12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의 발생 강도 및 전자파 발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포함된 해충들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제어기(101)는 제1 내지 제3 온습도 검출기들(111∼113)에서 검출한 데이터를 다음 공정의 기기 및 장치에 보낸다.
디스플레이(161)는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와 습도 및 제어기(10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61)에 나타나는 내용을 보고 담배 살충 장치(100)의 동작을 점검한다. 디스플레이(161)는 모니터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161)(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담배 살충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같이 하여,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 및 가공중의 담배 재료의 품질을 고도로 유지하며, 담배 벌레의 성충, 유충, 알들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전자파를 이용한 담배 살충 장치(100)는 종전의 화학약품, 예컨대 포스톡신을 사용하지 않고 담배벌레를 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체의 미세한 위험까지도 막을 수 있으며,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위해 매회 원재료 및 반재료 및 재료가 투입될 때마다 매번 구비되어져야하는 약품을 구입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훈증을 위한 시간적인 그리고, 작업자의 별도의 부수적인 작업 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작업자들의 지정된 시간동안의 출입을 통제하여 가스사고를 예방하여야 하며, 직접 사람들이 투입되어 해충을 찾아 방제하는 업무에도 한계가 있게 된다. 한편, 전자파를 이용한 담배 살충 장치(101)는 이러한 장치의 설치 후에 추가적인 조작이나 작업이 없이 제조 공정의 하나로 구성이 되며, 모든 운영 상태를 작업자의 간단한 제어로 자동 제어가 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담배 살충 장치(100)를 적용함으로써 제품화된 담배에서 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살충을 하던 공정을 줄이고 그에 따른 경비를 감소시키며, 화학약품을 사용한 인체의 유해정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연간 해충으로 인한 제품의 피해 및 손실액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가 있다.

Claims (9)

  1.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제1 온습도 검출기;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해충을 죽이는 전자파를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에 발사하는 전자파 발생기;
    상기 전자파 발생기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제2 온습도 검출기;
    상기 제1 및 제2 온습도 검출기들 및 상기 전자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가 담배 제조 공정에 투입되면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 하여금 상기 전자파를 발사하게 하며, 상기 전자파 발생기를 소정 온습도 이내로 유지시키는 제어기; 및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습도와 상기 제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살충 장치는
    상기 전자파 발생기 및 제2 온습도 검출기를 내장하며,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폐시키는 봉합체;
    상기 봉합체에 부착되며 상기 봉합체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때 상기 봉합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봉합체의 외부로 유출되는 전자파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전자파 검출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자파가 상기 봉합체의 외부로 유출될 때 상기 전자파 발생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담배 살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살충 장치는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파에 의해 살충된 담배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제3 온습도 검출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는 마이크로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24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발생기는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자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의 발생 강도 및 전자파 발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의 원재료 및 반재료의 온도는 30℃미만이고, 습도는 13%±0.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공랭식, 수냉식 및 펠티어 소자 중 한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봉합체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살충 장치.
KR2020000033279U 2000-11-28 2000-11-28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KR200226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279U KR200226757Y1 (ko) 2000-11-28 2000-11-28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279U KR200226757Y1 (ko) 2000-11-28 2000-11-28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757Y1 true KR200226757Y1 (ko) 2001-06-15

Family

ID=7308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279U KR200226757Y1 (ko) 2000-11-28 2000-11-28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7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45B1 (ko) 2005-12-05 2007-07-27 주식회사 제우프랜트 버섯의 배지 연속식 마이크로파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45B1 (ko) 2005-12-05 2007-07-27 주식회사 제우프랜트 버섯의 배지 연속식 마이크로파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Process protocols based on radio frequency energy to control field and storage pests in in-shell walnuts
Ikediala et al. Development of a saline water immersion technique with RF energy as a postharvest treatment against codling moth in cherries
Shayesteh et al. Mortality and behaviour of two stored-product insect species during microwave irradiation
US5349778A (en) Vortex tube for exterminating organisms
JP2006522616A (ja) 電磁エネルギーの吸収差による消毒法、腫瘍成長の破壊法、および、滅菌法
WO1995008131A1 (en) A frequency emitter for control of insects, bacteria, virus and other biological organisms
US6192622B1 (en) Mobile device to eradicate red palm weevils and trees stem borers
US20060024195A1 (en) Non-thermal disinfestation of biological pests with pulsed radio frequency power systems
KR200226757Y1 (ko) 전자파를 이용하여 담배의 해충을 죽이는 담배 살충 장치
EP3345455A1 (e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heating
Follett et al. Phytosanitary irradiation: Doe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r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creating a low oxygen environment threaten treatment efficacy?
GB2292084A (en) Microwave pest exterminator
JP2007111005A (ja) 害虫防除方法及び害虫防除システム
Phillips et al. Fumigation of bed bugs (Hemiptera: Cimicidae): effective application rates for sulfuryl fluoride
US20180116199A1 (en) Mosquito kill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844311A (zh) 一种木质包装产品除害系统
Bell Pest management
KR20160076959A (ko) 곤충 제어 방법
KR200325320Y1 (ko) 초음파 모기 살상기
US2359266A (en) Dichloromalononitrile as an insecticide
JPH0679533B2 (ja) 薫蒸装置
US20240049765A1 (en)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tobacco material to detect insect infestation
TAVUKÇU et al. MICROWAVE RADIATION TREATMENT FOR CONTROLLING COWPEA WEEVIL (CALLOSOBRUCHUS MACULATUS (FABRICIUS)) ON STORED CHICKPEA
US2821483A (en) Processes for the disinfestation of vegetable products by means of toxic gases
Kumar et al. Management of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Fabricius) in turmeric (Curcuma longa Linnaeus) by using of Microwave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