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708Y1 - 접식 의자 - Google Patents

접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708Y1
KR200226708Y1 KR2020010001509U KR20010001509U KR200226708Y1 KR 200226708 Y1 KR200226708 Y1 KR 200226708Y1 KR 2020010001509 U KR2020010001509 U KR 2020010001509U KR 20010001509 U KR20010001509 U KR 20010001509U KR 200226708 Y1 KR200226708 Y1 KR 200226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plate
back plate
sea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호
Original Assignee
양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호 filed Critical 양창호
Priority to KR2020010001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708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가 앉는 좌판(10),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20) 및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판(20)을 지탱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10)은 힌지축(40)에 의해 상기 등판(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좌판(10)이 상기 등판(20) 쪽으로 접혀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기구(50)를 구비하며, 상기 좌판(10)에서 사용자의 하중이 없어질 때 상기 탄성기구(50)에 의해 상기 좌판(10)이 상기 등판(20)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서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판(20)의 내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식 의자(1)가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기구(50)는, 상기 좌판(10)의 전후를 따라 길게 신장된 가이드(51), 상기 가이드(5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편(52), 상기 가이드(51)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편(52)을 상기 힌지축(40)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3), 및 일단이 상기 이동편(5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30)에 힌지 결합된 회동로드(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식 의자{Foldable Chair}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접식 의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좌판이 등판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게 되는 좌판과 등판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좌판과 등판의 내면이 이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상생활의 필수용품에 하나인 의자는, 사용목적, 사용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 및 디자인으로 개발 및 제조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자들 중에는 버스정류장, 지하철역사, 기차정거장, 공원, 경기장,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성이 있는 의자들(이하, '공공의자'라 한다)이 있다.
이런 공공의자들은, 통상적으로 고강도 플라스틱과 같은 견고한 소재로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실내보다는 실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실내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통행이 빈번하기 때문에) 매연이나 먼지 등의 이물에 쉽게 오염될 뿐만 아니라 인력과 비용의 문제로 인하여 그 청소관리도 그리 용이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공공의자의 특성에 따라 공공의자는 앉기 어려울 정도로 더렵혀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오염된 것을 모르고 앉은 사용자의 옷을 더럽혀 기분을 상하게 하기도 하고, 앉기 전에 먼저 이물을 닦아 내고 앉아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하며, 심지어는 그 사용 외면되어 유명무실한 공공시설물이 되어버리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실정이다.
공공의자를 언제나 청결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성숙된 시민의식과 철저한 사용관리가 요구되는 것이지만, 오염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공공의자 자체를 기능적으로 개선하여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정류장, 지하철역사, 기차정거장, 공원, 경기장,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의자들에 있어서,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에 의해 의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항상 쾌적한 상태로 의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도를 높이고 관리자에 입장에서는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사용중인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식 의자의 사시도,
도2는 비사용중인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식 의자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접식 의자에 적용된 예시적인 탄성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4는 도3 탄성기구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의자 10: 좌판
11: 오목홈 20: 등판
21: 돌기 22: 커버
23: 측판 30: 지지부
31: 내측다리 32: 외측다리
40: 힌지축 50: 탄성기구
51: 가이드 52: 이동편
53: 스프링 54: 회동로드
55, 56: 힌지핀 60: 광고부
본 고안에 따라, 좌판, 등판 및 지지부를 구비한 의자로서, 상기 좌판이 상기 등판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지는 접식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라, 사용자가 앉는 좌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 및 상기 좌판과 상기 등판을 지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힌지축에 의해 상기 등판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좌판이 상기 등판 쪽으로 접혀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좌판에서 사용자의 하중이 없어질 때 상기 탄성기구에 의해 상기 좌판이 상기 등판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서 상기 좌판과 상기 등판의 내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접식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기구로서는, 상기 좌판이 상기 등판 쪽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좌판의 전후를 따라 길게 신장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편, 상기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편을 상기 힌지축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이동편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된 회동로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판 및/또는 상기 등판에는 각종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광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식 의자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접식 의자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사용중인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식 의자의 사시도, 도2는 비사용중인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식 의자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접식 의자에 적용된 예시적인 탄성기구의 개략 사시도, 도4는 도3 탄성기구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식 의자(1)는,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공공의자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걸쳐 앉아 그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 좌판(10),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20), 및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판(20) 및 사용자의 하중을 지면에 대해 지탱하는 지지부(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의 접식 의자(1)는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좌판(10)이 등판(20) 쪽으로 접혀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게 되는 좌판(10)과 등판(20)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로써 좌판(10)과 등판(20)의 내면이 각종 이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접식 의자(1)는 좌판(10)이 힌지축(40)에 의해 등판(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종래의 공공의자는 고강도 플라스틱 등으로 좌판과 등판을 일체로 성형한 것이 주를 이루지만, 본 고안의 의자(1)는 좌판(10)과 등판(20)을 별도의 부재로 성형함과 아울러 좌판(10)을 등판(20)에 대해 회동하도록 조립하여 그 전체를 지지부(30)로 지탱시키고 있다.
지지부(30)는 지면에 대해 좌판(10)과 등판(20)을 지지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부재로서, 다수의 다리(31, 3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시된 구체예는 좌판(10)의 내측단을 등판(20)의 하단에 힌지축(40)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편, 등판(20)을 내측다리(31)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좌판(10)을 내측다리(31)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다리(32)에 올려서 상기 힌지축(40)과 협동으로 지지시킨 것이다.
또한,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지지부(30)를 내측다리(31)와 외측다리(32)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좌판(10)과 등판(20) 및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후술하는 탄성기구(50)의 회동로드(54)의 하단을 적절히 힌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지지부(30)의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여러 변형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판(10)을 등판(20)에 대해 회동되게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좌판(10)을 접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좌판(10)과 등판(20)의 내면이 이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한 후 자리를 떠날 때 반드시 좌판(10)을 등판(20) 쪽으로 접어놓고 떠나야 하는 전제 조건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사용자들이 좌판(10)을 접어놓지 않고 자리를 떠날 것이므로, 좌판(10)의 회동 구조만으로 본 고안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다.
이런 이유로 본 고안에 따른 의자(1)는 사용자가 의자에서 떠나면 자동적으로 좌판(10)이 등판(20) 쪽으로 접히게 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구조가 상기 탄성기구(50)이다.
탄성기구(50)로서는, 좌판(10)을 등판(20) 쪽으로 접어주는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좌판(10)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중이 없어지면 자동으로 좌판(10)이 등판(20) 쪽으로 접히도록 하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3과 도4에 도시된 탄성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된 탄성기구(50)는, 가이드(51), 이동편(52), 스프링(53) 및 회동로드(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의자 당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가이드(5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고 좌판(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하여 견고하게 조립된다. 가이드(51)에는 상기 이동편(52)이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후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예를 들어 걸림돌기(51A)와 같은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51)에는 이동편(5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동편(52)은 가이드(51)의 전단이나 후단을 통해서 삽입 장착되고 가이드(51)를 따라 자유로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지만 가이드(51)의 전단이나 후단을 통해서가 아니면 상기 걸림돌기(51A)의 존재로 인하여 가이드(5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51)에는 이동편(52)을 힌지축(40)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3)이 설치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스프링(53)이 가이드(51) 내에 이동편(52)의 우측에 장착되어서 이동편(52)을 좌측(힌지축 쪽)으로 가압하고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프링(53)은 좌판(10)의 하중을 극복하고 이를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진다. 또한 스프링(53)은 그 위치를 바로 잡아주고 가이드(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위해 가이드(51)의 전후단에 걸쳐 평행하게 설치된 안내봉(53A)에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편(52)과 상기 지지부(30) 사이에는 회동로드(54)가 연결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회동로드(54)의 하단은 지지부(30)의 내측다리(31)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로드(54)의 양단이 각각 이동편(52)과 지지부(30)에 힌지핀(55, 5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판(10)이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회동로드(54)도 그 하단(지지부 쪽 단부)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동하게 되고 회동로드(54)가 그 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면 좌판(10)도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탄성기구(50)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아 있다가 좌판(10)에서 일어나서 좌판(10)에 가해지고 있던 사용자의 하중이 없어지게 되면, 스프링(53)의 탄성력으로 이동편(52)이 가이드(51)를 따라 힌지축(40)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동로드(54)의 상단을 힌지축(40) 쪽(좌측)으로 이동시킨다. 회동로드(54)는 그 하단이 지지부(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로드(54) 상단의 좌측이동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한 회동로드(54)의 회동을 유발시키며, 결국 좌판(10)이 그 힌지축(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등판(20) 쪽으로 접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의자(1)는 사용자가 좌판(10)에서 일어나는 순간 탄성기구(50)의 작용으로 좌판(10)이 등판(20)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는 부분인 좌판(10)의 내면과 등판(20)의 내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의자인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의 의자(1)는 사용되고 있지 않는 동안 좌판(10)과 등판(20)의 내면이 이물로 오염되지 아니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의 의자(1)에 앉고자 할 때에는 접혀진 좌판(10)의 상단을 손으로 가볍게 눌러 내린 후에 앉으면 된다. 좌판(10)이 펼쳐질 때에는 좌판(10)이 접혀질 때와는 반대로, 좌판(10)의 시계방향회동, 좌판(10)의 시계방향회동에 따른 회동로드(54)의 시계방향회동, 스프링(53)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방향(우측)으로의 가이드(51)를 따른 이동편(52)의 이동, 및 스프링(53)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의 저장이 동시적으로 일어나고, 스프링(53)의 저장된 탄성력은 이후 사용자가 의자(1)에서 일어날 때 좌판(10)을 접는 힘으로 사용된다.
회동로드(54)의 길이(양단부 사이의 직선거리)는 회동로드(54)의 하단과 힌지축(40) 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길기 때문에 좌판(10)이 등판(20)에 접하게 되는 위치까지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구체예에와 같이 회동로드(54)를 직선형이 아닌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 또는 절곡형으로 형성하면, 회동로드(54)의 상단과 이동편(52)의 연결점(힌지핀 55)의 위치가 회동로드(54)의 하단과 지지부(30)의 연결점(힌지핀 56)을 넘어선 위치까지 회동될 수 있음으로, 등판의 각도가 90°를 넘는 둔각인 경우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좌판(10)과 등판(20)의 형상은 좌판(10)을 등판(20)에 대해 접었을 이들의 내면으로 이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가능한 한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이유로 좌판(10)과 등판(20)의 윤곽은 착석감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적어도 그 둘레가 서로 꼭 맞춤되는 윤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구체예는, 좌판(10)의 둘레를 따라서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등판(20)의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오목홈(11)에 꼭 맞게 삽입되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등판(20)의 상단에는 접힌 좌판(10)의 상단을 덮어주는 커버(22)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오목홈(11), 돌기(21) 및 커버(22)에 의하여 좌판(10)과 등판(20)은 접혀진 상태에서 그 둘레에 틈새가 거의 없게 되고, 따라서 좌판(10)과 등판(20)의 내면이 이물로 오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게 된다.
상기 등판(20) 및/또는 상기 좌판(10)에는 각종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광고부(60)를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의자(1)를 광고매체의 하나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고부(60)는 광고내용이 인쇄된 광고시트(61)를 교체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의자(1)는 이를 사용하고자 할 때 손으로 좌판(10)을 내려야 함으로 광고에 대한 집중력이 높음으로 탁월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1인용 의자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2인용이나 3인용 및 그 이상의 다인용 의자에 대해서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탄성기구(50)의 설치 개수는 좌판(10)의 하중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사용된다.
또한, 첨부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좌판(10)과 등판(20)의 형상을 매우 단순화하여 도시하였지만, 실제에 있어서 좌판(10)과 등판(20)은 앉기에 편한 인체공학적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것임은 당연하다.
또한, 도시된 것 이외에 적용할 수 있는 탄성기구의 예로서는, 좌판(10)이 등판(20) 쪽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힌지축(40)에 코일스프링을 장착한 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되지 않은 도1의 도면부호 12는 외측다리(32)의 상단이 안착되도록 좌판(10)의 저면에 형성한 다리안착부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23은 등판(20)의 예로서 S자형 등판을 채용함에 따라 좌판(10)을 접었을 때 생기는 좌판(10)과 등판(20)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측판을 나타낸다. 측판(23)은 등판(2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측판(23)도 좌판(10)의 오목홈(1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접식 의자(1)에 따르면, 사용자가 좌판(10)에서 일어나는 순간 상기 탄성기구(50)의 작용으로 좌판(10)이 등판(20)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는 부분인 좌판(10)의 내면과 등판(20)의 내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됨으로, 본 고안의 의자(1)를 버스정류장, 지하철역사, 기차정거장, 공원, 경기장,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할 경우, 먼지와 같은 이물에 의해 의자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항상 쾌적한 상태로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관리자에 입장에서는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가 앉는 좌판(10),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20) 및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판(20)을 지탱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은 힌지축(40)에 의해 상기 등판(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좌판(10)이 상기 등판(20) 쪽으로 접혀지는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기구(50)를 구비하며,
    상기 좌판(10)에서 사용자의 하중이 없어질 때 상기 탄성기구(50)에 의해 상기 좌판(10)이 상기 등판(20) 쪽으로 자동으로 접혀서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판(20)의 내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기구(50)는, 상기 좌판(10)의 전후를 따라 길게 신장된 가이드(51), 상기 가이드(5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편(52), 상기 가이드(51)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편(52)을 상기 힌지축(40)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3), 및 일단이 상기 이동편(5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30)에 힌지 결합된 회동로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식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로드(54)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 또는 절곡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식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의 둘레에는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판(20)의 둘레에는 상기 오목홈(11)에 삽입되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판(20)의 상단에는 상기 좌판(10)의 상단을 덮어주는 커버(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식 의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0)과 상기 등판(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고부(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식 의자.
KR2020010001509U 2001-01-19 2001-01-19 접식 의자 KR200226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09U KR200226708Y1 (ko) 2001-01-19 2001-01-19 접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09U KR200226708Y1 (ko) 2001-01-19 2001-01-19 접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708Y1 true KR200226708Y1 (ko) 2001-06-15

Family

ID=7309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09U KR200226708Y1 (ko) 2001-01-19 2001-01-19 접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7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064A (ko) * 2000-04-19 2001-11-08 최성훈 광고판이 부착된 방수(防水)의자
KR20030001151A (ko) * 2001-06-28 2003-01-06 김선민 접는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064A (ko) * 2000-04-19 2001-11-08 최성훈 광고판이 부착된 방수(防水)의자
KR20030001151A (ko) * 2001-06-28 2003-01-06 김선민 접는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498B1 (ko) 틸팅 의자
KR101131765B1 (ko) 틸팅 의자
KR200226708Y1 (ko) 접식 의자
JP2004230068A (ja) 収納式椅子
KR102301233B1 (ko) 소파용 팔걸이 회전 장치
US6158060A (en) Toilet seat cover assembly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US7520569B2 (en) Chair with a combination back support and cover plate
JP3026232U (ja) 板ばねロッキング機構を使用した椅子
KR20140068501A (ko) 접철식 좌식의자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KR200435508Y1 (ko) 등받이가 개폐되는 벤치의 구조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101062216B1 (ko) 의자
KR200148238Y1 (ko) 의자용 암 레스트의 절첩장치
CN215604420U (zh) 一种功能沙发
JPH0731721Y2 (ja) 椅子の回転収納式座体取付構造
KR102240449B1 (ko) 접이식 의자
CN217137276U (zh) 一种具有一椅两用功能的休闲椅
CN212325941U (zh) 折叠沙发
KR100532212B1 (ko) 절첩 시트
KR200165621Y1 (ko) 연결식 의자
JP3172153U (ja) 座部を表裏反転可能にした椅子
CN212972351U (zh) 一款三档调节午休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