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11Y1 -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 Google Patents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11Y1
KR200226611Y1 KR2020000035444U KR20000035444U KR200226611Y1 KR 200226611 Y1 KR200226611 Y1 KR 200226611Y1 KR 2020000035444 U KR2020000035444 U KR 2020000035444U KR 20000035444 U KR20000035444 U KR 20000035444U KR 200226611 Y1 KR200226611 Y1 KR 200226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gle
chair
backres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4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
Original Assignee
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 filed Critical 최원
Priority to KR2020000035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11Y1/en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각도는 물론 시트의 각도를 자유로이 변경한 후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케스터를 포함하는 다리와, 다리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는 하 브라켓 및 이 하 브라켓과 연결된 상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상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시트와, 시트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하 브라켓에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등받이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하 브라켓의 일 측벽 안쪽에는 외부로 돌출된 레버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고 상부에는 각 회전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가 장착되며, 상기 하브라켓의 하판 전방 상측에는 힌지를 통해 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직대가 돌출되어 있고 후방에는 록킹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대와 각 회전대의 사이에는 상기 록킹브라켓의 각도를 상기 회전체를 통해 변경시킬 수 있도록 연결축이 장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연결대 전방에는 상기 록킹브라켓에 형성된 록킹단부가 단계적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치홈이 형성된 원호형의 각도 변경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djusting the back, which can maintain the changed angle after freely changing the angle of the seat as well as the back of the chair, a leg including a caster, a lower bracket mount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leg, and the following. In the ordinary chair composed of a back portion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consisting of an upper bracket connected to the bracket, a seat fixed and rot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racket, and a connecting tabl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fixed to the lower bracket through a hinge axis. The angle of the lower bracket is changed inside the side wall through a lever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a rotating body having each rotating table formed thereon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racket. One side is protruded and the locking end is formed at the rear A locking bracket is mounted, and a connecting shaft is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stand and each swivel to change the angle of the locking bracket through the rotating body, and a locking end formed in the locking bracket in front of the connecting stand of the backr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c-shaped angle chang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ooth grooves can be inserted step by step.

Description

등받이 조정용 의자{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Backrest Chair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본 고안은 등받이 조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는 물론 시트의 각도를 자유로이 변경한 후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djusting the back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for adjusting the backrest so as to maintain the changed angle after freely changing the angle of the seat as well as the seat.

일반적으로 의자라 함은, 케스터를 포함하는 다리와, 다리의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시트와, 시트의 후방에 장착되어 각도가 변경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등받이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시판되는 것이다.In general, a chair is composed of a leg including a caster, a seat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and rotated, and a backrest mounted on the rear of the seat to change an angle. In particular, the backrest is marketed in an inclined state at a constant angl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리와 시트 사이의 높이가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등을 젖힐 경우에는 등받이의 각도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between the leg and the seat can be freely adjusted, and when the user leans back, the angle of the backrest can be freely changed.

그러나, 상기한 의자에 있어서, 의자의 출고 당시에 등받이의 각도가 경사져 있음으로서, 직무시 등받이와 등 사이의 간격이 떨어짐에 따라서 사용자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hair described above, the angle of the backrest is inclined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chair,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back falls during work.

또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에는 등과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강제적으로 변경시켜야 하고 등받지에서는 반대로 복귀할려는 힘이 발생됨으로서, 수면 또는 휴식시 편안한 자세를 얻기가 곤란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aking a sleep while sitting in a chair, the angle of the backrest must be forcibly changed by using the power of the back and the waist, and the force of returning from the backrest is reversed,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comfortable posture during sleep or rest. Had also.

또 상기 등받이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시트의 각도는 변경되지 않음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폄함을 주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angle of the backrest is changed, the angle of the seat does not chang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gives the user uncomfortable.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의 각도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키게 되면 시트와 등받이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헐거워져 등받이가 복귀되지 않고 젖혀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의자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angle of the backrest is repeatedly changed,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at and the backrest becomes loose, and thus the backrest does not return and maintains the back state, thereby reducing the life of the chair.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와 시트의 각도를 자유로이 변경한후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직무시 등과 등받이가 완전히 밀착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수면 또는 휴식시 등과 허리에 힘이 발생되지 않아도 되게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seat constituting the chair freely to maintain the changed angle, it is possible to make the back and the back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course of cours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for adjusting the back, which can provide comfort to the user by preventing the back and the waist from generating power.

또한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세팅함으로서, 시트와 의자의 연결부가 헐거워 지는 것을 방지하여 의자의 수명을 최대로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backrest at a constant angle, there is also an object that can maximize the life of the chair by preven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at and the chair is lo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스터를 포함하는 다리와, 다리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는 하 브라켓 및 이 하 브라켓과 연결된 상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상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시트와, 시트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하 브라켓에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등받이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하 브라켓의 일 측벽 안쪽에는 외부로 돌출된 레버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고 상부에는 각 회전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가 장착되며, 상기 하브라켓의 하판 전방 상측에는 힌지를 통해 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직대가 돌출되어 있고 후방에는 록킹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대와 각 회전대의 사이에는 상기 록킹브라켓의 각도를 상기 회전체를 통해 변경시킬 수 있도록 연결축이 장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연결대 전방에는 상기 록킹브라켓에 형성된 록킹단부가 단계적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치홈이 형성된 원호형의 각도 변경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ridge comprising a caster, the lower bracket is attach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leg and the upper bracket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racket and rotated In the conventional chair consisting of a seat and a backrest including a connecting ro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fixed to the lower bracket through a hinge shaft, the angle of the lower bracket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one side wall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racket of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racket of the lower bracket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enable rotation, and the vertical side protrudes on one side and the locking end is formed on the rear side. A bracket is mounted, and the angle of the locking bracket is rotated between the vertical stand and each rotary table. The connecting shaft is mounted so as to be changed through a sieve, and an arc-shaped angle 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tooth grooves is mounted in front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backrest so that the locking end formed in the locking bracket can be inserted step by step.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4 shows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각도 변경 전 상태를,Figure 4a shows the state before the angle change,

도 4b는 각도 변경 후 상태를 나타낸다.4B shows the state after the angle chang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다리1: leg

2 : 연결부2 connection

21 : 하 브라켓21: lower bracket

22 : 상 브라켓22: upper bracket

221 : 연결 브라켓, 222 : 힌지축221: connecting bracket, 222: hinge shaft

3 : 시트3: sheet

4 : 등받이4: backrest

41 : 연결대41: connecting rod

42 : 힌지축42: hinge axis

5 : 레버5: lever

6 : 회전체6: rotating body

61 : 각 회전대61: each turntable

611 : 축 삽입공, 611a : 경사부611: shaft insertion hole, 611a: inclined portion

62 : 돌기62: turning

63 : 각도 한정축63: angle limited axis

7 : 록킹브라켓7: Locking Bracket

71 : 힌지축71: hinge axis

72 : 수직대72: vertical stand

73 : 록킹단부73: locking end

74 : 보조 브라켓74: auxiliary bracket

8 : 연결축8: connecting shaft

81 : 스프링81: spring

9 : 각도 변경체9: angle changer

91 : 치홈91: Chihom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rst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s follows.

케스터를 포함하는 다리(1)와, 다리(1)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는 하 브라켓(21) 및 이 하 브라켓(21)과 연결된 상브라켓(22)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와, 상기 상 브라켓(22)의 상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시트(3)와, 시트(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하 브라켓(21)에 힌지축(42)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41)를 포함하는 등받이(4)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A connection part 2 consisting of a leg 1 including a caster, a lower bracket 21 mount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leg 1 and an upper bracket 22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21, and the upper bracket A backrest comprising a seat 3 fixed and rotated at an upper side of the 22 and a connecting table 41 positioned behind the seat 3 and fixed to the lower bracket 21 via a hinge shaft 42. In the ordinary chair composed of (4),

상기 하 브라켓(21)의 일 측벽(211;도2참조) 안쪽에는 상기 등받이(4)의 각도를 변경시킨 후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체(6)와 록킹 브라켓(7)과 연결축(8)으로 구성된 록킹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의 연결대(41) 전방에는 상기 록킹브라켓(7)이 단계적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치홈(91)이 형성된 원호형의 각도 변경체(9)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side the side wall 211 (see FIG. 2) of the lower bracket 21, the rotating body 6, the locking bracket 7, and the connecting shaft 8 can be maintained after chang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4. Is equipped with a locking means consisting of, the front of the connecting table 41 of the backrest is equipped with an arc-shaped angle changer (9) formed with a plurality of tooth grooves 91 so that the locking bracket 7 can be inserted step by step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그리고 상기 상 브라켓(22)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연결대(41)의 양측으로 힌지축(222)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221)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연결대(41)의 각도변경시 이와 연동되어 시트(3)의 각도도 연동되어 변경됨에 따라 의자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ar brackets of the upper bracket 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rod 41 by connecting brackets 221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hinge shaft 222, and when the angle of the connecting table 41 is changed, the seat is interlocked. As the angle of (3) is also linked to change it can provide the comfort of the chair.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회전체(6)는, 하 브라켓(21)의 일 측벽(211) 안쪽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외부로 돌출된 레버(5)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고 상부에는 각 회전대(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6)의 외측면의 양측에는 레버(5)의 회전각도를 한정할 수 있도록 돌기(62)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6)의 외측면 양측 외부에는 상기 돌기(62)와 밀착되는 각도 한정축(63)이 상기 하 브라켓(21)에 고정되는 것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manner, wherein the rotating body 6 is mounted inside one side wall 211 of the lower bracket 21 through a lever 5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 angle is changed and each rotating table 61 is formed at the top. And projections 62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 so as to define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5, the projections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 An angle limiting shaft 63 in close contact with 62 is fixed to the lower bracket 21.

상기 록킹브라켓(7)는, 상기 하브라켓(21)의 하판(212) 전방 상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힌지(71)를 통해 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직대(72)가 돌출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연결대(41)에 고정된 각도 변경체(9)의 치홈(91)이 단계적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록킹단부(7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록킹브라켓(7)의 상측에는 록킹브라켓(7)이 하 브라켓(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보조 브라켓(74)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다.The locking bracket (7),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212 front upper side of the lower bracket 21, each rota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hinge 71 so that the vertical stand 72 is protruded on one side At the rear, the locking end 73 is formed so that the tooth groove 91 of the angle changer 9 fixed to the connecting table 41 can be inserted step by step. And,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bracket (7) is to be additionally mounted to the auxiliary bracket (74) to prevent the locking bracket (7)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bracket (21).

상기 록킹 브라켓(7)의 수직대(72)와 상기 회전체(6)의 각 회전대(61) 사이에는 상기 록킹브라켓(7)의 각도를 상기 회전체(6)를 통해 변경시킬 수 있도록 연결축(8)이 장착되는 것이다.A connecting shaft between the vertical stand 72 of the locking bracket 7 and each rotary table 61 of the rotating body 6 to change the angle of the locking bracket 7 through the rotating body 6. (8) is to be mounted.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회전체(6)의 각 회전대(61)의 상부에는 전방이 장공형상을 가지며 후방이 원형상을 가지고 있어 내측에는 경사부(611a)가 형성되어 있는 축 삽입공(6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 삽입공(611)에는 상기 연결축(8)이 삽입되며 이 연결축(8)의 양측에는 상기 각 회전대(61)의 전,후방을 눌러주어 상기 회전체(6)의 각도변경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81)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in which the front portion has a long hole shape and the rear portion has a circular shape at an upper portion of each rotating table 61 of the rotating body 6, and an inclined portion 611a is formed at an inner side thereof. The shaft insertion hole 611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shaft 8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ng hole 611,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shaft 8 press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respective rotating tables 61. The spring 81 is mounted so that the angle change state of the rotating body 6 can be maintained.

미설명 부호 '10'은 연결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레버'를 나타낸 것이다.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leve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ar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e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utomatic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의자를 직무용으로 사용할 경우와 취침용으로 사용할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Figure 4 shows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case of using the chair for a job and the use for bedtime.

먼저, 도 4a도시된 바와같이, 직무용으로 의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등받이(4)가 등과 밀착될 수 있도록 각도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등받이(4)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대(41)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 변경체(9)의 치홈(91)중 상부에 위치된 치홈(91)에 상기 록킹브라켓(7)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단부(73)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평상시 직무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등받이(4)가 거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ure 4a, when using the chair for the job, the backrest 4 should be kept in an upright position so that the back 4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Therefore, the locking bracket 7 is formed in the tooth groove 91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tooth groove 91 of the angle changer 9 fix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table 4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ckrest 4. The locking end 73 is inserted to show a fixed state. In other words, when used for a normal job, the backrest (4) is to mainta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반대로, 도 2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등받이를 뒤로 젖혀 취침 또는 휴식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연결부(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레버(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체(6)의 각 회전대(61)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각 회전대(61)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축(8)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연결축(8)의 전방에 연결되어 있는 록킹브라켓(7)이 힌지축(71)을 중심으로 각회전 되어 록킹브라켓(7)의 록킹단부(73)가 전진됨에 따라서, 상기 록킹단부(73)가 상기 연결대(41)의 전방에 고정된 각도변경체(9)의 치홈(91)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2 and 4b, when the backrest is turned back and used for sleep or rest, first, the lever 5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rotating body ( By moving the respective rotary tables 61 of 6) backward, when the connecting shaft 8 mounted on each rotary table 61 is moved backward, the locking bracket 7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shaft 8 )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71 and the locking end 73 of the locking bracket 7 is advanced, so that the locking end 73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rod 41. It is released from the tooth groove 91 of 9).

그후 등받이(4)를 등으로 밀어 각도를 완만하게 조정한 다음 즉 등받이(4)의 연결대(41) 중간에 장착되어 있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연결대(41)의 각도를 변경시키고, 상기 연결부(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체(6)의 각 회전대(61)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각 회전대(61)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축(8)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연결축(8)의 전방에 연결되어 있는 록킹브라켓(7)이 힌지축(71)을 중심으로 각회전 되어 록킹브라켓(7)의 록킹단부(73)가 후진됨으로서, 상기 록킹단부(73)가 상기 연결대(41)의 전방에 고정된 각도변경체(9)의 치홈(91)에 다시 삽입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backrest 4 is pushed to the back to gently adjust the angle, that is, the angle of the connecting table 41 is changed about the hinge shaft 42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table 41 of the backrest 4, and the When the lev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ach of the rotating tables 61 of the rotating body 6 is rotated forward to the connecting shaft (8) mounted on each of the rotating tables 61 ) Is also moved forward. Therefore, the locking bracket 7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shaft 8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71 so that the locking end 73 of the locking bracket 7 is backward, so that the locking end 73 is reversed. Is inserted back into the tooth groove 91 of the angle changer (9) fix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table (41).

즉 상기와 같이 등받이(4)의 각도를 완만하게 조정하게 되면 등받이(4)의 하부에 장착되어 연결대(41)의 각도도 함께 변경됨과 동시에 연결대(41)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변경체(9)가 록킹브라켓(7)의 상부로 돌출됨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록킹브라켓(7)의 록킹단부(73)는 상기 각도 변경체(9)의 치홈(91)중 하부에 위치된 치홈(91)에 삽입됨에 따라서, 등받이의 젖혀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브라켓(22)과 연결대(41)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서 시트(3)도 상기 등받이(4)와 연동되어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angle of the backrest 4 is gently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changer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4 so that the angle of the connecting table 41 is also changed and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ing table 41. As 9 is protrud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cking bracket 7,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end 73 of the locking bracket 7 is the tooth groove 91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tooth groove 91 of the angle changer 9. ),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back state of the back. In this case, the upper bracket 22 and the connecting table 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seat 3 may be linked to the backrest 4 so that the user may be comfortable as the angle is changed.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등받이의 각도 변경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연결부(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레버(5)의 회전을 통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change the angle of the backrest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ver 5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 as necessar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의 경사각도를 자유로이 변경한 후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직무 또는 휴식등에 따라 적절한 등받이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back of the chair and the seat freely to maintain the changed angle, it is to hav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proper angle of the back according to the job or rest.

또한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세팅하여 시트와 의자의 연결부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의자의 수명을 최대로 하는 견고한 의자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backrest at an ang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sea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ir, there is an effect to provide a solid chair to maximize the life of the chair.

Claims (4)

케스터를 포함하는 다리(1)와, 다리(1)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는 하 브라켓(21) 및 이 하 브라켓(21)과 연결된 상브라켓(22)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와, 상기 상 브라켓(22)의 상측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한 시트(3)와, 시트(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하 브라켓(21)에 힌지축(42)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연결대(41)를 포함하는 등받이(4)로 구성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A connection part 2 consisting of a leg 1 including a caster, a lower bracket 21 mount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leg 1 and an upper bracket 22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21, and the upper bracket A seat 3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22 and rotatable, and a connecting table 41 positioned behind the seat 3 and fixed to the lower bracket 21 via a hinge shaft 42. In the ordinary chair composed of the backrest 4, 상기 하 브라켓(21)의 일 측벽(211) 안쪽에는 외부로 돌출된 레버(5)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고 상부에는 각 회전대(61)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6)가 장착되며, 상기 하브라켓(21)의 하판(212) 전방 상측에는 힌지(71)를 통해 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는 수직대(72)가 돌출되어 있고 후방에는 록킹단부(73)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 브라켓(7)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대(72)와 각 회전대(61)의 사이에는 상기 록킹브라켓(7)의 각도를 상기 회전체(6)를 통해 변경시킬 수 있도록 연결축(8)이 장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연결대(41) 전방에는 상기 록킹브라켓(7)에 형성된 록킹단부(73)가 단계적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치홈(91)이 형성된 원호형의 각도 변경체(9)가 장착되고, 상기 상 브라켓(22)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연결대(41)의 양측으로 힌지축(222)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2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Inside the one side wall 211 of the lower bracket 21, the angle is changed through the lever (5) protruding outward, and the rotating body (6) having each rotating table (61) formed on the upper is mounted, The lower plate 212 of the bracket 21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hinge through the hinge 71 so that each rotation is possible, the vertical stand 72 is protruding on one side and the locking end 73 is formed on the rear (locking bracket ( 7) is mounted, and the connecting shaft 8 is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stand 72 and each rotating table 61 so that the angle of the locking bracket 7 can be changed through the rotating body 6. In front of the connection table 41 of the backrest, an arc-shaped angle changer 9 in which a plurality of tooth grooves 91 are formed so that the locking end 73 formed in the locking bracket 7 can be inserted step by step is provided. The rear brackets of the upper bracket 2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table 41 via hinge shafts 222. Connecting brackets 221 for adjusting the chair ba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6)의 외측면의 양측에는 레버(5)의 회전각도를 한정할 수 있도록 돌기(62)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6)의 외측면 양측 외부에는 상기 돌기(62)와 밀착되는 각도 한정축(63)이 상기 하 브라켓(2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According to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 the projections 62 are formed symmetrically so as to define the rotation angle of the lever 5,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 Chair for adjusting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limiting shaft (63)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62) is fixed to the lower bracket (21) on both sides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6)의 각 회전대(61)의 상부에는 전방이 장공형상을 가지며 후방이 원형상을 가지고 있어 내측에는 경사부(611a)가 형성되어 있는 축 삽입공(6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 삽입공(611)에는 상기 연결축(8)이 삽입되며 이 연결축(8)의 양측에는 상기 각 회전대(61)의 전,후방을 눌러주어 상기 회전체(6)의 각도변경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81)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The shaft insertion hole 611 of claim 1, wherein an upper portion of each rotary table 61 of the rotating body 6 has a long hole shape and a rear portion has a circular shape, and an inclined portion 611a is formed inside.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shaft 8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hole 611,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shaft 8 press the front and rear of the respective rotating tables 61 to rotate the rotating body 6. Chair for adjusting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81 is mounte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angle ch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라켓(7)의 상측에는 록킹브라켓(7)이 하 브라켓(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보조 브라켓(74)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정용 의자.The chair for adjusting the backre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uxiliary bracket (74)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bracket (7) to prevent the locking bracket (7)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bracket (21). .
KR2020000035444U 2000-12-18 2000-12-18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KR2002266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44U KR200226611Y1 (en) 2000-12-18 2000-12-18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44U KR200226611Y1 (en) 2000-12-18 2000-12-18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11Y1 true KR200226611Y1 (en) 2001-06-15

Family

ID=7309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44U KR200226611Y1 (en) 2000-12-18 2000-12-18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1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426A (en) Office chair
JPH0139478Y2 (en)
KR100195834B1 (en) Chair seat mounting mechanism
KR200226611Y1 (en) Chair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ts back
USD451314S1 (en) Combined chair seat/backrest
JP2001017340A (en) Chair for bathroom
USD451719S1 (en) Combined chair seat/backrest
JPS63102715A (en) Foldable furniture
JP3644518B2 (en) Chair
CN218044423U (en) Adjustable waist support mechanism
KR200262004Y1 (en) armrest have seat type sofa haveing angle regulate ability
KR20100018206A (en) Folding chair
JPH0438756Y2 (en)
KR100893156B1 (en)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CN213524533U (en) Leisure chair and chair tray thereof
CN217592381U (en) Linkage back-tilting office chair
USD451718S1 (en) Combined chair seat/backrest
KR200329536Y1 (en) The angle regulation device for the back in a chair
CN218738067U (en) Sitting posture corrector capable of locking angle
KR200404405Y1 (en) Waist supporting unit of chair
JPH07246123A (en) Swinging mechanism for seat plate and back rest of chair
KR102210240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chair backrest tilting with elasticity control
JPH0236536Y2 (en)
KR200250567Y1 (en) Chair with swiveling chairback
JP2545035Y2 (en) Operating device for gas spring i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