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16Y1 -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 Google Patents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16Y1
KR200226516Y1 KR2020010001729U KR20010001729U KR200226516Y1 KR 200226516 Y1 KR200226516 Y1 KR 200226516Y1 KR 2020010001729 U KR2020010001729 U KR 2020010001729U KR 20010001729 U KR20010001729 U KR 20010001729U KR 200226516 Y1 KR200226516 Y1 KR 200226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filter
lips
groove
cigaret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의순
Original Assignee
임의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의순 filed Critical 임의순
Priority to KR2020010001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16Y1/ko

Link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배 필터의 내측으로 소정의 홈을 형성하여 흡연자의 입술에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함으로써, 흠연자의 입술에 유해 성분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담배 필터에서 흡연자의 입술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홈이 형성되고, 홈의 폭은 내부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흡연자의 입술과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하므로써, 담배 필터를 통해 흡수된 유해 성분이 흡연자의 입술을 통해 흡수되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FILTER TIP OF DECREASING NOXIOUS INGREDIENT}
본 고안은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담배 필터 중 흡연자의 입술에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함으로써, 흠연자의 입술에 유해 성분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담배 필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담배의 유해성이 논란이 되고, 이에 따라 흠연자의 건강을 위해 금연 보조 역할을 하는 보조 의약품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의약품의 경우, 값이 비싸거나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흠연자의 금연 의욕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등 흡연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담배의 유해 성분인 니코틴 또는 타르 등을 걸러낼 수 있는 담배 필터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러한 담배 필터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담배 필터를 부착한 담배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존의 담배 필터의 문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담배 필터가 유해 성분을 감소시키는 작용은, 담배 연기가 담배 필터를 통과하면서 담배에 포함된 유해 성분이 담배 필터에 흡수되므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렇게 담배 필터에 흡수된 유해 성분은 담배 필터의, 흡연자의 입술에 접촉되는 접촉면(10)의 중앙에 밀집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담배 필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10)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흡연자의 입술과의 접촉이 불가피하였다. 이는 담배 필터에 흡수된 니코틴 등 유해 성분이 집적되어, 흡연자의 입술을 통해 흡연자에게 흡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담배 필터의 유해 성분 감소 작용은 무의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는, 담배 필터에서 흡연자의 입술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홈이 형성되고, 홈의 폭은 내부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담배 필터를 부착한 담배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를 부착한 담배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의 제 1 변형례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의 제 2 변형례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담배 필터
10 : 접촉면 20 : 지지부
30 : 집적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를 부착한 담배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의 구성은, 흡연자의 입술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면(10), 흡연시 담배 필터(10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20), 담배 필터(100)에 흡수된 유해 성분이 집적되는 집적홈(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는, 접촉면(10)에서 내측으로 역원뿔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접촉면(10)은, 흡연자의 입술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그 면적을 최소화하므로써, 흡연자의 입술과의 접촉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를 통해 흡연자의 입술을 통해 유해 성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20)는, 흡연시에 담배 필터(10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가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연을 위해 흡연자가 담배 필터를 물 때,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20)를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두껍게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의 지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집적홈(30)은,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에 의해 흡수된 니코틴 등 유해 성분을 집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담배 필터(100)를 통해 흡수된 유해 성분은 접촉면(10)의 중앙에 밀집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집적홈 (30)에 집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적홈(30)이,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 (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연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잇고, 이를 통해 흠연자의 입술을 통해 유해 성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의 변형례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는, 내측에 역반구 모양의 홈을 형성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따른 집적홈(30)이 담배 필터(10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집적홈(30)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유해 성분이 지지부(20)에 흡수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의 변형례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담배 필터(100)는, 내측에 역원뿔의 꼭지 부분이 평평하게 잘린 모양의 홈을 형성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집적홈(30)은 내측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집적홈 (30)의 면적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적홈(30)의 면적을 확대하므로써 유해 성분이 집적홈(30)에 집중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20)에 유해 성분이 흡수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은 담배 필터의 내측으로 소정의 홈을 형성하여 흡연자의 입술과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하므로써, 담배 필터를 통해 흡수된 유해 성분이 흡연자의 입술을 통해 흡수되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담배 필터의 내측에 집적홈을 형성하므로써, 흡연자의 입술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최소화하고, 또한 담배 필터 내측의 집적홈에 유해 성분이 집적되므로써, 흡연자의 입술을 통한 유해 성분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담배 필터에 있어서,
    상기 담배 필터에서 흡연자의 입술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폭은 내부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필터의 홈은 역원뿔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필터의 홈은 역원뿔의 꼭지 부분이 평평하게 잘린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필터의 홈은 역반구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필터.
KR2020010001729U 2001-01-20 2001-01-20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KR200226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729U KR200226516Y1 (ko) 2001-01-20 2001-01-20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729U KR200226516Y1 (ko) 2001-01-20 2001-01-20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516Y1 true KR200226516Y1 (ko) 2001-06-15

Family

ID=7309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729U KR200226516Y1 (ko) 2001-01-20 2001-01-20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2615A1 (en) A reduced ignition propensity smoking article
WO2004037025A3 (en) Smokers filter
EA200701647A1 (ru) Тонкая сигарета
EA200200934A1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KR200226516Y1 (ko) 유해 성분 감소용 담배 필터
JPH05236929A (ja) 喫煙ロッド及び紙巻き煙草
YU23400A (sh) Tanka cigareta
NO171662B (no) Sigarettfilter, samt sigarett med et slikt filter
US4732167A (en) Smoking aid for reducing concentrations of poisonous substances contained in tobacco smoke
RAMSTRÖM Snus: part of the problem or part of the solution?
CA2178021A1 (en) Tobacco Substitute
US4687005A (en) Pipe bowl filter
KR200230056Y1 (ko) 담배
KR200189244Y1 (ko) 담배파이프
JPH0140476Y2 (ko)
CN2318836Y (zh) 低危害香烟
KR200231167Y1 (ko) 한약재가 충전된 담배용 파이프
KR200261064Y1 (ko) 건강 담배
KR20000024089A (ko) 담배연기 조정 필터
KR200240184Y1 (ko) 궐련담배개비
US20220000171A1 (en) Mouth Tip For A Smoking Apparatus
KR200181142Y1 (ko) 다단 실린더를 갖는 담배파이프
KR100685267B1 (ko) 비타민c 부착 담배필터
KR200279250Y1 (ko) 담배
CN2300267Y (zh) 香烟滤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