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57Y1 -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57Y1
KR200226357Y1 KR2020010000286U KR20010000286U KR200226357Y1 KR 200226357 Y1 KR200226357 Y1 KR 200226357Y1 KR 2020010000286 U KR2020010000286 U KR 2020010000286U KR 20010000286 U KR20010000286 U KR 20010000286U KR 200226357 Y1 KR200226357 Y1 KR 200226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sing
front cas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산
Original Assignee
모두플라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두플라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두플라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0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5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인쇄회로기판 등의 장치부를 내장하고 외측으로 스피커 통공이 형성된 배면케이싱과, 상기 배면케이싱의 일측으로 각각 인출된 마이크로폰 및 커넥터와, 상기 배면케이싱의 위치를 임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향조절부와, 상기 방향조절부에 결합되어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배면케이싱의 전면을 밀폐함과 아울러 외측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전면케이싱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길이방향 일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고정할 수 있는 신축고정대와, 상기 전면케이싱의 길이방향 타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시 신장된 후 탄성적으로 수축 복원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착 고정시켜주는 착탈신축조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거치대에 의하면, 전면케이싱의 상, 하부에 신축조절이 가능한 부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단말기도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종전의 자력을 이용한 부착방식이 갖는 자기장 발생에 의한 통화 불량 및 기기고장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Stand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케이싱의 상, 하부에 신축조절이 가능한 부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단말기도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종전의 자력을 이용한 부착방식이 갖는 자기장 발생에 의한 통화 불량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로 주행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관한 규제가 강화되어 이미 법제화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장착이 사실상 의무화됨은 물론이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차내에서 직접 손으로 들고 조작 및 통화할 필요없이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편의성 및 안전성에 기인하여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널리 보급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현재 시중에 보급되어 있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규격이 각기 다르므로 특정 단말기만을 거치할 수 있는 전용 구조의 거치대를 차량 내부의 패널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단말기 기종 및 규격에 관계없이 범용할 수 있도록 거치대 장착 후 그 거치대 본체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단말기를 간단히 부착할 수 있게 한 자력 부착방식의 거치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정 단말기만을 거치할 수 있는 전용 거치대는 범용성이 없어 단말기 교체시 이에 맞는 거치대를 새로 구입하여 재 장착하여야 하므로 설치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력 부착방식의 거치대는 범용성이 보장되고 단말기의 착탈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기장 발생에 의한 통화 불량 및 기기고장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면케이싱의 상, 하부에 신축조절이 가능한 부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단말기도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종전의 자력을 이용한 부착방식이 갖는 자기장 발생에 의한 통화 불량 및 기기고장 등의 문제점을 기구적인 방식으로 해결하여 잔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 수 있게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길이방향 신축조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방향조절부 및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전면케이싱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이크로폰 2, 5 ; 플렉시블케이블
3 ; 커넥터 4 ; 잭 인출공
10 ; 전면케이싱 11 ; 장식부
12, 13 ; 출몰공 14 ; 안착홈
15, 18 ; 가이드레일 16 ; 래칫홈
17 ; 상한멈춤턱 19 ; 하한멈춤턱
20 ; 배면케이싱 21 ; 스피커 통공
22 ; 체결용 보스 30 ; 신축고정대
31 ; 고정대 본체 32 ; 래칫레버
33 ; 래칫돌기 34 ; 멈춤돌기
35 ; 상부거치턱 36, 46, 53 ; 안착패드
37 ; 고정대 덮개판 40 ; 착탈신축조절대
41 ; 조절대 본체 42 ; 분기판
43 ; 접촉단 44 ; 스프링 고정후크
45 ; 하부거치턱 47 ; 인장스프링
50 ; 측부고정대 51 ; 선회고정아암
52 ; 이탈방지돌기 60 ; 방향조절부
61 ; 볼 61a ; 나사축
62 ; 소켓 63 ; 나사공
70 ; 장착부 71 ; 밀착판
72 ; 돌출면 73 ; 절개홈
74 ; 죔나사 75 ; 가압연결구
75a ; 볼 가압면 75b ; 죔나사 접촉면
76 ; 체결나사 80 ; 홀더
81 ; 홀더본체 82 ; 후크
83, 84 ; 홀더고정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인쇄회로기판 및 스피커 등의 장치부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외측면으로 스피커 통공이 형성된 배면케이싱과, 상기 배면케이싱의 일측으로 각각 인출된 가요성의 마이크로폰 및 커넥터와, 상기 배면케이싱의 외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체결용 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면케이싱의 위치를 임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향조절부와, 상기 방향조절부에 결합되어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배면케이싱의 전면을 밀폐함과 아울러 외측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전면케이싱과, 상기 전면케이싱의 길이방향 일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고정할 수 있는 신축고정대와, 상기 전면케이싱의 길이방향 타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시 신장된 후 탄성적으로 수축 복원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착 고정시켜주는 착탈신축조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케이싱의 양측에는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측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측부고정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측부고정대는, 상기 전면케이싱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축 고정되어 그 전면케이싱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되는 선회고정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각 선회고정아암의 단부에는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측부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이탈방지돌기의 마주보는 내측면상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배면케이싱의 외측면상에 체결되는 나사축이 형성된 소정 직경의 볼과, 상기 볼을 감싸며 상호 마찰 접촉되면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자유 회전 및 그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소켓으로 구성되는 볼 조인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일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체결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돌출면이 어느 한 면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면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그 절개홈을 통해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부착 부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굽힐 수 있는 탄성 재질의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돌출면 상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방향조절부의 회전위치 고정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방향조절부와 장착부 간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가압연결구와, 상기 방향조절부와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죔나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축고정대는, 상기 전면케이싱 상부의 출몰공을 통해 그 내측으로 하향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접촉 승강이동하는 고정대 본체와, 상기 출몰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고정대 본체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부를 걸어주는 상부거치턱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거치턱의 저면에 부착된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와, 상기 고정대 본체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각 단부에 래칫돌기가 외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반복 형성된 다수의 래칫홈을 타고 요동하면서 단속적으로 위치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래칫레버와, 상기 고정대 본체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몰공을 통해 고정대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대 본체의 승강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멈춤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케이싱 내측의 가이드레일 전면에는 상기 신축고정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할 때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고정대 덮개판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신축조절대는, 상기 전면케이싱 하부의 출몰공을 통해 그 내측으로 상향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접촉 승강이동하는 조절대 본체와, 상기 출몰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조절대 본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를 걸어주는 하부거치턱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거치턱의 상면에 부착된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와, 상기 전면케이싱 하단부의 출몰공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몰공을 통해 조절대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절대 본체의 승강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하한멈춤턱과, 상기 하부거치턱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로 하향 가압하여 거치한 후 상기 조절대 본체가 원위치로 상향 복원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싱의 내측면과 상기 조절대 본체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절대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하한멈춤턱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진 접촉단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 일측의 배면케이싱 측면쪽에는 필기구 및 메모지를 거치할 수 있는 홀더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필기구의 일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와이어를 코일 형태로 조밀하게 권취하여 그 권취된 금속 와이어의 간극 사이로 메모지를 끼울 수 있게 형성한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방향조절부의 나사축 상에 걸 수 있도록 된 후크와, 상기 홀더본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조절부의 나사축 상에 체결되어 상기 후크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죔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홀더고정휠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길이방향 신축조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방향조절부(60) 및 장착부(70)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전면케이싱(10)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전면케이싱(10) 및 배면케이싱(20)과, 송신용 마이크로폰(1) 및 수신용 스피커(미도시)와, 차체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3)와, 다양한 크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 조절할 수 있는 신축고정대(30) 및 착탈신축조절대(40)와,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측면을 지지하는 측부고정대(50)와, 거치대 전체를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방향조절부(60)와, 이를 차체 패널 등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70)와, 상기 배면케이싱(20)의 일측에 위치하여 필기구 및 메모지를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홀더(80)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인쇄회로기판 및 스피커 등의 장치부(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외측면으로 스피커 통공(21)이 형성된 배면케이싱(20)과, 상기 배면케이싱(20)의 일측으로 각각 인출된 가요성의 마이크로폰(1) 및 커넥터(3)와, 상기 배면케이싱(20)의 외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체결용 보스(22)에 결합되어 상기 배면케이싱(20)의 위치를 임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향조절부(60)와, 상기 방향조절부(60)에 결합되어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70)와, 상기 배면케이싱(20)의 전면을 밀폐함과 아울러 외측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전면케이싱(10)과, 상기 전면케이싱(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고정할 수 있는 신축고정대(30)와, 상기 전면케이싱(10)의 길이방향 타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시 신장된 후 탄성적으로 수축 복원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착 고정시켜주는 착탈신축조절대(40)와,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측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측부고정대(50)와, 상기 방향조절부(60) 일측의 배면케이싱(20) 측면쪽에 설치되어 필기구 및 메모지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 홀더(8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은 상기 배면케이싱(20) 내측의 장치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케이블(Flexible cable)(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3)는 차량의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시블케이블(5)을 사용하거나 통상의 시거라이터잭과 같은 형태의 구조로 구현하여 시거라이터잭을 삽입하는 소켓에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및 배면케이싱(10)(20)의 연접부에는 잭 인출공(4)을 형성하여 상기 장치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연결을 위한 잭이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의 외관이 펭귄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전면케이싱(10)의 표면상에는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무늬모양의 장식부(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상, 하단부에는 상기 신축고정대(30) 및 착탈신축조절대(40)가 신축 작동될 수 있는 출몰공(12)(1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양측변부에는 상기 각 측부고정대(50)의 선회시 그 단부, 즉, 이탈방지돌기(52)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싱(10)의 내측면상에는 상기 신축고정대(30) 및 착탈신축조절대(40)의 신축 작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5)(18)이 상기 전면케이싱(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중에서, 상기 신축고정대(3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5)의 하단부에는 좌우 양측으로 절곡된 상한멈춤턱(1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의 조절대 본체(41)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상향연장 형성된 한 쌍의 분기판(42)의 각 상단부에 있는 접촉단(43)과 맞닿아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가 더 이상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5)의 내측면상에는 미소한 원호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래칫홈(16)이 반복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8)의 하단부에는 상기 분기판(42)을 덮는 상태로 가로질러 상기 전면케이싱(10)의 내측면상에 고정된 판형의 하한멈춤턱(1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의 접촉단(43)이 상기 하한멈춤턱(19)에 걸리면서 더 이상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8)은 각 분기판(42)을 안내할 수 있도록 좌우 대칭형의 복선 레일 형태로 각각 이루어지며, 한쪽 분기판(42)과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8)을 기준할 때 복선의 레일중 외측레일은 상기 접촉단(43)의 단턱진 부분에 맞닿아 순수한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내측레일은 상기 조절대 본체(41) 및 분기판(42)과의 미끄럼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레일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조절대 본체(41) 및 분기판(42)과 맞닿아 있다.
한편, 상기 신축고정대(30)는, 상기 전면케이싱(10) 상부의 출몰공(12)을 통해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접촉 승강이동하는 고정대 본체(31)와, 상기 출몰공(12)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고정대 본체(31)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부를 걸어주는 상부거치턱(35)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거치턱(35)의 저면에 부착된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36)와, 상기 고정대 본체(31)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각 단부에 래칫돌기(33)가 외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5)의 래칫홈(16)을 타고 요동하면서 단속적으로 위치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래칫레버(32)와, 상기 고정대 본체(31)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몰공(12)을 통해 고정대 본체(3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대 본체(31)의 승강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멈춤돌기(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패드(36) 및 후술하게 될 착탈신축조절대(40)와 측부고정대(50) 상에 각각 부착되는 안착패드(46)(53)는 스폰지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면 되고, 그 두께는 1mm 내외 정도면 충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5)의 전면에는 상기 신축고정대(30)가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승강할 때 상기 가이드레일(15)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평판형의 고정대 덮개판(37)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신축고정대(30)를 미리 신장 또는 수축시켜 위치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는, 상기 전면케이싱(10) 하부의 출몰공(13)을 통해 그 내측으로 상향 형성된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접촉 승강이동하는 조절대 본체(41)와, 상기 출몰공(13)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조절대 본체(41)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를 걸어주는 하부거치턱(45)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거치턱(45)의 상면에 부착된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46)와, 상기 전면케이싱(10) 하단부의 출몰공(13)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몰공(13)을 통해 조절대 본체(4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절대 본체(41)의 승강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상기 하한멈춤턱(19)과, 상기 하부거치턱(45)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로 하향 가압하여 거치한 후 상기 조절대 본체(41)가 원위치로 상향 복원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싱(10)의 내측면과 상기 조절대 본체(41)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4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대 본체(41)의 상단부에는 상기 하한멈춤턱(19)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8)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진 상기 접촉단(4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7)은 그 양단이 상기 전면케이싱(10)의 내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분기판(42) 사이 위치의 상기 조절대 본체(41)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후크(44)에 각각 걸림 고정되어 상기 조절대 본체(41)를 상향 복원시킬 수 있는 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는, 해당 래칫홈(1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신축고정대(30)와는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시에 그 거치 조작이 용이하게 유동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신축 조절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 조작을 어느 쪽부터 시작하느냐의 차이만을 갖게 되므로 상기 신축고정대(30)와 착탈신축조절대(40)의 위치가 상호 역전된 구조도 실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측부고정대(50)는,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축 고정되어 그 전면케이싱(10)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되는 선회고정아암(51)을 구비하고, 상기 각 선회고정아암(51)의 단부에는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측부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5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이탈방지돌기(52)의 마주보는 내측면상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53)가 부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측부고정대(50)는 그 축에 스프링(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안착홈(14)쪽으로 선회하면서 탄성 복원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가 편리하도록 선회되지 않는 고정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60)는, 상기 배면케이싱(20)의 외측면상에 체결되는 나사축(61a)이 형성된 소정 직경의 볼(61)과, 상기 볼(61)을 감싸며 상호 마찰 접촉되면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자유 회전 및 그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원통형의 소켓(62)으로 구성되는 볼 조인트(Ball joint)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소켓(62)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장착부(7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63)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70)는, 일측으로 미세하게 만곡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별도의 체결나사(76)을 체결하기 위한 관통공(도면부호는 기재하지 않음)을 갖는 돌출면(72)이 형성되어 어느 한 면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면(72)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개홈(73)이 형성되어 그 절개홈(73)을 통해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부착 부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굽힐 수 있는 탄성 재질(예컨대, 금속재질)의 밀착판(71)과, 상기 밀착판(71)의 돌출면(72) 상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방향조절부(60)의 회전위치 고정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방향조절부(60)와 장착부(70) 간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가압연결구(75)와, 상기 방향조절부(60)와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나비나사 형상의 죔나사(74)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밀착판(71)을 차체 패널의 곡면 형상에 맞게 구부린 후 절개홈(73)을 통해 복수의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연결구(75)는 방향조절부(60)의 소켓(62) 내에 삽입되어 볼(61)과 접촉하면서 상기 볼(61)에 마찰저항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부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볼 가압면(75a)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압연결구(75)의 외주면 중 죔나사(74)와 접촉되는 일부 구간에는 그 본체의 중앙쪽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죔나사 접촉면(75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죔나사(74)를 죄었을 경우에는 상기 죔나사(74)의 단부가 상기 죔나사 접촉면(75b)을 가압하면서 가압연결구(75)가 밀려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볼 가압면(75a)이 볼(61)과 밀착되고, 상기 죔나사(74)를 풀었을 경우에는 죔나사(74)의 단부가 죔나사 접촉면(75b)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면서 가압 해제됨으로써 상기 볼 가압면(75a)과 볼(61) 간의 간격이 벌어져 상기 볼(61)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방향조절부(60)의 결합 상태가 헐거워 본 고안의 단말기 본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죔나사(61)를 적절히 죄기만 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향조절부(60) 일측의 배면케이싱(20) 측면쪽에 필기구 및 메모지를 거치할 수 있는 홀더(80)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80)는, 필기구의 일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도면부호는 기재하지 않음)가 형성되도록 금속 와이어를 코일 형태로 조밀하게 권취하여 그 권취된 금속 와이어의 간극 사이로 메모지를 끼울 수 있도록 된 홀더본체(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본체(81)의 하단부에는 이로부터 금속 와이어가 연장되어 상기 방향조절부(60)의 나사축(61a) 상에 걸릴 수 있도록 된 후크(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부(60)의 나사축(61a) 상에는 상기 홀더본체(81)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더고정휠(83)(84)이 체결되어 상기 후크(82)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죔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부 구조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거치대는 상기 방향조절부(60)에 의해 운전자가 통화하기에 편리한 각도로 절곡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우 쉽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길이를 감안하여 신축고정대(30)를 신장 또는 수축 고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로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의 하부거치턱(45)을 가압하면서 상기 전면케이싱(10)의 전면과 신축고정대(30)의 상부거치턱(35)상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및 상단부가 각각 맞닿게 한 후 가압 해제하면, 상기 착탈신축조절대(40)가 인장스프링(47)의 탄성에 의해 상향 복원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하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방향은 측부고정대(50)에 의해 밀착지지 또는 이격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전면케이싱의 상, 하부에 신축조절이 가능한 부재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크기의 단말기도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종전의 자력을 이용한 부착방식이 갖는 자기장 발생에 의한 통화 불량 및 기기고장 등의 문제점을 기구적인 방식으로 해결하여 잔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기구 및 메모지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중의 통화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부가적인 편의성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인쇄회로기판 및 스피커 등의 장치부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외측면으로 스피커 통공이 형성된 배면케이싱;
    상기 배면케이싱의 일측으로 각각 인출된 가요성의 마이크로폰 및 커넥터;
    상기 배면케이싱의 외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체결용 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면케이싱의 위치를 임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향조절부;
    상기 방향조절부에 결합되어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배면케이싱의 전면을 밀폐함과 아울러 외측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착되는 전면케이싱;
    상기 전면케이싱의 길이방향 일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고정할 수 있는 신축고정대; 및
    상기 전면케이싱의 길이방향 타단부 내측으로 수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시 신장된 후 탄성적으로 수축 복원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착 고정시켜주는 착탈신축조절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싱의 양측에는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측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측부고정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고정대는, 상기 전면케이싱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도록 축 고정되어 그 전면케이싱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되는 선회고정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각 선회고정아암의 단부에는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측부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이탈방지돌기의 마주보는 내측면상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가 부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배면케이싱의 외측면상에 체결되는 나사축이 형성된 소정 직경의 볼과, 상기 볼을 감싸며 상호 마찰 접촉되면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자유 회전 및 그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소켓으로 구성되는 볼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일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체결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돌출면이 어느 한 면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면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그 절개홈을 통해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부착 부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굽힐 수 있는 탄성 재질의 밀착판;
    상기 밀착판의 돌출면 상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방향조절부의 회전위치 고정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방향조절부와 장착부 간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가압연결구; 및
    상기 방향조절부와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죔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고정대는,
    상기 전면케이싱 상부의 출몰공을 통해 그 내측으로 하향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접촉 승강이동하는 고정대 본체;
    상기 출몰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고정대 본체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부를 걸어주는 상부거치턱;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거치턱의 저면에 부착된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
    상기 고정대 본체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각 단부에 래칫돌기가 외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반복 형성된 다수의 래칫홈을 타고 요동하면서 단속적으로 위치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래칫레버; 및
    상기 고정대 본체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몰공을 통해 고정대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대 본체의 승강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멈춤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싱 내측의 가이드레일 전면에는 상기 신축고정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할 때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고정대 덮개판이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신축조절대는,
    상기 전면케이싱 하부의 출몰공을 통해 그 내측으로 상향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접촉 승강이동하는 조절대 본체;
    상기 출몰공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조절대 본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를 걸어주는 하부거치턱;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거치턱의 상면에 부착된 소정 두께의 안착패드;
    상기 전면케이싱 하단부의 출몰공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몰공을 통해 조절대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조절대 본체의 승강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하한멈춤턱; 및
    상기 하부거치턱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부로 하향 가압하여 거치한 후 상기 조절대 본체가 원위치로 상향 복원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싱의 내측면과 상기 조절대 본체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대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하한멈춤턱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진 접촉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 일측의 배면케이싱 측면쪽에는 필기구 및 메모지를 거치할 수 있는 홀더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필기구의 일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와이어를 코일 형태로 조밀하게 권취하여 그 권취된 금속 와이어의 간극 사이로 메모지를 끼울 수 있게 형성한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방향조절부의 나사축 상에 걸 수 있도록 된 후크; 및
    상기 홀더본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조절부의 나사축 상에 체결되어 상기 후크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죔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홀더고정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10000286U 2001-01-05 2001-01-05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0226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86U KR200226357Y1 (ko) 2001-01-05 2001-01-05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86U KR200226357Y1 (ko) 2001-01-05 2001-01-05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57Y1 true KR200226357Y1 (ko) 2001-06-15

Family

ID=7309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286U KR200226357Y1 (ko) 2001-01-05 2001-01-05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637B1 (ko) 2010-11-11 2012-11-05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KR200468243Y1 (ko) * 2012-04-17 2013-08-01 주식회사 강일무역 거치대가 구비된 스피커
KR101414385B1 (ko) * 2012-07-09 2014-07-01 김성민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CN109348025A (zh) * 2018-11-26 2019-02-15 广州美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手机支架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637B1 (ko) 2010-11-11 2012-11-05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KR200468243Y1 (ko) * 2012-04-17 2013-08-01 주식회사 강일무역 거치대가 구비된 스피커
KR101414385B1 (ko) * 2012-07-09 2014-07-01 김성민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CN109348025A (zh) * 2018-11-26 2019-02-15 广州美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手机支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006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peripheral accessories of portable computer
JPS59158001A (ja) ポ−タブルブツクライト
DE69735490D1 (de) Klammer als halterung für einen wundsperrer
WO2001091449A3 (en) Portable vehicle video system
MX173201B (es) Soporte para telefono
US6272362B1 (en) Hand-free handset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in an automobile
CA2364762A1 (en) Third hand for a flashlight
KR20022635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US2310032A (en) Telephone fixture
ATE423536T1 (de) Körperstützsystem für patienten
KR101752195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커버에 설치되는 핸드폰 홀더 거치대
SE0202969L (sv) Förankringsorgan
KR20180005417A (ko) 천장 부착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EP1373663A4 (en) ROOF SCAFFOLDING CONSOLE
US5669694A (en) Self activated keyboard illuminator and accessory
WO2003102468A2 (en) Articulated, adjustable stand having a wheel
KR200210403Y1 (ko) 휴대폰용 거치대
JPS60148258A (ja) 電話機の送受器スタンド
CA2292977A1 (en) Length adjustable belt tensioning arm
CN212231522U (zh) 简易型电子产品用支架
AU2971995A (en) Doll stand
CN219761042U (zh) 一种具有录音功能的桌面调音台
JPH06318884A (ja) 携帯無線機およびその取付構造
AUPR430601A0 (en) Improved safety stirrup
KR200426269Y1 (ko) 휴대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