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56Y1 -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56Y1
KR200226356Y1 KR2020010000278U KR20010000278U KR200226356Y1 KR 200226356 Y1 KR200226356 Y1 KR 200226356Y1 KR 2020010000278 U KR2020010000278 U KR 2020010000278U KR 20010000278 U KR20010000278 U KR 20010000278U KR 200226356 Y1 KR200226356 Y1 KR 200226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display unit
guide
terminal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이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섭 filed Critical 이주섭
Priority to KR2020010000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5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확인 가능한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키패드 및 마이크 등이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폴딩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 상단부에 힌지결합되며, 면상에는 디스플레이부 노출을 위한 윈도우가 구비된 폴더와; 상기 폴더의 윈도우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폴더와 단말기 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폴더의 윈도우 내측에 위치하며, 폴더의 개폐시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폴더의 회동방향과 반대로 회동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표시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folder-type mobile terminal for exposing display under folding condition}
본 고안은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가 닫힌 상태(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표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디지털 폰, 셀룰라 폰, 피씨에스 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장치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현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타입(bar-type)의 휴대용 단말기가 보편화 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타입(flip-type)의 휴대용 단말기가 일반화 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 타입과 폴더 타입(folder-type)의 휴대용 단말기가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향후에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또는 더욱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가 각광받을 것이다.
통상적인 플립 타입 휴대용 단말기이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가 일반화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립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플립이 다수개의 키들을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플립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플립 요소에 마이크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본체 소형화에 유리하다.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키패드를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에 스피커장치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소형화에 대단히 유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통상적인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1)는 본체(2)와, 폴더(3)와, 본체(2)와 폴더(3)를 연결시키는 힌지장치(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더(3)에는 스피커장치 (3b)와 디스플레이부(3a)가 장착되고, 본체(2)에는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2a)가 설치되어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본체(2)의 최하단에 마이크장치(2b)가 위치한다.
이러한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1)는 폴더(3)가 닫힌 경우에 디스플레이부 (3a)가 숨겨지는 구성이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데이터 출력수단인 디스플레이부(3a)에 표시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필수적으로 폴더(3)를 본체(2)에서 연 다음에 확인하여 왔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번거로운 요인이 되었다. 특히, 수신감도를 알 수 있는 안테나 바나 배터리 잔유용량을 알 수 있는 배터리 잔량 표시용 바 등은 자주 확인하여야 할 사항이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매번 폴더(3)를 열어야 하는 것은 배터리 소모를 증가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안테나 바 등을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표시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서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폴더가 닫힌 상태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더가 열린 상태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단말기 본체 23 : 디스플레이 수용홈
24 : 키패드 25 : 안내홈
26 : 안내돌기 30 : 폴더
34 : 윈도우 40 : 디스플레이부
42 : 안내로드 44 : 안내수용홈
46 : 상향안내홈 52 :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
54 : 안내장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패드 및 마이크 등이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폴딩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 상단부에 힌지결합되며, 면상에는 디스플레이부 노출을 위한 윈도우가 구비된 폴더와; 상기 폴더의 윈도우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폴더와 단말기 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폴더의 윈도우 내측에 위치하며, 폴더의 개폐시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폴더의 회동방향과 반대로 회동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폴더가 닫힌 상태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더가 열린 상태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말기 본체(20)와 폴더(30)와 디스플레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내부 하측으로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24)가 위치한다. 상기 키패드(24)는 번호키, 전원키, 기능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키들의 입력동작으로 데이터가 원하는 대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내부 최하단에는 마이크 장치(22)가 설치된다.
상기 폴더(30)는 내부 최상단에 수신용 스피크 장치(32)가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20) 상단부에 힌지결합된다. 상기한 힌지결합으로 상기 폴더(30)는 상기 단말기 본체(20)와 힌지결합축(2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단말기 본체(20)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폴더(30)의 면상에는 윈도우(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34)는 통공된 상태로서 상기 폴더(30)와 상기 단말기 본체(20)가 폴딩시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윈도우(34)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폴더(30)의 윈도우(34)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폴더(30)의 개폐시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힌지부(36)를 중심으로 폴더(30)의 회동방향과 반대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폴더(30)를 상기 단말기 본체(20)로부터 개방하면, 상기 본체(20)의 상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폴더(30)를 상기 단말기 본체(20)와 폴딩하면, 상기 본체(20)의 하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힌지부(36)를 중심으로 폴더(30)의 회동방향과 반대로 회동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폴더(30)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폴더(30)와 상기 본체(20)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폴더(30)와 상기 본체(20)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됨으로 본 고안의 사용자가 폴더(30)를 개방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수용홈(23)을 더욱 구비하여, 상기 폴더(30)를 단말기 본체(20)에 폴딩시켰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홈(23)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폴더(30)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홈(23) 내측 영역에는 키패드(24)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단말기 본체(20)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내부 하측에 키패드(24)를 설치할 수 없거나 키패드(24)를 모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키패드(24)를 모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용홈(23) 내측 영역에 키패드(24)를 설치하는 대신 또는 키패드(24)의 설치와 함께 보조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보다 확대하여 사용하는 결과가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부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데이터와 연속적인 내용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데이터와 다른 내용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면상에는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정보를 가리지 않게 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폴더(30)를 개방했을 때 뿐만 아니라 폴딩 상태에서도 IMT2000 등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통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단말기 본체(20) 및 디스플레이부(40) 상에는 상기 폴더(30)를 개폐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단말기 본체(20)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가장자리 양측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안내홈(25)과, 상기 디스플레이부(40)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25)에 위치하는 안내돌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수단으로써 상기 폴더(30)가 개폐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내측 영역에 설치된 키패드(24) 및/또는 보조디스플레이부와 간섭함을 방지한다.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단말기 본체(20) 길이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 진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0)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 하단부에는 안내로드(42)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로드(4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내부 하측 양측에 구비되는 안내수용홈(44)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써, 상기 폴더(30)가 개폐할 때 상기 안내로드(42)는 상기 안내수용홈(44) 내를 진퇴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안내로드(44)와 결합하는 회전축(43)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내측 영역에 설치된 키패드(24) 및/또는 보조디스플레이부와 간섭함이 방지된다.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단말기 본체(20) 길이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안내로드(42)의 끝단부는 걸림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수용홈(44)에는 걸림턱(47)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로드(42)가 상기 안내수용홈(44)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0)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 저면에는 안내장공(54)과, 상기 안내장공(54)내에 설치되어 폴더(30) 개폐방향에 따라 상기 안내장공(5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대로 이동하는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는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가장자리 양측에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20) 상단부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안내홈(46)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폴더(30)가 개폐할 때 상기 안내로드(52)는 상기 상향안내홈 (46)을 따라 상향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장공(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폴더(30)의 개폐방향과 반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상향안내홈(46) 뿐만 아니라 안내장공(54)에서도 이동하게 되므로 상향안내홈(46)의 길이가 짧아도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용이하게 상기 단말기 본체(20)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내측 영역에 설치된 키패드(24) 또는 보조디스플레이부와 간섭함이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단말기 본체(20) 길이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의 끝단부는 걸림부(53)를 형성하고, 상기 상향안내홈(46)에는 걸림턱(55)을 형성하여 상기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가 상기 상향안내홈(46)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폴더(30)를 단말기 본체 (20)와 폴딩시에는 상기 폴더(30)에 형성된 윈도우(34)를 통해 폴더(30)를 개방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폴더(30)의 윈도우(34)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폴더(30)를 단말기 본체(20)로부터 개방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단말기 본체(20)의 상단부측으로 단말기 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힌지부(36)를 중심으로 폴더(30)의 회동방향과 반대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본체(20)의 상단부측으로 단말기 본체 (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하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수용홈(23)의 내측 영역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키패드(24) 및/또는 보조디스플레이부(40)가 나타나게 되어, 상기 키패드(24) 및/또는 보조디스플레이부(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단말기 본체 (20)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가장자리 양측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안내홈(25)에 끼워진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하단부에 설치된 안내돌기(26)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0)와 폴더(3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36)는 상기 폴더(30)가 개방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30)와 상기 단말기 본체(20)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이 위치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폴더(30)를 개방시에 단말기 본체(20)의 내부 하측 가장자리에 양측에 구비되는 안내수용홈(44)을 따라 상기 안내수용홈(44) 내에 위치하는 안내로드(42)가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안내로드(42)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40)는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폴더(30)와 상기 단말기 본체(20)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로드(42)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부(45)와 상기 안내수용홈 (44)에 형성된 걸림턱(47)에 의해 상기 안내로드(42)가 상기 안내수용홈(44)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폴더(30)를 개방시 단말기 본체(20)의 디스플레이 수용홈(23) 가장자리 양측에 구비되며 단말기 본체(20) 상단부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안내홈(46)을 따라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는 디스플레이부(40) 저면에 구비되는 안내장공(54)내에서 폴더(30) 개방방향과 반대로 상기 안내장공(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폴더(30)와 상기 단말기 본체(20)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부(53)와 상기 상향안내홈(46)에 형성된 걸림턱(55)에 의해 상기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52)가 상기 상향안내홈(46)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안테나 바 등을 포함하는 표시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표시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폴더를 개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키패드 및 마이크 등이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폴딩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 상단부에 힌지결합되며, 면상에는 디스플레이부 노출을 위한 윈도우가 구비된 폴더와;
    상기 폴더의 윈도우 양측면에 힌지결합되어 폴더와 단말기 본체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폴더의 윈도우 내측에 위치하며, 폴더의 개폐시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폴더의 회동방향과 반대로 회동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폴더를 단말기 본체에 폴딩시켰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더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수용홈 내측 영역에 키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수용홈 내측 영역에 보조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부 상에,
    폴더의 개폐시, 디스플레이부의 단말기 본체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수용홈 가장자리 양측에 구비되는 안내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에 위치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하측 가장자리 양측에 구비되는 안내수용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내수용홈 내에 위치하는 안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수용홈 가장자리 양측에 구비되며 단말기 본체 상단부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안내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저면에 구비되는 안내장공과,
    상기 상향안내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저면의 상기 안내장공 내에 설치되어 폴더 개폐방향에 따라 상기 상향안내홈의 곡률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대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가변형 안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면상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0010000278U 2001-01-05 2001-01-05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KR200226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78U KR200226356Y1 (ko) 2001-01-05 2001-01-05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78U KR200226356Y1 (ko) 2001-01-05 2001-01-05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56Y1 true KR200226356Y1 (ko) 2001-06-15

Family

ID=7309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278U KR200226356Y1 (ko) 2001-01-05 2001-01-05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900B2 (ja)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8090420B2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405490B2 (ja) 移動通信端末機
US7200429B2 (en) Mobile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7193653B2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US7287302B2 (en)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US7450978B2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22817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539919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72019A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KR200226356Y1 (ko) 폴딩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는 폴더 타입휴대용 단말기
KR100570071B1 (ko) 폴더형 휴대폰
KR20030032223A (ko)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10035318A (ko) 듀얼 폴더 타입 휴대폰
KR200205597Y1 (ko) 자동 폴더의 슬라이딩 방식 입력장치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350771Y1 (ko) 힌지장치 및 이 힌지장치를 갖는 휴대폰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75653Y1 (ko) 슬라이딩 기능이 포함된 폴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