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915Y1 - 연등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등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915Y1
KR200225915Y1 KR2020000036575U KR20000036575U KR200225915Y1 KR 200225915 Y1 KR200225915 Y1 KR 200225915Y1 KR 2020000036575 U KR2020000036575 U KR 2020000036575U KR 20000036575 U KR20000036575 U KR 20000036575U KR 200225915 Y1 KR200225915 Y1 KR 200225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grooves
pair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Original Assignee
이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섭 filed Critical 이준섭
Priority to KR2020000036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915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석가탄신일에 주로 사용되는 연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8등분된 위치에 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2개의 종프레임(2)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내향홈(1a)과 2개의 횡프레임(3)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외향홈(1b)을 갖는 한 쌍의 기준프레임(1)과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외향홈(2b)을 갖는 한 쌍의 종프레임(2) 및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내향홈(3a)을 갖는 한 쌍의 횡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등용 조립체{A sectional lotus lantern}
본 고안은 석가탄신일에 주로 사용되는 연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연등제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등은 불교의 행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명기구의 하나로서,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서 많이 사용되고, 일반 장식용 조명기구로도 일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종교적인 문제로 일반용으로 보다는 종교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교적으로 사용되는 연등은 1년중 불교에서 음력으로 사월 초파일 직전에 제작되어 석가탄신일이 지나면 이를 회수하여 별도로 보관하기는 하나, 등 자체가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또 제조되어지는 재료가 초기에는 목재를 이용하였으나, 목재의 경우는 제작에 불편이 있어, 최근에는 철사를 이용하여 제작이되고, 제작된 프레임은 사용시 한지등으로 외면을 봉쇄한 다음 그 내부에 촛불 또는 전등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등은 사용후, 보관하는데 있어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보관상의 불편으로 인하여 상태가 아주 양호한 것을 제외하고는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듬해가 되면 수요에 따라 또 제작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며, 제작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느다란 목편을 일일이 부착하거나, 가느다란 철사를 일일이 꼬아야 하는 문제가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시 조립이 간단하여 제작시간이 절약이 되고, 사용 후, 간단한 분해작업에 의하여 분해를 시킴으로서 보관시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이 편리한 조립식 연등용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립체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부품도
도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립체 사시도
도5는 도4의 부품도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정확하게 8등분된 위치에 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2개의 종프레임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내향홈과 2개의 횡프레임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외향홈을 갖는 한 쌍의 기준프레임(1)과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외향홈을 갖는 한 쌍의 종프레임(2) 및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내향홈을 갖는 한 쌍의 횡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연등용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도1 내지 도3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사시도로서 정확하게 8등분된 위치에 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2개의 종프레임(2)을 내측으로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내향홈(1a)과 2개의 횡프레임(3)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외향홈(1b)을 갖는 한 쌍의 기준프레임(1)과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외향홈(2b)을 갖는 한 쌍의 종프레임(2) 및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내향홈(3a)을 갖는 한 쌍의 횡프레임(3)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등용 조립체는 도 3에 부품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프레임의 조립에 의하여 제조되어 지는 것으로 도 2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내향홈(1a)들과 각 외향홈(1b)가 동일의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2개의 기준프레임(1)을 세운 다음, 각 8개의 외향홈(2b)를 갖는 2개의 종프레임(2)의 외향홈(2b)과 기준프레임(1)의 내향홈(1a)가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한 후, 각 8개의 내향홈(3a)를 갖는 2개의 횡프레임(3)을 상부 및 하부로 부터 끼워 기준프레임(1)의 외향홈(1b) 및 종프레임(2)의 나머지 외향홈(2b)과 맞물리게 끼워줌으로서 간단하게 조립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조립체는 외면에 한지등을 재단 접착하여 줌으로서 연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용이 끝난 연등은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한지를 제거한 후, 8개의 내향홈(3a)를 갖는 2개의 횡프레임(3)을 2개의 기준프레임(1)의 외향홈(1b)로 부터 이탈시켜 조립체로부터 제거한 다음, 8개의 외향홈(2b)를 갖는 2개의 종프레임(2)을 2개의 기준프레임(1)의 내향홈(1a)로 부터 이탈시켜 조립체로부터 이탈시킴으로서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해체작업이 끝난 연등용 조립체의 2개의 기준프레임(1), 2개의 종프레임(2) 및 2개의 횡프레임(3)은 총 6개의 링형상으로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6개를 한 묶음으로 하여 보관함으로서 그 부피가 현저하게 축소될 수 있는 것이며, 그 부피가 작아짐으로 해서 다음 해까지 보관성이 용이해지고, 다음 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재조립하여 사용함으로서 자원의 낭비를 줄일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4는 조립된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조립체의 부품도를 도시한 것으로 조립방법 및 해체방법은 도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나 도 1 내지 도 3과 다른 점은 도 4 및 도 5는 각 프레임이 원형의 상태로되어 있으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은 8각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등용 조립체는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해체후 연등상태가 아닌 분해된 상태로 보관을 할 수 있게되어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반복하여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연등용 조립체에 있어서, 8등분된 위치에 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2개의 종프레임(2)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내향홈(1a)과 2개의 횡프레임(3)을 나란히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4개의 외향홈(1b)을 갖는 한 쌍의 기준프레임(1)과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외향홈(2b)을 갖는 한 쌍의 종프레임(2) 및 8등분된 위치에 8개의 내향홈(3a)을 갖는 한 쌍의 횡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2개의 기준프레임(1), 2개의 종프레임(2) 및 2개의 횡프레임(3)이 8각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용 조립체.
KR2020000036575U 2000-12-27 2000-12-27 연등용 조립체 KR200225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75U KR200225915Y1 (ko) 2000-12-27 2000-12-27 연등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75U KR200225915Y1 (ko) 2000-12-27 2000-12-27 연등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915Y1 true KR200225915Y1 (ko) 2001-06-01

Family

ID=7309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575U KR200225915Y1 (ko) 2000-12-27 2000-12-27 연등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9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440B1 (en) Structure of formative lighting fixtures
US20090196050A1 (en) Lighting fixture with modularized lampshade
KR100927479B1 (ko) 부착형 조명구
USD490181S1 (en) Ceiling lighting fixture
KR200225915Y1 (ko) 연등용 조립체
CN206723867U (zh) 一种磁铁式组装的led灯
US6652126B2 (en) Structure of a foldable lampshade
USD575438S1 (en) Lighting fixture
KR200445596Y1 (ko) 조립이 용이한 연꽃등
KR200385719Y1 (ko)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고정구
KR200480964Y1 (ko) 조립식 전등갓
CN209977948U (zh) 一种可组装式灯笼
CN205372243U (zh) 一种带装饰灯条的结构多变led路灯
CN214840594U (zh) 几何灯罩结构
CN215001270U (zh) 一种吊灯
CN212929906U (zh) 一种易组装灯罩卡扣
KR0139107Y1 (ko) 조명등용 지지후레임
CN219389443U (zh) 一种灯
KR200374970Y1 (ko) 연등
CN211475881U (zh) 一种景观灯
CN210424780U (zh) 一种新型景观灯
CN220453505U (zh) 灯笼
KR200200470Y1 (ko) 이동식 장식등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KR200334667Y1 (ko) 제작이 용이한 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