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645Y1 - A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645Y1
KR200225645Y1 KR2020000035971U KR20000035971U KR200225645Y1 KR 200225645 Y1 KR200225645 Y1 KR 200225645Y1 KR 2020000035971 U KR2020000035971 U KR 2020000035971U KR 20000035971 U KR20000035971 U KR 20000035971U KR 200225645 Y1 KR200225645 Y1 KR 200225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holder
r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9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경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6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645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끼워진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의 고정홀더에 록킹된 단말기 본체의 언록킹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된 훅크 고정홈으로 단말기 고정홀더의 훅크가 끼워져 단말기 본체가 록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록킹된 단말기 본체가 단말기 고정홀더에 언록킹되도록 끼움 결합된 훅크를 이탈시키는 언록킹 수단이 구비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fixing holder with a hook fix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terminal body in order to facilitate unlocking of the terminal body locked to the fixed holder of the clip-type terminal fixture fitted to the user's waistb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the terminal body is locked, the locking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unlocking means for releasing the hook which is fitted to unlock the terminal bod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phone}Mobile terminal {A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끼워진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의 고정홀더에 고정된 단말기 본체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fixed to the fixed holder of the clip-type terminal fixture fitted to the user's waistban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도중에 통화 가능 및 각종 데이터 전송, 쌍방향 문자송수신,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편리성에 의해 널리 보급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due to various conveniences, such as being able to make calls and transmit various data, two-way tex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nternet search while moving.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옷의 주머니 또는 가방속에 넣어 보관을 하고 있다가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를 위해 꺼내 사용하고 있으나, 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보관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관 및 꺼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왔다.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usually stored in a pocket or bag of clothes and used to take out a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but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inconvenient to take ou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d in a pocket or bag.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communication terminals.

이러한 시도들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보관하기 위한 목걸이형 단말기 고정구가 제안되었으며, 사용자의 허리띠에 걸어 보관하기 위한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 등이 있다.As such attempts, a necklace-type terminal fixture for keep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a user's neck has been proposed, and a clip-type terminal fixture for holding a user's waistband is included.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의 허리띠에 걸어 보관하기 위한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upled to a clip type terminal fixture for keeping a user's waist bel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flip)형으로 전면 케이스(2)와 후면 케이스(3)가 서로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를 형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lip type, and the front case 2 and the rear case 3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terminal body 1.

상기 전면케이스(2)에는 LCD 패널(3)과 다수개의 메뉴키(4), 덮개(7), 송/수신부(5,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케이스(3)에는 배터리 팩(9)이 결합되며 양측벽면(8a)으로 후술하는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11)의 훅크(17a,17b)가 끼워지는 훅크 고정홈(10)이 각각 형성된다.The front case 2 is formed with an LCD panel 3, a plurality of menu keys 4, a cover 7,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nd 6, and the rear case 3 has a battery pack 9 The hook fixing grooves 10 to which the hooks 17a and 17b of the clip-type terminal fasteners 11 to be described later are fitted to both side wall surfaces 8a, respectively.

그리고,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11)는 단말기 본체(1)를 사용자의 허리띠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띠에 끼워 고정되는 벨트 클립(12)과 고정 홀더(14)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lip-type terminal fastener 11 is for fixing the terminal body 1 to the user's waistband, and includes a belt clip 12 and a fixing holder 14 fixed to the user's waistband.

상기 벨트 클립(12)에는 후술하는 고정홀더(14)의 수돌기부(15)와 자웅 결합되는 암홈(13)이 형성된다.The belt clip 12 is formed with a female groove 13 which is mated to the male protrusion 15 of the fixing holder 1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 홀더(14)에는 일단에 벨트 클립의 암홈(13)과 자웅 결합되는 수돌기부(15)가 형성되고, 타단에 후면 케이스의 훅크 고정홈(10)에 끼워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를 고정하는 훅크(17)가 서로 내측으로 대향되게 각각 돌설된 날개부(16)로 구성된다.The fixing holder 14 has a protruding portion 15 which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female groove 13 of the belt clip at one end thereof, and is fitted into the hook fixing groove 10 of the rear case at the other end thereof so that the terminal body 1 is connected thereto. The hook 17 to fix is comprised by the wing part 16 which respectively protruded so that it may oppose each other inward.

도 2 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클립형 고정구의 결합을 설명하면, 먼저, 벨트 클립(12)과 고정 홀더(14)를 상호 자웅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벨트 클립(12)에 허리띠(미도시)를 끼우고, 단말기 본체의 후면 케이스(8)에 형성된 훅크 고정홈(10)으로 고정 홀더의 훅크(17a,17b)를 각각 끼움 결합하면 단말기 본체(1)가 록킹되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2,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lip-type fastener are coupled to each other.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clip 12 and the fixing holder 14 ar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user may wear a belt around the belt clip 12. (Not shown), the hook body (17a, 17b) of the fixed holder with the hook fixing groove 10 formed in the rear case 8 of the terminal body, respectively, the terminal body 1 is locked and coupled.

이와 같이 고정 홀더(14)에 결합된 단말기 본체(1)의 분리는 먼저,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고정 홀더의 일측 날개부(16)를 바깥쪽으로 젖히면 훅크(17a)가 훅크 고정홈(10)에서 이탈하게 되어 단말기 본체(1)가 언록킹되고, 다른 한손으로 단말기 본체(1)를 들어올리면 분리가 완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body 1 coupled to the fixed holder 14 is first separated by the user by using one hand to fold one side wing portion 16 of the fixed holder outward so that the hook 17a is hook fixed groove 10. The terminal main body 1 is unlocked and the terminal main body 1 is lifted by the other hand and the separation is completed.

그러나,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 홀더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고정 홀더의 파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xing holder is broke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fixing holder.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홀더의 날개를 손으로 젖히는 과정에서 홀더 자체의 탄성한계 이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날개가 부러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excessive force beyond the elastic limit of the holder itself in the process of flipping the wing of the holder by hand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ng is broken.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홀더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여 날개를 젖혀야 하는 사용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terminal hold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e that a user must flip his wings using his han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 홀더의 날개를 손으로 젖히지 않더라도 단말기 홀더에서 손쉽게 분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easily separated from a terminal holder even when the user does not lift the wing of the terminal holder by hand.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된 훅크 고정홈으로 고정홀더의 훅크가 끼워지면 단말기 본체가 고정홀더에 록킹되어 결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록킹된 단말기 본체가 언록킹되어 고정홀더에서 분리되도록 끼움 결합된 훅크를 이탈시키는 언록킹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k fix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terminal body when the hook of the fixed holder is fit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ked and coupled to the fixed holder, the locked The terminal body is unlock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nlocking means for leaving the hook is fitt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ed holder.

상기 언록킹수단은 후면 케이스 일측벽면에 형성된 푸쉬버튼과, 후면 케이스의 일측벽면에 천공되어 단말기 고정홀더의 훅크가 끼워지는 훅크 고정공과,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어 푸쉬버튼이 눌려지면 회전하면서 훅크 고정공에 끼워진 훅크를 밀어내는 회전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nlocking means includes a push button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rear case, a hook fixing hole which is drilled on one side wall of the rear case, and the hook of the terminal fixing holder is fitted, and is rotate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inside the rear case. It includes a rotary lever for pushing the hook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의 결합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lip-type terminal fixture.

도 2 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lip-type terminal fixture coupled;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6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chmen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lip-type terminal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20 : 단말기 본체 2 : 전면 케이스1, 20: terminal body 2: front case

8, 21 : 후면 케이스 10,23 : 훅크 고정홈8, 21: rear case 10, 23: hook fixing groove

11 : 클립형 단말기 고정구 12 : 벨트 클립11: clip-type terminal fixture 12: belt clip

14 : 고정홀더 17 : 훅크14: fixed holder 17: hook

22 : 훅크 고정공 25 : 푸쉬버튼22: hook fixing hole 25: push button

26 : 회전레버26: rotating le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케이스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 케이스(2)와 후면 케이스(21)가 서로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20)를 형성한다.As show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ase 2 and the rear case 21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terminal body 20.

상기 전면케이스(2)에는 LCD 패널(3)과 다수개의 메뉴키(4), 덮개(7), 송/수신부(5,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21)에는 배터리 팩(9)이 결합된다.The front case 2 is formed with an LCD panel 3, a plurality of menu keys 4, a cover 7,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nd 6, and a battery pack 9 in the rear case 21. Is combin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정홀더(14)에 록킹되어 결합된 단말기 본체(20)를 언록킹시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언록킹 수단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nlocking means for unlocking and detaching the terminal main body 20 which is locked and coupled to the fixed holder 14.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언록킹 수단은 후면 케이스의 일측벽면(21a)에 푸쉬버튼(25)을 형성하고, 후면 케이스의 일측벽면(21a)에 고정홀더의 훅크(17a)가 끼워지는 훅크 고정공(22)을 형성하고, 후면 케이스의 내측(21c)에 위치되어 푸쉬버튼(25)이 눌려지면 회전하면서 훅크 고정공(22)에 끼워진 훅크(17a)를 밀어내는 회전레버(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unlocking means forms a push button 25 on one side wall surface 21a of the rear case, and the hook fixing 17 to which the hook 17a of the fixing holder is fitted on one side wall surface 21a of the rear case. The rotating lever 26 is formed to form a ball 22 and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21c of the rear case to push the hook 17a fitted to the hook fixing hole 22 while rotating when the pushbutton 25 is pressed. It is done by

여기서, 상기 훅크 고정공(22)은 후면 케이스의 일측벽면(21a)에만 천공되고, 후면 케이스의 타측벽면(21b)에는 훅크(17b)가 끼움 결합되는 훅크 고정홈(23)이 형성된다.Here, the hook fixing hole 22 is drilled only on one side wall surface 21a of the rear case, and the hook fixing groove 23 to which the hook 17b is fit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surface 21b of the rear case.

상기 회전레버(26)는 일단이 푸쉬버튼(25)의 후단에 위치되고, 타단이 훅크 고정공(22)에 삽입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26)의 고정은 전면 및 후면 케이스(2,21)를 서로 스크류 결합시키기 위해 후면 케이스의 내측(21c)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스크류 보스(24)의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rotary lever 26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ush button 25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hook fixing hole 22. In addition, the fixing of the rotary lever 26 is rotatably fixed to any one of the screw boss (24) formed in the inner side (21c) of the rear case to screw the front and rear cases (2, 21) to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클립형 고정구의 분리및 결합을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lip-typ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5 에 도시된 것은 고정홀더의 날개부에 형성된 훅크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훅크 고정공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ok formed on the wing of the fixed holder is fitted into the hook fixing ho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푸쉬버튼을 누르면 도 6 과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sing the push button switches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6.

즉, 푸쉬버튼(25)이 눌려지면 회전레버(26)의 일단은 뒤로 밀리면서 스크류 보스(24)를 중심점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회전레버(26)의 타단은 훅크 고정공(22)에 끼움 결합된 훅크(17a)를 바깥쪽으로 밀어낸다.That is, when the push button 25 is pressed, one end of the rotary lever 26 is pushed backward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crew boss 24 as the center point,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lever 26 is hook fixed hole. Push out the hook (17a) fitted in the (22) to the outside.

따라서, 훅크(17a)는 훅크 고정공(22)에서 이탈되고, 이에 따라 단말기 본체(20)는 언록킹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hook 17a is detached from the hook fixing hole 22, whereby the terminal main body 20 is unlocked to be in a detachable stat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20)를 고정홀더(14)에 록킹시켜 결합시키고자 할 때, 고정홀더의 훅크(17a)를 훅크 고정공(22)에 끼움 결합시키면 회전레버(26)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 와 같은 상태로 원복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lock the terminal body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ocking the fixed holder 14, the hook 17a of the fixed holder is fitted into the hook fixing hole 22. The rotary lever 26 is then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restored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이때, 고정홀더의 또다른 훅크(17b)는 훅크 고정홈(23)에 끼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other hook 17b of the fixing holder is fitted into the hook fixing groove 23.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형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그외 폴더형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ip-type terminal, it can be applied to other folder-type terminals as wel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고정홀더의 언록킹이 푸쉬버튼의 눌림에 의해 회전레버가 회동하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단말기 고정 홀더의 날개를 손으로 젖히지 않고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단말기 고정홀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locking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terminal fixing holder is made by rotating the rotary lever by pressing the push button, so that the user does not lift the wing of the terminal fixing holder by hand. It can be easily removed and prevents damage to the terminal holder.

Claims (2)

단말기 본체의 후면 케이스에 형성된 훅크 고정홈으로 고정홀더의 훅크가 끼워지면 상기 단말기 본체가 고정홀더에 록킹되어 결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terminal body is locked and coupled to the fixed holder when the hook of the fixed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ok fix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case of the terminal body, 록킹된 상기 단말기 본체가 언록킹되어 상기 고정홀더에서 분리되도록 끼움 결합된 상기 훅크를 이탈시키는 언록킹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unlocking means for releasing the hook to which the locked terminal body is unlock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xed holder. 청구항 1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언록킹수단은 상기 후면 케이스 일측벽면에 형성된 푸쉬버튼과;The unlocking means includes a push button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rear case; 상기 후면 케이스의 일측벽면에 천공되어 상기 단말기 고정홀더의 훅크가 끼워지는 훅크 고정공과;A hook fixing hole drilled in one side wall of the rear case and fitted with a hook of the terminal fixing holder;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푸쉬버튼이 눌려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훅크 고정공에 끼워진 상기 훅크를 밀어내는 회전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rotation lever positioned inside the rear case and rotating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push the hook inserted into the hook fixing hole.
KR2020000035971U 2000-12-21 2000-12-21 A mobile phone KR2002256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71U KR200225645Y1 (en) 2000-12-21 2000-12-21 A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71U KR200225645Y1 (en) 2000-12-21 2000-12-21 A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645Y1 true KR200225645Y1 (en) 2001-06-01

Family

ID=7309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971U KR200225645Y1 (en) 2000-12-21 2000-12-21 A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64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008B2 (en) Buckle with dual locking device
US7261973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flip cover battery compart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215659A1 (en) Connector for portable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0225645Y1 (en) A mobile phone
US20040266498A1 (en) Enclosure for mobile phone with changeable panel
US20070006622A1 (en) Portable key assembly
JPH11150586A (en) Support mechanism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receiver icluding the support mechanism
JP3574863B2 (en) Mobile phone
JP3662842B2 (en) Folding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207434B1 (en) Apparatus for combinating battery with radio telephone
JPH11208A (en) Falling prevention tool for portable item
JP2994264B2 (en) Battery pack holding / remov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s
KR20040038024A (en) Mobile phone having extractible camera
JP2001094650A (en) Structure for fixing str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364981Y1 (en) Mobil Telephone
CN217927893U (en) Dual-purpose intelligent device
CN217593788U (en) Game handle
JPH09273540A (en) Cover opening/closing structure
KR200489722Y1 (en) Wireless earphone
KR100896276B1 (en) Battery locker having side locker butten
JP2833306B2 (en) Electronics
JPH0637875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holder
KR200181391Y1 (en) Belt clamp for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455771B1 (en) A battery locker of mobile phone
JPH0621846A (en) Antenna extra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