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930Y1 -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930Y1
KR200224930Y1 KR2020000034792U KR20000034792U KR200224930Y1 KR 200224930 Y1 KR200224930 Y1 KR 200224930Y1 KR 2020000034792 U KR2020000034792 U KR 2020000034792U KR 20000034792 U KR20000034792 U KR 20000034792U KR 200224930 Y1 KR200224930 Y1 KR 200224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signal
frame
vide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7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토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토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토펙스
Priority to KR2020000034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9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930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화상기기로부터 영상 신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편집 가공 처리하는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물 화상기와 같은 화상기기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컴퓨터(PC)에 저장보관하고;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필요에 따라 편집하여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에 출력하고;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화상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을 반전 및 회전시키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에 필요한 문자를 삽입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의 밝기, 명암 등을 조정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을 컬러 혹은 흑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 범위를 확장시킨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영상신호를 표시하고 영상의 입력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영역(window)과, 영상의 입력 및 저장 수정 편집 등에 사용되는 제어 영역(window)을 컴퓨터 한 화면에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that receives image signals (data) from image devices such as real imagers and video cameras, and processes them, and more particularly, images obtained by image devices such as real imagers. Receive signals (data) and store them in a computer PC; An image signal stored in a computer is edited as necessary and output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printer; Displaying an image shot from an image device such as a video camera on a computer screen; Invert and rotate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Inserting necessary characters into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djust brightness, contrast, etc.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which expands the range of use by enabling adjustment of video images displayed on a screen in color or black and white.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area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nd adjusting an input state of the video, and a control window for inputting, storing, editing, editing, etc. of the video and using the same on a computer screen. A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venience.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사용자의 영상 캡쳐 요구시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현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 또는 개인용 컴퓨터(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한 프레임을 캡쳐하는 프레임 캡쳐부와,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여 프린터에 제공하는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를 연속적으로 PC에 제공하고 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제공하는 PC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video signal input from an image device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such as a real imager into a digital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image output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A frame memory for storing signals and a video signal of one frame currently stored in the frame memory or a personal computer (PC)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when a user captures an image. A frame capture unit for capturing one frame of the provided video signal, a printer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to a printer and providing the printer to the printer, and a video signal in units of frames stored in the frame memory. In the device consisting of a PC interface unit for continuously providing to the PC and the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PC to the frame capture unit, and a memo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rame memory having information about the frame,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삽입하는 문자삽입 처리부와;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영상신호 회전 처리부와;A character insertion processing unit which inserts characters into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by manipulation of the user; An image signal rotation processing unit for rotating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user's manipulation;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밝기, 명암 및 컬러/흑백 등을 조정하는 색상조정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처리부는 상기 PC와 연관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PC에서 상기 각 처리부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lor adjustment processor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contrast, color / monochrome, etc. of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by the user's operation, wherein each processing unit is associated with the PC. Characterized in that the PC is to perform the work associated with each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화상기기로부터 영상 신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편집 가공 처리하는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물 화상기와 같은 영상기기의 영상(신호)을 컴퓨터(PC)와 연결시켜 캡쳐(capture)하고 이를 저장/편집/출력할 수 있으며, 범용의 아날로그 방식의 화상기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컴퓨터(PC)와 연결시켜 일반문서 및 이미지 자료는 물론 입체물 및 동영상까지도 일시정지시켜 캡쳐하고 소정의 화상시스템을 통해 받은 자료를 PC에 저장 및 출력, 편집할 수 있도록 한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data) from an image device such as a real imager and a video camera and editing and proces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n image (signal) of an image device such as a real imager. ) Can be captured and connected to a PC to capture, save / edit / output it, and convert general-purpose analog-type video devices to digital to connect with a PC to provide general documents and image data.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that allows capturing and capturing even stereoscopic objects and moving images, and storing, outputting, and editing data received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system on a PC.

한편,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와 같은 화상기기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컴퓨터(PC)에 저장보관하고;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필요에 따라 편집하여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에 출력하고;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화상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을 반전 및 회전시키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에 필요한 문자를 삽입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의 밝기, 명암 등을 조정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을 컬러 혹은 흑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 범위를 확장시킨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tores the image signal (data) obtained by the image device, such as the real imager in a computer (PC); An image signal stored in a computer is edited as necessary and output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printer; Displaying an image shot from an image device such as a video camera on a computer screen; Invert and rotate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Inserting necessary characters into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djust brightness, contrast, etc.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which expands the range of use by enabling adjustment of video images displayed on a screen in color or black and white.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은 영상신호를 표시하고 영상의 입력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영역(window)과, 영상의 입력 및 저장 수정 편집 등에 사용되는 제어 영역(window)을 컴퓨터 한 화면에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display a video signal and to adjust the input state of the image (window), the input of the image, storage correction editing,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ovides a control window on one screen of a computer to improve its usability.

예를 들어, 화상기기중에서 실물 화상기는 교육현장이나 회의실, 또는 세미나 등에서 시청각 자료로 준비되는 각종 실물의 모습을 그대로 컴퓨터의 화면이나 모니터 혹은 각종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실물 화상기는 통상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비디오 카메라 렌즈와, 비디오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CCD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대해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비디오 카메라 렌즈의 줌밍(zooming)이나 포커싱(focusing) 등을 조정하는 비디오 카메라 렌즈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example, a real imager of an image device is used to store various types of real objects prepared as audiovisual materials in an educational field, a conference room, or a seminar as they are on a computer screen, a monitor, or various storage media. Such a real imager usually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a video camera lens for receiving reflected light from a subject, a charge coupled device (CCD) for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input through the video camera lens,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CCD. And a video camera lens driver for adjusting zooming, focusing, and the like of the video camera lens.

상기와 같은 실물 화상기는 통상적으로 외부의 PC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PC로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영상신호 입력 처리장치와 같은 실물 화상기와 PC를 연결 인터페이스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의 예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163279 및 20-0191942)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된 실물 화상기의 출력데이터 처리장치', '영상캡춰 및 편집장치'란 명칭으로 각각 개재되어 공지되어 있다.Since the real imager generally does not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to an external PC, in order to transmit an image signal to a PC,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n interface between a real imager such as an image signal input processing device and a PC is required. An example of the device is disclosed i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Registration No. 20-0163279 and 20-0191942) under the names 'output data processing device of an actual imager interfaced with a computer' and 'image capture and editing device', respectively. have.

전자의 공지기술(명칭;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된 실물화상기의 출력데이터 처리장치, 이하 '제1 공지기술'이라 약칭한다)은 카메라로부터 독취된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 다음 사용자로부터 인쇄 요구가 있을 경우 현재 저장된 한 프레임의 영상을 프린터에 직접 제공하여 인쇄하도록 하고, 또한 PC로부터 편집되어 실물 화상기로 제공되는 영상도 마찬가지로 프린터를 통하여 인쇄하도록 한다.The former publicly known technology (name; output data processing device of an actual imager interfaced with a comput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first known technology') stores images read from the camera in units of frames and then prints them out from the user. Of one frame currently stored The image is directly provided to the printer to be printed, and the image edited from the PC and provided to the real presenter is similarly printed through the printer.

그리고, 후자의 공지기술(명칭; 영상 캡춰 및 편집장치, 이하 '제2 공지기술'이라 약칭한다)은 실물 화상기에서 촬영된 영상이 컴퓨터용 모니터에 화상 출력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캡춰 명령이 입력될 경우 현재 화상출력되는 영상을 캡춰하여 PC에 저장하거나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atter known technology (name: image capturing and editing apparatus, hereinafter abbreviated as 'second known technology') is used to capture a user's capture comman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by an actual imager to a computer monitor. In this case, the current image output image is captured and stored in a PC or printed through a printer.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공지기술 모두는 실물 화상기의 영상신호를 외부의 PC로 전송하여 실물 화상기의 영상신호가 프린터에 출력되도록 하는 등 실물 화상기의 영상신호가 PC 및 프린터 등에서 이용될 수 있게 하지만, 상기 영상신호에 필요한 문자의 삽입과 영상신호의 컬러/흑백 조정 및 영상신호의 회전처리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사용상 불편한 점과 효율적이지 못한 점이 많이 있었다.By the way, all of the above-described publicly known technologies transmit the video signal of the real imager to an external PC so that the image signal of the real imager can be output to the printer.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and inefficiencies due to failure to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he insertion of characters required for the video signal, color / black and white adjustment of the video signal, and rotation processing of the video signal.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실물 화상기의 영상을 컴퓨터(PC)와 연결시켜 캡쳐(capture)하고 이를 저장/편집/출력할 수 있으며, 범용의 아날로그 방식의 화상기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컴퓨터(PC)와 연결시켜 일반문서 및 이미지 자료는 물론 입체물 및 동영상까지도 일시정지시켜 캡쳐하고 소정의 화상 시스템을 통해 받은 자료를 PC에 저장 및 출력, 편집할 수 있도록 한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capture and store / edit / output the image of the real imager by connecting it to a computer (PC), and convert the general-purpose analog type image device into a digital device. Video signal editing that can be converted to a PC and connected to a PC to pause and capture not only general documents and image data but also stereoscopic objects and videos, and to store, output and edit the data received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system on a PC. The object is to provide a processing apparatu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물 화상기와 같은 화상기기에 의해 얻어진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PC)에 저장보관하고;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필요에 따라 편집하여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에 출력하고;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화상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을 반전 및 회전시키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에 필요한 문자를 삽입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의 밝기, 명암 등을 조정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을 컬러 혹은 흑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이용 범위를 확장시킨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nd store image signals obtained by an image device such as an actual imager in a computer (PC); An image signal stored in a computer is edited as necessary and output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printer; Displaying an image shot from an image device such as a video camera on a computer screen; Invert and rotate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Inserting necessary characters into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djust brightness, contrast, etc.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that expands the scope of use by allowing video or video to be displayed in color or black and whit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신호(데이터)를 표시하고 영상의 입력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window)과, 영상의 입력 및 저장 수정 편집 등에 사용되는 제어 영역(window)을 컴퓨터 한화면에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video signal (data) and to control the input state of the image (window), the control window (window) used for the input and storage of the image editing, editing,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which has improved the usability.

도 1은 본 고안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와 관련되는 일반적인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real imager related to the inventive image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entire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PC 화면의 일실시예도.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PC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실물 화상기 210 : 문자삽입 처리부10: physical imager 210: character insertion processing unit

155 :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 156 : PC용 인터페이스부155: printer interface unit 156: PC interface unit

220 : 영상신호 회전처리부 230 : 색상조정 처리부220: image signal rotation processing unit 230: color adjustment processing unit

250 : 영상신호 윈도우 처리부 260 : 제어 윈도우 처리부250: Image signal window processing unit 260: Control window processing unit

300 : 영상 윈도우 400 : 제어 윈도우300: video window 400: control wind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물 화상기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사용자의 영상 캡쳐 요구시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현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 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 또는 개인용 컴퓨터(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한 프레임을 캡쳐하는 프레임 캡쳐부와,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여 프린터에 제공하는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를 연속적으로 PC에 제공하고 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제공하는 PC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치에 있어서,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video signal input from an image device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to a digital video signal, such as a real imager, and a frame memory for storing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And storing the current image in the frame memor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when the user captures the image. A frame capture unit for capturing a frame of an image signal of one frame or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a personal computer (PC), and an interface for a printer to interface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to a printer and provide the printer to the printer And a PC interface unit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video signal in a frame unit stored in the frame memory to a PC and providing a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PC to the frame capture unit, and having information about the frame. In the device comprising a memo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삽입하는 문자삽입 처리부와;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영상신호 회전 처리부와;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밝기, 명암 및 컬러/흑백 등을 조정하는 색상조정 처리부;를 포함하고,A character insertion processing unit which inserts characters into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by manipulation of the user; An image signal rotation processing unit for rotating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a color adjustment processor configured to adjust brightness, contrast, color / monochrome, etc. of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by the user's operation.

상기 각 처리부는 상기 PC와 연관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PC에서 상기 각 처리부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Each processing unit is associated with the PC, and the us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C is to perform a task associated with each processing uni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PC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상태를 상기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영상 윈도우(window)을 제공하는 영상신호 윈도우 처리부와, 상기 영상 윈도우에 표출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입력/저장/수정/편집하도록 하는 제어 윈도우(window)을 상기 PC의 동일 화면상에 상기 영상 윈도우와 같이 제공하는 제어 윈도우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on the screen of the PC and providing an image window for the user to adjust the input state of the image signal A signal window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window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a control window for allowing the user to input / store / modify / edit the image displayed in the video window on the same screen of the PC as the video window. Includ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와 관련된 일반적인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PC 화면의 일실시예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real imager related to an image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image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PC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실물 화상기(10)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52)와, 사용자의 영상 캡쳐 요구시 마이콤(157)의 제어에 따라 현재 프레임 메모리(152)에 저장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 또는 개인용(Personal) 컴퓨터(17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한 프레임을 캡쳐하는 프레임 캡쳐부(154)와, 프레임 캡쳐부(154)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프린터(160)와 인터페이스하여 프린터(160)에 제공하는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155)와, 프레임 메모리(152)에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를 연속적으로 PC(170)에 제공하고 PC(17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캡쳐부(154)에 제공하는 PC용 인터페이스부(156)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53)를 포함한다.1 to 4, the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prior art, the analog video signal input from an image device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such as the real imager 10, digital video Analog / digital converter 151 for converting the signal, frame memory 152 for storing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51, and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57 when the user captures the image capture request Frame capture unit 154 and frame capture unit 154 for capturing one frame of a video signal stored in the current frame memory 152 or a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personal computer 170. Printer interface unit 155 for interfacing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printer 160 to the printer 160 and providing it to the printer 160, and the image signal in units of frames stored in the frame memory 152. A PC interface unit 156 that continuously provides the PC 170 and provides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PC 170 to the frame capture unit 154, and has information about the frame and controls the frame memory. And a memory controller 153.

또한,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 구성으로서, 도 3의 프레임 캡쳐부(154)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에 사용자가 조작하여 문자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삽입 처리부(210)와, 프레임 캡쳐부(154)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소정각도, 예를 들면 90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 회전 처리부(220)와, 프레임 캡쳐부(154)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의 밝기, 명암 및 컬러/흑백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색상조정 처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각 처리부(210)(220)(230)는 PC(170)와 연관되며 사용자는 PC(170)에서 각 처리부(210)(220)(230)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각 처리부(210)(200)(230)는 PC(17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듈로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s a main featu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sertion processing unit 210 and the frame capture unit 154 to enable the user to insert a character to manipulate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154 of FIG. The video signal captured by the video signal rot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the frame capture unit 154 to rotate the video signal captured by the user to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or adjustment processing unit 230 to be manipulated to adjust the brightness, contrast and color / black and white of the captured image. Here, each of the processing units 210, 220, 230 is associated with the PC 170, and the us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erform a task associated with each processing unit 210, 220, 230 in the PC 170. do. Each processing unit 210, 200, 230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as a program module that is software installed on the PC 170,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더욱이,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캡쳐부(154)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PC(170)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상태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영상 윈도우(300)을 제공하는 영상신호 윈도우 처리부(250)와, 영상 윈도우(300)에 표출된 영상을 사용자가 입력/저장/수정/편집하도록 하는 제어 윈도우(400)를 PC(170)의 동일 화면상에 영상 윈도우(300)와 같이 제공하는 제어 윈도우 처리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어 윈도우 처리부(260)에 의한 제어 윈도우(400)의 각종 제어기능을 마우스 혹은 키보드를 통해 선택하여 영상 윈도우(300)에 표출된 영상을 입력/저장/수정/편집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영상 윈도우 처리부(250)와 제어 윈도우 처리부(260)도 상기한 각 처리부(210)(220)(230)와 마찬가지로 PC(17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154 on the screen of the PC 170 as shown in FIGS. 3 and 4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input state of the image signal. An image signal window processor 250 providing an image window 300 and a control window 400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 store / modify / edit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window 300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PC 17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window processing unit 260 to provide the same as the image window 300 on the screen. Here, the user may input / store / modify / edit the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window 300 by selecting various control functions of the control window 400 by the control window processor 260 through a mouse or a keyboar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ontrol with the image window processor 250 The window processor 26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program module installed in the PC 170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ors 210, 220, and 230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ventive image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고안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와 같이 사용되는 실물 화상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물 배치대(100)상에 자료로 사용할 실물(예를 들면, 3차원적인 형체를 갖는 물건 등)을 올려놓고 카메라(110)에 의해 상기 실물의 영상을 독취하여 각종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본 고안과 같은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에 영상(신호)으로 제공한다. 이때, 조명(120)을 통해 상기 실물의 그림자를 없애거나 밝기를 조절한다. 경우에 따라서, 도 2의 마이크(130)는 현장의 음성이나 음향을 받아들여 출력 분배부(140)로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al imager 10 used as the image signal edi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to be used as a material on the real mounting table 100 (for example, an object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Etc.) and the real image is read by the camera 110 and provided as an image (signal) to various display apparatuses or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lighting 120 removes the real shadow or adjusts the brightness. In some cases, the microphone 130 of FIG. 2 receives the voice or sound of the field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output distribution unit 140.

상기와 같이 실물 화상기(10)에 의한 영상신호가 출력 분배부(140)에 입력되면, 출력 분배부(140)는 현재 실물 화상기(10)의 카메라(110) 및 마이크(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로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80)로 출력할 것인지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하여 출력하게 된다.When the video signal by the real imager 10 is input to the output distribution unit 140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distribution unit 140 is an image currently input from the camera 110 and the microphone 130 of the real imager 10. And whether to output the audio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or the analog signal processor 180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만일, 사용자가 스피커(190)를 통해 음성신호를 곧바로 출력하고, 텔레비젼등의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현재의 강의 내용이나 회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영상이나 음성신호를 VCR 등을 통해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출력 분배부(140)는 카메라(110) 및 마이크(130)의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80)로 제공하게 된다.If the user directly outputs a voice signal through the speaker 190 and wants to display the current lecture content or conference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such as a television, or the like, the video or au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VCR or the like. If you want to record The output distributor 140 may provide outputs of the camera 110 and the microphone 130 to the analog signal processor 18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80)는 스피커(19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고자 한다면, 이를 소정 레벨 증폭시켜 출력하게 되고, 또한 영상신호를 텔레비젼 등의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거나 VCR 등의 저장매체(210)를 통해 저장한다면 그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저장방식에 적합하게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처리한 다음 출력하게 된다.If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180 is to output audio through the speaker 190, it outputs by amplifying a predetermined level, and also to display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such as a television,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VCR. If it is stored through 210, the analog video signal is process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display and storage method thereof.

그러나,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8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프린터(160)를 통해 인쇄되기 위한 적당한 신호가 아님은 물론 PC(170)에서 이용되기 위한 적당한 신호가 아니므로, 즉 디지털화된 신호가 아니므로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However, since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analog signal processor 180 is not a suitable signal for printing through the printer 160 but is not a suitable signal for use in the PC 170, that is, the digitized signal No, the process of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signal is essential.

따라서, 출력 분배부(14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카메라(110)로부터 독취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에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프린터(160)로 제공함과 아울러 PC(170)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이를 처리하게 되는데,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the output distribution unit 140 provide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with the image signal read from the camera 110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processes the analog video signal to be input to the printer 160 and processes it to be displayed as an image through the PC 17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Explain.

출력 분배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의 프레임 메모리(152)에 입력되어 한 프레임 단위로 저정된다. 이때, 메모리 제어부(153)는 입력되는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에 대한 정보, 즉 프레임의 크기에 대한 정보 등을 가지고 있게 되어, 그 프레임의 정보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52)에 정확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의 정보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152)의 저장상태를 제어하게 된다.The analog image signal applied from the output distribution unit 14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mage signal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51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and the converted digital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Is input to the frame memory 152 and stored in units of one frame. At this time, as long as the memory control unit 153 is inputted Information on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that is,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frame, and the like, so that the video signal of the correct one frame can be stored in the frame memory 152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frame. For example, the storage state of the frame memory 152 is controlled by the information of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of the video signal of one frame.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의 프레임 메모리(152)에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는 PC용 인터페이스부(156)를 통해 PC(170)와 인터페이스되어 출력된다. 이때, 프레임 메모리(152)에 저장된 영상신호는 프레임 단위의 연속된 영상이므로, PC(170)의 모니터에는 현재 실물 화상기(10)의 카메라(110)로부터 독취된 영상신호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PC(170)의 모니터를 통해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현재 카메라(110)로부터 독취되는 영상을 인쇄하고자 하여 캡쳐 신호를 입력한다면, 마이콤(157)은 프레임 캡쳐부(154)를 구동시켜 현재 프레임 메모리(152)에 저장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만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인쇄 명령이 발생하면 마이콤(157)은 프레임 캡쳐부(154)를 제어하여 캡쳐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155)를 통해 프린터(160)로 출력함으로써 캡쳐된 영상이 PC(170)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인쇄된다.The frame-based image signal stored in the frame memory 152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is interfaced with the PC 170 through the PC interface unit 156 and output. At this time, since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frame memory 152 is a continuous video in a frame unit, the video signal read from the camera 110 of the real imager 10 is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monitor of the PC 170. If the user inputs a capture signal while printing the image currently read from the camera 110 while the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of the PC 170, the microcomputer 157 drives the frame capture unit 154 to present the image. Only an image signal of one frame stored in the frame memory 152 is accepted. Then, when a print command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 microcomputer 157 controls the frame capture unit 154 to output the captured image signal of the frame to the printer 16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5 for the captured image. It is printed immediately without passing through this PC 170.

사용자로부터 영상 캡쳐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이콤(157)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C용 인터페이스부(156)를 통해 연속적인 영상을 PC(17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PC(170)로부터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입력된다면, 즉 카메라(110)로부터 독취된 한 프레임의 영상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편집되거나 또는 가공된 다른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PC용 인터페이스부(156)로 입력된다면, 마이 콤(157)은 프레임 캡쳐부(154)를 제어하여 PC용 인터페이스부(156)의 한 프레임 영상신호를 인가받도록 한다. 따라서, 프레임 캡쳐부(154)는 PC용 인터페이스부(156)로부터 입력되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캡쳐하여 저장한 다음,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발생하면 마이콤(157)은 프레임 캡쳐부(154)를 제어하여 캡쳐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155)를 통해 프린터(160)로 출력함으로써 PC(17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도 프린터(160)를 통해 인쇄되도록 한다.When the image capture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user, the microcomputer 157 provides the PC 170 with a continuous image through the PC interface unit 156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f a video signal of one frame is input from the PC 170, that is, the video signal of one frame in which an image of one frame read from the camera 110 is edited or process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is displayed on the PC interface unit. If you enter (156), my The comb 157 controls the frame capture unit 154 to receive one frame image signal from the PC interface unit 156. Accordingly, the frame capture unit 154 captures and stores an image of one frame input from the PC interface unit 156, and then, when a print command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 microcomputer 157 controls the frame capture unit 154. By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signal of the frame to the printer 160 through the printer interface unit 155,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PC 170 is also printed through the printer 160.

상기에서 PC(170)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영상신호 윈도우 처리부(260)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영역(300)에 표출되고, 이때 제어영역(400)도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되는데, 사용자는 제어영역(400)에 마련된 각종 (아이콘)버튼을 이용하여 영상영역(300)에 표출된 영상에 문자를 삽입하거나 영상을 회전처리하거나 색상조정을 한다. 즉, 영상영역(300)에 표출된 영상을 사용자가 제어영역(400)에 마련된 아이콘 버튼을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면, 문자삽입 처리부(210)가 이를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영역(300)에 표출된 영상을 사용자가 제어영역(400)에 마련된 아이콘 버튼을 조작하여 소정각도로, 예를 들어 90도 간격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면, 영상신호 회전 처리부(220)가 이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영역에 표출된 영상을 사용자가 제어영역(400)에 마련된 아이콘 버튼을 조작하여 그 색상 및 컬러/흑백을 조정하고자 하면, 색상조정 처리부(230)가 이를 수행한다.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of the PC 170 is displayed in the image region 300 by the image signal window processing unit 260 as shown in FIG. 4, and the control region 400 is also shown in FIG. 4. The user inserts a character in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region 300, rotates the image, or adjusts colors by using various (icon) buttons provided in the control region 400. That is, when the user attempts to input a character by operating the icon button provided in the control area 400 on the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area 300, the character insertion processing unit 210 performs this. If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area 300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by operating an icon button provided in the control area 400, the image signal rotation processor 220 Do this. In addition, when the user attempts to adjust the color and color / monochrome by controlling the icon button provided in the control area 400, the color adjustment processor 230 performs the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area.

한편, 저장매체(210)(예; 컴팩트 디스크 또는 비디오 테이프 등)에 기록된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에 이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에 의하여 곧바로 프린터(160)를 통해 인쇄할 수도 있고, PC(170)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컴팩트 디스크나 비디오 테이프에 저장된 영상을 인쇄하거나 PC(170)에서 이용하고자 한다면, 본 고안에서 적용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에 재생되는 영상신호를 인가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과정을 통해 캡쳐된 영상을 프린터(160)로 인쇄할 수 있고 PC(170)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원거리 전송수단(예; 모뎀 또는 인터넷 등)을 적용하는 경우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캡쳐된 영상을 사용자가 전송을 원하는 원거리의 목적지까지 손쉽게 전송이 가능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프린터(160) 혹은 PC(170)가 접속된 포트에 원거리 전송수단을 접속시킴으로써 가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210 (for example, a compact disc or video tape, etc.) is reproduc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50 immediately It may be printed through the printer 160 or may be used in the PC 170. That is, if you want to print the image stored in the compact disk or video tape or to use in the PC 170, the image captured by the proces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 image signal to be reproduc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50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inted to the printer 160 and used by the PC 170. In addition, when a remote transmission means (for example, a modem or the Internet) is applied, the captured image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50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a remote destination that the user wants to transmit. This is possible by connecting a remote transmission means to a port to which the printer 160 or the PC 170 is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fini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have to be lower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실물 화상기의 영상을 컴퓨터(PC)와 연결시켜 캡쳐(capture)하고 이를 저장/편집/출력할 수 있으며, 범용의 아날로그 방식의 화상기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컴퓨터(PC)와 연결시켜 일반문서 및 이미지 자료는 물론 입체물 및 동영상까지도 일시정지시켜 캡쳐하고 소정의 화상 시스템을 통해 받은 자료를 PC에 저장 및 출력, 편집할 수 있도록 하 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real imager can be captured and connected to a computer (PC) to capture and store / edit / output the digital image of a general-purpose analog device. By connecting to a PC, users can pause and capture not only general documents and image data but also stereoscopic objects and videos, and save, output, and edit the data received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system on a PC. Can benefit.

또한,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와 같은 화상기기에 의해 얻어진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PC)에 저장보관하고;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필요에 따라 편집하여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에 출력하고;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화상기기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을 반전 및 회전시키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에 필요한 문자를 삽입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의 밝기, 명암 등을 조정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물을 컬러 혹은 흑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이용 범위를 확장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tores the image signal obtained by an image device such as a real imager in a computer (PC); An image signal stored in a computer is edited as necessary and output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printer; Displaying an image shot from an image device such as a video camera on a computer screen; Invert and rotate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Inserting necessary characters into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djust brightness, contrast, etc.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bility to adjus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n color or black and white provides the advantage of extending its use range.

더욱이, 본 고안은 영상신호를 표시하고 영상의 입력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영역(window)과, 영상의 입력 및 저장 수정 편집 등에 사용되는 제어 영역(window)을 컴퓨터 한 화면에 같이 제공하여 그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window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and adjusting an input state of the image, and a control window for inputting, storing, editing, editing, etc. of the image together on a screen of a computer. Improve the ease of use.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or variations may be made.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실물 화상기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사용자의 영상 캡쳐 요구시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현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 또는 개인용 컴퓨터(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의 한 프레임을 캡쳐하는 프레임 캡쳐부와,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여 프린터에 제공하는 프린터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를 연속적으로 PC에 제공하고 PC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제공하는 PC용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치에 있어서,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video signal input from an image device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to a digital video signal, such as a real imager, and a frame memory for storing the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And a frame capture unit for capturing one frame of a video signal currently stored in the frame memory or a video signal provided from a personal computer (PC)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upon request of a user to capture an image. A printer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printer to the printer and providing the image signal to the printer; PC interface unit to provide, and the frame In the information it has been made in a memor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rame memory unit,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삽입하는 문자삽입 처리부;A character insertion processor that inserts characters into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by manipulation of the user;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영상신호 회전 처리부;An image signal rot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rotate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user's manipulation;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밝기, 명암 및 컬러/흑백 등을 조정하는 색상조정 처리부;를 포함하고,And a color adjustment processor configured to adjust brightness, contrast, color / monochrome, etc. of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by the user's operation. 상기 각 처리부는 상기 PC와 연관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PC에서 상기 각 처리부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Wherein each processing unit is associated with the PC and the user is configured to Image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a task associated with the proces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신호를 상기 PC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상태를 상기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영상 윈도우(window)을 제공하는 영상신호 윈도우 처리부와,The image signal window processing unit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frame capture unit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PC, and an image signal window processing unit provides an image window for the user to adjust an input state of the image signal. Wow, 상기 영상 윈도우에 표출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입력/저장/수정/편집하도록 하는 제어 윈도우(window)을 상기 PC의 동일 화면상에 상기 영상 윈도우와 같이 제공하는 제어 윈도우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편집가공 처리장치.And a control window processor configured to provide a control window for allowing the user to input / store / modify / edit the image displayed in the video window on the same screen of the PC as the video window. A video signal editing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0034792U 2000-12-12 2000-12-12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KR2002249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92U KR200224930Y1 (en) 2000-12-12 2000-12-12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92U KR200224930Y1 (en) 2000-12-12 2000-12-12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930Y1 true KR200224930Y1 (en) 2001-05-15

Family

ID=7309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792U KR200224930Y1 (en) 2000-12-12 2000-12-12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93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2170A (en) Hand-manipulated electronic camera tethered to a personal computer
US20170078556A1 (en)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camera control method
EP1575277A1 (en) Camcorder
US201200019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 camera configuration in response to switching between modes of operation
JPH10124689A (en) Image recorder/reproducer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129599B2 (en) Video imaging system
US9323496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 image
JP2005203886A (en) Remote conference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KR200224930Y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o editing and controlling video signal
US20050200709A1 (en) Compositio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ou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324446B1 (en) Output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visual presenter interfaced with computer
KR200163279Y1 (en) Output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visual presenter interfaced with computer
JP3295208B2 (en) Electronic still camera
KR1004333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presentation overlay
KR101063405B1 (en) Portable imag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displaying multiple special effect processed images and method thereof
KR100263321B1 (en) Method of controlling video presentor
KR20040090146A (en) Photograph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quisition equipment
JP2002223430A (en) Contents display device
JP2000231400A (en) Image processor
KR20010073815A (e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for lecture room
JP2006238013A (en) Camera device
JPH02238485A (en) Picture projector
JP2000092353A (en) Still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20020070718A (en) A digital still camera having a function of recording audio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