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712Y1 - 막대풍선 - Google Patents

막대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712Y1
KR200224712Y1 KR2020000033758U KR20000033758U KR200224712Y1 KR 200224712 Y1 KR200224712 Y1 KR 200224712Y1 KR 2020000033758 U KR2020000033758 U KR 2020000033758U KR 20000033758 U KR20000033758 U KR 20000033758U KR 200224712 Y1 KR200224712 Y1 KR 200224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bar
coupled
coupling member
ballo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2020000033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712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막대풍선에 관한 것으로서, 긴 막대형의 풍선본체와, 상기 풍선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풍선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풍선본체의 발광에 의해서 전시효과가 높고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도 사용할 있는 막대풍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막대풍선 {Stick-Balloon with Lighting Unit}
본 고안은, 막대풍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홍보용이나 응원용의 조명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막대풍선에 관한 것이다.
막대풍선은, 풍선본체에 응원문구나 혹은 광고문구를 새길 수 있어 선전용이 나 혹은 운동경기시 응원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막대풍선은, 다른 종류의 막대풍선들과 같이 사용될 때는 주변과 구별되는 특성이 없어 선전효과가 감소하고, 특히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는 주변의 조도가 낮아 잘 보이지 않고 전시효과도 현저히 감소되므로, 무용의 응원 및 선전도구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변과 구별되게 전시효과를 높이고,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도 충분히 전시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막대풍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풍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선본체 3 : 공기주입부
5 : 조명유닛 7 : 본체케이싱
9 : 봉합선 11 : 결합부재
13 : 전원공급부 14 : 커넥터
15 : 램프 17 : 배터리
19 : 스위치 21 : 투광막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막대풍선에 있어서, 긴 막대형의 풍선본체와, 상기 풍선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풍선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풍선본체에 수용 결합되는 관상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며 램프 및 전원공급부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호 나사결합되는 것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 풍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막대 풍선은, 막대형 의 풍선본체(1)와, 풍선본체(1)의 일단에 결합되어 풍선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수단을 가진 조명유닛(5)을 포함하고 있다.
풍선본체(1)는 합성수지를 원통형으로 압출하여 제조하고, 양단부 중 일단부를 열융착에 의해 봉합하여 긴 막대형으로 제조한다. 타단부는 풍선본체(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채로 조명유닛(5)과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제조된 풍선본체(1)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풍선본체(1)의 일단부에 형성된 봉합선(9)의 중앙부분에 공기주입부(3)가 부착되어 있다.
도3은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1의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막대풍선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5)은 풍선본체(1)의 개방된 단부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결합부재(11)와, 상기 결합부재(11)와 결합되는 커넥터(14)와 배터리(17)를 수용하는 전원공급부(13)를 갖는 본체케이싱(7)과, 광원으로서 전원공급부(13)에 수용되는 램프(15)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1)는 중앙이 비어있는 관상체로서, 일단이 폐쇄되어 풍선본체(1)의 개방된 단부에 수용되고, 타단은 개방된 채로 풍선본체(1)의 개방된 자유단부를 절곡 수용하며 본체케이싱(7)의 커넥터(14)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11)의 폐쇄된 단부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투광막(2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싱(7)은, 결합부재(11)와 일단이 결합되는 커넥터(14)와, 커넥터(14)의 타단에 연결되고 배터리(17)를 수용하는 전원공급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14)는 중앙이 비어있어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14)는 결합부재(11)와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격된 위치에 외주를 따라 소정 너비의 링 형상으로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후 소정의 높이로 상향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타단은전원공급부(13)와 결합되어 있으며, 커넥터(14)와 전원공급부(13) 사이에는 상호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14)의 플랜지 부분은, 풍선본체(1)의 자유단부를 절곡하여 결합부재(11)에 결합하면, 결합부재(11)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밀봉 결합되는 기능을 한다.
전원공급부(13)는 일단은 개구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된 막대 통형상으로 본체케이싱(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어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전원공급부(13)와 케넥터(14)가 결합되는 영역에는 램프(15)가 수용 설치되어 있고, 전원공급부(13)의 수용공간에는 램프(15)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배터리(17)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3) 외표면에는 램프(15)를 켤 수 있도록 스위치(1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체케이싱(7)의 커넥터(14)에는 결합부재(11)와 결합되는 단부의 외주를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11)에는 내측 벽면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재(11)와 본체케이싱(7)은 견고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막대풍선은, 운동경기에서 응원용으로서 혹은 옥외 광고용으로 막대풍선으로 사용할 때, 조명을 켜고 사용하면 주간에도 풍선의 발광에 의해서 주변의 다른 광고물이나 응원도구들과는 차별되어 시선을 쉽게 끌 수 있고, 어두운 야간에는 풍선본체(1)가 발광체로서 주변을 밝혀주므로, 그 조명에 의해서 주위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어 선전 및 응원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막대풍선은, 주야 구별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조명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는 주변의 시선을 집중시켜 응원 및 선전 등에 현저한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막대풍선은, 대형화하여 공중에 띄우는 옥외 선전매체로도 사용할 수 있고, 모양을 막대형이 아닌, 구형이나 혹은 선전하고자하는 모양에 맞게 도형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유닛(5)의 광원으로서 램프(15)를 사용하는 대신에, 화학적 반응에 의해서 주변을 조명할 수 있는 일회용 간이조명을 전원공급부(13)를 대신하여 부착하거나 혹은 그 내부에 수용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대형의 애드벌룬 형태인 경우, 소형의 배터리 수준으로는 전원공급이 어려우므로, 전원공급원으로서 외부의 독립 전원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공급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풍선본체에 조명유닛을 결합시킴으로써, 선전효과가 높고 조명이 없는 야간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막대풍 선이 제공된다.

Claims (3)

  1. 막대풍선에 있어서,
    긴 막대형의 풍선본체와;
    상기 풍선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풍선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풍선본체에 수용결합되는 관상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며 램프 및 전원공급부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막대풍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KR2020000033758U 2000-12-01 2000-12-01 막대풍선 KR200224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58U KR200224712Y1 (ko) 2000-12-01 2000-12-01 막대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58U KR200224712Y1 (ko) 2000-12-01 2000-12-01 막대풍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712Y1 true KR200224712Y1 (ko) 2001-05-15

Family

ID=7309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758U KR200224712Y1 (ko) 2000-12-01 2000-12-01 막대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7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295B1 (ko) * 2001-12-17 2006-03-03 박원호 엘이디가 구비된 유희용 튜브 제조방법
CN103537100A (zh) * 2012-07-23 2014-01-29 业立全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自发电充气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295B1 (ko) * 2001-12-17 2006-03-03 박원호 엘이디가 구비된 유희용 튜브 제조방법
CN103537100A (zh) * 2012-07-23 2014-01-29 业立全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自发电充气棒
JP2014018675A (ja) * 2012-07-23 2014-02-03 Shoei Shoji Co Ltd 自家発電により発光する応援用発光棒チュー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0063A (en) Illuminated elongated tubular body
US5063700A (en) Fish bait and lure illuminator
US20060250802A1 (en) Interchangeable simulated neon light tube assemblies and related accessories for use with lighting devices
AU2008362483A1 (en) Multipurpose lighting device with electronic glow stick
JP4097927B2 (ja) 車輌用灯具
KR200224712Y1 (ko) 막대풍선
US6280051B1 (en) Combination flashlight and night light
US6948828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ng neon of a predetermined design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299610Y1 (ko) 막대발광풍선
US7614177B1 (en) Modified lighted fishing pole
US5924793A (en) Light illumination system
KR200243666Y1 (ko) 페트병을 이용한 축제용 점멸봉
KR200297500Y1 (ko) 엘이디를 이용한 플렉시블 조명장치
KR101548112B1 (ko) 풍선등
GB2144532A (en) Hazard warning lamp
US11242976B2 (en) Laser nightlight
CN218237169U (zh) 一种展示柜用四面照明灯具
US20040100372A1 (en) Convenience high-brightness breakdown alarm lamp of car
KR200207653Y1 (ko) 조명등
KR840002899Y1 (ko) 광고 선전용 소켓
KR200212615Y1 (ko) 밸브와 결합한 손전등
KR200261244Y1 (ko) 후레쉬 기능을 갖는 라이터
KR19990014879U (ko) 손전등
KR200219283Y1 (ko) 크리스탈 조화
US20050057947A1 (en) Optical fiber device for illuminating floral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