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83Y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83Y1
KR200224383Y1 KR2020000034365U KR20000034365U KR200224383Y1 KR 200224383 Y1 KR200224383 Y1 KR 200224383Y1 KR 2020000034365 U KR2020000034365 U KR 2020000034365U KR 20000034365 U KR20000034365 U KR 20000034365U KR 200224383 Y1 KR200224383 Y1 KR 200224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spiral
longitudinal direction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수창
Original Assignee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8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용기본체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용기절첩용 나선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뚜껑을 사용함으로써 용적의 조절이 간편하고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이 용이하고 탄성적으로 원형 복원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사용을 해도 변형이나 소멸이 되지 아니하는 저장물을 저장하기도 하지만, 사용에 의해 없어지는 저장물을 저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음식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을 음용하게 되면, 용기내의 음식물이 점점 줄어들게 되고, 용기내의 빈 공간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용기내의 빈 공간이 늘어나게 되면, 용기 활용에 효율적이지 못할뿐더러 용기의 휴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휴대가 번거롭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가요성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요성 용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첩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첩선이 지그재그로 절첩되어 용기의 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장물이 많은 경우에는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인장하여 용적을 크게 하여 저장물을 저장하고, 저장물이 줄어들면 용기를 가압하여 용적을 작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요성 용기는 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편리하나, 용적을 변화시킬 때 용기자체의 본래 상태로의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용기를 인장하거나 가압하여야 하므로 용적을 변화시키기가 불편하다. 또한, 가요성 용기는 용기내부에 절첩선에 의해 함몰된 영역에는 저장물의 보관에 의해 오물이 끼는 경우가 발생하며, 가요성 용기의 특성상 오물의 제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위생상 불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첩이 용이하고 오물의 제거가 간편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의 결합시 단면도,
도 3의 a∼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용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3 : 용기본체
4 : 걸림턱 5 : 나선테
6 : 중공 7 : 인장스프링
9 : 노취홈 10 : 뚜껑
11 : 결합구 13 : 공기 유출입밸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통상의 용기본체를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용기절첩용 나선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에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는 나선테 사이에는 판면으로부터 절취된 노취홈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나선테는 중공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벽면으로부터 요입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에 용기절첩용 스프링을 삽입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용기본체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출입밸브를 갖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용기본체(3)와, 용기본체(3)를 기밀하게 차단하는 뚜껑(10)을 갖는다.
용기본체(3)는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용기본체(3)의 입구측에는 그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뚜껑(10)과의 고정을 위한 손잡이 겸용 걸림턱(4)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3)의 외벽면에는 용기본체(3)의 입구측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용기본체(3)의 절첩을 위한 용기절첩용 나선테(5)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절첩용 나선테(5)는 용기본체(3)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용기본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본체(3)를 둘러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절첩용 나선테(5)는 그 단면이 반원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영역에는 나선테(5)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공(6)내에는 통상시에 인장력을 갖는 인장스프링(7)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3)를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면 이웃하는 나선테(5)와 나선테(5) 사이가 절첩되어 용기본체(3)의 용적이 작아지게 되고, 통상시에는 인장스프링(7)에 의해 힘을 받아 용기본체(3)는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용기본체(3)에 결합되는 뚜껑(10)은, 중앙영역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돌출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뚜껑(10)의 연부 영역에는 용기본체(3)의 걸림턱(4)에 걸리는 사각고리 형상의 결합구(11)가 복수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뚜껑(10)의 중앙영역에는, 본원 고안자가 선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는 등록실용신안 88100호에 개시된 공기 유출입밸브(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용기(1)를 이용하여 저장물을 저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물을 용기본체(3)에 수용시키고, 뚜껑(10)을 덮고 결합구(11)를 이용하여 뚜껑(10)을 고정한다. 저장물의 양이 용기본체(3)의 용적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는 용기본체(3)를 하향 가압하여 용기본체(3)가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물의 양에 맞추어 용기본체(3)의 용적을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용기본체(3)를 가압하여 절첩하면 뚜껑(10)에 형성된 공기 유출입밸브(13)를 통해 용기(1)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용기(1)는 진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의 용적으로 용기(1)를 조절함과 동시에 진공상태에서 저장물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저장물을 저장하던 중, 저장물을 인출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공기 유출입밸브(13)를 가압하여 용기(1)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공기의 유입과 동시에 인장스프링(7)의 인장력에 의해 용기본체(3)가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된다. 용기본체(3)가 완전히 인장되어 원형으로 복원되면, 용기본체(3)로부터 뚜껑(10)을 분리하여 저장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용기본체(3)를 가요성으로 형성하여 용기(1)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3)의 용적을 줄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용기본체(3)를 가압해야 하지만 용기본체(3)를 원형으로 복원할 경우에는 단지 공기 유출입밸브(13)로 공기를 유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용기본체(3)의 용적을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그리고, 통상시에는 용기본체(3)가 원형으로 복원되므로, 저장물의 저장으로 인해 절첩영역에 점착되어 있던 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위생상 우수하다. 또한, 유출입밸브(13)를 사용함으로써, 용적을 조절할 수 있는 용기(1)로도 저장물을 진공상태에서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의 외벽면에 이웃하는 나선테(5)와 나선테(5) 사이에 용기본체(3)의 외벽면으로부터 'V'자 형상으로 절취된 노취홈(9)을 형성하고 있다. 노취홈(9)은 나선테(5)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본체(3)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용기본체(3)를 가압하여 절첩시킬 경우 용기본체(3)가 노취홈(9)을 따라 절첩되므로 절첩시 힘이 적게 들어 절첩작업이 더욱 편해진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나선테(5)내의 중공(6)에 인장스프링(7)을 장착시켰으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중공(6)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나선테(5)가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되어 인장스프링을 넣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기본체(3)의 절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진공상태이던 용기(1)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면 원형으로 복원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b)의 중공(6)을 없앨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용기본체의 벽면으로부터 요입되어 상기 용기본체(3)를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요입홈(11)을 형성하고 요입홈(11)에 용기절첩용 스프링(12)을 삽입하여 용기(1)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 유출입밸브가 설치된 뚜껑을 사용함으로써 용적의 조절이 간편하고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통상의 용기본체를 갖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용기절첩용 나선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에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는 나선테 사이에는 판면으로부터 절취된 노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테는 중공이 없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벽면으로부터 요입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에 용기절첩용 스프링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용기본체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출입밸브를 갖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2020000034365U 2000-12-07 2000-12-07 용기 KR200224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65U KR200224383Y1 (ko) 2000-12-07 2000-12-07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65U KR200224383Y1 (ko) 2000-12-07 2000-12-07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565A Division KR100373458B1 (ko) 2000-11-14 2000-11-14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83Y1 true KR200224383Y1 (ko) 2001-05-15

Family

ID=7306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365U KR200224383Y1 (ko) 2000-12-07 2000-12-07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05B1 (ko) * 2001-12-28 2005-07-20 고려알파라인(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진공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05B1 (ko) * 2001-12-28 2005-07-20 고려알파라인(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진공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458B1 (ko) 용기
USD461638S1 (en) Collapsible container
US6585130B2 (en) Wipe dispenser
US20070029406A1 (en) Sprayer with changeable volume
US20100078443A1 (en) Wipes Canister Opening
USD461123S1 (en) Wall structure for a container
KR102253853B1 (ko) 휘핑 크림 디스펜서용 커넥터
USD474256S1 (en) Dispensing head
US4817826A (en) Toothbrush holder for stand-up toothpaste dispensers
USD487165S1 (en) Dishwasher detergent capsule
KR200224383Y1 (ko) 용기
USD466584S1 (en) Dispensing head
USD439406S1 (en) Container
USD459657S1 (en) Liquid container
GB2375300A (en) Personal cleaning implement
KR200282764Y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USD438013S1 (en) Hand-held cleaning device
USD514447S1 (en) Bottle
JP2020019561A (ja) 流体吐出容器
KR101921141B1 (ko) 디스펜서 일체형 치약 마개
KR200391092Y1 (ko) 다양한 크기의 내용물 접시를 수용할 수 있는 리필케이스
KR200276075Y1 (ko) 이중 노즐이 구성된 샴푸 린스 겸용 용기
USD419776S (en) Liquid dispensing brush
USD516919S1 (en) Detergent container with massage brush
US20210101740A1 (en) Sani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