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50Y1 -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50Y1
KR200224350Y1 KR2020000033284U KR20000033284U KR200224350Y1 KR 200224350 Y1 KR200224350 Y1 KR 200224350Y1 KR 2020000033284 U KR2020000033284 U KR 2020000033284U KR 20000033284 U KR20000033284 U KR 20000033284U KR 200224350 Y1 KR200224350 Y1 KR 200224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
concrete wall
fixed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2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찬
Original Assignee
김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찬 filed Critical 김형찬
Priority to KR2020000033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50Y1/en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문틀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문틀 고정장치는 일단부는 문틀에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의 소정위치에는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일단부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타단부의 소정위치에는 중간홀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제1 장공 및 중간홀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장공에 의하여 안내되는 상기 체결부재를 해제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을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문틀을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 가능하다.A door frame fixing device is disclosed.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is fixed at one end integrally with the door frame, the upper frame is formed in the first end ho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ther end, the lower frame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one end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ther end, It consists of a fastening member for integrally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by penetrating the first long hole and the middle hole, wh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coupled, to release the fastening member guided by the first long hole The door frame can be fixed to the concrete wall by moving the upper frame to one side to fix the upper frame.

Description

문틀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본 고안은 문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결합길이를 조절하므로써 문틀을 벽체에 가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문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frame fixing device that can be fixed to the wall by adjusting the coupling length.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건물에는 다용도실이 배치되며, 이러한 다용도실에는 문이 장착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문을 개방하여 다용도실의 내부에 적당한 짐을 적치하거나, 끄집어 낼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a multipurpose room is arranged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nd a door is installed in the multipurpose room. Therefore, if necessary, the door can be opened to load or take out a suitable load inside the utility room.

도1은 이러한 아파트 다용도실에 장착되는 문틀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Figure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ixing of the door frame mounted in the apartment utility room.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에는 사각형상의 개구부(6)가 형성되며, 개구부(6)에는 문틀(2)이 고정되며, 이러한 문틀(2)은 나무토막(5)에 의하여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문틀(2)에는 경첩(도시안됨)등에 의하여 문(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As shown, a rectangular opening 6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wall 1, the door frame 2 is fixed to the opening 6, the door frame 2 is concrete by the wood chips (5) It is fixed to the wall 1. The door 4 is rotatably mounted to the door frame 2 by a hinge (not shown).

따라서, 사용자는 문(4)을 개폐하므로써 다용도실내의 짐을 끄집어 내거나 짐을 적치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take out the load in the utility room or store the load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4.

이때, 콘크리트 벽체(1)와 문틀(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문틀(2)을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무토막(5)등의 자재를 이용하게 된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wall 1 and the door frame 2, and materials such as wood chips 5 are used to fix the door frame 2 to the concrete wall 1.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가가 평수에 따라 그 구조가 각각 다르므로, 다용도실도 각 평수에 따라 크기가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그러하지 못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since apartments have different structur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floors, even in the utility room, even though the size should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this is not the case in reality.

따라서, 문틀(2)을 콘크리트 벽체(1)의 개구부(6)에 배치하는 경우, 문틀(2)과 콘크리트 벽체(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나무토막(5)등의 자재를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when the door frame 2 is disposed in the opening 6 of the concrete wall 1, a material such as wood chips 5 is used to seal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door frame 2 and the concrete wall 1. I use it.

그러나, 이러한 나무토막등의 자재는 강체이므로 벽체와 문틀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신축적으로 밀폐시키지 못하며, 또한, 일단 고정된 후에는 뒤틀림등에 의하여 문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에 그 간격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materials such as wood chips are rigid bodies, they do not elastically seal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wall and the door frame, and, once fixed, do not adjust the gap when the door frame and the concrete wall are opened by twisting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변적인 구조에 의하여 벽체와 문틀사이의 공간을 신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문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frame fixing device capable of elastically sealing a space between a wall and a door frame by a variable structure.

도1은 종래의 아파트 다용도실에 장착되는 문틀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상태도.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ixing device of a door frame mounted in a conventional apartment utility room.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다용도실에 장착되는 문틀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showing a fixing device of the door frame mounted on the apartment utility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도시된 문틀 고정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door frame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4는 도3에 도시된 문틀 고정장치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door frame fixing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in Parts of Drawings *

20: 상부 프레임(Upper frame)20: Upper frame

21: 제1수직 플레이트(First vertical plate)21: First vertical plate

22: 제1수평 플레이트(First horizontal plate)22: First horizontal plate

27: 체결나사(Screw)27: Screw

30: 하부 프레임(Lower frame)30: Lower frame

31: 제2수평 플레이트(Second horizontal plate)31: Second horizontal plate

32: 제2수직 플레이트(Second vertical plate)32: Second vertical plate

40: 문틀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40: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부는 문틀에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의 소정위치에는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일단부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타단부의 소정위치에는 중간홀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제1 장공 및 제2 중간홀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장공에 의하여 안내되는 상기 체결부재를 해제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을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문틀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사이에 고정 가능한 문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end is fixed integrally to the door frame, the other end of the upper frame is formed with a first long ho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e end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the other e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consists of a fastening member for integrally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by penetrating the lower frame,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is formed, the first long hole wh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combined, By releasing the fastening member guided by and by moving the upper frame to one side to provide a door frame fixing device that can be fix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concrete wall.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복수개의 제1 나사홀 및 제1 중간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직 플레이트, 제1 수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수평 플레이트, 그리고 제1 수직 및 수평 플레이트의 측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e first vertical plate, each of which is formed a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and the first intermediate hole, the first long hole is formed And a first supporting plate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sides of the first vertical and horizontal plates to each other.

상기 하부 프레임은 복수개의 제2 나사홀 및 제2 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2 수직 플레이트, 제2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중간홀이 형성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 그리고 제2 수직 및 수평 플레이트의 측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된다.The lower frame may include a second vertica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and a second long hole, a second horizontal plate formed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and having a second intermediate hol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And a second support plate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side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lates with one another.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나사이며, 상기 체결나사는 상기 제1 장공 및 제2 중간홀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체결된다.The fastening member is a fastening screw, and the fastening screw is fastened by a nut through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다용도실에 장착되는 문틀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ixing device of the door frame mounted in the apartment utility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1)의 내부에는 사각형상의 개구부(16)가 형성되고, 개구부(16)에는 문틀(12)이 고정되며, 이러한 문틀(12)은 문틀 고정장치(40)에 의하여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된다. 그리고, 문틀(12)에는 경첩(도시안됨)등에 의하여 문(1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문틀(12)과 콘크리트 벽체(11)의 사이 공간(15)은 막이판(13) 등에 의하여 밀폐된다.As shown, a rectangular opening 16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wall 11, the door frame 12 is fixed to the opening 16, the door frame 12 by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40 It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The door 14 is rotatably mounted to the door frame 12 by a hinge (not shown), and the space 15 between the door frame 12 and the concrete wall 11 is sealed by a membrane plate 13 or the like. do.

따라서, 사용자는 문(14)을 개폐하므로써 다용도실내의 짐을 끄집어 내거나 짐을 적치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take out the load in the utility room or store the load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4.

이때, 콘크리트 벽체(11)와 문틀(1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5)이 형성되며, 문틀(12)을 벽체(1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문틀 고정장치(40)가 장착된다. 이러한 문틀 고정장치를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space 15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wall 11 and the door frame 12, and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40 is mounted to fix the door frame 12 to the wall 11. This door frame fix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3은 도2에 도시된 문틀 고정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문틀 고정장치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door fram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 고정장치(40)는 문틀(12)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20)에 가변적으로 장착되며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40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 20 fixed to the door frame 12 and a lower frame 30 fixedly mounted to the upper frame 20 and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do.

상부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제1 나사홀(23) 및 제1 중간홀(24)이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직 플레이트(21), 제1 수직 플레이트(21)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장공(26)이 형성되는 제1 수평 플레이트(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수직 및 수평 플레이트(21,22)는 제1 지지 플레이트(28)에 의하여 그 측부가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보강된다.The upper frame 2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21, the first vertical plate 21, each of which a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23 and the first intermediate hole 24 is formed It consists of a first horizontal plate 22 on which a first long hole 26 is formed. This first vertical and horizontal plates 21 and 22 are reinforced by their side parts being integrally connected by the first supporting plate 28.

따라서, 복수개의 제1 고정나사(25)가 복수개의 제1 나사홀(23) 및 제1 중간홀(24)을 관통하여 문틀(12)에 고정되므로써 상부 프레임(20)은 문틀(12)에 고정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screws 25 are fixed to the door frame 12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23 and the first intermediate hole 24, so that the upper frame 20 is attached to the door frame 12. It is fixed.

그리고, 하부 프레임(30)도 상부 프레임(2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하부 프레임(30)은 복수개의제2 나사홀(33) 및 제2 자공(35)이 각각 형성되는 제2 수직 플레이트(32), 제2 수직 플레이트(32)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중간홀(36)이 형성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31)로 구성된다.The lower frame 30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upper frame 20. That is, the lower frame 3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32 and the second vertical plate 32 o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3 and the second magnetic holes 35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 second horizontal plate 31 on which a second intermediate hole 36 is formed.

이러한 하부 프레임(30)은 복수개의 제2 고정나사(34)가 복수개의 제2 나사홀(33)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되므로써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lower frame 30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by being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screws 34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3.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20,30)은 체결나사(27)가 제1 장공(26) 및 제2 중간홀(36)을 관통하는 체결나사(27)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체결나사(27)를 해제하여 상부 및 하부 프레임(30)을 화살표 방향(38)을 따라 소정 길이씩 이동시키고, 다시 체결나사(27)를 체결하므로써 그 결합크기를 조절하여 문틀(12)을 콘크리트 벽체(11)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and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fastening screw 27 through which the fastening screw 27 passes through the first long hole 26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36. do. Then, by releasing the fastening screw 27 to move the upper and lower frame 30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38, and by tightening the fastening screw 27 again to adjust the size of the door frame 12 Can be properly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틀 고정장치의 장착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mounting process of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2)을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하는 경우, 먼저 하부 프레임(30)을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시킨다. 즉, 복수개의 제2 고정나사(34)를 복수개의 제2 나사홀(33)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하므로써 하부 프레임(30)을 고정하게 된다.2 to 4, when the door frame 12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the lower frame 30 is first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That is, the lower frame 30 is fixed by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screws 34 to the concrete wall 11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3.

그리고, 상부 프레임(20)을 문틀(12)의 일측면에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제1 고정나사(23)를 복수개의 제1 나사홀(23)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Then, the upper frame 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12 and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screws 23 are fix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23.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20,30)을 콘크리트 벽체(11)와 문틀(12)에 각각 고정한 후, 문틀(12)을 콘크리트 벽체(11)의 개구부(16)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다.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and 30 to the concrete wall 11 and the door frame 12, respectively, the door frame 12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pening 16 of the concrete wall 11. Let's do it.

이때, 상부 프레임(20)의 제1 장공(26)과 하부 프레임(30)의 제2 중간홀(36)은 서로 대응된 상태이다. 따라서, 체결나사(27)를 제1 장공(26) 및 제2 중간홀(36)을 관통시켜서 너트(29)로 체결하므로써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long hole 26 of the upper frame 2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36 of the lower frame 30 are in a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3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screw 27 through the first long hole 26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36 with the nut 29.

그리고, 문틀(12)과 콘크리트 벽체(11) 사이의 길이에 따라 문틀 고정장치(40)를 조절하는 경우, 체결나사(27)를 해제하여 상부 및 하부 프레임(30)을 화살표 방향(38)을 따라 소정 길이씩 이동시키고, 다시 체결나사(27)를 체결하므로써 그 결합크기를 조절하여 문틀(12)을 콘크리트 벽체(11)에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And,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40 according to the length between the door frame 12 and the concrete wall 11, release the fastening screw 27 to the upper and lower frame 3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8 According to the movem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by tightening the fastening screw 27 again to adjust the size of the door frame 12 can be properly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따라서, 콘크리트 벽체(11)에 형성된 개구부(16)의 크기에 따라 문틀(12)을 가변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door frame 12 can be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opening 16 formed in the concrete wall 11.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복수개의 문틀 고정장치(40)를 장착하게 되므로써 문틀(12)은 콘크리트 벽체(11)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door frame 12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11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by mounting the plurality of door frame fixing device 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틀 고정장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서로 가변적으로 결합시키므로써 문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신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fram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door frame can be elastically fixed to the concrete wall by variably coupl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each other.

또한, 일단 고정된 후에는 뒤틀림등에 의하여 문틀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에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once fix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in the case of the gap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concrete wall due to the warpage.

본 고안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is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devised by anyone who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belongs,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Not.

Claims (4)

일단부는 문틀에 일체로 고정되며, 타단부의 소정위치에는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An upper frame having one end fixed integrally with the door frame and having a first lo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ther end; 일단부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며, 타단부의 소정위치에는 중간홀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A lower fram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concrete wall and having an intermediate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ther end thereof; And 상기 제1 장공 및 중간홀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및 하부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It consists of a fastening member for integrally combining the lower frame and the lower frame by penetrating the first long hole and the middle hole,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장공에 의하여 안내되는 상기 체결부재를 해제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을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문틀을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고정장치.Wh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coupled, the door frame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by releasing the fastening member guided by the first long hole and moving the upper frame to one side to fix the door fram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복수개의 제1 나사홀 및 제1 중간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직 플레이트, 제1 수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장공이 형성되는 제1 수평 플레이트, 그리고 제1 수직 및 수평 플레이트의 측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고정장치.The first fram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rame includes a first vertical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screw holes and a first intermediate hole are formed, and a first long hol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 door frame fixing device comprising a horizontal plate and a first support plate which integrally connects sides of the first vertical and horizontal plates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복수개의 제2 나사홀 및 제2 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2 수직 플레이트. 제2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중간홀이 형성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 그리고 제2 수직 및 수평 플레이트의 측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고정장치.The second vertical plate of claim 2, wherein the lower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and second long holes, respectively. A second horizontal plate formed horizontally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and having a second intermediate hol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support plate integrally connecting the sides of the second vertical and horizontal plates to each other; Door frame fix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나사이며, 상기 체결나사는 상기 제1 장공 및 제2 중간홀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고정장치.The door fram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a fastening screw, and the fastening screw is fastened by a nut through the first long hole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KR2020000033284U 2000-11-28 2000-11-28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KR2002243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284U KR200224350Y1 (en) 2000-11-28 2000-11-28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284U KR200224350Y1 (en) 2000-11-28 2000-11-28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50Y1 true KR200224350Y1 (en) 2001-05-15

Family

ID=7309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284U KR200224350Y1 (en) 2000-11-28 2000-11-28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5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9417B2 (en) Switchboard cabinet with frame
CA2342896A1 (en) Embeddable mounting device
JP3040482B2 (en) Frame structure for switchgear cabinet
KR200224350Y1 (en) Apparatus for fix of door frame
CN104100184A (en) Safety door
KR101225620B1 (en) fixing apparatus of door case
KR101004557B1 (en) Implement inspecting ceiling
KR100800115B1 (en) Door
CN220226039U (en) Hanging type background wall heat dissipation design structure
CN218603118U (en) Cable bridge with isolation groove
RU2114270C1 (en) Door
JP4005424B2 (en) Sliding gate
JPH0425451Y2 (en)
JPH0960394A (en) Mounting structure of pivot hinge
JPH0454320Y2 (en)
US20030084618A1 (en) Supporting wall installation
JPS6231580Y2 (en)
JP2586906Y2 (en) Mounting unit for window unit for curtain wall
KR20010053907A (en) Fabricated screen door apparatus
ES2049858T3 (en) BUILT-IN BOX FOR PLACING INCORPORATION DEVICES, PREFERABLY ELECTRICAL INCORPORATION DEVICES.
JPH08260836A (en) Clamping construction of door
JPS6023429Y2 (en) Adjustable fittings
KR100697817B1 (en) Glass door hinge unit
JPH1181807A (en) Circular fitting main shaft rotation mechanism and window device using the mechanism
JPS608066Y2 (en) door wit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