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095Y1 -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095Y1
KR200224095Y1 KR2019980012941U KR19980012941U KR200224095Y1 KR 200224095 Y1 KR200224095 Y1 KR 200224095Y1 KR 2019980012941 U KR2019980012941 U KR 2019980012941U KR 19980012941 U KR19980012941 U KR 19980012941U KR 200224095 Y1 KR200224095 Y1 KR 200224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hute
holder
breaker base
spring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9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59419U (en
Inventor
주관일
Original Assignee
김 영 창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영 창,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김 영 창
Priority to KR2019980012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095Y1/en
Publication of KR19980059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4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095Y1/en

Links

Abstract

장착시 아크 슈트(14)의 우측 다리부(18)가 돌출위치에 상기 제 1 홀더(26)의 안착부(40)상에 안착된다. 아크 슈트(14)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 제 1 홀더(26)는 제 1 스프링(30)의 탄성력을 이기고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아크 슈트(14)의 좌측 다리부(18)가 제 2 홀더(34)에 접촉됨에 따라 제 2 홀더(34)는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나서, 아크 슈트(14)의 좌측 다리부(18)가 함몰부(22)에 수납되면, 제 1 홀더(26) 및 제 2 홀더(34)는 제 1 스프링(30) 및 제 2 스프링(36)의 압압력에 의해 각각 장착위치로 이동된다.In mounting, the right leg 18 of the arc chute 14 rests on the seating portion 40 of the first holder 26 in a protruding position. When the arc chute 14 is turned counterclockwise, the first holder 26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30 and moves to the stowed position. As the left leg portion 18 of the arc chute 14 contacts the second holder 34, the second holder 34 is moved to the stowed position. Then, when the left leg portion 18 of the arc chute 14 is housed in the depression 22, the first holder 26 and the second holder 34 have a first spring 30 and a second spring ( By pressing force of 36).

Description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 탈장착 구조물Arc chute detachable structure for electric car breaker

본 고안은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아크 슈트를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탈착 또는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아크 슈트의 탈장착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차단기 박스의 외형이 작아질 수 있도록 하고 경량화의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 탈장착 구조물(structure for mounting/dismounting arc chute for contactor of electric rail ca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c chute for an electric circuit breaker, and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arc chute to be detached or mounted in a simple and easy manner, it minimizes the space required for the detachment of the arc chute and makes the appearance of the breaker box small. A structure for mounting / dismounting arc chute for contactor of electric rail car enables the achievement of light weight.

통상적으로, 전동차에는 차단기가 사용되며, 차단기는 과부하가 걸렸을 때 전동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므로써 후미단의 장비를 보호한다. 통전상태로부터 단전상태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아크 발생이 길어지면 부품이 손상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크 슈트가 사용되고, 아크 슈트는 아크를 신속히 소호하는 기능을 한다. 아크 슈트는 볼트 체결구조 또는 래치 걸림구조를 이용하므로써 차단기 베이스에 장착되거나 차단기 베이스로부터 탈착된다.Typically, a breaker is used in an electric vehicle, and the breaker protects the rear end equipment by serving as a trigger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when an overload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energized state to disconnected state, if the arc generation is prolonged, the parts are damaged. To prevent this, the arc chute is used, and the arc chute serves to quickly arc the arc. The arc chute is mounted to or detached from the breaker base by using bolted fastening or latching mechanism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아크 슈트 탈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렌치 또는 레버 등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게 되며 작업성이 떨어지고 탈장착에 최소한의 공간이 소요되어 차단기를 내장하는 박스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rc chute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tool such as a wrench or a lever is required, and workability is reduced and minimal space is required for the detachment and detachment, so that the size of the box containing the breaker is increased.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ight is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아크 슈트의 탈장착 구조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크 슈트를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탈착 또는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개선하고 아크 슈트의 탈장착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차단기 박스의 외형이 작아질 수 있도록 하고 경량화의 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 탈장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arc chu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ork by making it possible to detach or install the arc chute in a simple and easy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c chute detachable structure for an electric car breaker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minimizes the space required for the detachment of the arc chute, enables the appearance of the breaker box to be smaller, and achieves lighter weight.

도 1은 아크 슈트의 하나의 다리부가 제 1 홀더상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one leg portion of an arc chute is seated on a first holder;

도 2는 아크 슈트의 선회에 따라 상기 제 1 홀더가 수납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is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 of the arc chute.

도 3은 아크 슈트의 선회에 따라 제 2 홀더가 수납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is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 of the arc chute.

도 4는 아크 슈트의 장착이 완료되어 제 1 홀더 및 제 2 홀더가 장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of the arc chute is completed and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in the mounting posi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아크 슈트 장착용 구조물 12: 차단기 베이스10: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12: breaker base

14: 아크 슈트 16: 몸체부14: arc suit 16: body

18: 다리부 20: 리세스18: leg 20: recess

22: 함몰부 24: 수납부22: depression 24: storage portion

26: 제 1 홀더 28: 제 1 홈26: first holder 28: first groove

30: 제 1 스프링 32: 제 2 홈30: first spring 32: second groove

34: 제 2 홀더 36: 제 2 스프링34: 2nd holder 36: 2nd spring

38: 원추형 부분 40: 안착부38: conical portion 40: seating portion

42: 중심구멍42: center hole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 탈장착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구조물은, 수납부가 형성되는 차단기 베이스; 돌출위치와 수납위치와 장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수납부에 끼워지므로써 아크 슈트를 상기 차단기 베이스에 대해 탈착 및 장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를 상기 돌출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제 1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rc chute detachable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circuit breaker, the structure comprising: a circuit breaker base is formed receiving portion; At least one first holder adapted to be detached from and mounted to the breaker base by being fitted to the housing in a movable manner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And a first spring for pressing the first holder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or the mounting position.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홀더는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된 'ㄴ'자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제 1 홀더의 수평벽부상에는 상기 아크 슈트의 몸체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다리부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der has a shape of 'b'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arc chute on the horizontal wall portion of the first holder. The leg can be seated.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납부와 연통되는 제 1 홈이 상기 차단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에 상기 제 1 스프링이 수납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breaker base, and the first spring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조물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제 2 홈에 끼워져서 돌출위치와 수납위치와 장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므로써 아크 슈트를 상기 차단기 베이스에 대해 탈착 및 장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2 홀더; 및 상기 제 2 홀더를 상기 돌출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제 2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fitted into a second groove formed in the breaker base to be movable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thereby detaching and mounting the arc chute to the breaker base. At least one second holder; And a second spring for pressing the second holder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or the mounting position.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돌출위치에서 돌출되는 상기 제 2 홀더의 일단부는 원추형의 단면형상을 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position takes a conical cross-sectional shape.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차단기 베이스에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를 마련하는 차단기 베이스의 직립 벽면에 상기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에는 아크 슈트의 몸체부가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아크 슈트의 몸체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다리부가 수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is formed in the breaker base, and the second groove is formed in an upright wall surface of the breaker base for providing the recess, and the recess may receive the body portion of the arc chute. Can be; One or more recess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recesses can accommodate leg portions integrally fix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arc chute.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별도의 레버 등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크 슈트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거나 하방향으로 내림으로써 아크 슈트를 차단기 베이스로부터 탈착시키거나 아크 슈트를 차단기 베이스에 장착시키는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되고 아크 슈트의 탈장착에 소요되는 공간이 최소화되며 차단기 박스의 외형이 작아질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 chute is detached from the breaker base or the arc chute is mounted on the breaker base by lifting the arc chute upwards or downwards without using a separate lever or the like. Since the work can be performed in a simple and easy manner, the workability is improved, the space required for the detachment of the arc chute is minimized, the appearance of the breaker box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can be reduc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아크 슈트의 하나의 다리부가 제 1 홀더상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에는 아크 슈트의 선회에 따라 상기 제 1 홀더가 수납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에는 아크 슈트의 선회에 따라 제 2 홀더가 수납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에는 아크 슈트의 장착이 완료되어 제 1 홀더 및 제 2 홀더가 장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one leg portion of an arc chute is seated on a first hold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is moved to a stow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ivoting of the arc chut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is moved to the stowed position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arc chut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of the arc chute is completed and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in the mounting position.

본 고안에 따른 아크 슈트 장착용 구조물(10)은 제 1 홀더(26) 및 제 2 홀더(34)를 포함한다.The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lder 26 and a second holder 34.

전동차의 차단기 베이스(12)에는 리세스(recess)(20)가 마련되며, 리세스(20)의 바닥면 좌측 단부에는 함몰부(depression)(22)가 마련된다. 아크 슈트(14)에는 몸체부(16)가 형성되고, 몸체부(16)의 수평방향 양단부에는 다리부(18)가 각각 형성된다. 두 개의 다리부(18)중 좌측 다리부(18)는 상기 함몰부(22)에 수납되므로써 장착될 수 있게 된다.A recess 20 is provided in the breaker base 12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depression 22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20. The arc chute 14 has a body portion 16 formed therein, and leg portions 18 are formed at both horizontal ends of the body portion 16, respectively. The left leg 18 of the two legs 18 can be mounted by being received in the recess 22.

리세스(20)의 바닥면 우측 단부 및 우측벽면에는 수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기 베이스(12)에는 상기 수납부(24)와 연통되는 제 1 홈(28)이 형성된다. 수납부(24)에는 대체로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된 'ㄴ'자의 형상을 취하는 제 1 홀더(26)가 수납되고, 상기 제 1 홈(28)에는 제 1 스프링(30)이 수납된다. 상기 제 1 홀더(26)는 상기 수납부(24)의 좌측 지지벽부에 밀착되는 돌출위치와 상기 수납부(24)의 우측 지지벽부에 밀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좌측 지지벽부 및 우측 지지벽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장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스프링(30)은 상기 제 1 홀더(26)를 상기 돌출위치 또는 상기 장착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게 된다. 상기 제 1 홀더(26)의 수평방향부분 상면 및 수직방향부분 좌측면에는 안착부(40)가 형성되며, 안착부(40)에는 아크 슈트(14)의 우측 다리부(18)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An accommodating part 24 is formed at the bottom right end and the right wall surface of the recess 20, and the breaker base 12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28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art 24. The first holder 26 having the shape of the letter 'B', which is generally rotated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4, and the first spring 3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28. The first holder 26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upport wall of the accommodating part 24, the accommodating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upport wall of the accommodating part 24, and the left supporting wall part and the right supporting wall part. It is movable between mounting positions located at. The first spring 30 presses the first holder 26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or the mounting position. A seating portion 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eft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holder 26, and the right leg portion 18 of the arc chute 14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0. Will be.

상기 리세스(20)의 좌측벽면에는 대체로 'ㅏ'자의 단면 형상을 취하는 제 2 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32)에는 또한 대체로 'ㅏ'자의 형상을 취하는 제 2 홀더(34)가 수납된다. 상기 제 2 홀더(34)의 좌측단부에는 일측이 폐쇄되는 중심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홈(32)의 바닥면에는 제 2 스프링(36)의 일단부가 착지되고, 제 2 스프링(36)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중심구멍(42)의 폐쇄단부에 대해 착지된다. 상기 제 2 홀더(34)의 우측단부에는 원추형 부분(38)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홀더(34)는 상기 원추형 부분(38)이 외부로 완전히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상기 원추형 부분(38)이 상기 제 2 홈(32)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원추형 부분(38)이 상기 돌출위치와 상기 수납위치의 사이에 위치되는 장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스프링(36)은 상기 제 2 홀더(34)를 상기 돌출위치 또는 상기 장착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게 된다.On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recess 20, a second groove 32 is formed which generally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ㅏ', and the second groove 32 also has a second holder having a generally '형상' shape ( 34) is stored. At the left end of the second holder 34, a center hole 42 is formed in which one side is closed.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36 land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3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36 lands on the closed end of the center hole 42. At the right end of the second holder 34 a conical portion 38 is formed. The second holder 34 has a protruding position at which the conical portion 38 completely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a receiving position at which the conical portion 38 is completely received into the second groove 32 and the conical portion ( 38) is movable between mounting positions located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The second spring 36 presses the second holder 34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or the mounting positio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 슈트 장착용 구조물(10)을 이용한 아크 슈트(14)의 장착 및 탈착 경위를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and desorption process of the arc chute 14 using the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최초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 슈트(14)의 우측 다리부(18)가 돌출위치에 있는 상기 제 1 홀더(26)의 안착부(40)상에 안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 슈트(14)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 제 1 홀더(26)는 제 1 스프링(30)의 탄성력을 이기고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나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 슈트(14)의 좌측 다리부(18)가 제 2 홀더(34)에 접촉됨에 따라 제 2 홀더(34)는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 슈트(14)의 좌측 다리부(18)가 함몰부(22)에 수납되면, 제 1 홀더(26) 및 제 2 홀더(34)는 제 1 스프링(30) 및 제 2 스프링(36)의 압압력에 의해 각각 장착위치로 이동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right leg 18 of the arc chute 14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0 of the first holder 26 in a protru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arc chute 1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first holder 26 is moved to the stowed position,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30. As shown in FIG. Then,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holder 34 is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as the left leg portion 18 of the arc chute 14 contacts the second holder 34. Final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left leg portion 18 of the arc chute 14 is housed in the depression 22, the first holder 26 and the second holder 34 are first springs. The pressing force of the 30 and the second spring 36 is respectively moved to the mounting position.

탈착경위는 상기 장착경위의 역순으로 행하여진다.The detachable process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ttaching process.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별도의 레버 등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크 슈트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거나 하방향으로 내림으로써 아크 슈트를 차단기 베이스로부터 탈착시키거나 아크 슈트를 차단기 베이스에 장착시키는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므로, 아크 슈트의 탈장착에 소요되는 공간이 최소화되며 차단기 박스의 외형이 작아질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 chute is detached from the breaker base or the arc chute is removed from the breaker base by lifting the arc chute upwards or downwards without using a separate lever or the like. Since the moun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simple and easy manner, the space required for the removal and detachment of the arc chute is minimized, the appearance of the breaker box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can be reduced.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or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2)

수납부(24)가 형성되는 차단기 베이스(12); 돌출위치와 수납위치와 장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수납부(24)에 끼워지므로써 아크 슈트(14)를 상기 차단기 베이스(12)에 대해 탈착 및 장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1 홀더(26) 및 상기 제 1 홀더(26)를 돌출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제 1 스프링(30)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홀더(26)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ㄴ`자의형상을 취하면서 그 수평벽부상에는 상기 아크슈트(14)의 몸체부(16)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다리부(18)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단기베이스(12)에는 수납부(24)와 연통되는 제1홈(28)이 형성되어 이 제1홈(28)내에 상기 제1스프링(30)이 수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차단기베이스(12)에 형성되는 제2홈(32)에 끼워져서 돌출위치와 수납위치와 장착위치의 상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므로서 아크슈트(14)를 상기 차단기 베이스(12)에 대해 탈착 및 장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2홀더(34) 및 상기 제2홀더(34)를 상기 돌출위치 또는 장착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제2스프링(36)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 베이스(12)에 리세스(20)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20)를 마련하는 차단기 베이스(12)의 직립벽면에 상기 제2홈(32)이 형성되고 상기리세스(20)에는 아크슈트(14)의 몸체부(16)가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20)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함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2)에는 상기 아크슈트(14)의 몸체부(16)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사리부(18)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 탈장착구조물.Breaker base 12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24 is formed; One or more first holders 26 which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4 in a movable manner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to detach and mount the arc chute 14 with respect to the breaker base 12. ) And the first spring 30 for pressing the first holder 26 toward the protruding position or the mounting position, wherein the first holder 26 is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While taking the shape, the leg portion 18 integrally fixed to the body portion 16 of the arc chute 14 may be seated on the horizontal wall portion thereof, and the housing portion 24 may be mounted on the breaker base 1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groove 28 to allow the first spring 30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28, while the second groove 32 formed in the breaker base 12 The arc chute 14 can be moved by being fitted so that it can be moved betwee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storing posi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It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more second holders 34 for detaching and mounting the breaker base 12 and a second spring 36 for pressing the second holders 34 toward the protruding or mounting position. In addition, a recess 20 is formed in the breaker base 12, and the second groove 32 is formed on an upstanding wall surface of the breaker base 12 that provides the recess 20. The body portion 16 of the arc chute 14 may be accommodated, one or more recesses 2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20, and the arc chute 22 is formed on the recess 22. 14. An arc chute detachable structure for an electric car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ree portion 18 fixed to the body portion 16 of the body 14 can be accommo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의 일단부는 원추형의 단면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차단기용 아크 슈트 탈장착구조물.The arc chute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holder has a conical cross section.
KR2019980012941U 1998-07-14 1998-07-14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KR2002240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941U KR200224095Y1 (en) 1998-07-14 1998-07-14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941U KR200224095Y1 (en) 1998-07-14 1998-07-14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419U KR19980059419U (en) 1998-10-26
KR200224095Y1 true KR200224095Y1 (en) 2001-09-17

Family

ID=6951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941U KR200224095Y1 (en) 1998-07-14 1998-07-14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095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419U (en)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5790B2 (en) Switch apparatus
CN100581750C (en) Power tool
RU1830152C (en) Key-actuated switch
NL1032960C2 (en) Multifunctional electrical mechanism.
OA11477A (en) Electromechanical contactor.
GB2409579A (en) Push-button switch unit
EP1136179A3 (en) Adaptive workpiece clamping and handling system
KR200224095Y1 (en) Arc chute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US4698726A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switchgear to a rail
RU2004126853A (en) LOW VOLTAGE CIRCUIT BREAKER
KR20020090886A (en) Attached terminal board of circuit breaker
FI106821B (en) Electrical connection
EP1205952A3 (en) Load switch for a step switch
CN110356306B (en)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CN114794674B (en) Switch assembly for safety belt lock catch and safety belt lock catch
JP2610248B2 (en) Operation box for electrical equipment
WO2001073867A3 (en) Battery holder with integrated switch
KR100207177B1 (en) A cellular phone holder fixing structure
JP3901231B2 (en) Portable electric light
CN101288139B (en) Push-push electric switching device having push-button guiding means
JPH0562587A (e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JPH063717Y2 (en) Car phone storage device
KR200207373Y1 (en) Battery locker for mobile station
CA2356660A1 (en) Mounting for circuit interrupter
KR200205660Y1 (en) Cliper for fixing jack handle of trunk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