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44Y1 -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44Y1
KR200223944Y1 KR2020000032279U KR20000032279U KR200223944Y1 KR 200223944 Y1 KR200223944 Y1 KR 200223944Y1 KR 2020000032279 U KR2020000032279 U KR 2020000032279U KR 20000032279 U KR20000032279 U KR 20000032279U KR 200223944 Y1 KR200223944 Y1 KR 200223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neaker
shaft
outer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박용재
Original Assignee
김석환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박용재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2020000032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44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겸용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운동화의 내측으로 롤러를 장착하여 운동화 및 롤러의 기능을 갖게한것에, 롤러 내측으로 소형발전기를 구비하여 진행시 회전력에의해 전기를 발생시켜 조명기능에 응용시킨것으로, 야간이용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The roller shoes with lighting}
본 고안은 조명 기능이 있는 롤러겸용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롤러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롤러를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롤러스케이트와 운동화를 결합시키는것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롤러스케이트를 즐기는 연령은 주로 어린이들이 대부분이며 최근들어 롤러블레이드나 킥보드와 같은 것들이 많이 대중화 되면서 이들을 즐기는 어린이들이 많이 늘어나게되었다. 또한 도심지의경우 별도의 놀이공간이 없기 때문에 주택가라든지 아파트단지내의 도로에서 주로 타고다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이 사용자가 안전 헬멧이나 야광 반사판같은것들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야간에도 많이 사용하고있다. 반면에 이들을 타고 노는 속도가 상당히 빠른경우도 있기 때문에 별도의 식별장치가 없으면 차량과의 충돌사고시 큰 부상을 입는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런형태의 것들은 모두 조명기능이 없거나 아니면 롤러를 구성하는 바퀴의 내측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결합시켜 구동중에 바퀴 주위가 반짝거리는 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것들의 경우는 운전자들에게 식별할 수 있게하는것이 목적이 아니라 화려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용되는것이 주를 이루었으므로, 사용자들을 더욱 빨리 식별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기존의 롤러스케이트가 가지고 있던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개선시킨것으로써, 야간에 스케이팅을 즐길때 운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롤러의 앞쪽에 조명을 부착하였다.
롤러를 구성하는 바퀴의 내측으로 소형 발전기를 장착하고,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외측 케이스에 코일이 감긴 상태에서 주행하게되면 롤러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전기가 발생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조명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것이다.
이러한 조명방식으로, 롤러스케이트를 즐길때 롤러앞쪽 및 뒤쪽으로 조명을 비춰줌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발광 형태의 롤러는 사용자가 빛을 볼 수 없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빛은 앞쪽 및 뒤쪽으로 넓게 발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어두운 길에서도 조명에 의해 앞쪽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들이 자신의 불빛을 볼 수 있게되어 흥미를 더욱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반면에 운전자들에게는 조명을 비추어 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의 실시예
도 3은 롤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발전기 부분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운동화 2. 해체스프링
3. 분할스프링 4. 돌기
5a. 베벨기어 5b. 베벨기어
6. 롤러 7. 중심축
8. 외부축 9. 힌지
10. 프레임 11. 운동화 밑창
12. 인장스프링 13. 연결고리
14. 고정핀 15. 전구
16. 소형발전기 17. 영구자석
18. 코일 19. 휠캡
도 1은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운동화(1)의 밑창(11)으로 롤러(6)를 삽입한것을 나타내고 있다. 운동화밑창(11) 내측에 삽입되는 롤러(6)는 측면이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있다. 롤러(6)는 인라인스케이트에 사용되는것과 동일한 것으로써 측면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운동화밑창(11)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것을 나타내고 있다. 롤러(2)를 운동화밑창(11)에서 빼낼때는, 분할스프링(3)을 눌러주고 롤러(6)를 회전시키면 롤러와 연결된 중심축(7)과 외부축(8)이 운동화밑창(11)의 내측으로 부터 밀려 나오도록 구성되어있다. 외부축(8)의 측면에는 인장스프링(12)을 구성하여 결합이 해체될때 쉽게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구성하였다. 튀어나온 바퀴는 운동화(1)와 같은 방향으로 돌려 고정 시키고 분할스프링(3) 부분의 돌기(4)를 고정시키면 운동화(1)에서 롤러스케이트의 상태로 쉽게 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2는 작동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프레임(10)의 외측에 구성되어있는 해체스프링(2)을 누르게 되면 연결고리(13)에 부착되어있던 외부축(8)이 빠져 나오도록 되어있다. 빠져나온 외부축(8)은 중심축(7)의 회전으로 인하여 프레임(10)에서 일정각도 움직일수 있다. 이때 외부축(8)에 일체로 부착되어있던 분할스프링(3) 끝단의 돌기(4)가 프레임(10)의 내측에서 빠져나오면서 돌기(4)부분이 프레임(10)의 테두리에 걸리게 되어 바퀴가 중심축(7)이 회전되지 않게하고 외부축(8)이 운동화밑창(11)부분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에 롤러(6)를 사용하고 나서 다시 운동화(1) 기능의 원상태로 돌리기 위해서 분할스프링(3) 안쪽으로 밀게되면 돌기(4)가 프레임(10)의 모서리에서 빠지게된다.
롤러(6)를 원래의 각도로 90°회전시키면, 중심축(7)이 회전하면서 외부축(8)이 안쪽으로 삽입되며, 외부축(8)의 외측에 부착된 연결고리(13)가 고정핀(14)을 넘어 걸리게된다. 고정핀(14)의 일단은 사선형태로 절단되어있어 연결고리(13)가 쉽게 미끌어지면서 결합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면 운동화의 기능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롤러(6)의 위쪽으로는 휠캡(19)이 장착되어있고 휠캡(19)의 전면 상부에는 전구(15)가 부착되어있어 롤러스케이트를 즐길때 롤러(6)내측에 형성되어있는 소형발전기(16)에서 발생된 전류에 의하여 조명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도 3은 롤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롤러(6)를 고정하고, 삽입과 이탈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롤러를 분할스프링(3)에 의하여 프레임(10)에서 분리할때, 분할스프링(3)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4)가 프레임(10)에서 분리된다. 이때 롤러(6)가 부착되어있는 중심축(7)을 회전시키게되면 롤러(6)의 중심축(7)은 운동화밑창(11)에 형성되어있는 프레임(10)으로부터 45°바깥으로 돌출된다. 분할스프링(3)과 연결된 돌기의 양쪽 끝단이 프레임(10)의 모서리에 걸리게되며 이것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롤러(6)가 부착된 중심축(7)의 내측 끝단에는 베벨기어(5a)(5b)가 서로 맞물려있다. 중심축 끝단기어(5a):고정핀중앙의기어(5b)는 1:2의 기어비로 맞물려있다. 따라서 롤러(6)가 부착된 중심축(7)을 90°꺽어주게되면 끝단의 베벨기어(5a)가 힌지(9)에 부착된 베벨기어(5b)를 타고 움직이는 역할을 하게되고, 기어비에의하여 중심축(7)이 90°회전하게되면 롤러(6)의 외부축(8)은 힌지(9)를 기준으로 45°움직여 운동화밑창(11)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운동화의 형태에서 롤러스케이트형태가 되는 것이며 분할스프링(3)의 돌기(4)에 의하여 중심축(7)을 프레임(10)의 외측에서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맞물린 두개의 베벨기어(5a)(5b)중 중심축(7) 끝단의 베벨기어(5a)를 고정시키게된다. 따라서, 롤러(6)를 좌우로 움직임없이 운동화의 방향과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삽입의 경우는 위과정의 역순이므로, 돌기(4)를 해체하고 롤러의 중심축(7)을 90°회전시키면 동시에 운동화 밑창의 내측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운동화의 기능으로 복귀되는 것이다.
도 4는 발전기 부분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롤러(6)의 회전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전류를 발생시킬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없이 조명기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롤러(6)의 내측으로는 소형발전기(16)가 구성되어있다. 롤러(6)를 구성하고 있는 휠캡(19)의 하단으로 영구자석(17)이 부착되어있고, 롤러(6)의 내측으로 코일(18)이 장착되어있어 롤러(6)가 회전할때, 영구자석(16)과 코일(17)이 번갈아 교차되므로 발전기의 기능을 갖도록 고안되었다. 휠캡(19)하단에 부착된 영구자석(17)이 발전기의 고정자의 기능을 하는것이며, 소형발전기(16)와 함께 회전하는 코일(18)은 회전자의 기능을 갖게한것이다. 따라서 롤러스케이팅을 즐길때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전류가 발생되고 그 전류를 이용하여 롤러(6) 전면에 부착된 전구(15)에 조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팅을 즐길때 롤러스케이트의 구동력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앞쪽으로 조명을 비추는 것으로, 야간사용시 운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스케이팅을 즐길때 조명으로인한 화려한 효과를 주게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운동화(1)의 저면 운동화밑창(11) 부분으로 프레임(10)이 삽입되고, 프레임(10)의 일측에 힌지(9)로 외부축이 결합되며,
    외부축(8)의 외주면에는 연결고리(13)가 장착되어 해체스프링(2) 끝단의 고정핀(14)과 결합되며, 외부축(8)의 외주면에는 분할스프링(3)과 연결된 돌기(4)가 장착되며, 일측면에는 인장스프링(12)이 장착되고,
    힌지(9)의 내측중간에는 베벨기어(5b)가 힌지와 일체로 결합되고, 외부축(8)의 내측으로 롤러가 부착된 중심축(7)이 삽입되며, 중심축(7)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베벨기어(5a)와 고정핀(9)에 부착된 베벨기어(5b)가 결합되며,
    중심축(7)과 연결된 롤러(6)의 내측에는 코일(18)과 연결된 소형발전기(16)가 삽입되고, 휠캡(19)의 상단에는 전구(15)가 장착되며, 휠캡(19)의 하단에는 영구자석(17)이 장착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명기능이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KR2020000032279U 2000-11-18 2000-11-18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KR200223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79U KR200223944Y1 (ko) 2000-11-18 2000-11-18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79U KR200223944Y1 (ko) 2000-11-18 2000-11-18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44Y1 true KR200223944Y1 (ko) 2001-05-15

Family

ID=7306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279U KR200223944Y1 (ko) 2000-11-18 2000-11-18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79B1 (ko) 2007-10-02 2009-09-2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철식 휠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0979125B1 (ko) 2008-03-21 2010-08-31 서달원 출몰식 바퀴 신발의 구동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79B1 (ko) 2007-10-02 2009-09-2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철식 휠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0979125B1 (ko) 2008-03-21 2010-08-31 서달원 출몰식 바퀴 신발의 구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502A (en) Illuminative skate wheel
US5588734A (en) Side light for in-line roller skate
US5839814A (en) Miniature centrifugal lighting assembly
US20040255490A1 (en) Article of apparel
KR200223944Y1 (ko) 조명기능이 있는 롤러스케이트겸용 운동화
US5806959A (en) Illuminated skate roller
GB2378118A (en) An illuminated article of apparel eg.a shoe
US20100038869A1 (en) Roller Skate Wheel Hub Cap With Integral Illumination System
KR200223943Y1 (ko) 롤러가 부착된 운동화
US8328400B1 (en) Stroller wheels with light system
CN210591199U (zh) 一种具有舞台灯效果的车轮及代步车
KR200273691Y1 (ko) 자전거용 발광휠 램프
KR100821361B1 (ko) 잔상효과를 이용한 직사(直射)형 자가발광장치
KR101655386B1 (ko) 발광 스케이트보드
WO1998003236A9 (en) Lighted in-line skate wheel
US20150352431A1 (en) Lighting apparatus for skate wheel
KR200339549Y1 (ko) 자전거 발광 캐릭터
KR910006733Y1 (ko) 조명기능을 갖는 차량용 보조 휘일캡
WO1998003236A1 (en) Lighted in-line skate wheel
KR200239867Y1 (ko) 자전거용 발광휠
KR200222530Y1 (ko) 발광바퀴
KR200191988Y1 (ko) 발광체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40527Y1 (ko) 미니 스쿠터용 휠
KR200207642Y1 (ko) 램프를 구비한 신발
CN206310431U (zh) 一种新型双排棱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