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777Y1 - 물을 이용한 전시물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전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777Y1
KR200223777Y1 KR2020000035715U KR20000035715U KR200223777Y1 KR 200223777 Y1 KR200223777 Y1 KR 200223777Y1 KR 2020000035715 U KR2020000035715 U KR 2020000035715U KR 20000035715 U KR20000035715 U KR 20000035715U KR 200223777 Y1 KR200223777 Y1 KR 200223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pper case
case
bubble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2020000035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777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문양인쇄필름(17)이 전면에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연장 형성된 하부 케이스(12)를 갖는 투명 케이스(1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램프(21)와 상기 램프(21)를 둘러싸는 다각형 필터(22)와 상기 다각형 필터(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갖는 조명부(2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기포 방출관(32)을 갖는 기포 발생부(30); 상기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 회전축(42)에 연결된 프로펠러(41)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확산시키는 확산부(4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부유되는 다수의 모빌(50)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따르면, 유지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을 이용한 전시물{A water using display}
본 고안은 전시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호를 광고하는 간판은 야간에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네온사인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네온사인은 전력 소모량이 크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간판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네온사인 대신에 저 전력이 소모되는 조명장치와 투명 케이스 및 공기 압축기가 적용된 물을 이용한 전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 및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전시물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문양인쇄필름(17)이 전면에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연장 형성된 하부 케이스(12)를 갖는 투명 케이스(1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램프(21)와 상기 램프(21)를 둘러싸는 다각형 필터(22)와 상기 다각형 필터(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갖는 조명부(2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기포 방출관(32)을 갖는 기포 발생부(30); 상기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 회전축(42)에 연결된 프로펠러(41)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확산시키는 확산부(4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부유되는 다수의 모빌(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100)은 투명 케이스(10), 조명부(20), 기포 발생부(30), 확산부(40) 및 모빌(50)로 구성된다.
투명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로 나뉘어진다. 상부 케이스(11)에는 물이 채워진다. 상부 케이스(11)의 상면 일측에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충공(13)은 마개(13a)로 덮여져 있다.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상부에는 배기관(15)이 밀봉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하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공(16)은 마개(16a)로 덮여져 있다. 상부 케이스(11)는 전체가 밀봉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은 상부 케이스(11)에 거의 꽉 차게 채워지는데, 배기관(15)의 바로 아래까지 채워진다.
상부 케이스(11)의 전면에는 상호나 광고문안 또는 그림 등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인쇄필름(17)이 부착된다.
도 1에서는 전시물의 상부 케이스(11)의 전면에만 문양인쇄필름(17)을 부착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부 케이스(11)의 후면에도 다른 글자나 그림의 문양인쇄필름(17)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의 후면에는 단순히 전시물 후방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불투명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문양인쇄필름(17)은 내측필름과 외측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측필름은 조명부(20)로부터의 빛이 투과하지 않는 불투명필름이며, 외측필름은 조명부(20)로부터의 빛이 투과하는 투명필름이다. 투명필름에는 다양한 색깔이 함유될 수도 있다. 문양은 불투명필름에 새겨진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을 양각으로 새긴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은 음각으로 새겨질 수도 있다.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을 양각으로 새기면 문양인쇄필름(17)을 상부 케이스(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였을 때 문양 이외의 부분을 통해 상부 케이스(11)의 내부가 보이게 된다. 또한,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을 음각으로 새기면 문양인쇄필름(17)을 상부 케이스(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였을 때 문양 이외의 부분은 차단되고 문양을 통해서만 상부 케이스(11)의 내부가 보이게 된다.
하부 케이스(12)는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11)에 비해 크기가 상당히 작다.
조명부(20)는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며, 램프(21), 다각형 필터(22) 및 모터(23)로 구성되어 있다. 다각형 필터(22)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모터(23)에 연결되어 있다. 다각형 필터(22)는 다각을 이루는 일측면이 각각 다른 색깔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다각형 필터(22)의 개방된 일단으로 램프(21)가 삽입되며, 모터(23)의 회전에 의해 다각형 필터(22)가 램프(21)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다색의 조명이 교번하면서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향해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를 하부 케이스(12)에 2개 설치한 것으로 하였지만, 조명부(20)를 1개만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조명부(20)의 램프(21)로서는 일반 형광등에 비해 밝으면서도 소비전력이 적은 소위 3파장 램프라고 불리는 피엘 램프(photoluminescence lamp)를 사용하였으며, 모터(23)도 또한 소비전력이 적은 소형 전기모터를 사용하였다.
기포 발생부(30)는 공기 압축기(31), 기포 방출관(32), 체크밸브(34)로 구성된다. 공기 압축기(31)는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며, 공기를 압축하여 기포 방출관(32)으로 보낸다. 기포 방출관(32)은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을 밀봉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축기(31)에 고무관(33)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막힌 형태이다. 기포 방출관(32)의 중간에는 다수의 방출공(32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압축기(31)와 기포 방출관(32)의 사이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압축기(31)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기포 방출관(32)에서 방출공(32a)을 통해 방출되어 물 속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물 속으로 방출된 공기는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상부의 배기관(15)을 통해 배출된다.
확산부(40)는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확산부(40)는 프로펠러(41), 회전축(42) 및 모터(43)로 구성된다. 회전축(42)은 상부 케이스(11)의 하면을 밀봉적으로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12)에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42)에는 모터(43)가 연결되어 있다. 프로펠러(41)가 회전하면,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이 상승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기포 방출관(32)의 방출공(32a)을 통해 방출되는 기포는 상승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부(40)를 3개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확산부(40)의 개수는 원하는 대로 증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확산부(40)의 모터(43)로서는 소비전력이 적은 소형 전기모터를 사용하였다.
램프(21), 모터(23), 공기 압축기(31) 및 모터(43)에는 각각 전선에 의해 전원이 연결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전선과 전원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케이스(11)에 채워진 물에는 다양한 모양의 다수의 모빌(50)이 부유된다. 다수의 모빌(50)은 확산부(40)에 의해 상승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기포 방출관(32)의 방출공(32a)을 통해 기포가 방출되고 모빌(50)이 부유하게 된다. 기포와 다수의 모빌(50)은 확산부(40)에 의해 상승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흩날림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2)의 조명부(20)에 의해 상부 케이스(11)를 향해 다양한 색으로 조명이 비추어지면, 전시물을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게 하여 상부 케이스(11)의 전면에 부착된 문양인쇄필름(17)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또한, 조명장치(20)의 램프(21) 및 모터(23)와 확산부(40)의 모터(43)는 모두 소비전력이 적으므로 유지비용이 네온사인에 비해 저렴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200)은 제1 실시예의 기포 방출관(32)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 케이스(11)의 측면 중간부에 공기 노즐(232)을 밀봉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공기 압축기(31)에서 고무관(33)에 의해 공기 노즐(232)에 연결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의 좌측의 공기 노즐(232)로부터 우측으로 기포가 분사된다. 제2 실시예는 공기 노즐(232)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은 전시물의 좌에서 우로 기포가 세차게 분사되므로 미적으로 더욱 수려하게 보이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300)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기포 발생부(30) 대신에 물 분사부(330)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부 케이스(11)의 좌측면에는 펌프(3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11)의 상면 아래에는 물 분사관(332)을 설치한 구성이다. 펌프(331)는 지지대(310)에 의해 상부 케이스(11)의 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펌프(331)의 일단에는 물 분사관(332)이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331)의 타단에는 흡수관(333)이 연결되어 있다. 물 분사관(332)은 단부가 막힌 형태이며, 중간 부분에 다수의 분사공(332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 분사관(332)의 단부는 상부 케이스(11)의 우측면에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흡수관(333)은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에 잠기도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펌프(331)는 흡수관(333)을 통해 상부 케이스(11) 아래의 물을 끌어 올려서 물 분사관(332)의 분사공(332a)을 통해 물을 아래로 분사시킨다. 물은 상부 케이스(11)의 아래 부분에만 채워지는데 대략 상부 케이스(11)의 1/3정도 채워진다.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은 전시물의 위에서 아래로 물을 분사하면 물방울이 떨어지는 느낌이 나므로 미적으로 더욱 수려하게 보이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외부에 액자프레임(110)을 끼운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프레임(110)은 전시물의 투명 케이스(10)의 둘레에 끼워지는데, 투명 케이스(10)의 하부 케이스(12)를 덮도록 끼워져서 조명장치(20)와 공기 압축기(31) 등이 내장된 하부 케이스(12)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도 4에서는 예를 들어, 도 1의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100)에 액자프레임(110)을 끼운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여러 개 설치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100)을 여러 개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다. 전시물을 여러 개 설치하면 각각의 전시물에 서로 다른 상호나 광고문안 또는 그림을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전시물을 수평방향으로 3개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압축기(31)는 제1 전시물(100a)에만 설치되어 있고, 제2 전시물(100b)과 제3 전시물(100c)에는 공기 압축기(31)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 전시물(100b)의 기포 방출관(32)은 고무관(33)을 통해 제1 전시물(100a)의 배기관(15)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전시물(100c)의 기포 방출관(32)은 고무관(33)을 통해 제2 전시물(100b)의 배기관(15)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전시물(100a)의 기포 발생부(30)에서 발생된 공기는 제1 전시물(100a) 내의 물을 거쳐 제1 전시물(100a)의 상부의 배기관(15)을 통해 고무관(33)에 의해 제2 전시물(100b)의 기포 방출관(32)으로 공급되며, 마찬가지로 제2 전시물(100b)에서 제3 전시물(100c)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예는 제1 전시물(100a)의 공기 압축기(31)에서 발생된 공기를 제2 및 제3 전시물(100b, 100c)에서도 계속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전시물을 수직방향으로 3개 설치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전시물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프레임(110)을 끼울 수 있으며, 액자프레임(110)의 디자인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전시물마다 서로 다른 분위기를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의하면, 유지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문양인쇄필름(17)이 전면에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연장 형성된 하부 케이스(12)를 갖는 투명 케이스(1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램프(21)와 상기 램프(21)를 둘러싸는 다각형 필터(22)와 상기 다각형 필터(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갖는 조명부(2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기포 방출관(32)을 갖는 기포 발생부(30);
    상기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 회전축(42)에 연결된 프로펠러(41)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확산시키는 확산부(4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부유되는 다수의 모빌(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3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공기 노즐(2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명 케이스(10)의 둘레에는 액자프레임(11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상부에는 배기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관(15)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다른 하나의 전시물의 기포발생부에 연결하여 전시물을 여러 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
KR2020000035715U 2000-12-20 2000-12-20 물을 이용한 전시물 KR200223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15U KR200223777Y1 (ko) 2000-12-20 2000-12-20 물을 이용한 전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15U KR200223777Y1 (ko) 2000-12-20 2000-12-20 물을 이용한 전시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89A Division KR100397016B1 (ko) 2000-12-20 2000-12-20 물을 이용한 전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777Y1 true KR200223777Y1 (ko) 2001-05-15

Family

ID=7306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15U KR200223777Y1 (ko) 2000-12-20 2000-12-20 물을 이용한 전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7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657B1 (en) Lighted panel device able to be applied onto posts
KR20130064198A (ko) 회전판 색상변환부를 이용한 연속적인 색상 변화를 갖는 에어간판
KR100397016B1 (ko) 물을 이용한 전시물
KR200223777Y1 (ko) 물을 이용한 전시물
KR101096648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배너
KR100542916B1 (ko) 광고장치
KR200199158Y1 (ko) 실내외용 간판
KR200301846Y1 (ko) 기둥 설치용 광고장치
KR200394336Y1 (ko) Led 램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64225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312959Y1 (ko) 광투과부가 형성된 광확산필름과 이를 이용한 광고간판
KR200176856Y1 (ko) 야간조명이 가능한 에드벌룬
KR200291662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광고장치
RU27878U1 (ru) Средство,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наружной рекламы (варианты)
KR200374158Y1 (ko) 옥외광고용 조명 간판
KR200168364Y1 (ko) 전광판
KR200450549Y1 (ko) 저철분 유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53448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에어 간판의 조명장치
KR200487069Y1 (ko) 다색 엘이디 사인 간판
CN2406865Y (zh) 出租车车灯
KR20240036883A (ko) 동적 빛 확산 간판
KR200393167Y1 (ko)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연출되는 광고판
KR0131323Y1 (ko) 사인부재
CN2434757Y (zh) 水墙灯饰招牌
JP2009036953A (ja) 看板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