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626Y1 - 수동식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626Y1
KR200223626Y1 KR2020000025102U KR20000025102U KR200223626Y1 KR 200223626 Y1 KR200223626 Y1 KR 200223626Y1 KR 2020000025102 U KR2020000025102 U KR 2020000025102U KR 20000025102 U KR20000025102 U KR 20000025102U KR 200223626 Y1 KR200223626 Y1 KR 200223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ter
dishwasher
wash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Original Assignee
이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숙 filed Critical 이경숙
Priority to KR2020000025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626Y1/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 통을 활용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된 세척용 수세미나 브러쉬로 구성되며, 이는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식 원통의 하부에 부착되어 아주 간단하게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원가를 줄임으로써 실생활에서 손쉽게 활용되어 직접 물비누나 물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용자의 피부손상을 방지하고, 휴대시에도 이를 편리하게 휴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식 식기 세척기{MANUAL WASHER FOR FOODWARE}
본 고안은 수동식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비누 분출이 가능한 세제용기와 그 하단에 부착된 세척용 수세미나 브러쉬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직접 물비누를 본체부에 주입하여 사용함으로 기존의 모터부를 이용한 자동식기 세척기를 실용화가 가능하도록 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발달로 식생활에 관련된 식기를 사용한 후 이를 보다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식기가 개발되었다.
식기 세척기는 사람들의 가사노동의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이 결과 사람들은 보다 편리한 식생활을 향유하게 되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세척실(2), 세척실(2) 아랫부분에 설치된 펌프(4) 및 안내관(6)으로 구성된다. 세척실(2)의 아랫부분에 각각 수납바구니(3a)(3b)와 펌프(4)가 설치된다. 펌프(4)는 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물을 노즐(5a)(5b)에 의해 수납 바구니(3a)93b)에 수납된 식기로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세척될 식기를 수납하는 수납바구니(3a)(3b)는 세척실(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수납 바구니(3a)와 세척실(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납 바구니(3b)로 구성된다.
수납바구니(3a)(3b)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5a)(5b)은 하부 수납바구니(3a)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노즐(5a)과 상부 수납바구니(3b)의 하부에 근접 설치되는 상부 노즐(5b)로 이루어진다.
세척실(2)의 하방에 설치된 펌프(4)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노즐(5a)(5b)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6)이 설치된다. 안내관(6)은 펌프(4)의 출구단에서 둘로 분기되어 하나는 상측으로 직진하여 하부 노즐(5a)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측벽측으로 굴절된 후 측벽을 타고 세척실(2)의 상부로 연장된 후 중심측으로 다시 굴절되어 상부 노즐(5b)에 상측으로부터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될 식기를 수납바구니(3a)(3b)에 장착하여 세척함으로써 큰 용량 식기 세척이 블가능하여 직접 사람이 세척해야 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세척 작업자의 피부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다는 종래기술로로 제2도와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외부 케이스(case)(10a)에 손잡이(10b)가 형성되며 손잡이(10b)의 상측에는 스위치(10c)가 설치된다.
스위치(10c)는 식기 세척기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스위치(10c)를 온시키면 세척봉(24)이 회전하게 된다. 세척봉(24) 위에는 행주(24b)가 장착되며 세척봉(24)이 회전되면, 세척봉(24)에 장착된 행주(24b)가 회전되어 식기에 남아 있는 음식물이나 기름 찌꺼기를 제거하고 이후 물비누나 물을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봉(24)은 회전발생장치(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세척봉(24)을 회전시키기 위해 스위치(10b)를 온시키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발생장치(1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발생장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모터(11)와 기어 유니트(12)(13)로 구성된다. 모터(11)는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와 연결 접속된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감압기(4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40a)이 형성된다.
안착홈(40a) 내측에는 식기 세척기 안착시 회전발생장치(10)에 구비된 제1전기접속부재(14a)를 접속시키기 위한 제2전기접속부재(41)가 형성된다. 제1전기접속부재(14a)와 제2전기접속부재(41)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 암/수 부재로 형성된다.
안착홈(40a)에 식기 세척기를 안착시 제1전기접속부재(14a)와 제2전기접속부재(41)의 전기 접속을 통해 회전발생장치(10)의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가 충전된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 충전된 전원은 회전발생장치(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감압기(40)에는 무선전원발생부(42)가 설치된다. 무선전원발생부(4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전원 감압기(40)에서 소정 전압으로 감압하면 감압된 전원을 무선전원으로 발생시킨다.
무선전원발생부(42)에서 발생된 전원은 회전발생장치(10)의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서 수신받는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 전원이 수신되면 수신된 전원에 의해 모터(11)가 회전한다. 모터(11)의 회전에 의해 기어 유니트(12)(13)가 회전된다.
기어 유니트(12)(13)는 제1기어(12)와 제2기어(13)로 구성되며 제1기어(12)는 모터(11)의 회전 중심축과 연결되며 제2기어(13)는 제1기어(12)와 치차 결합되어 조립된다.
제2기어(13)의 회전 중심축에는 제1저장부(20)가 설치되어 조립된다. 제1저장부(20)의 일측단에는 제2기어(13)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되어 접속되며, 타측단에 세척봉(24)이 형성된다. 세척봉(24)이 형성된 제1저장부(20)는 기어(21a)가 형성된 회전봉(21), 물비누 송출탱크(22), 세척봉(24)이 형성된 중공 샤프트(shaft)(23), 연결 배관(25) 및 프로펠러(26)로 구성된다.
회전봉(21)은 기어(21a)가 형성되며 기어(21a)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에 제2기어(13)와 접속 연결된다. 제2기어(13)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봉(21)은 일단에 기어(21a)가 형성되며, 이 기어(21a)에 의해 제1프로펠러(26)가 회전된다.
제1프로펠러(26)는 제1프로펠러 회전봉(26a)에 설치되며 회전봉(26a)의 일단에는 기어(26b)가 형성된다. 기어(21a)와 기어(26b)는 치차 결합되며 이 치차 결합에 의해 회전봉(21)이 회전되면 제1프로펠러 회전봉(26a)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 제1프로펠러 회전봉(26a)에 조립 설치된 제1프로펠러(26)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프로펠러(26)는 물비누를 저장하는 물비누 송출탱크(22)의 내측에 설치되며 물비누 송출탱크(22)의 일단에는 세척봉(24)이 형성된 중공 샤프트(23)가 연결배관(25)으로 결합되어 조립된다.
세척봉(24)은 물비누 송출탱크(22)로부터 공급되는 물비누를 행주(24b)로 공급하기 위해 노즐(24a)이 형성된다. 세척봉(24)의 노즐(24a)을 통해 물비누를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함과 동시에 물을 식기로 공급하기 위해 제2저장부(30)가 제1저장부(20)의 전단에 설치된다. 제2저장부(30)는 연결배관(33)에 의해 호스(51)가 연결되며, 호스(51)는 보조탱크(50)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제2저장부(30)는 물 송출탱크(31)와 물 송출탱크(31)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발생하는 제2프로펠러(32)로 구성된다.
보조탱크(50)는 식기 세척기의 전체적인 중량 및 사용의 편의를 위해 분리 구성되며 보조탱크(50)에 저장된 물은 호스(51)를 통해 물 송출탱크(31)로 공급된다. 물 송출탱크(31)로 공급된 물은 제2프로펠러(32)에 의해 호스(5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호스(51)를 통해 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제2프로펠러(32)는 중공 샤프트(23)의 외측에 설치된다. 중공 샤프트(23)의 외측에 설치된 제2프로펠러(32)는 중공 샤프트(2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중공 샤프트(23)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프로펠러(3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압력은 물을 세척봉(24)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된 호스(51)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베어링(20b)(20c)(30a)(30b)은 회전봉(21)과 중공 샤프트(23)의 회전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거나 저장된 물이 외부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안이나 이는 자동식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임에도 불구하고 또한 본체내부에 모터가 있어 중량상의 단점이 있어 실용상에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중량이 나가는 부품을 삭제하여, 극히 간결하게 되어 중량이 대폭 축소됨으로 주부들의 사용이 더욱 용이하게 되고, 원가절감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실용화가 용이하게 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식기 세척기를 사용하여 식기나 기타 주방용품을 세척할 수 있는 수동식 식기세척기로 기존의 자동식 식기 세척기의 모터부를 제거하여 세척기의 중량을 줄여 이를 실용화가 원활하게 하고, 또한 기존의 자동 세척기의 단점인 원가절감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는 종래에 의한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2은 종래에 의한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3는 종래에 의한 제2실시예의 세부 구성도,
도4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프레이식 식기 세척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케이스 2:세척실
4:펌프 6:안내관
10:회전발생장치 11:모터
14:무선전선 수신부 24:세척봉
26:제1 프로펠러 30:제2 저장부
40:전원감압기 50:보조탱크
101:스프레이 버튼 102:부착용 수세미(부러쉬)
103:세제 저장용기 104:스프링
105:액체 흡입용 유도관 106:뚜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는,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통을 활용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된 세척용 수세미나 브러쉬로 구성되며 이는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식 원통의 하부에 부착되어 아주 간단하게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원가를 줄임으로써, 실생활에서 손쉽게 활용되어 직접 물비누나 물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용자의 피부손상을 방지하고 휴대시에도 이를 편리하게 휴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고안이다.
물론 이런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는 식기 뿐만 아니라 일반 주방 기구에도 폭 넓게 활용되어 가정 주부가 설거지 및 주방 청소에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원고안의 첨부된 도면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주방용 세제를 저장한 스프레이 통형의 원통형의 용기의 하단부에 식기 및 주방기구를 세척하기 위한 주방용 수세미나 브러쉬를 부착시켜 이를 이용하여 주방기구 및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구조이다.
세제 저장용기(103)안의 세제를 스프레이 버튼(101)을 누르면 세제 저장용기(103)안의 세제가 액체흡입용 유도관(105)을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된 세제는 부착용 수세미(102)나 부러쉬에 흡입시켜 이를 가벼운 세제 저장용기(103)를 손으로 파지하여 주방용기나 식기를 부착용 수세미(102)나 브러쉬를 통하여 세척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이며 이는 뚜껑(106)을 통하여 세제 저장용기(103)안의 세제를 다 사용하였을 때는 다시 뚜껑(106)을 열고 다시 충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원가도 저렴하고, 또 경량화되게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가정 생활상에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게 고안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04는 상기 스프레이 버튼(101)을 작동시키게 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동식 식기 세척기는, 스프레이 버튼, 세제 저장용기, 부착용 수세미나 브러쉬로 구성되어, 아주 간단한 고안으로 하여 경량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손쉽게 활용되어 직접 물비누나 물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용자의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레저생활의 증가에 따라서 야외에서 취사하는 빈도가 많아져 여러 가지 번거로움을 줄일 수도 있어, 그 활용의 빈도가 많아지며,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 저장용기(103)와,
    세제가 상기 세제저장 용기(103)에서 배출될 수 있게 유도하는 액체 흡입용 유도관(105)과,
    배출된 세제로 주방용기나 식기를 세척하는 부착용 수세미(10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수세미(102)는 상기 세제저장 용기(103)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식기 세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수세미(102)는 상기 세제 저장용기(103)에 부착하여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식기 세척기.
KR2020000025102U 2000-09-04 2000-09-04 수동식 식기 세척기 KR200223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102U KR200223626Y1 (ko) 2000-09-04 2000-09-04 수동식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102U KR200223626Y1 (ko) 2000-09-04 2000-09-04 수동식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626Y1 true KR200223626Y1 (ko) 2001-05-15

Family

ID=7308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102U KR200223626Y1 (ko) 2000-09-04 2000-09-04 수동식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395B2 (en) Electric pan scrubber device
CN104305943A (zh) 多功能餐具刷洗器
US20170156566A1 (en) Portable dishwashing apparatus
CN108852224A (zh) 一种双腔喷淋的洗碗机
KR200223626Y1 (ko) 수동식 식기 세척기
CN2244378Y (zh) 超高压移动喷射式多功能洗碗机
CN202699082U (zh) 一种有效利用厨房设施的新型洗碗机
CN212465919U (zh) 一种全自动节能洗碗机
KR100329285B1 (ko) 식기 세척기
CN211674110U (zh) 一种家庭用可洗刷式洗碗机
KR100329358B1 (ko) 수동식 식기 세척기
CN208973735U (zh) 一种轨道装配的双腔喷淋的洗碗机
KR0157019B1 (ko) 주방용 식기 세척장치
CN105769099A (zh) 清洗喷淋系统及洗碗机
KR940009441B1 (ko) 다목적 설겆이대
CN212939631U (zh) 一种厨师用锅具快速清洁装置
CN110584313B (zh) 一种手持式洗碗机
CN204169802U (zh) 多功能餐具刷洗器
KR19990034918U (ko) 파지용초음파식기세척구
CN208211992U (zh) 一种刷碗机
CN209058250U (zh) 一种多功能卫生清洁用具
KR20050081076A (ko) 입형 욕실 청소기
CN218128447U (zh) 一种内喷式洗碗机
CN216417106U (zh) 一种具有双喷淋结构的洗碗机
CN213963232U (zh) 一种智能蒸汽拖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