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500Y1 -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 Google Patents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00Y1
KR200223500Y1 KR2020000034023U KR20000034023U KR200223500Y1 KR 200223500 Y1 KR200223500 Y1 KR 200223500Y1 KR 2020000034023 U KR2020000034023 U KR 2020000034023U KR 20000034023 U KR20000034023 U KR 20000034023U KR 200223500 Y1 KR200223500 Y1 KR 200223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head
wh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마인 메이슨
Original Assignee
다마인 메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마인 메이슨 filed Critical 다마인 메이슨
Priority to KR2020000034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00Y1/en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활판차(滑板車, 이하 킥 보드라 함)는 전단(前端)에 제1 개구(開口)를 형성하는 활판(滑板)과 상기 활판의 저면후단(底面後端)에 설치된 후륜(後輪),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며 상기 활판과 연결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하단에 설치되는 전륜(前輪)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조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한다.A type p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ck board) that provides various oper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ype plate forming a first opening at a front end and a bottom rear end of the type plate. A rear wheel installed in the rear wheel, a handle penetrating the first opening and connected to the sliding plate, and a front wheel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thereby providing various operation methods to the user.

Description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활판차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Trolleys that offer a variety of controls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본 고안은 킥 보드(kick boar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킥 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 board (kick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ck board that provides a user with a variety of operations.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킥 보드는 활판과 상기 활판의 전단에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하단에 설치되는 전륜 및 상기 활판의 저면후단에 설치되는 후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킥 보드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방법을 배우기 쉬우며 장소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현재 매우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킥 보드가 갖고있는 구조적 제한으로 인하여 단순한 활주와 커브동작 외에는 사용자가 기타 동작을 할 수 없으며 롤러스케이트(휠이 한 줄인 것) 또는 자전거처럼 다양한 특기를 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동안 즐긴 후에는 동작이 단조롭기 때문에 싫증이 나게된다.Conventional kick boards that are widely sold on the market are composed of a typeface and a handl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late, a front whee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handle, and a rear wheel installed at the bottom end of the plate. These kick boards are very popular at present because they are simple in structure, easy to learn to operate, and are not restricted in places. 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se kickboards, the user cannot perform other movements except simple slide and curve movements, and various skills such as roller skates or bicycles. Get tired because the operation is monotonous.

상기와 같은 결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이 가능한 킥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efect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kick board capable of various operations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킥 보드는 전단에 제1 개구를 형성하는 활판과 상기 활판의 저면후단에 설치되는 후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며 상기 활판과 연결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저면에 연결되는 전륜을 포함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한다.Kick board providing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lide that forms a first opening in the front end and the rear wheel is installed on the bottom end of the bottom plate, and through the first opening It includes a handl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and the front wheel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andle provides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to the us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입체도.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2에서 3-3을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3-3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1).4 is a view (1)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2).5 is a view (2)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3).6 is a view (3)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입체도.7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우수성을 진일보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두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further illu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wo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킥 보드(10)는 활판(20)과 후륜(30), 핸들(40) 및 전륜(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kick board 10 that provides various oper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plate 20, a rear wheel 30, a handle 40, and a front wheel 50. ).

상기 활판(20)은 나무 또는 섬유보강플라스틱(FRP) 등과 같은 탄성재료로 구성되며 너비는 보통 킥 보드보다 넓고 단축(短軸)방향은 오목하면서 위로 향하는 호형(弧形)(도 3 참조)이므로 사용자의 발 부분에 보다 양호한 지지 및 조작기능을 제공하며 표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외층(外層)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능력을 더욱 제고할 수 있다. 제조시의 생산원가 및 기타 상황을 고려하여 평면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활판(20)은 본체(22)와 상기 본체(22)에서 전단상측(前端上側)으로 신장된 두부(頭部)(24) 및 상기 본체(22)에서 후단상측(後端上側)으로 신장된 미부(尾部)를 포함하며, 상기 두부(24)와 상기 본체(22)사이에는 제1 개구(28)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활판(20)의 본체(22)와 두부(24)사이의 저면(底面)에는 고리모양의 보강판(補强板)(29)이 설치되며 그 형상은 상기 제1 개구(28)의 형상과 대응되고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조함으로써 국부(局部)의 강도를 강화시킨다.The plate 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wood or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and the width is usually wider than the kick board, the short axis (短軸) is concave and upwards arc shape (see Figure 3), so Providing better support and operation on the foot of the user, and the outer layer with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to further enhance the user's operation ability. It may also be designed in plan, taking into account production costs and other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plate 20 extends from the main body 22 and the head 22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2. And a tail portion, and a first opening 28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24 and the main body 22. An annular reinforcement plate 29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main body 22 and the head 24 of the plate 20, the shape of which is the shape of the first opening 28.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loy and strengthens the local strength.

상기 후륜(30)은 후륜프레임(32)을 통하여 상기 활판(20)의 본체(22)와 미부(26) 교접부(交接部)의 저면(底面)에 설치된다.The rear wheel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2 and the tail portion 26 of the sliding plate 20 through the rear wheel frame 32.

상기 핸들(40)은 하단부가 상기 제1 개구(28)를 관통하여 상기 활판(20)의 본체(22)와 연결되며 그 연결형식은 고정연결(도 1 및 도 2 참조)이나 또는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상기 연결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重點)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andle 40 has a lower end penetrating the first opening 28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 of the typographic plate 20, and the connection type thereof is a fixed connection (see FIGS. 1 and 2) or can be folded. It can b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connection method is not the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重點),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전륜(50)은 상기 핸들(40)의 하단에 설치한다.The front wheel 5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40.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킥 보드(10)의 활판(20)은 두부(24)와 미부(2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전륜(50) 앞부분이나 또는 상기 후륜(30)의 뒷부분에 발을 놓고 다양한 특기 또는 기타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킥 보드(10)의 전후륜(50, 30)이 지면에 접하지 않았을 경우 중앙구역(A)과 두 측변(B), 두부(24) 및 미부(26)를 포함하는 상기 활판(20)의 저면(底面)은 모두 장애물과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기술' '평행형술' 등의 특기를 발휘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므로 (도 5, 도 6 참조) 종래의 킥 보드로 달성할 수 없는 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ead plate 20 of the kick board 10 is provided with a head 24 and a tail part 26, so that a user may have a front part of the front wheel 50 or a rear part of the rear wheel 30. You can put your feet on and perform various specialties or other manipulation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when the front and rear wheels 50 and 30 of the kick board 1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central zone A, the two sides B, the head 24, and the tail 26 are shown. The bottom (底面) of the typography 20 that includes a not only can be in contact with the obstacles, but also provides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such as can exhibit a special skill, such as 'slip technology' 'parallel surgery' (Fig. 5, 6) Since the operation can not be achieved with the conventional kick board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킥 보드(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킥 보드와 대체로 유사하나 상이한 점은 상기 킥 보드(60)의 활판(62)이 상기 본체(64)와 미부(66) 사이에 제2 개구(70)를 추가로 포함하고 후륜(72)은 상기 제2 개구(70)를 관통하여 상기 활판(62)의 저면과 연결하고 상기 킥 보드(60)는 사용자가 아래로 밟으면 후륜을 누르면서 브레이크작용을 하는 상기 활판(62)에 설치되며 상기 후륜(72) 상부에 위치하는 휠커버(7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된 킥 보드(60)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킥 보드의 각종 장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급브레이크 기능도 갖고 있다.7 and 8, the kick board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imilar to the kick 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differ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kick board 60. The slide plate 62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ning 70 between the body 64 and the tail portion 66 and the rear wheel 72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70 to bottom surface of the slide plate 62. And the kick board 60 further includes a wheel cover 74 which is installed on the sliding plate 62 that brakes while the user presses down the rear wheel and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wheel 72. The kick board 60 having such a structure not only has various advantages of the kick 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also has a rapid brake function.

상기 활판의 두부와 미부의 설계방법, 즉 두부와 미부의 형상 및 본체와의 각도 등에는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활판의 두부와 미부는 본체와 동일한 평면에 있을 수 도 있으며, 이것은 또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There may be various changes in the design method of the head and tail of the letter board, that is, the shape of the head and tail and the angle of the bod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ead and tail of the letterpress may be in the same plane as the body, which of course also falls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Short description of the sign

(10) 활판차(滑板車; 킥 보드)(10) letterpress

(20) 활판(滑板) (22) 본체(本體) (24)두부(頭部)(20) Letterpress (22) Main body (24) Tofu

(26) 미부(尾部) (28)제1 개구(開口)(26) Tail part (28) First opening

(29) 보강판(補强板) (A) 중앙구역(中央區域)(29) Reinforcement plate (A) Central space

(B) 측변(側邊)(B) side

(30) 후륜(後輪) (32) 후륜프레임(30) Rear wheels (32) Rear wheel frames

(40) 핸들 (50) 전륜(前輪)(40) Steering Wheel (50) Front Wheel

(60) 활판차(킥 보드) (62) 활판 (64) 본체(60) Letterpress (kick board) (62) Letterpress (64) Body

(66) 미부 (70) 제2 개구 (72) 후륜(66) Tail 70 70 Second Opening 72 Rear Wheel

(74) 휠커버(74) wheel cove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련된 설계의 활판과 후륜, 핸들 및 전륜의 조합으로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킥 보드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ck board that provides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by a combination of a sleek design and a rear wheel, a handle and a front wheel.

Claims (17)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활판차에 있어서,In the typeface that provides a variety of operating methods, 전단 위치에 제1 개구를 형성하는 활판;A tympanic plate forming a first opening in a shear position; 상기 활판의 저면 후단에 설치된 후륜;A rear wheel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etter board;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며 상기 활판과 연결되는 핸들; 및A handle penetrating the first opening and connected to the letter board; And 상기 핸들의 하단과 연결되는 전륜Front wheel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andle 을 포함하는 활판차.Treadmil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활판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하는 두부 및 상기 본체의 후단에 위치하는 미부를 포함하며, 제1 개구는 상기 두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typography includes a main body, a head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a tail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the first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pening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 and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활판의 두부, 본체 및 미부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활판차.The head, main body and tail portion of the tympanol typometer providing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same plan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두부는 상기 본체의 전단에서 전방상측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head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미부는 상기 본체의 후단에서 후방상측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And the tail portion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upper sid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활판의 본체와 두부의 교접부에 설치되어 국부적으로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And a reinforcement plate which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head of the plate to reinforce local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활판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tack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late is formed in a fl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활판의 단축방향은 오목하면서 위로 향하는 호형(弧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A sledge wh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axial direction of the ledge is concave and upwardly arc-shaped. 다양한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활판차에 있어서,In the typeface that provides a variety of operating methods, 전단 위치에 제1 개구를 형성하고 후단위치에 제2 개구를 형성하는 활판;A sliding plate forming a first opening in a front position and a second opening in a rear position;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며 상기 활판의 저면에 연결되는 후륜;A rear wheel penetrating the second opening a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tympanum;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며 상기 활판과 연결되는 핸들; 및A handle penetrating the first opening and connected to the letter board; And 상기 핸들의 하단과 연결되는 전륜Front wheel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andle 을 포함하는 활판차.Treadmill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활판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하는 두부 및 상기 본체의 후단에 위치하는 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두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미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typography includes a main body, a head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a tail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opening is located between the head and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opening is located at the tail and the main body. A letterpress wheel, which is located betwee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활판의 두부, 본체 및 미부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head, body and tail portion of the tympano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ame plan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두부는 상기 본체의 전단에서 전방상측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head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미부는 상기 본체의 후단에서 후방상측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And the tail portion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upper sid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활판의 본체와 두부의 교접부에 설치되어 국부적으로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And a reinforcement plate which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head of the plate to reinforce locally.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활판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tack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late is formed in a fla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활판의 단축방향은 오목하면서 위로 향하는 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The short-axis direction of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and upward arc shap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사용자가 아래로 밟으면 상기 후륜을 누르면서 브레이크작용을 하는 상기 활판에 설치되며, 상기 후륜 상부에 위치하는 휠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판차.When the user stepped down is installed on the tackle to act as a brake while pressing the rear wheel, the tack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eel cover located above the rear wheel.
KR2020000034023U 2000-12-05 2000-12-05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KR2002235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23U KR200223500Y1 (en) 2000-12-05 2000-12-05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23U KR200223500Y1 (en) 2000-12-05 2000-12-05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00Y1 true KR200223500Y1 (en) 2001-05-15

Family

ID=7309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23U KR200223500Y1 (en) 2000-12-05 2000-12-05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0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79B1 (en) * 2008-01-16 2011-10-17 주식회사 타이젠 A wrenching type kick scoo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79B1 (en) * 2008-01-16 2011-10-17 주식회사 타이젠 A wrenching type kick scoo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470B2 (en) Front wheels assembly for a scooter
US11439890B2 (en) Personal transport apparatus
US20020050695A1 (en) Tricycle
WO2002096527A3 (en) Riding device
KR200223500Y1 (en) Scooter provided with means to enhance maneuverability thereof
US6227555B1 (en) Top-press steering device for a skateboard
US2134318A (en) Scooter
JP3077901U (en) scooter
US2508189A (en) Scooter toy
JP3763456B2 (en) Sled
JP3060996U (en) Structure of skateboard with direction control rod
USD487486S1 (en) Toy road racing skateboard
EP1203714A2 (en) Tricycle
USD458879S1 (en) Sports ball steering wheel cover
USD444820S1 (en) Clamp for attaching a computer game controller to a desktop
USD497958S1 (en) Child's steerable riding toy with brakes and pivoting, spring-biased, hand-operated propelling device
JP3109674U (en) skateboard
USD539356S1 (en) Bubble weed trimmer toy
JPH0930488A (en) Outrigger canoe with scale
JP2002210066A (en) Snow glider
GB2360560A (en) Braking a skateboard cart
JP3079631U (en) Kick board
KR200199361Y1 (en) Swing car
WO2002102479A3 (en) Surface traversing apparatus with stepped running surface
JPH07275429A (en) Ski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