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471Y1 - 전자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전자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471Y1
KR200223471Y1 KR2020000033539U KR20000033539U KR200223471Y1 KR 200223471 Y1 KR200223471 Y1 KR 200223471Y1 KR 2020000033539 U KR2020000033539 U KR 2020000033539U KR 20000033539 U KR20000033539 U KR 20000033539U KR 200223471 Y1 KR200223471 Y1 KR 200223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able
electronic do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김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선 filed Critical 김태선
Priority to KR2020000033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471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도어의 제작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전자 도어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1)에 제 1 고정체(11)가 설치되고 문틀(2)에 제 2 고정체(12)가 설치된 힌지 본체(10)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본체(10)의 제 1, 2 고정체(11,12) 중앙에 위치한 힌지핀(13)에 끼워져 일렬로 배치된 박스 형상의 연결체(14,15) 내부로 케이블(6)을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도어용 힌지 {HINGE FOR ELECTRONIC DOOR}
본 고안은 전자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 도어는 철 또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방화문 등을 전기적인 신호로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자 도어는 도어의 외부에 암호 인식 또는 지문 인식 등의 도어 개방용 신호 감지기를 설치함과 아울러 도어의 내부에 도어 개방용 버튼과 센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 도어는 신호 감지기와 버튼 등의 작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작동시킬 수 있게 내부에 전원과 신호용 케이블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을 외부 단자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자 도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2)에 힌지 본체(3)를 통해 지지된 도어(1)와, 상기 도어(1)의 전방에 설치된 신호 감지기(4)와, 상기 신호 감지기(4)에 외부 단자(미도시)를 연결시킬 수 있게 도어(1)와 문틀(2)에 설치된 파워 트랜스퍼(5)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신호 감지기(4)는 암호 인식과 지문 인식 또는 센싱 등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감지기(4)를 작동시킬 수 있게 전원 또는 신호용 케이블(6)을 외부 단자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파워 트랜스퍼(5)는 문틀(2)과 도어(1)의 접촉지점에 위치되는 케이블(6)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워 트랜스퍼(5)는 2개의 하우징(5',5')을 형성함과 아울러 케이블(6)을 수용하는 가이드 스프링(7)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5',5')은 문틀(2)과 도어(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6)을 감싼 가이드 스프링(7)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스프링(7)은 양측이 하우징(5',5')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 도어는 전기 또는 신호가 신호 감지기(4)로 인가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감지기(4)가 설치된 도어(1)를 개방시키면 파워 트랜스퍼(5)의 가이드 스프링(7)이 하우징(5',5')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5',5') 외측으로 이탈된 가이드 스프링(7)은 자체 탄성에 의해서 케이블(6)이 꼬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도어(1)를 닫게 되면 하우징(5',5') 외측으로 위치되어 있던 가이드 스프링(7)이 도어(1)의 닫힘 압력에 의해서 하우징(5',5') 내측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5',5') 내측으로 가이드 스프링(7)이 끼워질 때 하우징(5',5') 전방에 형성된 가이드편(8)의 안내에 의해서 가이드 스프링(7)이 점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5',5') 내측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 스프링(7)이 가이드편(8)에 걸리게 되면 가이드 스프링(7) 및 케이블(6)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 도어는, 힌지 본체(3)와 별도로 케이블(6) 보호용 파워 트랜스퍼(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1)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됨과 아울러 도어(1) 개방시에 파워 트랜스퍼(5)의 가이드 스프링(7) 노출로 인한 보안성 취약과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워 트랜스퍼(5)의 가이드편(8)에 가이드 스프링(7)이 걸리게 되면 하우징(5',5') 내측으로 가이드 스프링(7)이 끼워지지 않게 되면서 케이블(6)이 손상되는 것이고, 상기 케이블(6)이 손상되면 파워 트랜스퍼(5)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수리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전자 도어의 제작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전자 도어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전자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문틀에 각각 제 1, 2 고정체를 통해서 설치된 힌지 본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본체의 힌지핀에 지지되어 일렬로 배열된 연결체 내부로 케이블을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것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도어 2: 문틀
4: 신호 감지기 5: 파워 트랜스퍼
6: 케이블 10: 힌지 본체
11: 제 1 고정체 12: 제 2 고정체
13: 힌지핀 14: 제 1 연결체
15: 제 2 연결체
본 고안은 도 1에서 참조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에 제 1 고정체(11)가 설치되고 문틀(2)에 제 2 고정체(12)가 설치된 힌지 본체(10)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본체(10)의 제 1, 2 고정체(11,12) 중앙에 위치한 힌지핀(13)에 끼워져 일렬로 배치된 박스 형상의 연결체(14,15) 내부로 케이블(6)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핀(13)에 지지된 연결체(14,15,16,17,18,19)의 일측은 가이드핀(20,20')에 지지되어 제 1, 2 고정체(11,12)의 안내홈(21,21')에 선택적으로 위치됨과 아울러 연결체(14,15,16,17,18,19)의 타측은 지지핀(22,22')을 통해 제 1, 2 고정체(11,12)에 각각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핀(13)의 최상측부에 위치된 제 1 연결체(14) 및 제 2 연결체(15) 내부에 설치홀(23,23')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설치홀(23,23')에 케이블(6)을 인서트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 1, 2 연결체(14,15)의 연결부위인 힌지핀(13) 내부에도 안내홀(24)을 형성하여 케이블(6)을 인서트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연결체(14)의 설치홀(23)에 위치된 케이블(6)을 힌지핀(13)의 안내홀(24)로 위치시키고, 상기 안내홀(24)에 위치된 케이블(6)을 제 2 연결체(15)의 설치홀(23')에 위치시킴으로써 하나의 케이블(6)이 도어(1)와 문틀(2)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파워 트랜스퍼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힌지 본체(10) 만으로 힌지 기능 및 케이블(6)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1)의 제작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것으로서, 전자 도어의 신호 감지기(4)로 전기 또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신호 감지기(4)에 연결되는 케이블(6)을 힌지 본체(10)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 본체(10) 내부에 케이블(6)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연결체(14)에 형성된 설치홀(23)에 케이블(6)을 끼운후 제 1 연결체(14)를 힌지핀(13)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13)의 안내홀(24)에 상기 케이블(6)을 인서트함과 아울러 힌지핀(13)에 제 2 연결체(15)를 끼운후 상기 케이블(6)을 제 2 연결체(15)의 설치홀(23')에 끼워 제 2 연결체(15)의 타측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케이블(6)을 제 1, 2 연결체(14,15) 및 힌지핀(13) 내측으로 위치시켜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후 순차적으로 연결체(16,17,18,19)를 힌지핀(13)에 지지시킨다.
상기 힌지핀(13)에 각각의 연결체(14,15,16,17,18,19)를 지지시킨 후 제 1, 3, 5 연결체(14,16,18)의 일측을 가이드핀(20)으로 지지하여 안내홈(21)에 위치시키고, 제 2, 4, 6 연결체(15,17,19)의 일측을 가이드핀(20')으로 지지하여 안내홈(21')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 1, 3, 5 연결체(14,16,18)의 타측을 제 2 고정체(12)에 지지핀(22')으로 지지시키고, 상기 제 2, 4, 6 연결체(15,17,19)의 타측을 제 1 고정체(11)에 지지핀(22)으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은 6개의 연결체(14,15,16,17,18,19)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4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교대로 지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연결체(14,15,16,17,18,19)를 제 1, 2 고정체(11,12)에 지지시킨 후 제 1 고정체(11)는 도어(1)의 측면에 고정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고정체(12)는 문틀(2)에 고정함으로써 힌지 본체(10)의 고정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 본체(10)를 문틀(2)과 도어(1)에 고정한 후 힌지 본체(10)에 내장된 케이블(6)의 일측을 신호 감지기(4)에 고정하는 것이고, 상기 케이블(6)의 타측을 외부 단자에 연결하여 신호 감지기(4)로 전원 또는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도어(1)를 개방시키면 힌지 본체(10)를 지점으로 도어(1)가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가 회전될 때 힌지 본체(10) 외측으로 케이블(6)이 나타나지 않게 됨으로써 외관상 단조로워지는 것이며, 도어(1)를 닫게 되더라도 힌지 본체(10) 외측으로 케이블(6)이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도어(1)를 열고 닫을 때 힌지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6)의 위치가 가변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6)의 위치 조정은 스프링(25)의 일측을 도어(1)와 문틀(2)에 각각 고정시킴과 아울러 스프링(25)의 타측을 케이블(6)에 지지시킴으로써 케이블(6)의 위치 가변시에 스프링(25)의 인장력으로 항상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파워 트랜스퍼를 사용하지 않고 힌지 본체에 케이블을 내장함으로써 전자 도어의 제작 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전자 도어 개방시에 외관상 미려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 도어 개폐시에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아 별도의 수리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상기 케이블을 내장함에 따라 보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힌지 본체의 힌지핀에 안내홀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인서트함으로써 전원 또는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전자 도어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1)와 문틀(2)에 각각 제 1, 2 고정체(11,12)를 통해서 설치된 힌지 본체(10)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본체(10)의 힌지핀(13)에 지지되어 일렬로 배열된 연결체(14,15) 내부로 케이블(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용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13)에 안내홀(24)을 형성하여 케이블(6)을 인서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용 힌지.
KR2020000033539U 2000-11-30 2000-11-30 전자 도어용 힌지 KR200223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39U KR200223471Y1 (ko) 2000-11-30 2000-11-30 전자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39U KR200223471Y1 (ko) 2000-11-30 2000-11-30 전자 도어용 힌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883A Division KR100399309B1 (ko) 2000-11-30 2000-11-30 전자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471Y1 true KR200223471Y1 (ko) 2001-05-15

Family

ID=7306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539U KR200223471Y1 (ko) 2000-11-30 2000-11-30 전자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4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012B1 (ko) * 2023-04-10 2023-07-24 주식회사 데코판넬 화장실 칸막이 잠금쇠 살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012B1 (ko) * 2023-04-10 2023-07-24 주식회사 데코판넬 화장실 칸막이 잠금쇠 살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90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op and helical turn
US5232373A (en) Connector
KR100737469B1 (ko) 차량의 무빙 와이어링 시스템
WO2007147492A1 (en) Electrical connector
DK199901877A (da) Termineringsanordning f.eks. til et multistik
WO2002071566A3 (de) Kabelbrücke
KR200223471Y1 (ko) 전자 도어용 힌지
US6921293B2 (en) Connector structure
KR100399309B1 (ko) 전자 도어용 힌지
AU2003203125A1 (en) Optical connector
JP3643896B2 (ja) 耳穴形補聴器
US5838535A (en) Housing for electric componentry
JP2011036036A (ja) 分電盤
KR1013602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329792A (zh) 移动电话上的布置
CN108150038B (zh) 铰链以及门结构
KR200223470Y1 (ko)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KR200223472Y1 (ko)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KR0136613Y1 (ko) 냉장고의 전선연결구조
KR200398634Y1 (ko) 이중 밀폐형 로칼 스위치 박스
KR200223469Y1 (ko)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KR20020042120A (ko)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JP3262979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用カバーの保持構造
JP2008064212A (ja) ヒンジ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型携帯端末
JPH1064615A (ja) 電子機器のコネクタカバー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