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239Y1 - 넥타이매듭구 - Google Patents

넥타이매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239Y1
KR200223239Y1 KR2019980018820U KR19980018820U KR200223239Y1 KR 200223239 Y1 KR200223239 Y1 KR 200223239Y1 KR 2019980018820 U KR2019980018820 U KR 2019980018820U KR 19980018820 U KR19980018820 U KR 19980018820U KR 200223239 Y1 KR200223239 Y1 KR 200223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button
knot
hole
assembl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401U (ko
Inventor
김기춘
Original Assignee
김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춘 filed Critical 김기춘
Priority to KR2019980018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2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239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 착용시에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착용자의 목에 걸고 조여주는 정도로써의 매듭동작으로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매급구에 관한 것으로, 보조타이(33)가 이동되면서 고리모양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면 양쪽에 타이인입공(13)이 관통 형성되고, 개방된 후측 중간으로 양쪽에 타이출입공(15)이 관통 형성된 버튼격벽(12)이 형성되며, 고정핀(32)이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만큼 내부 공간쪽으로 돌출된 형상의 핀고정구(14)가 정면 상측에 관통 형성되고, 아울러 리턴스프링(24)의 일측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격벽(12) 아래쪽의 공간에 버튼조립홈(17)이 형성되며, 양쪽의 타이인입공(13) 및 타이출입공(15)으로 인입된 보조타이(33)가 출입 통과되도록 하면인 상기 버튼조립홈(17)의 저면 양쪽에 타이고정공(16)이 관통 형성된 매듭부재(11)와; 중간의 타이출입공(15)을 통과한 상기 보조타이(33)가 출입되도록 양쪽 종방향으로 타이통과공(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24)의 타측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정면 중간부위에 스프링조립홈(22)이 요홈 형성되며, 아울러 일정 높이의 누름돌기(23)가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삽입 조립된 상기 리턴스프링(24)과 함께 상기 매듭부재(11)의 버튼조립홈(17)에 출입 자재되도록 조립된 버튼부재(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넥타이매듭구(A necktie)
본 고안은 넥타이매듭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넥타이 착용시에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착용자의 목에 걸고 조여주는 정도로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넥타이매급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넥타이의 경우에는 와이셔츠의 칼라를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넥타이의 중간 부분을 감아 상기 와이셔츠의 칼라에 감아 걸친 다음,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시킨 넥타이 하부부위를 기준으로 안쪽의 넥타이 상부부위를 여러 차례 돌려 일정한 매듭부위를 만들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매듭부위를 잡고 상기 넥타이 상부부위를 잡아당겨 마무리하였다.
그런데, 넥타이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형태로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운 여러 차례의 매듭동작이 요구되었으며 아울러 매번 넥타이를 착용할 때 마다 일정한 형태로의 매듭부위가 유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길이 조절도 쉽게 정리되지 못해,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여러 차례 그 착용 및 분리동작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의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겨우 만들 수 있어 넥타이를 착용하는 일이 여간 어렵우면서 번거롭고 시간도 필요 이상으로 많이 소요되는 등의 많은 불편이 있었다.
한편, 넥타이를 좀 더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매듭부위가 만들어져 있는 넥타이와 함께 착용자의 목에 실제로 착용되는 보조타이를 포함한 넥타이매급구가 한조로 이루어진 편리한 넥타이가 선보이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넥타이매급구의 경우에는 그 구조 및 매듭동작이 필요 이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넥타이매급구의 형상을 만들기 위한 제작작업이 어렵고 그 제작가격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넥타이매듭구가 갖는 제반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넥타이 착용시에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착용자의 목에 걸고 조여주는 정도로써의 매듭동작으로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매급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조타이가 이동되면서 고리모양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면 양쪽에 타이인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개방된 후측 중간으로 양쪽에 타이출입공이 관통 형성된 버튼격벽이 형성되며, 고정핀이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만큼 내부 공간쪽으로 돌출된 형상의 핀고정구가 정면 상측에 관통 형성되고, 아울러 리턴스프링의 일측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격벽 아래쪽의 공간에 버튼조립홈이 형성되며, 양쪽의 타이인입공 및 타이출입공으로 인입된 보조타이가 출입 통과되도록 하면인 상기 버튼조립홈의 저면 양쪽에 타이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매듭부재와; 상기 타이출입공을 통과한 상기 보조타이가 출입되도록 양쪽 종방향으로 타이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타측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정면 중간부위에 스프링조립홈이 요홈 형성되며, 아울러 일정 높이의 누름돌기가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삽입 조립된 상기 리턴스프링과 함께 상기 매듭부재의 버튼조립홈에 출입 자재되도록 조립된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매듭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넥타이매듭구에 보조타이가 조립된 후면방향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넥타이매듭구에 넥타이의 매듭부위가 조립되는 정면방향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넥타이매듭구 11 : 매듭부재
12 : 버튼격벽 13 : 타이인입공
14 : 핀고정구 15 : 타이출입공
16 : 타이고정공 17 : 버튼조립홈
20 : 버튼부재 21 : 타이통과공
22 : 스프링조립홈 23 : 누룸돌기
24 : 리턴스프링 30 : 넥타이
31 : 매듭부위 32 : 고정핀
33 : 보조타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와이셔츠의 칼라(미도시 함) 안으로 보조타이(33)가 고리형태로 유지되면서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넥타이매급구(10)의 분리구조를 도시한, 도 2는 본 고안의 넥타이매급구(10)에 보조타이(33)가 삽입 조립된 사용상태를 후면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넥타이매급구(10)에 넥타이(30)를 조립 고정되는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타이(33)가 손쉽게 고리 형태를 유지하면서 와이셔츠의 칼라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버튼격벽(12)을 중심으로 하부쪽에 버튼조립홈(17)이 요홈 형성된 매듭부재(11)와, 리턴스프링(24)과 함께 상기 매듭부재(11)의 버튼조립홈(17)에 조립되어 출입 자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버튼부재(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듭부재(11)는 수지재질로 사출형성되는 데, 보조타이(33)가 이동되면서 고리모양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타이(33)가 삽입되는 상면 양쪽에는 타이인입공(13)이 관통 형성되고, 아울러 그 후측 전체는 사출형상이 용이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개방된 후측 중간에 횡방향으로 버튼격벽(12)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격벽(12) 양쪽에는 상기 타이인입공(13)으로 삽입된 보조타이(33)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타이출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아울러 넥타이(30)를 핀결합시키는 고정핀(32)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정면 상측에 핀고정구(14)가 관통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핀고정구(14)는 내부 공간쪽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턴스프링(24)의 일측을 포함하여 버튼부재(20)가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버튼격벽(12) 아래쪽의 공간에 버튼조립홈(17)이 요홈 형성되는 데, 이때의 상기 버튼조립홈(17) 내측 중앙에는 상기 리턴스프링(24)이 삽입되는 일측이 조립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도면도시 생략)가 요홈 형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의 타이인입공(13) 및 타이출입공(15)으로 인입된 보조타이(33)가 출입 통과되도록 매듭부재의 하면인 상기 버튼조립홈(17)의 저면 양쪽에는 타이고정공(16)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리턴스프링(24)과 함께 매듭부재(11) 하부의 버튼조립홈(17)에 조립되는 버튼부재(20)는, 상기 매듭부재(11) 중간의 타이출입공(15)을 통과한 보조타이(33)가 출입되도록 양쪽에 종방향으로 타이통과공(2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통과공(21) 사이로 정면 중간부위에는 리턴스프링(24)의 타측이 삽입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조립홈(22)이 요홈 형성되며, 아울러 후면 중앙부위에는 일정 높이의 누름돌기(23)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버튼부재(20)는 리턴스프링(24)과 함께 상기 매듭부재(11)의 버튼조립홈(17)에 삽입 조립되어, 누름 전진이동되었다가 탄발 후진복귀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매듭부재(20)의 버튼조립홈(17)에 대해 상호 걸림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사용방법으로 편리하게 넥타이(30)를 와이셔츠의 칼라에 착용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넥타이매급구(10)의 매듭부재(11)에 형성된 핀고정구(14)에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되는 넥타이(30)의 매듭부위(3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32)을 체결시켜 매급부재(11)의 정면에 넥타이(30)의 매듭부위(31)를 조립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목이 통과될 수 있도록 넥타이(30)의 보조타이(33)를 넥타이매급구(10)의 매듭부재(11) 위쪽으로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와이셔츠의 칼라에 상기 보조타이(33)를 걸어 두른 다음, 상기 매듭부재(11)의 버튼조립홈(17)에 조립된 버튼부재(20)을 살짝 누르게 되면 상기 매듭부재(11)의 타이인입공(13) 및 타이출입공(15)과 상기 버튼부재(20)의 타이통과공(21) 그리고 상기 매듭부재(11)의 타이고정공(16)으로부터 상기 보조타이(33)의 고정상태가 자유로워져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넥타이매듭구(10)의 버튼부재(20)을 살짝 누른 상태에서 보조타이(33)의 하부를 한손으로 잡고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는 상기 버튼부재(20)가 조립된 매듭부재(11)를 와이셔츠의 칼라까지 이동시켜 상기 버튼부재(20)를 누름 해제시키게 되면, 리턴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재(20)와 상기 매듭부재(11)가 상기 보조타이(33)를 누름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와이셔츠의 칼라에 착용된 상기 보조타이(33)의 착용상태가 마무리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매급구에 의하면, 넥타이 착용시에 와이셔츠의 칼라 밖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착용자의 목에 걸고 조여주는 정도로써의 매듭동작만으로 매듭부위의 흐트러짐 없이 넥타이를 단정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바쁜 생활을 하는 현대인이나 특히 넥타이를 착용하는 데 서투른 초보자나 여성의 경우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넥타이를 부담없이 착용랄 수 있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보조타이(33)가 이동되면서 고리모양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면 양쪽에 타이인입공(13)이 관통 형성되고, 개방된 후측 중간으로 양쪽에 타이출입공(15)이 관통 형성된 버튼격벽(12)이 형성되며, 고정핀(32)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만큼 내부 공간쪽으로 돌출된 형상의 핀고정구(14)가 정면 상측에 관통 형성되고, 아울러 리턴스프링(24)의 일측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격벽(12) 아래쪽의 공간에 버튼조립홈(17)이 형성되며, 양쪽의 타이인입공(13) 및 타이출입공(15)으로 인입된 보조타이(33)가 출입 통과되도록 하면인 상기 버튼조립홈(17)의 저면 양쪽에 타이고정공(16)이 관통 형성된 매듭부재(11)와;
    중간의 타이출입공(15)을 통과한 상기 보조타이(33)가 출입되도록 양쪽 종방향으로 타이통과공(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24)의 타측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정면 중간부위에 스프링조립홈(22)이 요홈 형성되며, 아울러 일정 높이의 누름돌기(23)가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삽입 조립된 상기 리턴스프링(24)과 함께 상기 매듭부재(11)의 버튼조립홈(17)에 출입 자재되도록 조립된 버튼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넥타이매듭구.
KR2019980018820U 1998-09-30 1998-09-30 넥타이매듭구 KR200223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820U KR200223239Y1 (ko) 1998-09-30 1998-09-30 넥타이매듭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820U KR200223239Y1 (ko) 1998-09-30 1998-09-30 넥타이매듭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01U KR20000007401U (ko) 2000-04-25
KR200223239Y1 true KR200223239Y1 (ko) 2001-05-15

Family

ID=6952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820U KR200223239Y1 (ko) 1998-09-30 1998-09-30 넥타이매듭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2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535B1 (ko) * 2000-12-15 2003-09-19 정성두 양면넥타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4B1 (ko) * 2007-12-31 2009-05-26 김영선 간소화된 구조의 넥타이용 착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535B1 (ko) * 2000-12-15 2003-09-19 정성두 양면넥타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01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8981A (en) Enclosed yoke clasp for bola-style necktie
US20090025187A1 (en) Scarf harness
EP1018609A1 (en) Cord fastener
US5584075A (en) Necktie with a knot-forming core for enabling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knot
KR200186430Y1 (ko) 넥타이매듭구
KR200223239Y1 (ko) 넥타이매듭구
WO2011145183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ファスナー被着製品
US5253366A (en) Necktie and shirt combination
KR200442308Y1 (ko) 넥타이
US20070209163A1 (en) Tie support and tie having the same
US6704973B1 (en) Device for facilitating button engagement
KR200337520Y1 (ko) 넥타이 매듭부재
KR100899444B1 (ko) 간소화된 구조의 넥타이용 착용구
GB2168104A (en) Buckle
US11871807B1 (en) Cap
KR800000301Y1 (ko) 분해조립식 허리띠
JP4415130B2 (ja) ウエストバッグ
KR200157724Y1 (ko)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
CN210299555U (zh) 一种西装外套
CN218921887U (zh) 一种组合式纽扣
KR200281650Y1 (ko) 넥타이 매듭구
KR20210006756A (ko) 금속단추용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960008572Y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200443959Y1 (ko) 넥타이
KR200358790Y1 (ko) 지퍼 넥타이용 매듭 성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