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023Y1 -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 Google Patents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023Y1
KR200223023Y1 KR2020000032551U KR20000032551U KR200223023Y1 KR 200223023 Y1 KR200223023 Y1 KR 200223023Y1 KR 2020000032551 U KR2020000032551 U KR 2020000032551U KR 20000032551 U KR20000032551 U KR 20000032551U KR 200223023 Y1 KR200223023 Y1 KR 200223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
elastic band
headband
side suppor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문형
Original Assignee
엄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문형 filed Critical 엄문형
Priority to KR2020000032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에 관한 본 고안은, 머리에 착용되어 땀을 흡수하는 신축성밴드와; 상기 신축성밴드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착탈가능하며 지지수단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눈앞에 위치하는 선그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신축밴드에 대해 선그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 할 수 있으므로, 보통의 헤드밴드를 착용하는 식으로 신축밴드만을 착용할 수 도 있고, 필요시 선그라스를 신축밴드에 결합시켜 신축밴드와 더불어 선그라스를 착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신축밴드에 결합되는 선그라스의 다리가 피부에 직접 밀착하지 않으므로 땀에 의해 선그라스가 벗겨지지 않으며, 특히 신축밴드에 대해 선그라스를 회동시킬 수 있어 신축밴드를 착용한 상태로 눈앞으로부터 선그라스를 간단히 치울 수 있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Sunglass attachable head band}
본 고안은 머리에 착용되어 땀을 흡수하는 헤드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밴드에 선그라스를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시 헤드밴드에 선그라스를 장착하여 헤드밴드와 더불어 선그라스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여유로와지면서 각종 운동이나 등산 등의 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상기 운동 중에서도 특히 육상운동은 땀의 배출이 많은데 운동시 홀러나오는 땀으로 인하여 운동의 방해가 되기도 한다. 가령 예를들어 머리에서 배출되는 땀은 눈으로 흘러들어가 눈을 따갑게 하여 시야를 가림으로써 앞을 잘 볼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머리에서 배출되는 땀이 눈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헤드밴드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운동을 햇빛 아래에서 할 경우 상기 땀 이외에 햇빛에 의해 눈이 부셔 앞을 잘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어서 선그라스를 착용하기도 한다. 상기 선그라스는 그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거의 모든 선그라스는 안경다리가 착용자의 귀 뒤쪽에 밀착하므로 운동중 배출되는 땀에 의해 쉽게 벗겨질 수 있고 피부가 약한 사람의 경우 밀착부가 짖무를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신축밴드에 대해 선그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 할 수 있으므로, 보통의 헤드밴드를 착용하는 식으로 신축밴드만을 착용할 수 도 있고 필요시 선그라스를 신축밴드에 결합시켜 신축밴드와 더불어 선그라스를 착용할 수 도 있으며, 또한 신축밴드에 결합되는 선그라스의 다리가 피부에 직접 밀착하지 않으므로 땀에 의해 선그라스가 벗겨지지 않고, 특히 신축밴드에 대해 선그라스를 회동시킬 수 있어 신축밴드를 착용한 상태로 눈앞으로부터 선그라스를 간단히 치울 수 있도록 구성된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신축밴드 양측에 고정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3b,3c는 상기 거치대에 대한 선그라스 다리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신축밴드 12,42:선그라스
14:글라스부 16:다리부
18:장착구 20:거치대
22:다용도주머니 24:접착천
26:장착돌기 28:제 1측면지지부
30:제 2측면지지부 32:가압돌기
34:안착공간부 36,38:바닥지지면
40:고정플레이트 44:걸이수단
46:걸이부 48:장착홈
49:지지턱 50:회동핀
52:삽입부재 54:고정판
56:힌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머리에 착용되어 땀을 흡수하는 신축성밴드와; 상기 신축성밴드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착탈가능하며 지지수단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눈앞에 위치하는 선그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신축성밴드가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 머리 양측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장착돌기와; 상기 장착돌기를 사이에 두고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하단이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고 고정플레이트와 평행한 제 1측면지지부 및 제 2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그라스의 양쪽 다리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장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에 장착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다리부가 회동하여 고정플레이트와 제 1측면지지부 또는 고정플레이트와 제 2측면지지부 사이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측면지지부 및 제 2측면지지부의 고정플레이트를 향하는 내측면에는 안착된 상태의 선그라스 다리부를 지지하는 가압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신축성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이마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외측면에 수직의 장착홈이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그라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이부에 끼워져 선그라스를 착용자의 눈앞에 위치하도록 하는 걸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은 선그라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의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성밴드의 외측면에는 수납공간을 갖는 다용도 주머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는, 흡수성이 있는 신축밴드에 선그라스를 착탈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위해 신축밴드의 양측부에 선그라스의 다리부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는, 양측부에 거치대(20)가 고정설치되고 머리에 착용되며 땀을 흡수하는 신축밴드(10)와, 상기 거치대(20)에 지지되되 다리부(16) 단부가 거치대(20)에 연결지지되어 도 3의 화살표 a 또는 b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선그라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그라스(12)는 글라스부(14)와, 상기 글라스부(14)의 양측에 설치되며 글라스부(14)측으로 접힐 수 있는 다리부(16)로 구성된다. 상기 글라스부(1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착용자의 눈앞에 위치하되 코에 받쳐지는 것이 아니고 얼굴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장착된다. 아울러 다리부(16)는 통상의 안경다리와 달리 직선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16)의 단부에는 장착구(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18)는 거치대(20)의 장착돌기(26)가 끼워지는 구멍으로서 신축밴드(10)와 선그라스(12)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상기 신축밴드(10)는 일정폭을 가지며 통상의 헤드밴드와 같이 신축성을 가지고 땀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신축밴드(10)의 양측 외측면에 고정되는 거치대(20)는 강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로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신축밴드(10)와 거치대(20)와의 결합은 재봉식으로 하거나 또는 기타 공지의 여러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는, 신축밴드(10)와 직접 접하며 중앙부 외측면에 장착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고정플레이트(4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와 평행하고 일체로 이루어지며 고정플레이트(4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돌기(26)의 돌출높이는 고정플레이트(40)에 대한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의 외측면의 거리까지 연장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0)와 제 1,2측면지지부(28,30)간의 이격거리는 선그라스 다리부(16)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다. 이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0)와 제 1,2측면지지부(28,30)사이로 선그라스의 다리부가 삽입됨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같이 고정플레이트(40)에 대해 제 1,2측면지지부(28,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플레이트(40)와 제 1,2측면지지부(28,30)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선그라스 다리부(16)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바닥지지면(36,38)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 1측면지지부(28)와 제 2측면지지부(30)는 상기 장착돌기(26)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 1측면지지부(28)와 제 2측면지지부(30)간의 이격거리(w1)는 선그라스 다리부(16) 단부의 폭(w2)보다 크다.
또한 상기 신축밴드(10)의 외측면에는 다용도주머니(22)가 구비된다. 상기 다용도주머니(22)는 신축밴드(10)의 외측면에 접착천(24)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천(24)은 통상의 벨크로테입을 사용하며 따라서 신축밴드(10)로부터 다용도주머니(22)를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다용도주머니(22)는 라이터나 동전 등 기타 운동중 필요한 소품을 임시로 넣어두는 주머니로서 크기나 부착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다용도주머니(22)를 신축밴드(10)에 재봉하여 완전히 결합할 수 도 있고 후술하는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헤드밴드(10)의 외측면을 절개하여 헤드밴드(10)의 내부에 내장할 수 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20)는 대략 직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플레이트(4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높이가 d2만큼 돌출된 장착돌기(2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간격 d2만큼 돌출된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고정플레이트(40)에 대한 제 1,2측면지지부(28,30)의 돌출거리(d1)은 장착돌기(26)의 돌출높이(d2)와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고정플레이트(40)와 제 1,2측면지지부(28,30)는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즉, 고정플레이트(40)에 대해 제 1,2측면지지부(28,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위는 고정플레이트(40)와 제 1,2측면지지부(28,30)가 이루는 양측벽의 바닥지지면 (36,38)이다.
또한, 상기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의 고정플레이트(4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가압돌기(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돌기(32)는 고정플레이트(40)측으로 돌출되어 만곡형성된 부위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가압돌기(32)와 고정플레이트(40)가 상호 접촉하도록 함이 좋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0)와 가압돌기(32)의 간격은 최소한 선그라스 다리부(16)의 두께보다 작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32)의 바닥지지면(36,38)에 대한 높이(h)는 다리부(16)의 폭(도 1의 w2)과 같도록 한다.
도면부호 34는 안착공간부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0)와 바닥지지면(36,38)과 가압돌기(3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다. 상기 안착공간부(34)내에는 선그라스 다리부(16)의 단부가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가압돌기(32)의 바닥지지면(36,38)에 대한 높이(h)가 선그라스 다리부(16)의 폭(w2)과 같고, 또한 고정플레이트(40)에 대한 제 1,2측면지지부(28,30)의 간격이 다리부의 두께와 같으므로, 상기 안착공간부(34)내에 삽입된 다리부는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어 고정된다.
도 3a,3b,3c는 상기 거치대에 대한 선그라스 다리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거치대(20)에 대해 다리부(16)를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위치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다리부(16) 단부의 장착구(18)내에 장착돌기(26)가 끼워진 상태로 다리부(16)가 수직으로 위치하여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가 장착돌기(26)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다리부(16)가 장착돌기(26)에 끼워진 상태로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사이에서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다리부(16)를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장착구(18)를 장착돌기(26)에 끼우면 선그라스의 장착이 이루어지고 장착돌기(26)로부터 빼면 분리가 되는 것이다.
상기 도 3a의 상태로부터 다리부(16)를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동시켜 신축밴드(10)에 대해 선그라스를 완전히 결합한다.
즉,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리부(16)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다리부(16)는 고정플레이트(40)와 제 2측면지지부(30)사이를 벌리면서 바닥지지면(38)까지 회동하여 안착공간부(34)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가압돌기(32)와 고정플레이트(40)간의 간격이 다리부(16)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다리부(16)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제 2측면지지부(30)가 바깥쪽으로 일시 밀리고 다리부(16)가 지나간 후에 다시 최초의 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도 3b에서와 같이 제 2측면지지부(30)측으로 회동한 상태의 다리부(16)는 가압돌기(32)에 의해 바닥지지면(38)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안착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외력을 가하여 다리부(16)를 일부러 들어올리지 않는 한 다리부(16)는 위로 들리지 않는 것이다.
도 3c는 다리부(16)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1측면지지부(28)와 고정플레이트(40)사이에 위치시킨 상태로서, 이 경우에도 다리부(16)는 제 1측면지지부(28)의 가압돌기(32)에 의해 하부로 탄성지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거치대(20)에 대해 다리부(16)를 회동시킴으로서 선그라스를 착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다리부(16)를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진 상태이다.
상기 신축밴드(10)만을 착용하여 운동하다가 선그라스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그라스(12)의 다리부(16)를 도 3a에서와 같이 제 1측면지지부(28)와 제 2측면지지부(30)사이에 수직으로 위치시켜 장착돌기(26)를 장착구(18)에 끼우고 앞쪽으로 회동시켜 눈앞에 글라스부(14)가 위치하도록 한다.
선그라스를 사용하다가 선그라스가 임시로 필요 없을 경우에는 다리부(16)를 반대쪽으로 회동시켜 뒤통수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거치대(20)에는 바닥지지면(36,38)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앞쪽이나 뒤쪽으로 위치된 선그라스(12)는 하부로 늘어지지 않는다.
또한 제 1측면지지부(28) 및 제 2측면지지부(30)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32)에 의해 다리부(16)가 바닥지지면(36,38)측으로 탄성지지 되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이 많을 경우라도 선그라스(12)는 일단 장착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선그라스(12)가 아예 필요없을 경우에는 다리부(16)를 도 3a에서와 같이 수직을 위치시킨 후 장착구(18)로부터 장착돌기(26)를 빼내면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에서의 선그라스(42)는 귀에 걸치는 다리부 없이 눈앞에 위치하는 그라스부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는 보통의 안경테에 클립식으로 덧씌워지는 공지의 클립식 선그라스를 연상케한다.
상기 선그라스(42)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고정판(5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54)은 선그라스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된 판상 부재로서 상단부 양측에는 한 쌍의 힌지(5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 힌지(56) 사이에는 삽입부재(52)가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삽입부재(52)는 양측의 힌지(56) 사이에서 회동핀(50)에 의해 끼워져 상하로 회동가능하다. 상기 삽입부재(52)는 후술할 걸이부(46)의 장착홈(48)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부재로서 하단부가 오므라진 형태를 갖는다. 이와같이 하단부를 오므라지게 함으로써 장착홈(48)에 삽입부재(52)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헤드밴드(10)의 외측면에는 걸이부(46)가 고정된다. 상기 걸이부(46)는 전면에 수직의 장착홈(48)이 형성된 부재로서 양측에는 지지턱(49)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밴드(10)에 대한 걸이부(46)의 고정은 접착식이나 재봉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46)는 플라스틱으로 사출하여 성형제작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드밴드(10)의 외측면에 마련된 다용도주머니(22)는 제 1실시예와 달리 헤드밴드(10)의 외측면을 절개하여 헤드밴드(10) 자체내에 수납공간을 제공토록 구비된다. 보통 헤드밴드는 헝겊을 겹쳐 제봉하여 이루어지므로, 이와같이 헤드밴드의 외측면을 절개하여 헤드밴드 자체내에 주머니를 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다용도주머니를 구비하는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밴드(10)에 대해 선그라스(42)가 상부로 회동한 상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삽입부재(52)가 고정판(54)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므로, 헤드밴드(10)를 착용한 상태로 선그라스(42)를 위로 올려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헤드밴드를 착용하여 운동을 하다가 선그라스를 착용하고자 하면, 걸이부(46)의 장착홈(48)에 삽입부재(54)를 끼워 눈앞에 선그라스(42)가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선그라스(42)가 일시적으로 필요없을 경우 선그라스(42)를 위로 회동시켜 눈앞으로부터 선그라스(42)를 치울 수 있다. 선그라스(42)가 계속 필요없을 경우에는 걸이부(46)로부터 삽입부재(52)를 완전히 분리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는, 신축밴드에 대해 선그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 할 수 있으므로, 보통의 헤드밴드를 착용하는 식으로 신축밴드만을 착용할 수 도 있고, 필요시 선그라스를 신축밴드에 결합시켜 신축밴드와 더불어 선그라스를 착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신축밴드에 결합되는 선그라스의 다리가 피부에 직접 밀착하지 않으므로 땀에 의해 선그라스가 벗겨지지 않으며, 특히 신축밴드에 대해 선그라스를 회동시킬 수 있어 신축밴드를 착용한 상태로 선그라스를 뒤통수쪽으로 넘길 수 도 있어 선그라스가 임시로 필요없을 경우 눈앞으로부터 선그라스를 간단히 치울 수 있다. 아울러, 선그라스의 다리부가 장착된 상태로 탄성지지되므로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선그라스가 신축밴드로부터 분리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이 위치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머리에 착용되어 땀을 흡수하는 신축성밴드와;
    상기 신축성밴드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착탈가능하며 지지수단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눈앞에 위치하는 선그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신축성밴드가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 머리 양측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각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장착돌기와;
    상기 장착돌기를 사이에 두고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하단이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고 고정플레이트와 평행한 제 1측면지지부 및 제 2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그라스의 양쪽 다리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장착구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에 장착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다리부가 회동하여 고정플레이트와 제 1측면지지부 또는 고정플레이트와 제 2측면지지부 사이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측면지지부 및 제 2측면지지부의 고정플레이트를 향하는 내측면에는 안착된 상태의 선그라스 다리부를 지지하는 가압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신축성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이마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외측면에 수직의 장착홈이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그라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이부에 끼워져 선그라스를 착용자의 눈앞에 위치하도록 하는 걸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선그라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의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밴드의 외측면에는 수납공간을 갖는 다용도 주머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KR2020000032551U 2000-11-21 2000-11-21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KR200223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51U KR200223023Y1 (ko) 2000-11-21 2000-11-21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51U KR200223023Y1 (ko) 2000-11-21 2000-11-21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023Y1 true KR200223023Y1 (ko) 2001-05-15

Family

ID=7306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51U KR200223023Y1 (ko) 2000-11-21 2000-11-21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0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96Y1 (ko) 2008-04-03 2011-04-11 주만호 선글라스 보관용 모자
KR101086284B1 (ko) 2011-08-26 2011-11-24 진선진 옆머리 고정수단이 구비된 헤어밴드
KR101554432B1 (ko) 2014-08-11 2015-09-18 박영출 안경 체결용 클램프가 구비된 모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96Y1 (ko) 2008-04-03 2011-04-11 주만호 선글라스 보관용 모자
KR101086284B1 (ko) 2011-08-26 2011-11-24 진선진 옆머리 고정수단이 구비된 헤어밴드
WO2013032134A2 (ko) * 2011-08-26 2013-03-07 Lee Jung-Suk 옆머리 고정수단이 구비된 헤어밴드
WO2013032134A3 (ko) * 2011-08-26 2013-04-25 Lee Jung-Suk 옆머리 고정수단이 구비된 헤어밴드
KR101554432B1 (ko) 2014-08-11 2015-09-18 박영출 안경 체결용 클램프가 구비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469A (en) Sunglasses with removable side shields
US5410763A (en) Eyeshield with detachable components
CA2927727C (en) Modular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facades
US5533207A (en) Positionable sunglasses and cap combination
US7478906B2 (en) Eyewear with adjustable retention strap
US7909457B2 (en) Eyewear assembly for attachment to headwear
US20030182713A1 (en) Fully collapsible headset
US5956117A (en) Eyeglasses with head embracing temple
US6739718B1 (en) Visor sunglasses
US5771500A (en) Headband with lens piece
EP0455791A4 (en) Improved eyewear traction device
EP1608243A1 (en) Cap having versatile sunglass retainer and sunglass retaining method
US6282721B1 (en) Headwear with slots for glasses
CN210270396U (zh) 一种智能运动眼镜
KR200367353Y1 (ko) 다용도 안경
US5080475A (en) Auxiliary lens frame for eyeglasses
AU2006225274A1 (en) A Set of Eyeglasses with Attachment System
KR200223023Y1 (ko) 선그라스 탈부착형 헤드밴드
US4986650A (en) Sun glasses for water sports
US5331356A (en) Portable spectacles
US5106178A (en) Prescription lens holder for use with sunglasses
CA2786117A1 (en) Eyewear earstem devices and methods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KR200367354Y1 (ko) 다용도 안경
CN215839889U (zh) 多功能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