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718Y1 -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 Google Patents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718Y1
KR200222718Y1 KR2019980019053U KR19980019053U KR200222718Y1 KR 200222718 Y1 KR200222718 Y1 KR 200222718Y1 KR 2019980019053 U KR2019980019053 U KR 2019980019053U KR 19980019053 U KR19980019053 U KR 19980019053U KR 200222718 Y1 KR200222718 Y1 KR 200222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nking water
water container
spo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619U (ko
Inventor
고화진
Original Assignee
고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화진 filed Critical 고화진
Priority to KR2019980019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71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71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식수통과 수저통을 비롯한 도시락의 보조적인 용기는 제각기 별도로 휴대하는 경우가 많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충실하더라도 사용자측 입장에서는 휴대의 편이성이 결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수저통과 식수통을 휴대에 보편적으로 용이한 형태인 직육면체로 하였으며, 이것을 각각 결합가능하게 한편, 결합된 수저통과 식수통의 결합용기 역시 직육면체를 이루도록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시 수저통과 식수통의 결합수단과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레져용구 및 도시락의 보조용기로서 보급이 널리 기대되며, 이용자의 이용편의를 도모하고,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본 고안은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수저통과 식수통을 필요에 따라 제각기 이용하고 운반시에는 결합할수 있도록하여, 전혀 용도가 다른 상이한 두가지 용기를 적은 부피로 그러면서 휴대도 간편하게 결합하고 미관도 수려하게 한 결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져나 통근 통학시에 도시락를 휴대하는 경우가 전반적으로 다시 늘어나는 경향이 있지만, 도시락을 이용하고자 사람들에게 있어 이용을 주저하게 하는 것이 운반용기의 결코 작지 않은 부피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부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용기와 수저통이 일체로 된 도시락용기가 시중에 널리 유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를 사용하여 부피를 줄였다고 해도 식수통은 별도로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대개의 식수통은 원통형또는 용기일부에 구면이 포함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가방이나 백에 넣고 휴대하기에 적당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를 기피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보온용기 경우에는 물통과 음식용기가 같이 수납되는 제품이 나와있지만, 이것 역시 수저통은 별도로 휴대해야 하므로 이용자측에서 봤을 때 반드리 편리하다고만 할 수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음식용기는 외형이 직사각형이고, 음식이 눌려질 염려가 적은 수평용기가 일반적이므로 음식용기 자체의 휴대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는데, 부수적인 수저통과 식수용기의 휴대측면에서의 개선이 좀더 이루어지면 도시락 이용자들로서는 이용에 있어 도움이 많이 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수저통과 식수용기를 일체로 하고 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저통과 식수용기를 분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두 개가 결합된 형태를 휴대가 용이하게 함으로서, 도시락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기능적으로 충실하여 널리 보급이 기대되는 수저통 및 식수통의 결합용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수저통 및 식수통을 직육면체로 하고, 상기 수저통과 식수통의 각각의 측면에 결합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수저통과 식수통의 결합상태가 직육면체로 되는 것으로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의 결합용기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의 수저통을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의 물통을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결합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결합용기 2. 수저통
3. 식수통 4. 결합수단
5. 스톱바 6. 홈
7. 주입구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의 결합용기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의 수저통(2)을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의 물통을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그리고,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결합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결합용기(1)는, 직육면체의 수저통(2) 및 식수통(3)과, 상기 수저통(2)과 식수통(3)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수단(4)과, 상기 수저통(2)과 식수통(3)의 결합양상이 직육면체인 것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5는 스톱바이고, 6은 홈이며, 7은 주입구이다.
이하, 본 고안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작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용기(1)의 결합수단(4)을 슬라이드식으로하여 식수통(3) 저부에 스톱바(5)를 형성하고, 수저통(2)으로부터 식수통(3)이 불리되도록하여 식수통(3)이 수저통(2)의 뚜껑역할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저통(2)과 식수통(3)을 결합지점을 제각기 두곳으로 함으로서 재결합시킬 경우에 수저통(2)의 결합면에 식수통(3)의 결합면을 대충 맞대어서 끼워도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수저통(2)과 식수통(3)의 표면에 각각 홈(6)을 형성하여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수저통(2)의 결합면은 개방되어 있어 식수통(3)과 분리하였을 때 수저통(2)이 개방되도록 하였으나, 수저통(2)에 별도의 개폐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저통(2)에 있어서, 수저와 젓가락을 수저통(2) 전용으로하여 수저와 젓가락이 수납될 홈을 수저통(2) 내부에 형성할 경우에는 운반도중 수저와 젓가락이 부딪히는 소리가 나지않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수통(3)의 주입구(7)를 식수통(3)상부사면에 형성한 것으로 나타냈지만, 주입구(7)의 크기나 위치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식수통(3)의 측부 또는 상부에 수평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식수통(3)의 용량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수저통과 식수용기를 일체로 하고 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저통과 식수용기를 분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두 개가 결합된 형태를 휴대가 용이하게 함으로서, 도시락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기능적으로 충실하여 널리 보급이 기대되며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육면체의 수저통(2) 및 식수통(3)과, 상기 수저통(2)과 식수통(3)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수단(4)과, 상기 수저통(2)과 식수통(3)의 결합양상이 직육면체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KR2019980019053U 1998-10-02 1998-10-02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KR200222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053U KR200222718Y1 (ko) 1998-10-02 1998-10-02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053U KR200222718Y1 (ko) 1998-10-02 1998-10-02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19U KR20000007619U (ko) 2000-05-06
KR200222718Y1 true KR200222718Y1 (ko) 2001-05-15

Family

ID=6971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053U KR200222718Y1 (ko) 1998-10-02 1998-10-02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7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19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0620C (en) A food container
USD510029S1 (en) Container
USD473461S1 (en) Container
USD514439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411713S (en) Beverage mug with lid
USD513979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465305S1 (en) Cosmetic container with lid
USD468868S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ectangular receptacles
USD514441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429645S (en) Combined bottle and cap
USD444679S1 (en) Container with pour spout and bottom closure
USD481164S1 (en) Liq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USD410175S (en) Vacuum container with easy pouring spout
USD407273S (en) Liquid flask with easy pouring spout
USD525488S1 (en) Condiment kit
USD478819S1 (en) Container
USD416796S (en) Tapered ice cream container with cover
USD409800S (en) Mascara container
USD461719S1 (en) Molded plastic liquid container
KR200222718Y1 (ko) 수저통과 식수통의 휴대용 결합용기
USD518957S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and lid
USD514440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514929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447686S1 (en) Container
USD523244S1 (en) Sto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