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465Y1 -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 Google Patents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465Y1
KR200222465Y1 KR2020000034341U KR20000034341U KR200222465Y1 KR 200222465 Y1 KR200222465 Y1 KR 200222465Y1 KR 2020000034341 U KR2020000034341 U KR 2020000034341U KR 20000034341 U KR20000034341 U KR 20000034341U KR 200222465 Y1 KR200222465 Y1 KR 200222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pipe
wick
heat
wi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3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승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에치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에치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에치피티
Priority to KR202000003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4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465Y1/en
Priority to AU2002218548A priority patent/AU2002218548A1/en
Priority to PCT/KR2001/002007 priority patent/WO2002044639A1/en

Links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다양한 형태의 삽입봉(5)은 파이프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다수개의 와이어 (6)는 히트파이프의 내벽 쪽에 또는 삽입봉과 파이프 내벽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파이프(1)와 삽입봉(5) 사이에 금속분말을 채운 후 700~1,000℃의 환원 분위기 로 (爐)에서 10분~3시간 소결하여 미세한 기공을 가진 스폰지형의 다양한 윅이 파이프 내벽에 형성되며 삽입봉(5)과 다수개의 와이어(6)를 인출하여 파이프식의 연속기공을 형성하고 진공 하에서 작동유체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밀봉하여 파이프식의 연속기공이 있는 다양한 윅 구조를 형성하여 열전성이 우수한 히트파이프.Various types of insertion rods 5 ar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ipe, and a plurality of wires 6 are plac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heat pipe or between the insertion rod and the inner wall of the pipe and then between the pipe 1 and the insertion rod 5 After filling the metal powder, it is sintered for 10 minutes to 3 hours in a reducing atmosphere of 700 ~ 1,000 ℃ and has a sponge-like structure with fine pores.   Various wick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 and the insertion rods 5 and the plurality of wires 6 are drawn out to form pipe-type continuous pores, and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under vacuum and sealed at the same time. A heat pipe with excellent thermoelectricity by forming a wick structure.

Description

파이프식 연속기공의 다양한 윅 구조를 형성한 히트파이프{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본 고안은 파이프식 연속기공의 다양한 윅(Wick) 구조를 형성한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히트파이프의 내벽에서 소결된 금속 분말의 윅이 히트파이프의 내벽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 윅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미세한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파이프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존재함으로 파이프 내부의 작동유체가 윅 내부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작동유체 이동력을 더 한층 증대시키는 윅 구조를 형성한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ipe in which various wick structures of pipe-type continuous pores are formed. More specifically, a wick of metal powder sintered in the inner wall of the heat pip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t pipe. At least one fine continuous pip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so that the working fluid inside the pipe forms a wick structure that further increases the moving fluid movement force by capillary action inside the wick. It is about a heat pipe.

종래의 모세관 현상식 히트파이프는 내벽에 촘촘하고 얇은 망사를 부착하거나 미세한 홈을 파거나, 미세한 홈을 파고 다시 촘촘하고 얇은 금속 망사를 부착한 파이프에 작동액체를 주입하고 그 파이프를 진공으로 밀폐한 것이 사용되어져 왔다. 이 파이프의 일단을 외부 열원으로 가열하면 가열된 부위의 작동액체의 증발로 발생한 기체가 가열되지 않은 부위로 이동하여 증발잠열을 파이프의 주위에 전달하면서 응축을 일으키고, 응축된 액체가 모세관 현상으로 금속망사 또는 홈을 타고 가열부위로 돌아와 다시 증발하는 식으로 계속적인 열 수송을 일으키는 것이다.Conventional capillary heat pipes have a working liquid injected into a pipe having a thin or thin mesh or digging a fine groove, or digging a fine groove, and then attaching a thin and thin metal mesh and sealing the pipe with a vacuum. Has been used. When one end of the pipe is heated with an external heat source, the gas generated by the evaporation of the working liquid in the heated portion moves to the unheated portion, transferring latent heat of evaporation around the pipe, causing condensation. Continuous heat transfer is achieved by returning to the heating zone in a mesh or groove and evaporating again.

촘촘한 망사를 이용한 히트파이프는 많이 사용되나 파이프의 전 내벽에 촘촘한 금속망사를 접착시켜야 함으로 히트파이프가 가늘거나 긴 경우 가격이 많이 들고,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또 히트파이프를 굽혀야 하는 경우 열 전달이 잘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eat pipes using dense mesh are widely used, but they have to be adhered to dense metal mesh on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pipe, which makes the heat pipe thin and long, expensive, difficult to process and heat transfer when the heat pipe needs to be bent. There was a problem that did not go well.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부분 윅을 사용하는 히트파이프가 개발되었으나 역시 가열부분이 열 방출 부위보다 높은 경우 작동상의 문제가 발생한다.To solve this problem, a heat pipe using a partial wick has been developed, but also an operation problem occurs when the heating part is higher than the heat dissipation part.

또한 미세한 홈을 이용한 히트파이프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체의 이동은 매우 우수하나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의 액체의 이동이 순조롭지 못하다. 그러므로 증발이나 응축이 원주방향으로 일어날 때는 돌아오는 액체의 분포가 원주 상으로 균일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열부위에 원주 상으로 액체가 없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한 홈 위에 촘촘한 금속 망사로 덮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이 미세한 홈과 촘촘한 망사를 겸비한 히트파이프는 여러 가지 성능상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여왔으나, 이 방법 역시 공정상의 어려움과 극심한 가격 상승이 수반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In addition, the heat pipe using the fine groove is very excellent in the movement of the liqui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but the movement of the liqui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is not smooth. Therefore, when evaporation or condensation occu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istribution of the returning liquid is not uniform in the circumferential phase. Therefore, there is a liquid-free portion in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a method of covering a fine metal mesh with a fine groove has been used. The heat pipes, which combine these fine grooves and tight meshes, have shown very good results in various performances, but this method is also uneconomical due to process difficulties and extreme price increas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래 윅의 구조와는 전혀 다르게 다양한 윅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various wicks, unlik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wick,

첫 번째로는 촘촘한 홈을 이용한 히트파이프와 미세한 망사를 이용한 또는 이 두 가지를 혼용한 히트파이프의 문제점을 소결된 금속분말에 미세하게 존재하는 기공과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있는 윅 구조로 개선하여 열전도성이 우수한 히트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First, the problem of heat pipes using dense grooves and fine meshes or a combination of both is improved by a wick structure with pores and pipe-type continuous pores present in the sintered metal powder. It is to provide a heat pipe excellent in conductivity.

두 번째로는 본 고안의 히트파이프는 미세한 기공과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파이프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윅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미세한 홈이나 미세한 망사를 이용한 선행기술 보다 종방향 및 원주방향으로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액체이동이 현저히 증가하는 히트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Secondly, the hea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ne pores and pipe continuous pore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or formed inside the wick, so that the heat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more than the prior art using the fine groove or the fine mes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pipe in which liquid movement due to capillary action is significantly increased.

세 번째로는 히트파이프를 제조할 때 선행기술에서는 윅을 미리 제조하여 파이프에 삽입하나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에 삽입봉, 와이어, 금속분말을 한번에 넣고 가열하여 히트파이프를 제조하기 때문에 별도의 윅 생산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제품의 생산원가가 낮아 경쟁력 있는 히트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Third, when manufacturing a heat pipe, the prior art manufactures a wick in advance and inserts it into a pip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pipe is manufactured by inserting a rod, a wire, and a metal powder into a pipe at once and heating the same. Since there is no need for thi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easy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s low to provide a competitive heat pipe.

도 1은 본 고안에 있어서 삽입봉과 와이어가 인출되어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형성된 상태1 is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rod and the wire is withdra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pipe continuous pores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삽입봉과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2 is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rod and the wire is inse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삽입봉만 삽입하여 인출한 상태Figure 3 is a state taken out by inserting only the insertion ro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a,4b는 도 1의 일부 단면도4A, 4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FIG.

도 5a,5b는 도 2의 일부 단면도Figures 5a, 5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도 6a,6b는 삽입 와이어의 다양한 실시도6A and 6B illustrat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insertion wire

도 7a,7b ~ 14a,14b 다양한 형태의 윅구조7a, 7b ~ 14a, 14b wick structure of various form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동 파이프 4.....증발기체 이동통로1 ..... copper pipe 4 ..... evaporator gas passage

2..... 금속분말 소결체(윅) 5.....삽입봉2 ..... Metal powder sintered body (Wick) 5 ..... Insert rod

3..... 파이프식 연속기공 6.....와이어3 ..... pipe continuous pore 6 ..... wire

7a,7b...다양한 형태의 파이프식 연속기공7a, 7b ... various pipe continuous ho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있는 윅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삽입봉은 파이프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다수개 삽입 와이어들은 히트파이프의 내벽 쪽이나 삽입봉과 파이프내벽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파이프와 삽입봉 사이에 금속분말을 채운 후 700~1000℃의 환원 분위기 로에서 10분~3시간 소결하면 금속비중의 50%을 가진 스폰지형의 윅이 파이프의 내벽 면에 부착되고, 다양한 삽입봉(5)과 다수개의 와이어(6)를 인출하면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있는 다양한 윅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윅 구조를 진공 하에서 작동유체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밀봉하게 되면 히트파이프가 완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ck structure having pipe-type continuous pores, and various types of insertion rods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ipe, and a plurality of various types of insertion wire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heat pipe and the insertion rods. After placing the metal powder between the pipe and the insert rod, and sintering for 10 minutes to 3 hours in a reducing atmosphere at 700 ~ 1000 ℃, sponge type wick with 50% of the metal specific gravity Attached to and withdrawing the various insertion rods 5 and the plurality of wires 6 to form a variety of wick structure with pipe-type continuous pores. The heat pipe is completed when the formed wick structure is sealed while injecting a working fluid under vacuum.

상기 다양한 삽입봉은 강한 내열성이 있는, 세라믹 재료인 Al2O3, 스테인레스스틸,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와이어는 0.1~1㎜ 것을 사용한다. 와이어의 굵기가 0.1㎜ 이하인 경우에는 철선이 너무 가늘어 공정상의 어려움이 따르고, 1㎜ 이상인 경우에는 증발기체 이동통로가 줄어들게 되어 히트파이프의 열 이동능력 및 삼투압 작용이 저하된다.The various insertion rods use materials such as Al 2 O 3 , stainless steel, silicon nitride, and the like, which have strong heat resistance, and wires use 0.1 to 1 mm. If the thickness of the wire is 0.1mm or less, the iron wire is too thin, which leads to a process difficulty,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wire is 1mm or more, the evaporation gas moving path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heat transfer capacity and the osmotic pressure action of the heat pipe.

금속분말을 소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윅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온도는 700 ~1,000℃이고, 바람직한 온도는 850~950℃의 정도가 좋다. 700℃이하인 경우에는 소결 시간이 늦어지고, 1,000℃이상인 경우에는 구리분말이 용융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윅 구조를 형성할 수 없다.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환원 분위기 로에서 10분~3시간 소결을 하게 되는데, 10분 이내에서는 소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3시간 이상이면 구리분말이 용융되어 미세한 기공의 형성이 어렵게 된다.The temperature for sintering the metal powder to form the wick structure in various forms is  700-1,000 degreeC, and preferable temperature is about 850-950 degreeC. If the temperature is 700 ° C or lower, the sintering time is delayed, and if the temperature is 1,000 ° C or higher, the copper powder may be melted, and thus the wick structure cannot be formed.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sintering is performed in a reducing atmosphere furnace for 10 minutes to 3 hours, but sintering is not performed within 10 minutes, and when the copper powder is melted for 3 hours or more, it is difficult to form fine pores.

금속분말의 입경은 40미크론∼1,000미크론 사이즈의 구형입자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100미크론∼400미크론 사이즈가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결이 빨리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구리에 주석이 1~5% 합금된 분말 또는 구리에 아연이 1~5% 합금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유체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 메틸알코올, 아세톤 등의 액체를 사용한다.Th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powder uses spherical particles having a size of 40 microns to 1,000 microns, preferably 100 microns to 400 microns. In some cases, in order to make the sintering faster, it is possible to use a powder of 1-5% alloy of tin in copper or a powder of 1-5% of zinc in copper. And the working fluid uses a liquid such as water, methyl alcohol, acetone excellent in thermal conductivity.

이하,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금속분말로 소결되고 윅의 내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있는 히트파이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2)는 소결된 금속분말이고 (3)은 소결된 금속분말 윅 내부에 있는 미세하게 비어있는 구멍으로서 파이프 증발부분부터 응축부분까지 이어져 있다. (4)는 증발된 기체가 이동하는 통로이다.Figure 1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heat pipe sintered with metal powder and the inside of the wick has a pipe-type continuous por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2) is a sintered metal powder and (3) is a sintered metal powder wick It is a tiny hollow hole inside, which runs from the pipe evaporation section to the condensation section. (4)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vaporized gas moves.

도 2는 파이프 내부에 금속분말 소결을 위한 삽입봉(tool)이 장치된 파이프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5)는 금속분말 소결시 접착하지 않는 세라믹 재료인 Al2O3나 철강재료인 스테인레스스틸 등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삽입봉(tool)과 와이어 및 파이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금속분말이 파이프와 삽입봉(tool) 사이에 채워진 후 가열에 의한 소결이 이루어지고 삽입봉(5)과 와이어(6)를 인출하게 되면 (remove) 도 1과 같은 파이프의 단면 구조 즉, (3)과(4)는 파이프식으로 비어있는 상태가 되고, 금속분말과 파이프의 내벽과는 소결이 이루어지므로 스폰지형의 금속분말이 내벽에 형성된다.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equipped with a tool rod for sintering metal powder inside the pipe. (5) is made of Al 2 O 3 , which is a ceramic material that does not adhere when sintering metal powder, or stainless steel, which is a steel material, and the metal powder is inserted into the pipe with the tool rod, wire, and pipe standing vertically. After filling between the rods and sintering by heating and drawing out the inserting rod 5 and the wire 6,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ipe as shown in FIG. 1, that is, (3) and (4) Since the pipe becomes empty, the metal powder and the inner wall of the pipe are sintered to form a sponge-like metal powder on the inner wall.

다음에는 와이어(6)를 삽입하지 않고 삽입봉(5)만 사용하게 되면 도 3과 같은 제일 간결한 소결 분말에 의한 윅의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양.음각의 다양한 형태의 삽입봉을 삽입하게 되면 도7a-7b, 도8a-8b, 도9a-9b, 도10a-10b, 도11a-11b, 도12a-12b, 도13a-13b, 도14a-14b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윅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Next, if only the insertion rod 5 is used without inserting the wire 6, the structure of the wick is formed by the most compact sintered powder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inserting various types of positive and negative insertion rods, FIGS. 7A-7B, 8A-8B, 9A-9B, 10A-10B, 11A-11B, 12A-12B, 13A-13B, and FIG. Various types of wick structures can be formed, such as 14a-14b.

상기 윅 타입(type)의 와이어(6)의 위치는 도 5a,5b에 보인 것처럼 파이프의 내벽에 접촉하거나 아니면 분말 윅의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The position of the wick type wire 6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 as shown in FIGS. 5A and 5B or may be inside the powder wick.

와이어 인출부분은 파이프식 연속기공으로 이루어져 있고, 와이어의 갯수와 굵기와 형태에 따라 다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모양은 도6a,6b에서 보는 것처럼 원형, 네모형, 마름모형, 세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되고 이들은 히트파이프의 내벽 쪽이나 삽입봉과 파이프 내벽 사이에 위치하여 소결되어 형성된다.The wire lead-out part is composed of pipe-type continuous pores, 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wires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ickness and shape of the wire, and the shapes thereof are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square, rhombus, and triangular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y are formed by sintering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heat pipe or between the insertion rod and the inner wall of the pipe.

상기 윅 구조는 처음 삽입봉(tool)의 제조에 비용과 시간이 드나 이 비용은 계속해서 이 삽입봉(tool)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시 저렴한 가격에 의해 히트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소결에 의해 생긴 미세하게 연결된 스폰지형의 구조는 다른 형태의 윅 구조보다 현저히 향상된 모세관 현상을 일으킴으로 히트파이프의 열 이동효율을 기존의 히트파이프보다 더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ick structure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to manufacture the first insertion rod (tool), but this cost can continue to use the insertion tool (too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heat pipe at a low price in mass production. In addition, the finely connected sponge-like structure generated by sintering causes a significantly improved capillary phenomenon than other types of wick structures, thereby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heat pipe mor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eat pipe.

실시예1Example 1

외경 13mm, 길이 30cm의 무산소 구리 파이프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직경 8mm의 Al2O3봉과 12개의 직경 0.5mm 스테인레스스틸 와이어를 수직으로 세워 파이프 중앙에 위치시켜 넣고, 파이프와 세라믹 봉(tool) 사이에 100미크론∼400미크론 사이즈의 구리 분말을 채운 후 850∼950℃의 환원 분위기 로에서 30분 내지 2시간 소결하고, 세라믹 봉(tool)과 와이어를 인출(remove)하게 되면, 도 1의 (3)과(4)처럼 파이프식 연속기공으로 비어있는 상태가 되고, 대략 구리비중의 50%을 가진 스폰지형의 윅이 파이프의 내벽 면에 소결된 상태로 부착된다. 상기 윅이 장치된 파이프를 진공 시키고 작동유체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밀폐하게 되면 파이프식 연속기공의 윅 구조를 형성한 히트파이프가 완성된다.Oxygen-free copper pipes with an outer diameter of 13 mm and a length of 30 cm are erected vertically, and then the Al 2 O 3 rods with a diameter of 8 mm and the 12 diameter 0.5 mm stainless steel wires are placed vertically and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ipe, between the pipe and the ceramic tool. After filling 100 micron to 400 micron size copper powder and sintering for 30 minutes to 2 hours in a reducing atmosphere furnace at 850 to 950 ° C., the ceramic tool and the wire are removed. As shown in (4), the pipe-type continuous pores become empty, and a sponge-shaped wick having approximately 50% of the copper specific weigh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in a sintered state. When the wick is vacuumed and the working fluid is injected and sealed at the same time, the heat pipe forming the wick structure of the continuous pipe type is completed.

선행기술에서는 윅을 미리 만들어 파이프에 삽입하여 히트파이프를 제조함으로서 인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파이프의 내벽과 삽입봉 및 와이어 사이 혹은 파이프의 내벽과 삽입봉 사이에 금속분말을 채워 넣고 가열하여 파이프의 내벽에 붙게 금속분말을 소결 시키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파이프식 연속기공을 형성하는 하나의 공정으로 윅을 제조함으로서 선행기술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삼투압현상에 의한 작동유체의 이동이 증가하여 열 전달효과가 훨씬 우수하며,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파이프와 윅 사이에 공간이 있어 이 공간을 통하여 열이 전달되는 즉 간접방식으로 열이 전달되므로 열전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히트파이프에 부착된 윅을 통하여 직접 전달되고 윅을 통하여 파이프로 직접 방출하므로 매우 빠른 속도로 열 전달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ior ar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by manufacturing a heat pipe by making a wick in advance and inserting the pipe into the pip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al powder is fill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sertion rod and the wire or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insertion rod of the pipe. The process is simpler than the prior art by sintering the metal powder to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by heating it, and forming the pipe-type continuous pores using the wire.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effect is much better, and in the prior art,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pipe and the wick so that heat is transferred through this space, that is, heat is transferred in an indirect manner. Directly through the wick attached to the pipe and through the wick Directly discharged to the pipe, so the effect is composed of heat transfer at a very rapid rate.

Claims (4)

삽입봉(5)은 파이프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다수 개 와이어(6)들은 히트파이프의 내벽 쪽에 위치시킨 다음 파이프 내벽과 삽입봉 사이에 금속분말을 채운 후 700~1000℃의 환원 분위기 로에서 10분~3시간 소결하면 미세한 기공이 있는 스폰지형의 윅이 파이프의 내벽 면에 부착되고, 삽입봉(5)과 다수개의 와이어(6)들을 인출하면 파이프식 연속기공이 있는 윅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윅 구조의 파이프를 진공 하에서 작동유체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식 연속기공의 윅 구조를 형성한 히트파이프.Insertion rod (5)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ipe, a plurality of wires (6) is plac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heat pipe, and then filled with metal powder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pipe and the insertion rod 10 in a reducing atmosphere of 700 ~ 1000 ℃ When sintering for 3 minutes to 3 hours, a sponge-type wick with fine pores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ipe, and when the insertion rod 5 and the plurality of wires 6 are drawn out, a wick structure with pipe-type continuous pores is formed. And a wick structure of the pipe-type continuous pores, wherein the pipe of the wick structure is sealed while simultaneously injecting a working fluid under vacuum. 제1항에 있어서, 삽입봉은 도7a-7b, 도8a-8b, 도9a-9b, 도10a-10b, 도11a-11b, 도12a-12b, 도13a-13b, 도14a-14b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윅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rod is a variety such as 7a-7b, 8a-8b, 9a-9b, 10a-10b, 11a-11b, 12a-12b, 13a-13b, 14a-14b Heat pip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wick structure of the form. 제1항에 있어서, 도6a,6b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수 개 와이어들을 파이프의 내벽쪽, 파이프 내벽쪽과 삽입봉 사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wires of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6A and 6B ar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wall side of the pipe, the inner wall side of the pipe, and the insertion rod.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6)는 삽입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삽입봉(5)만 파이프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소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2.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rods (5) of various shapes are positioned and sintered in the center of the pipe without inserting the wire (6).
KR2020000034341U 2000-11-30 2000-12-07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KR2002224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41U KR200222465Y1 (en) 2000-12-07 2000-12-07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AU2002218548A AU2002218548A1 (en) 2000-11-30 2001-11-22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 holes and manufature methodthereof
PCT/KR2001/002007 WO2002044639A1 (en) 2000-11-30 2001-11-22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 holes and manufatur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41U KR200222465Y1 (en) 2000-12-07 2000-12-07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465Y1 true KR200222465Y1 (en) 2001-05-02

Family

ID=7306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341U KR200222465Y1 (en) 2000-11-30 2000-12-07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46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8553A (en) * 2021-11-12 2022-03-08 中国运载火箭技术研究院 Weightless-like fluid distribution form constru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8553A (en) * 2021-11-12 2022-03-08 中国运载火箭技术研究院 Weightless-like fluid distribution form constru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6504A (en) Tunnel wick heat pipes
US7802362B2 (en) Method of making heat pipe having composite capillary wick
US20140166244A1 (en) Flat hea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938680B2 (en) Tower heat sink with sintered grooved wick
US7013958B2 (en) Sintered grooved wick with particle web
CN101839660B (en) Flat heat tube with hole-groove combined mandr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43819B2 (en) Heat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4075603B (en) A kind of heat pipe composite liquid sucking core and its preparation method
US20140060781A1 (en) Hea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eing the same
JP2011002216A (en) Extremely thin heat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068787A (en) Thin heat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168931B (en) Flat type radiat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538528A (en) Ultrathin heat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104199A (en) Sintered heat pip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groove tube thereof
WO2002044639A1 (en)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 holes and manufature method thereof
KR100329659B1 (en)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TWI438043B (en) Method for fabricating a heat pipe, and instrument of the method
JPH11337279A (en) Heat pipe and its manufacture
CN209978682U (en) Heat pipe
KR200222465Y1 (en) Sintered wick structure heat pipe with parallel piped holes
US20060243426A1 (en) Wick Structure of Heat Pipe
CN201242385Y (en) Sintered hot pipe
KR20020077696A (en) Heat pipe with sintered wick structure
JP2677883B2 (en) heat pipe
CN11325183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