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503Y1 - 해충 포획기 - Google Patents

해충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503Y1
KR200221503Y1 KR2020000032387U KR20000032387U KR200221503Y1 KR 200221503 Y1 KR200221503 Y1 KR 200221503Y1 KR 2020000032387 U KR2020000032387 U KR 2020000032387U KR 20000032387 U KR20000032387 U KR 20000032387U KR 200221503 Y1 KR200221503 Y1 KR 200221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pests
inlet
pheromon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포장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포장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포장디자인
Priority to KR2020000032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503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충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과수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수입제품의 해충 포획기를 사용하였으나, 살충제를 과수 전체에 살포하는 방법은 여러 종류의 해충 방제를 위해 각기 다른 성분의 약으로 어려차례에 걸쳐 살포하여야만 해충을 방제할 수 있고, 농약살포를 반복하여야하는 번거로움과 더불어, 과실에도 농약 성분인 독극물이 함께 살포되는 폐단이 따르게 되고,
수입제품의 해충 포획기는 덮개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4개로 양 사방에 형성되어 있고, 해충 유입구가 작아, 몸체가 큰 해충은 투입되지 않거나 혹은 큰 몸체가 걸려 투입구를 막게 되어, 다른 해충들 또한 포획할 수 없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본 고안은 해충 유인물질인 페로몬을 담고, 하부 케이스에는 비눗물을 담아, 해충의 크기에 따라 투입이 가능하도록 크기를 달리한 해충 유입부를 조립 체결하여 해충 포획기를 형성하므로서, 과수에 분포하는 해충의 크기에 따라, 해충유입구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몸체가 큰 해충도 쉽게 포획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하부 케이스가 분리될 수 있어 포획된 해충들과 비눗물을 수거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한 해충 포획기를 제공한 다.

Description

해충 포획기{capture untelsil of moth}
본 고안은 과수의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곤충의 유인물질인 페로몬(pheromone)을 투입하고, 비눗물을 담아 해충 포획기를 과수 나무에 걸어 둠으로서,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의 방제 방법으로 조명, 해충포획기 등으로 방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과수에 붙어 해를 끼치는 해충(나방)은 일반 해충(나방)과 달리, 낮에 활동을 하여 조명에 의한 방법으로는 방제가 되지 않으므로, 과수 농가에서는 해충 (나방)으로 인한 과실의 품질 저하나 생산량 감소를 막기 위해 과수나무 전체에 살충성분의 농약을 살포하거나, 혹은 수입품의 해충 포획기로 과수에 유해한 해충을 방제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충 방제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살충제를 과수 전체에 살포하는 방법은 해충을 방제하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기는 하나, 여러 종류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성분의 약으로 어려차례에 걸쳐 살포하여야만 해충을 방제할 수 있어, 농약살포를 반복하여야하는 번거로움과 더불어, 사과나 복숭아 등의 과실에도 농약성분인 독극물이 함께 살포됨으로 인해 농약성분이 인체에 섭취되는 엄청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폐단이 따르게 되며,
수입제품의 해충 포획기의 경우에는 덮개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4개로 양 사방에 형성되어 있고, 해충 유입구가 작아, 몸체가 큰 해충은 투입되지 않거나 혹은 큰 몸체가 걸려 투입구를 막게 되어, 다른 해충들 또한 포획할 수 없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해충을 유인하도록 페로몬을 담고, 하부 케이스에는 비눗물을 담아, 해충의 크기에 따라 투입이 가능하도록 크기를 달리한 해충 유입부를 조립 체결하여 해충 포획기를 형성하므로 서, 과수에 분포하는 해충의 크기에 따라, 해충유입구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몸체가 큰 해충도 쉽게 포획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하부 케이스가 분리될 수 있어 포획된 해충들과 비눗물을 수거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재활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를 나타낸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를 나타낸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서 해충 포획기의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 포획기를 형성시키되,
상부 양측에 구멍(14)을 형성한 고리(13)를 가지고, 중앙에는 캡(21)과 그하부에 투입망(22)을 형성한 페로몬 투입부(20)를 형성하고, 하부에 삽입구멍(12)을 가진 3개의 지지구(11)를 가진 덮개(10)를 형성하고,
상단에 걸림턱(31)을 가지고, 하단이 좁아지는 경사부(32)를 가진 해충유입부(30)를 형성하여,
천공된 중앙부(43)와 그 가장자리에 단차부(44)를 가지고, 외주면에 3개의 삽입부(41)를 가지며, 하단에 `ㄷ`형 절곡부(42)를 가진 상부케이스(40)를 형성하고,
상단에 걸림돌부(52)를 가진 하부 케이스(50)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부(52)를 상부 케이스(40)의 `ㄷ`형 절곡부(42)에 결합하고, 상부케이스의 단차부(44)에 해충 유입구(30)의 걸림턱(31)을 안착시켜, 덮개(10)의 지지구(11)에 형성된 삽입구멍(12)에 상부케이스(40)의 삽입부(31)를 삽입 체결하 고, 캡(21)을 통하여 투입망(22)에 페로몬(pheromone) 물질을 투입하여 해충포획기 (100)를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10)의 상부 양측에 구멍(14)을 가진 고리(13)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캡(21)을 형성하고, 캡(21)의 하부에는 투입망(22)으로 형성한 페로몬 투입부(20)를 형성한다.
상기의 덮개(10)의 하부에는 삽입구멍(12)을 가진 3개의 지지구(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캡(21)은 페로몬 투입부(20)에 페로몬 물질을 투입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덮개(10) 양측의 고리(13)는 구멍(14)에 끈을 연결하여 과수의 가지에 걸어두기 위한 것이다.
상단에 걸림턱(31)을 가지고, 하부로 좁아지는 경사부(32)를 형성한 해충유입부(30)를 형성한다.
이때, 해충 유입부(30)는 경사부(32)의 크기를 달리하여, 여러 크기로 형성하여, 몸체가 큰 해충을 포획하려면, 직경이 넓은 해충유입부(30)를 조립하여 몸체가 큰 해충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케이스(40)의 외주면에는 덮개(10)의 지지구(11)에 결합되는 3개의 삽입부(41)를 형성하고, 그 내부 중앙부(43)가 천공된 가장자리에 단차부(44)를 형성하고, 외부의 하단에 `ㄷ`형 절곡부(42)를 형성시킨다.
상기의 상부 케이스(40)의 단차부(44)에 해충유입부(30)의 걸림턱(31)을 안착시키고, 상부 케이스(40)의 3개의 삽입부(41)를 덮개(10)에 형성된 3개의 지지구 (11)의 삽입구멍(12)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따라서, 지지구(11)와 삽입부(41)를 3개로 형성하여, 덮개(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몸체가 큰 해충이 날아들게 되더라도 충분히 유입 가능한 넓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단에 걸림돌부(52)를 가진 하부 케이스(50)를 형성하여 비눗물(60)을 담는다.
상기, 걸림돌부(52)를 상부 케이스(40)의 `ㄷ`형 절곡부(42)에 결합하고, 캡(21)을 통하여 투입망(22)에 페로몬(pheromone) 물질을 투입하여, 해충포획기를 형성킨다.
따라서, 상기의 해충포획기(100)를 과수 나무 가지에 걸어두게 되면, 페로몬 물질이 해충들을 유인하여 날아들게 하여, 지지구(11)의 사이로 몰려 든 해충유입구(30)의 경사부(32)를 따라 밀려 들어가 하부 케이스(50)에 모이게 되는 것으로,
하부 케이스(50)에 포획된 해충들은 해충포획기(30)의 입구가 경사부(31)로 하단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좁은 입구를 통하여 다시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케이스(40)의 하부에 원통형의 그물로 상단을 고무줄과 같은 신축성 있는 소재(55)를 부착하여 탈착이 쉬운 하부 케이스(50a)를 형성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그물망사의 하부 폭이 넓어지도록 하부케이스(50b)를 형성하여, 많은 량의 해충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40)의 하단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비닐팩을 고정시켜, 하부 케이스로 이용하여, 비닐팩의 내부에 포획된 해충들을 비닐과 함께 폐기하여 간편게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해충을 유인하도록 페로몬과 분리가 가능한 하부 케이스에 비눗물을 담아, 해충의 크기에 따라 투입구의 크기를 달리한 해충투입구를 조립하여 해충 포획기를 형성하므로서, 하부 케이스가 분리되므로 포획된 해충들과 비눗물을 수거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수에 분포하는 해충의 크기에 따라, 해충투입구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립하므로, 몸체가 큰 해충도 쉽게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해충 포획기(1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 양측에 구멍(14)을 가진 고리(13)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캡(21)의 하부에 투입망(22)을 형성한 페로몬 투입부(20)와, 하부에 삽입구멍(12)을 가진 3개의 지지구(11)를 가진 덮개(10)를 형성하여,
    천공된 중앙부(43)와 그 가장자리에 단차부(44)를 가지고, 외주면에 3개의 삽입부(41)와, 하단에 `ㄷ`형 절곡부(42)를 가진 상부케이스(40)를 형성하여 상기의 단차부(44)에,
    상단에 걸림턱(31)과 하부로 좁아지는 경사부(32)를 형성한 해충유입부(30)를 형성하여 걸림턱(31)을 안착시키고,
    비눗물(60)을 담은 상단에 걸림돌부(52)를 가진 하부 케이스(50)를 형성하여 상부케이스(40)의 `ㄷ`형 절곡부(42)와 걸림돌부(52)를 체결 결합하여,
    상기, 캡(21)을 통하여 투입망(22)에 페로몬(pheromone) 물질을 투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2. 제 1항의 기재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40)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그물로의 상단에 신축성이 있는 소재(55)를 부착하여 하부 케이스(50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3. 제 1항의 기재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40)의 하부에 그물망사로 상단에 신축성 있는 소재(55)를 부착하고, 하부가 넓은 포대형의 하부케이스(50b)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획기.
KR2020000032387U 2000-11-20 2000-11-20 해충 포획기 KR200221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87U KR200221503Y1 (ko) 2000-11-20 2000-11-20 해충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87U KR200221503Y1 (ko) 2000-11-20 2000-11-20 해충 포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503Y1 true KR200221503Y1 (ko) 2001-04-16

Family

ID=7309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87U KR200221503Y1 (ko) 2000-11-20 2000-11-20 해충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50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379B1 (ko) 2006-03-10 2006-08-02 (주) 스포캐믹 조경 수목 보호를 위한 해충 퇴치기
KR100982563B1 (ko) * 2010-01-07 2010-09-1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로몬트랩 기반의 복숭아순나방 발생변화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23248B1 (ko) 2008-12-26 2011-03-21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흡혈성 파리목 해충 포집 장치
KR200464972Y1 (ko) 2010-09-30 2013-01-25 정진교 수직형 해충 포집기
KR101621958B1 (ko) * 2014-07-14 2016-05-17 서병윤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20170000699U (ko) * 2015-08-12 2017-0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나무좀 예찰 트랩
WO2019172481A1 (ko) * 2018-03-07 2019-09-12 (주)그린파즈 해충 포집기
KR20210066492A (ko) * 2019-11-28 2021-06-07 이동하 복숭아유리나방 포획 장치
KR20230090676A (ko) 2021-12-15 2023-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시설 해충 나방류 및 노린재 다중 해충 유인 트랩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379B1 (ko) 2006-03-10 2006-08-02 (주) 스포캐믹 조경 수목 보호를 위한 해충 퇴치기
KR101023248B1 (ko) 2008-12-26 2011-03-21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흡혈성 파리목 해충 포집 장치
KR100982563B1 (ko) * 2010-01-07 2010-09-1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로몬트랩 기반의 복숭아순나방 발생변화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64972Y1 (ko) 2010-09-30 2013-01-25 정진교 수직형 해충 포집기
KR101621958B1 (ko) * 2014-07-14 2016-05-17 서병윤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20170000699U (ko) * 2015-08-12 2017-0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나무좀 예찰 트랩
KR200483775Y1 (ko) 2015-08-12 2017-06-23 대한민국 나무좀 예찰 트랩
WO2019172481A1 (ko) * 2018-03-07 2019-09-12 (주)그린파즈 해충 포집기
KR20210066492A (ko) * 2019-11-28 2021-06-07 이동하 복숭아유리나방 포획 장치
KR102345364B1 (ko) * 2019-11-28 2021-12-30 이동하 복숭아유리나방 포획 장치
KR20230090676A (ko) 2021-12-15 2023-06-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시설 해충 나방류 및 노린재 다중 해충 유인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109A (en) Trap for flying insects
US6112454A (en) Insect trap for capturing numerous species of the coleopteran order
MX2013007870A (es) Trampa de observacion mata insectos para la captura masiva y control del picudo del algodonero.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WO2005011374A8 (en) Trap for catching woodland, garden and agricultural insect pests and method for trapping and storing woodland, garden and agricultural insect pests
CA2538581A1 (en) Weather protected deer and animal repellent container
KR200221503Y1 (ko) 해충 포획기
JP2004521641A (ja) 虫取り器
KR101194928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1211511B1 (ko) 점착 트랩용 케이스
US4821452A (en) Snail trap
KR101533629B1 (ko) 포획트랩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CA2071575A1 (en) Earwig collector
KR20140086469A (ko) 유해곤충류 유인 친환경 포획기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60143161A (ko) 소나무 재선충병 방지용 통발구조 해충 포획트랩
KR101613047B1 (ko) 해충 포획용 트랩장치
JP3616998B2 (ja) 捕虫器
CN211932173U (zh) 一种昆虫诱捕器
KR200488825Y1 (ko) 해충 제거 모듈
KR102049283B1 (ko) 해충 포집기
KR200294954Y1 (ko) 과수해충 나무좀 유인트랩
KR100523072B1 (ko) 해충 포획용 기구
KR200335127Y1 (ko) 해충 포획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