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465Y1 - 네크폰 - Google Patents

네크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465Y1
KR200221465Y1 KR2020000030891U KR20000030891U KR200221465Y1 KR 200221465 Y1 KR200221465 Y1 KR 200221465Y1 KR 2020000030891 U KR2020000030891 U KR 2020000030891U KR 20000030891 U KR20000030891 U KR 20000030891U KR 200221465 Y1 KR200221465 Y1 KR 200221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eaker
speaker system
neckphone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엠엠기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기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엠기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0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465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거운 스피커 유니트의 하중과 압박감을 골고루 분산하여 장시간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고, 목뿌리부분에 걸쳐지는 받침부에 의하여 다양한 자세에서도 장시간 안락한 착용을 가능하게 하는 네크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네크폰은,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시스템 및 사람의 어깨에 접하는 목뿌리 후반부에 걸치도록 만곡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단에서 사람의 양 귀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더 연장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스피커시스템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스피커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귀부분의 착용감을 좋게 함으로써 영화나 오디오를 장시간 청취하더라도 인체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안한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청취도중 청자가 목을 돌리거나 고개를 숙이는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인체에 무리 없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피커지지대를 접철하여 휴대나 보관이 편리하게 하며, 필요할 때마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스피커 시스템을 자유롭게 교체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넓게 하고,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네크폰{Neck-phone}
본 고안은 네크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스피커 유니트의 하중과 압박감을 골고루 분산하여 장시간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고, 목뿌리부분에 걸쳐지는 받침부에 의하여 다양한 자세에서도 장시간 안락한 착용을 가능하게 하는 네크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폰이나 이어폰은 비교적 소형 스피커 유니트를 인체의 귀에 근접시켜서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고도 음을 혼자 듣기 위한 것으로, 대형 스피커를 통하지 않고도 음악을 즐길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폰은, 일반적으로 복원력이 내측을 향하도록 윗머리부분 또는 뒷머리부분을 감싸는 아아치형상의 스피커지지대와, 그 양단에 스피커 유니트를 포함한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피커지지대와 스피커 시스템의 전체 하중이 귀부분을 비롯한 머리 전체에 집중되어 헤어스타일을 손상시키는 등 머리를 심하게 압박하기 때문에 장시간 청취하는 것이 매우 불편했다.
또한, 종래의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스피커지지대가 없이 소형 스피커 유니트를 양 귓구멍에 직접 삽입하는 구성으로 비록 스피커 유니트의 하중이 크지 않다 하더라도 스피커 유니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귓구멍에 밀착되어야 하는 이어폰의 구성상 장시간 착용하면 민감한 귓구멍에 자극을 주는 문제점이 있고, 귓구멍에 삽입될 정도의 소형 스피커 유니트로는 결코 재생할 수 없는 음질상의 한계 때문에 고음질을 추구하는 청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음질을 달성할 수 있는 충분히 큰 직경의 스피커 유니트와 경량의 스피커지지대를 적용한 다양한 형태의 헤드폰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역시 스피커 유니트의 하중을 분산하는 적절한 구조를 찾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헤드폰의 무게감과 압박감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타인에게 방해되지 않고도 청자 혼자서만 현장감 있는 다채널 입체음향(예를 들면, 5.1채널, 6.1채널, 7채널 등의 입체음향)을 즐기기 위하여 입력 신호가 각각 다른 다수개의 스피커 유니트를 채용한 다채널용 헤드폰이 개발되었으나 다수개 스피커 유니트의 과도한 하중으로 말미암아 기존 구조의 아치형 다채널용 헤드폰으로는 장시간 영화를 시청하거나 음악을 듣는 것이 매우 불편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피커 유니트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넓은 부위에 골고루 분산시켜서 착용감을 좋게 함으로써 영화나 오디오를 장시간 청취하더라도 인체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안한 청취를 가능하게 하는 네크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취도중 청자가 목을 돌리거나 고개를 숙이는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스피커 지지대가 목뿌리부분에 위치하여 다양한 자세의 목운동에서도 스피커지지대가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아서 안락하고, 벗겨지지 않고 안전하게 음을 청취할 수 있게 하는 네크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지지대를 접철하여 휴대나 보관이 편리하고, 필요할 때마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스피커 시스템을 자유롭게 교체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넓게 하며, 스피커 유니트의 지향각이 자유로워서 착용감을 좋게 하고,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네크폰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네크폰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네크폰을 접철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연결구가 스피커시스템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네크폰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네크폰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네크폰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네크폰은,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시스템; 및 사람의 어깨에 접하는 목뿌리 후반부에 걸치도록 만곡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단에서 사람의 양 귀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더 연장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스피커시스템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스피커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지지대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서로 접철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피커시스템을 귀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받침부는, 복원력이 내측을 향하도록 탄성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자의 귀부분에 집중되는 압박감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장부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그 사이에 굴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다양한 신체사이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장부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지지부는, 청자의 귀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결구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네크폰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네크폰은, 크게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시스템(10)과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을 지지하는 스피커지지대(20)로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은, 귀에 인접하는 스피커 유니트, 인클로져 등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음파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칭하고, 이러한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의 종류 및 형태는 매우 다양한 것으로서,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술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의 스피커시스템(10)은 음질의 향상을 위하여 비교적 무거운 대구경의 스피커 유니트를 적용한 스피커시스템이나 전후 및/또는 좌우방향에 서로 독립적인 신호를 받아들여 이원적인 음파를 출력함으로써 다채널을 구성함으로써 3차원 입체음향을 지원하는 다수개의 스피커 유니트를 적용한 스피커시스템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본 고안은 청자로 하여금 스피커시스템의 무게감과 이를 귀에 고정시키기 위한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한편,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의 무게감과 압박감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본 고안의 상기 스피커지지대(20)는, 사람의 어깨에 접하는 목뿌리부분에 걸쳐지는 것으로서, 스피커시스템(10)의 하중을 분산하는 동시에 형상의 유연한 변형이 가능하여 압박감을 줄일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스피커지지대(20)는, 받침부(22)와, 연장부(24)와, 지지부(26) 및 연결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받침부(22)는 상기 스피커지지대(20)의 고리형상인 부분을 말하고, 이러한 받침부(22)는 사람의 어깨에 접하는 목뿌리 등쪽 후반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지는 고리형 막대형상이다.
특히, 이러한 고리형 받침부(22)는 뒤와 옆 목뿌리부분에 대응하여 접촉하도록 만곡된 형상이고, 그 양단부가 어깨의 쇄골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으로서, 스피커시스템(10)의 하중을 뒤와 옆 목뿌리부분과 쇄골부분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다.
여기서, 이러한 고리형 받침부(22)의 규격은 대, 중, 소로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별도 제작하거나 평균 사이즈로 맞추어 제작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을 귀부분에 밀착시키도록 복원력이 내측을 향하도록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받침부(22)는 외측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내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는 접철되지 못하는 동시에 미사용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다수개의 관절부(22a)가 내측으로 형성된다.
그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상기 받침부(2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1단계 접철되고,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2단계 접철되어 최소의 부피로 휴대 및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4)는, 상기 받침부(22)의 양단에서 사람의 양 귀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22)와 연결되는 부분이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24)는, 쇄골부분부터 귀부분까지 다양한 신체 사이즈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높이조절수단(30)은, 연장부를 접철하거나 플렉시블관으로 굽히는 등 매우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높이조절수단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사이즈에 맞도록 가이드막대(32)의 가이드홀(32a)에 삽입되는 신축막대(34)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홀에(32a) 내부돌기(32b) 및 신축막대(34)에 외부돌기(34b)를 형성하여 소정의 외력 이하에서는 서로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신축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24)는, 청자의 양 귀부분에 집중되는 압박감을 최소한으로 경감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그 사이에 굴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플렉시블수단(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각도로 탄성 굽힘이 가능한 용수철을 설치하여 유연한 굽힘이 가능한 연장부(24)를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에도 다관절 플렉시블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소정의 외력 내에서는 굴절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수단(40)에 대한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기술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6)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4)에서 더 연장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을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서, 청자의 귀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지지대(20)의 연결구(28)는, 상기 지지부(26)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10)과 함께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구(2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8)는 상기 스피커시스템(10)과 상기 지지부(26)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의 스피커 유니트를 임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볼관절부(50)를 포함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을 파지할 수 있는 클립수단(60)의 일종인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관절부(50)는 스피커 유니트가 다양한 신체 귀모양에 대응하여 그 지향각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고, 상기 클립수단(60)은 매우 다양하게 제작된 기존 스피커시스템(10)의 일측을 클립으로 파지하여 강제로 고정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스피커시스템(10)을 제거하고, 기존에 제작된 스피커시스템에 본 고안의 스피커지지대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6)를 봉상으로 제작하고, 그 단부에 나사식 스토퍼(27)를 나사결합시켜서 필요할 때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상의 지지부(26)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인 네크폰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청자가 청취도중 다양한 자세로 목을 움직이더라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자가 목을 전후방향으로 기울여 움직이는 경우, 본 고안의 스피커지지대(20)의 받침부(22)는 목을 전후로 움직이더라도 거의 위치변동이 없는 목뿌리부분에 위치하여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자가 목을 좌우방향으로 기울여 움직이는 경우, 본 고안의 스피커지지대의 받침부(22)는 목을 좌우로 움직이더라도 거의 위치변동이 없는 뒷 목뿌리부분과 쇄골부분에 위치하여 역시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자가 목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이 전후진하면서 항상 귀부분에 위치하는 것과 동시에 오른쪽 연장부(24)는 전방 및 후방으로, 왼쪽 연장부(24)는 후방 및 전방으로 탄성 굴절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10)이 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귀부분에 항상 위치하도록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음질을 달성하도록 충분히 큰 직경의 스피커 유니트나 다채널 입체음향을 즐기기 위한 다수개의 스피커 유니트의 하중을 충분히 분산할 수 있고, 청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형성하여 귀부분에 가해지는 무게감이나 압박감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장시간 영화를 시청하거나 음악을 감상하거나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서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고도 모든 청취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음질이나 다채널 입체음향을 즐기기 위한 중량의 스피커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국한되는 것처럼 여겨지나 이외에도 기존의 스피커시스템이나 헤드폰 및 이어폰을 연결구에 연결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가상현실을 체험하도록 안경형 디스플레이장치가 내장된 헤드셋 등 머리에 무거운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스피커지지대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네크폰에 의하면, 스피커 유니트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넓은 부위에 골고루 분산시켜서 귀부분의 착용감을 좋게 함으로써 영화나 오디오를 장시간 청취하더라도 인체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안한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청취도중 청자가 목을 돌리거나 고개를 숙이는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인체에 무리 없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피커지지대를 접철하여 휴대나 보관이 편리하게 하며, 필요할 때마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스피커 시스템을 자유롭게 교체하여 제품의 적용범위를 넓게 하고,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8)

  1.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시스템; 및
    사람의 어깨에 접하는 목뿌리 후반부에 걸치도록 만곡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단에서 사람의 양 귀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더 연장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스피커시스템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스피커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서로 접철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받침부는, 복원력이 내측을 향하도록 탄성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장부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장부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그 사이에 굴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지지부는, 청자의 귀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결구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피커시스템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결구는, 상기 스피커시스템을 파지할 수 있는 클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지지대의 연결구는, 상기 스피커시스템의 스피커를 임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볼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폰.
KR2020000030891U 2000-11-04 2000-11-04 네크폰 KR200221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891U KR200221465Y1 (ko) 2000-11-04 2000-11-04 네크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891U KR200221465Y1 (ko) 2000-11-04 2000-11-04 네크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389A Division KR100336460B1 (ko) 2000-11-04 2000-11-04 네크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465Y1 true KR200221465Y1 (ko) 2001-04-16

Family

ID=7309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891U KR200221465Y1 (ko) 2000-11-04 2000-11-04 네크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4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20B1 (ko) * 2007-03-07 2009-02-05 김성준 견착식 헤드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020B1 (ko) * 2007-03-07 2009-02-05 김성준 견착식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365B2 (en) Earbuds securable to users' outer ears and related headphone systems and methods
US6744901B2 (en) Headphone
US6178251B1 (en) Collar microphone
US5988812A (en) Headphone eyeglasses
US6721433B2 (en) Acoustic apparatus wearable on the head
US8170261B2 (en) Personal audio set with adjustable force mechanisms
US6690808B2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20040008158A1 (en) Head-mounted display
US10097915B2 (en) Earbud stabilization system
KR102358064B1 (ko) 골전도 발성 장치
US9532126B1 (en) Audio earbud headphone for improved in-ear retention
US20070104345A1 (en) In-ear type earphone with an ear hanger
EP3016404B1 (en) Headphone
US20120140974A1 (en) Personal audio set with adjustable force mechanisms
KR100336460B1 (ko) 네크폰
WO2015057750A1 (en) Headset with ball joint allowing rotation of earpieces in multiple axes
US20210136476A1 (en) Headphone adjustment structure
CN111432310B (zh) 头戴式耳机
KR200221465Y1 (ko) 네크폰
US20210377640A1 (en) In- 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CN110463221A (zh) 耳机
KR20020066528A (ko) 헤드폰 구조
CN204425593U (zh) 一种运动式耳机
KR200233034Y1 (ko) 헤드폰 구조
JP2003018693A (ja) 立体音像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