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088Y1 -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088Y1
KR200221088Y1 KR2020000032625U KR20000032625U KR200221088Y1 KR 200221088 Y1 KR200221088 Y1 KR 200221088Y1 KR 2020000032625 U KR2020000032625 U KR 2020000032625U KR 20000032625 U KR20000032625 U KR 20000032625U KR 200221088 Y1 KR200221088 Y1 KR 200221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rm water
water purifier
wal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수
Original Assignee
주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수 filed Critical 주진수
Priority to KR2020000032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088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고정구멍(30)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체결구멍(7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고정편(7)이 상면에 구비된 냉, 온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냉, 온정수기(1)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측벽(110)과 하판(120)으로 구비되고, 고정수단(100)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수의 조립구멍(111)이 측벽(110)에 형성된 브라켓트(11)로 구성된다.
따라서, 냉, 온정수기(1)를 측벽(110)과 하판(120)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11)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써, 설치장소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 온정수기(1)의 상면에 설치된 강제순환방식의 모터가 장착된 팬(6)을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조절하므로써, 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설치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본 고안은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일반주택 내실의 식탁 옆 벽면이나 그 외의 벽면 또는 싱크대 전면 찬장사이의 벽에 냉, 온정수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일반 가정집이나 직장에서는 상수도를 식수로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보리, 산오미자, 결명자, 작약, 구기자 등을 넣어 끓이는 것으로 식수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외 공공장소에서는 정수기를 통화여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정화된 식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공공장소 및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정수기는 그 내부에 급속 냉각 및 가열시키는 장치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자 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냉,온수를 선택하여 마실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냉, 온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용도에 따라 알맞는 방식을 사용하므로써, 정수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 온정수기는,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 주방의 싱크대 위 또는 그 주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냉, 온정수기의 부피가 크기때문에, 설치공간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또한, 제한된 주방의 공간활용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냉, 온수기를 통하여 원수를 냉, 온시키기 위해서는 그 내부에 별도의 저장탱크와 콤프레셔를 설치해야 하므로, 상기 콤프레셔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설치장소에는 어느 정도의 여부공간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콤프레셔와 저장탱크로 인한 냉, 온정수기의 부피 및 무게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측벽과 하판으로 구성된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거실이나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하므로써, 주방의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냉, 온정수기의 내부에 강제순환방식의 모터가 장착된 팬을 부착하여 냉, 온정수기가 발산하는 열을 식히기 위한 공간을 줄이는 것에 의해 냉, 온정수기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 온정수기 7 : 본체 고정편
11 : 브라켓트 11a, 11b : 관통구멍
30 : 고정구멍 70 : 체결구멍
100 : 고정수단 110 : 측벽
120 : 하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고정편이 상면에 구비된 냉, 온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 온정수기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측벽과 하판으로 구비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조립구멍이 측벽에 형성된 브라켓트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트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하고, 그 상부에 냉, 온정수기를 설치하므로써, 주방공간의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을 저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냉, 온정수기(1)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플라스틱금형으로 성형되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하우징(2)으로 외관이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콤프레셔(17) 및 수조탱크, 라지에이터(18) 등이 내장되고 상면에는 강제순환방식의 모터가 장착된 팬(6)이 설치된다.
상기 강제순환방식의 모터가 장착된 팬(6)은, 냉, 온정수기(1)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3)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냉, 온정수기(1)의 전면에는 각종 센서를 제어하는 계기판(5)이 부착되고, 그 하부에는 식수 공급부(4)가 구비된다.
상기 식수 공급부(4)는, 생수통이나 수도관으로 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정화된 식수를 제공하는 배출레버(40)가 상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배출레버(40)는 제공되는 식수의 종류에 따라 냉수 배출레버(40a)와 온수 배출레버(40b)로 구분되어 진다.
또한, 상기 냉, 온배출레버(40a)(40b)의 하부에는 별도의 물받이(400)가 설치되어, 배출시 컵 등에 넘친 식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냉, 온정수기(1)의 하부에는 고정구멍(80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체결구멍(7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고정편(7)이 상면에 구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냉, 온정수기(1)의 배면에는 상기 냉, 온정수기(1)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측벽(110)과 하판(120)으로 구비되고, 고정수단(100)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조립구멍(111)이 측벽(110)에 형성 브라켓트(11)가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주방 또는 내실의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트의 상부에 냉, 온정수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브라켓트(11)를 이용하여 냉, 온정수기(1)를 설치하는 것은, 먼저, 측벽(110)을 주방 또는 내실 벽면에 앵커볼트 및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00)을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고정시킨다.
이때, 그 설치높이는 냉, 온정수기(1)를 브라켓트(11) 상부에 올려놓았을 경우 배출레버(40)를 이용하여 식수를 공급받기 용이한 높이를 감안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11)가 벽면에 고정되면, 냉, 온정수기(1)를 상기 브라켓트(11)의 하판(120) 상부에 올려놓은 후 상기 본체 고정편(7)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구멍(70)의 위치를 측벽(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a)(11b)의 위치와 동일하게 위치시킨다.
그러면, 상기 냉, 온정수기(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멍(30)도 하판(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1a)(11b)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써, 별도의 고정수단(100)을 이용하여 각각 체결시키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냉, 온정수기를 측벽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므로써, 설치장소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냉, 온정수기의 상면에 설치된 강제순환방식의 모터가 장착된 팬을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조절하므로써, 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설치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하부에 고정구멍(80)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체결구멍(7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고정편(7)이 상면에 구비된 냉, 온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냉, 온정수기(1)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측벽(110)과 하판(120)으로 구비되고, 고정수단(100)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조립구멍(111)이 측벽(110)에 형성된 브라켓트(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11)는, 상기 측벽(11)과 하판(120)에 각각 고정구멍(80) 및 체결구멍(7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구멍(11a)(11b)이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 온정수기(1)는 공기를 강제로 발산하는 강제순환방식의 모터가 장착된 팬(6)이 그 상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KR2020000032625U 2000-11-21 2000-11-21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KR200221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25U KR200221088Y1 (ko) 2000-11-21 2000-11-21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25U KR200221088Y1 (ko) 2000-11-21 2000-11-21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088Y1 true KR200221088Y1 (ko) 2001-04-16

Family

ID=7309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625U KR200221088Y1 (ko) 2000-11-21 2000-11-21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0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4002850A (es) Enfriador termoelectrico de bebidas.
US6101835A (en) Water and ice dispensing apparatus
KR20180117526A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CA2278278A1 (en) Refrigerator water tank
AU662599B2 (en) Portable dehumidifier
WO2007086641A3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221088Y1 (ko) 벽걸이형 냉, 온정수기
KR20090131938A (ko)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CN210980088U (zh)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机组
KR200292219Y1 (ko) 벽면 매립형 냉온정수기
CN210471899U (zh) 一种安全磁感应式温热型饮水机
KR0128011Y1 (ko) 다기능 냉,온수 급수기
KR20050029347A (ko) 열전소자 반도체 냉각방식을 이용한 벽걸이 냉정수기
CN214892090U (zh) 带制冷式接水盘的水加热机
CN2937966Y (zh) 饮水机电子冰胆
KR19980057737A (ko) 냉각시스템 및 냉정수기
KR0117910Y1 (ko) 정수기
CN215113201U (zh) 一种渐热多功能设定温度直饮一体机
CN211084239U (zh) 一种空调出风结构、具有其的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2409056U (zh) 一种下出水集成热水器
CN209431653U (zh) 一种集成浴室柜热水器
KR200199036Y1 (ko) 제빙기능을 갖는 냉,온정수기
KR970002127Y1 (ko) 다기능 쌀통
CN113251660B (zh) 热泵热水器及其控制方法
KR100313366B1 (ko) 본체와 취수대 분리형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