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87Y1 -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87Y1
KR200220687Y1 KR2020000029871U KR20000029871U KR200220687Y1 KR 200220687 Y1 KR200220687 Y1 KR 200220687Y1 KR 2020000029871 U KR2020000029871 U KR 2020000029871U KR 20000029871 U KR20000029871 U KR 20000029871U KR 200220687 Y1 KR200220687 Y1 KR 200220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nose support
fixing
glasse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노성
Original Assignee
기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노성 filed Critical 기노성
Priority to KR2020000029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87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글라스 렌즈로부터 보조안경이 장착되는 코 받침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안경을 간편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첩 가능한 다리(11)가 구비되고, 소정 형상의 선글라스 렌즈(12)가 설치되는 선글라스 테(14)와, 상기 선글라스 렌즈(12)를 받침하기 위한 코 받침(16)으로 이루어진 선글라스(10)에 대하여 소정의 도수를 갖는 보조안경(20)을 착탈함에 있어서:상기 선글라스 렌즈(12)를 받침하기 위한 코 받침(16)으로는 상기 보조안경(2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돌출편(17)을 형성하되 상기 선글라스 렌즈(12)와의 사이로 일정한 공간(S)이 마련되게 절곡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17)으로는 고정홀(17a)을 형성하고, 상기 코 받침(16)으로 받침되는 보조안경(20)의 연결편(26)으로는 고정돌기(26a)를 상기 고정홀(17a)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Sunglass of support spectacle structure of sticking}
본 고안은 선글라스에 대한 보조안경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글라스 렌즈로부터 보조안경이 장착되는 코 받침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안경을 간편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글라스는 태양으로부터의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반사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눈의 피로감을 덜어주기 위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글라스는 운전용이나 스포츠 레저 활동시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되기도 하며, 근자에는 외적인 감각을 추구하기 위하여 패션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선글라스는 그 용도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선택 욕구 충족을 위해 크기의 대소는 물론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 선글라스는 단순이 선글라스렌즈에 소정의 색을 가미하여 직사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력이 약하거나 평상시 안경을 착용하고 다니던 사람은 상기한 도수 없는 선글라스를 그냥 착용하는 경우 눈의 보호효과는 있으나, 도수가 없는 관계로 시야에 장애를 받아 사물의 관찰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오히려 불편하고 번거로운 것이어서 착용하지 않은 것만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되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종래 상기한 선글라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글라스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보조안경을 장착하여 실제 안경을 착용한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선글라스에 의한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선글라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고급제품으로서 선글라스 자체가 일정한 도수를 갖도록 한 선글라스가 있으나, 일반화되어 있지 못하고 사용자가 특별히 주문하여 착용하는 실정이어서 매우 고가이다.
그런데 종래 선글라스에 대하여 도수를 갖는 보조안경을 장착함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글라스(1)의 선글라스 테(2)로 설치된 선글라스 렌즈(3)부위로 보조안경(4)이 장착될 때 코 받침(5)의 돌출편(6)은 선글라스 렌즈(3)와의 사이로 장착 공간이 전혀 없고, 그 전면으로 형성된 요홈(6a)에 연결편(4a)이 상호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코 받침(5)을 선글라스 렌즈(3)로 부터 반드시 분리하지 않고서는 보조안경(4)을 장착할 수 없는 구조상의 결점이 있는 바,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보조안경(4)의 장착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보조안경의 착탈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글라스 렌즈로부터 코 받침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안경의 신속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안경 착탈구조를 보인 일부 절단 발췌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안경이 장착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안경의 장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5는 종래 고안에 따른 보조 안경이 장착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선글라스 11: 다리
12: 선글라스 렌즈 14: 선글라스 테
16: 코 받침 17: 돌출편
17a: 고정홀 20:보조안경
22: 렌즈 24: 림부
26: 연결편 26a: 고정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조안경 착탈구조에 따른 특징은, 절첩 가능한 다리가 구비되고 소정 형상의 선글라스 렌즈가 설치되는 선글라스 테와, 상기 선글라스 렌즈를 받침하기 위한 코 받침으로 이루어진 선글라스에 대하여 소정의 도수를 갖는 보조안경을 착탈함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 렌즈를 받침하기 위한 코 받침으로는 상기 보조안경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돌출편을 형성하되 상기 선글라스 렌즈와의 사이로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게 절곡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으로는 고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코 받침으로 받침되는 보조안경의 연결편으로는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홀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코 받침의 돌출편으로 형성된 고정홀과 보조안경의 연결편으로 형성된 고정돌기는 복수개로 구성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10)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글라스(10)는, 절첩 가능한 다리(11)가 구비되고, 소정형상의 선글라스 렌즈(12)가 장착되는 선글라스 테(14)와, 상기 선글라스 렌즈(12)를 받침하기 위한 유연성 재질의 코 받침(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구조의 선글라스(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안경(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 받침(16)의 상단으로는 돌출편(17)이 일체로 상기 선글라스 렌즈(12)와의 사이에 도3과 같은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향 절곡되어 있고, 그 돌출편(17)으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고정홀(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안경(20)의 렌즈(22)가 고정되는 림부(24)사이의 연결편(26)으로는 상기 돌출편(17)의 고정홀(17a)과 대응되는 고정돌기(2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3은 선글라스(10)의 선글라스 렌즈(12)와 코 받침(16)의 돌출편(17)사이로 형성된 공간(S)을 통해 보조안경(20)이 선글라스 렌즈(12)의 전면으로 장착된 상태의 측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안경(20)은 공간(S)을 통해 연결편(26)의 고정돌기(26a)가 선글라스 렌즈(12)를 받침하는 코 받침(16)의 돌출편(17)으로 형성된 고정홀(17a)에 상호 일체로 삽설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글라스 렌즈(12)로부터 코 받침(16)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안경(20)을 선글라스 렌즈(12)와 코 받침(16)의 돌출편(17) 사이로 형성된 공간(S)으로 집어 넣고 살짝 가압하여 주면 연결편(26)의 탄성력에 의해 이에 형성된 고정돌기(26a)가 돌출편(17)의 고정홀(17a)에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되고, 보조안경(20)의 분리시에도 역시 공간(S)를 이용하여 연결편(26)을 살짝 가압하여 주는 것에 의해 고정돌기(26a)가 고정홀(17a)로부터 빠져나와 간단하게 분리 조작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경우 코 받침(16)의 돌출편(17)과 보조안경(20)의 연결편(26)으로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17a)과 고정돌기(26a)를 하나가 아닌 복수개로 형성하여 상호 장착함으로서, 보조안경(20)의 장착에 따른 수평 유지가 가능하고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선글라스 렌즈와 돌출편 사이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보조안경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조안경이 받침되는 코받침을 선글라스 렌즈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전혀 없어 보조안경의 장착이 매우 편리하고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

  1. 절첩 가능한 다리(11)가 구비되고, 소정 형상의 선글라스 렌즈(12)가 설치되는 선글라스 테(14)와, 상기 선글라스 렌즈(12)를 받침하기 위한 코받침(16)으로 이루어진 선글라스(10)에 대하여 소정의 도수를 갖는 보조안경(20)을 착탈함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 렌즈(12)를 받침하기 위한 코 받침(16)으로는 상기 보조안경(2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돌출편(17)을 형성하되 상기 선글라스 렌즈(12)와의 사이로 일정한 공간(S)이 마련되게 절곡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17)으로는 고정홀(17a)을 형성하고, 상기 코 받침(16)으로 받침되는 보조안경(20)의 연결편(26)으로는 고정돌기(26a)를 상기 고정홀(17a)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호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받침(16)의 돌출편(17)과 상기 보조안경(20)의 연결편(26)으로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17a)과 고정돌기(26a)은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20000029871U 2000-10-25 2000-10-25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0220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71U KR200220687Y1 (ko) 2000-10-25 2000-10-25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71U KR200220687Y1 (ko) 2000-10-25 2000-10-25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687Y1 true KR200220687Y1 (ko) 2001-04-16

Family

ID=7309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871U KR200220687Y1 (ko) 2000-10-25 2000-10-25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96Y1 (ko) 2009-05-27 2011-08-23 주식회사 모리스레포츠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96Y1 (ko) 2009-05-27 2011-08-23 주식회사 모리스레포츠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0343Y1 (ko) 레저용 선글라스
US20170357104A1 (en) Glasses with replaceable lenses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KR200220687Y1 (ko) 선글라스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JP4827012B2 (ja)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KR200465087Y1 (ko) 교체형 안경테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KR200172708Y1 (ko) 착탈식 보조안경
KR200338153Y1 (ko) 스키용 고글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200427947Y1 (ko) 안경 코받침 지지대
CN220752430U (zh) 一种镜架结构、眼镜框架及眼镜
CN218122379U (zh) 一种无镜框无铰链的眼镜
CN21635159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眼镜
CN209911683U (zh) 一种组合式眼镜
KR0121035Y1 (ko) 레저용 안경의 렌즈설치구조
KR102570372B1 (ko) 안경의 교환식 안경다리
CN218675553U (zh) 眼镜
KR20220138239A (ko) 유,무테 변환 안경
CN218601606U (zh) 一种无螺丝眼镜
KR200455196Y1 (ko)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KR20100089292A (ko) 교체식 안경
KR200451257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안경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