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12Y1 -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12Y1
KR200220612Y1 KR2019980018883U KR19980018883U KR200220612Y1 KR 200220612 Y1 KR200220612 Y1 KR 200220612Y1 KR 2019980018883 U KR2019980018883 U KR 2019980018883U KR 19980018883 U KR19980018883 U KR 19980018883U KR 200220612 Y1 KR200220612 Y1 KR 20022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uct
refrigerator
fl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459U (ko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8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1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12Y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온도조절장치는 대부분 냉장실 내측의 후면상측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내안쪽으로 손을 깊숙히 넣어 조작하여야 하므로 전환조작이 지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실의 전후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구획판에 의해 각각 수용부, 연장부, 덕트부로 구획형성되고 그 선단이 냉장실도어 인접측에 위치되도록 냉장실 상면과 배면상측에 하우징을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며; 하우징의 덕트부 내에는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통로인 냉기공급덕트와 연통되도록 냉기분배덕트를 형성하고; 상기 냉기분배덕트의 양측 지지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냉기분배덕트를 개폐토록 플랩을 설치하며; 상기 플랩을 회동자재토록 일단은 상기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획판을 관통하여 플랩에 연결설치된 작동봉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은 물론 냉동실 혹은 냉장실 고내 온도조절을 위한 전환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고안임.

Description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을 조절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고내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식(dial-type)으로 된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냉식 냉장고는 직냉식 냉장고와 달리 냉동실 후방측에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각기실이 마련된다.
따라서, 각 고내를 냉동 혹은 냉장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냉각기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송풍팬에 의해 냉동실 혹은 냉장실로 강제송풍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냉장실의 경우에는 상기 냉각기실과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받는 통로상에 냉장실로 유입되는 냉기량을 조절함으로써 고내 온도를 조절하도록 된 온도조절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온도조절장치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방식과 기체의 열팽창 및 수축력을 이용한 벨로우즈 방식이 있다.
이들 중 주로 채용되는 벨로우즈를 이용한 기계식 온도조절장치는 고내온도에 따라서 냉기의 유입량을 연속적으로 무단계조절하도록 된 특징이 있으며, 또한 다음과 같은 기능이 요구된다.
1. 냉장실의 온도에는 상관없이 냉기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것.
2. 냉장실 온도에 의해 냉기유입량을 자동가감하여 고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것.
3. 냉장실 온도에 상관없이 냉기의 유입량을 최대한으로 할 것.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종래에는 벨로우즈에 의해 회동되는 개폐판 작동레버의 후단부에 인장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고 그 타단은 스프링의 인장력을 가감할 수 있도록 된 레버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레버는 단순히 회전형 캠의 외주 가장자리에 압압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조절장치는 많은 출원인들에 의해 선출원되어 출원공개된 바 있으며, 특히 실용공고 제91-2817호 "댐퍼의 배플 개폐장치", 실용공고 제91-2816호 "냉장고의 냉장실용 온도조절기", 실용공고 제91-5176호 "냉장고의 냉기분출량 조절장치" 등은 온도조절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거나 혹은 고내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개량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온도조절장치는 아무리 조작을 용이하게 개선하였다고 하여도 대부분 냉장실 배면상측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내안쪽으로 손을 깊숙히 넣어 조작하여야 하므로 전환조작이 지극히 번거로웠다.
특히, 상기 온도조절장치 인접부위에 이미 식품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환조작을 할 때마다 수납된 식품을 꺼낸 다음에 조작하거나 수납식품의 위치를 변경시킨 후에 조작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냉장실에 설치된 온도조절장치가 갖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냉장실 배면에 설치한 온도조절장치의 전환조작시마다 냉장실 깊숙히 손을 넣을 필요없이 냉장실 앞쪽에서 용이하게 전환조작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냉장실의 전후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구획판에 의해 각각 수용부, 연장부, 덕트부로 구획형성되고 상기 선단이 냉장실도어 인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냉장실 상면과 배면상측에 고정되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이얼조작식의 조작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덕트부 내에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공급되는 통로인 냉기공급덕트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냉기분배덕트와; 상기 냉기분배덕트의 양측 지지벽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냉기분배덕트를 개폐토록 설치되는 플랩과; 상기 플랩을 회동자재토록 일단은 상기 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상기 플랩에 연결설치된 작동봉으로 구성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 및 그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가 냉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a는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
도 3b는 도 2의 B부분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확대하여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200 : 수용부,
210a,210b : 격실, 220a,220b : 조작레버,
222 : 돌출환, 224 : 고정구,
240 : 작동봉, 270 : 안내돌기,
400 : 연장부, 410 : 냉기분배덕트,
412a,412b,412c : 냉기분사구, 420 : 지지벽,
422 : 지지편, 430 : 플랩,
440 : 회전봉, 450 : 힌지,
510 : 냉기공급덕트.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 및 그 요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사각형태로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냉장고의 냉장실 전후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00)이 냉장실에 설치되었을 때 그 선단이 냉장실도어에 인접하게 위치되기에 적합한 길이로 하여 준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그 선단에서부터 후단을 향하여 다수의 구획판(110a,110b)에 의해 각각 수용부(200), 연장부(300) 및 덕트부(400)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고정을 위하여 하우징(100)의 후측벽, 즉 상기 덕트부(400)의 후측외벽면에는 후술할 냉장실 배면 내상(540)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홈(542)에 끼워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46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00)의 내면 사측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100)이 냉장실 상면에 볼트로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볼트공(230)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110a,110b)은 그 일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할 작동봉(240)이 통과되는 안내공(112a,112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 구획형성된 수용부(200)는 분할판(202)에 의해 횡방향으로 양분되어 각 격실(210a,210b)을 이룬다.
상기 분할판(202)은 상기 구획판(110a)과 직교되게 밀착고정된다.
상기 각 격실(210a,210b)의 바닥면 중앙에는 각각 회전축(260)이 격실(210a,210b) 높이만큼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60)는 각각 조작레버(220a,220b)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조작레버(220a,220b)중 일측 조작레버(220b)는 고내에 분포된 냉기의 온도감지에 따라 냉장고의 운전 및 정지시점을 판단하여 콤프레서의 구동을 자동제어하는 써머스탯(thermostat)의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200)의 각 격실(210a,210b) 전면에는 일정크기의 슬릿(250a,250b)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250a,250b)은 상기 조작레버(220a,220b)의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환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예컨데 다이얼(dial) 형태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레버(220a)는 소정각도의 범위 내로 한정되어 회전됨이 바람직한 바, 예컨데 대략 60 °내외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조절을 위해 상기 격실(210a)의 바닥면 일정위치에는 안내돌기(27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270)와 대응되는 상기 조작레버(220a)의 상면에는 가이드홈(2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226)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혹은 상기 안내돌기(270)의 돌설위치를 변경하여 조작레버(220a)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220a)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260)에 삽입되는 부위를 제외한 그 외주면이 일정폭을 갖고 상향돌출되어 돌출환(222)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돌출환(222)의 일부에는 고정구(22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24)는 대략 상기 가이드홈(226)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226)은 상기 돌출환(222)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작레버(220a)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환(222)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덕트부(400) 내부에는 냉기분배덕트(41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는 후술할 냉장실용 냉기공급덕트(510)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는 그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랩(4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플랩(430)은 판상체로 형성되며 또한 그 길이방향을 따라 'V'형태로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랩(430)의 절곡선을 따라 후술할 회전봉(440)이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봉(440)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플랩(430)에 의해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효율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플랩(430)의 회동을 위하여 별도의 지지 및 회동수단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수단들은 상기 덕트부(400)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소 떨어져 상향돌출됨으로써 상기 냉기분배덕트(410)의 양측벽을 이루는 지지벽(420)과, 상기 지지벽(420)의 일부에 고정홈(424)을 갖도록 형성된 지지편(422)과, 상기 고정홈(42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고정되는 회전봉(440)과, 일단은 상기 회전봉(4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술한 조작레버(220a)에 연결된 작동봉(240)이 고정되는 힌지(4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422)에 형성되는 고정홈(424)은 상기 회전봉(440)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보다 다소 크게 하여 준다.
또한 상기 고정홈(424)은 입구측은 좁고 내측은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봉(440)을 상기 고정홈(424)에 결합시킬 때에는 그 상측의 입구부에서 강하게 압입시키기만 하면 된다. 왜냐하면, 입구측이 좁기 때문에 고정홈(424)의 상측이 약간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회전봉(440)이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회전봉(440)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탄성고정하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봉(440)은 상기 지지벽(420)의 이격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야 하며, 그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플랜지(442)를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442)는 상기 회전봉(440)이 상기 고정홈(424)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회전봉(440)의 일단에는 힌지(450)가 고정된다.
상기 힌지(450)는 상술한 작동봉(24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회전봉(44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힌지(450)의 일단에는 상기 작동봉(240)의 일단이 걸려 고정되는 힌지공(452)을 갖는다.
상기 작동봉(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하향절곡되고 타단은 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형성된 긴 막대형태의 봉으로써, 하향 절곡된 일단은 상기 조작레버(220a)의 고정구(22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110a,110b)의 각 안내공(112a,112b)을 관통하여 상기 덕트부(400)에 구비된 상기 힌지공(452)에 그 절곡부(242)가 걸려 고정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가 냉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냉기공급덕트(510)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기실(520)과 냉장실(R)을 연통시켜 증발기(50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R)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상기 냉기공급덕트(510)는 냉각기실(520) 배면 단열벽(530)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다가 냉장고를 냉동실(F)과 냉장실(R)로 구획하는 사절부(550) 후방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냉장실(R)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후측에 형성된 덕트부(400)는 상기 냉기공급덕트(510)와 연통되는 냉기분배덕트(410)를 구비하고, 상기 냉기공급덕트(510)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손실되지 않도록 그 인접부위에서 상기 냉기공급덕트(510)를 폐쇄할 수 있는 범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을 설치하기 위하여 냉장실(R) 배면 내상(540) 상측에는 상술한 고정돌기(460)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 및 개수로 삽입홈(5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460)는 상기 삽입홈(542)에 삽입된 채 발포되는 단열벽(530) 속에 매설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을 지지고정하며,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선단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냉장실(R) 상면에 볼트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이 냉장실(R) 상면 및 배면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분배덕트(410)에는 냉장고의 냉장실(R) 전방측, 중앙부 및 후측직하방 쪽으로 냉기를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냉기분사구(412a,412b,412c)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분사구(412a,412b,412c)는 적어도 두군데 이상 형성하여 토출된 냉기가 냉장실(R) 구석구석으로 분산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증발기(500)에서 냉기가 생성되면 일부는 냉동실(F)로 직접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냉기공급덕트(510)를 따라 안내된 후 냉기분배덕트(410)를 통해 냉장실(R)로 분산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냉기분산덕트(410) 상측에 설치된 플랩(430)을 개폐시킴으로써 냉장실(R)로 유입되는 냉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만약 냉장실(R)에 수납된 물품이 거의 없거나 혹은 냉동실(F)에 수납된 물품이 많아 냉동실(F)을 단시간에 급속냉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상기 플랩(430)을 움직여 냉기분배덕트(410)를 폐쇄시킴으로써 냉장실(R)로 다량 공급되어야 할 냉기가 더 이상 공급되지 못하고 역류되어 냉동실(F)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반면에, 냉장실(R)에 많은 냉기공급이 필요할 경우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폐쇄하고 있는 플랩(430)을 개방하게 되면 냉장실(R)로의 정상적인 냉기공급이 진행되어 고내에 수납된 물품을 냉장시키게 된다.
그런 후에, 각 고내를 순환하면서 수납물품과 열교환되면서 온도상승된 냉기는 사절부(550)에 형성된 냉동실측귀환덕트(552a) 및 냉장실측귀환덕트(552b)를 타고 냉각기실(520)로 귀환된다.
도 3a 및 도 3b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플랩(430)의 전환조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 2의 A,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냉기분배덕트(410)를 개방하고자 수용부(220)에 설치된 조작레버(220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돌출환(222)의 고정구(224)에 고정된 작동봉(24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그 후단에 고정된 힌지(450)를 상기 전방측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힌지(450)와 연동되는 회전봉(440)에 고정된 플랩(4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므로, 냉기공급덕트(510)를 통해 공급된 냉기는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로 안내되고 이렇게 안내된 냉기는 냉기분사구(412a,412b,412c)를 거쳐 냉장실(R) 고내 전체로 다량 공급되어 냉장실(R)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냉장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폐쇄하여 냉동실(F)로의 냉기유입량이 많아지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조작레버(220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돌출환(222)의 고정구(224)에 고정된 작동봉(240)도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그 후단에 고정된 힌지(450)를 상기 후방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힌지(450)와 연동되는 회전봉(440)에 고정된 플랩(4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므로, 냉기공급덕트(510)를 통해 공급된 냉기는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로 안내되다가 플랩(430)에 부딪힌 후 역류되어 냉장실(F)로 다량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장실 혹은 냉동실로 유입되는 냉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해당 고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장실도어 인접측까지 연장되어 온도조절용 조작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해당 고내 온도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벨로우즈를 구비하여 복잡한 구조로 작동되도록 한 종래 온도조절용 댐퍼와는 달리 조작레버와, 작동봉과, 플랩과 같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냉장실 혹은 냉동실로 유입되는 냉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온도조절용 조작레버를 냉장실도어 인접측까지 연장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도조절시 수납물품을 꺼내거나 정리한 후에 온도조절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냉장실(R)의 전후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구획판(110a,110b)에 의해 각각 수용부(200), 연장부(300), 덕트부(400)로 구획형성되고 상기 선단이 냉장실도어 인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냉장실(R) 상면과 배면상측에 고정되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부(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이얼조작식의 조작레버(220a)와;
    상기 하우징(100)의 덕트부(300) 내에 증발기(50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R)로 공급되는 통로인 냉기공급덕트(5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냉기분배덕트(410)와;
    상기 냉기분배덕트(410)의 양측 지지벽(4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개폐토록 설치되는 플랩(430)과;
    상기 플랩(430)을 회동자재토록 일단은 상기 조작레버(220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획판(110a,110b)을 관통하여 상기 플랩(430)에 연결설치된 작동봉(2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220a)는 그 상면 중심일부가 상형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환(222)과, 상기 돌출환(222)의 일부에 상기 작동봉(240)이 고정되도록 돌출형성된 고정구(224)와, 상기 수용부(200) 상면에 돌출된 안내돌기(270)가 끼워져 일정각도내에서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구(224)와 대략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돌출환(222) 인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는 적어도 두방향의 냉기분사구(412a,412b,412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430)은 상기 지지벽(420)의 지지편(422)에 형성된 고정홈(4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44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440)의 일단에는 힌지공(452)을 갖는 힌지(450)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450)의 고정공(452)에는 상기 작동봉(240)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냉기분배덕트(410)를 개폐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KR2019980018883U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KR20022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883U KR200220612Y1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883U KR200220612Y1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59U KR20000007459U (ko) 2000-04-25
KR200220612Y1 true KR200220612Y1 (ko) 2001-05-02

Family

ID=6952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883U KR200220612Y1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59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4865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flow of air between an evaporator and a cooling compartment
US8746005B2 (en) Refrigerator
JP3730619B2 (ja) 冷蔵庫の冷気供給装置
KR19990013175A (ko) 온기유입 방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220016930A (ko) 냉장고
KR20220124925A (ko) 냉장고
KR200220612Y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KR100570534B1 (ko) 냉장고의 냉기 조절장치
KR0138048B1 (ko) 냉장고
KR20010047665A (ko)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JPH0328288Y2 (ko)
JPH11118317A (ja) 冷蔵庫
KR100234083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910005176Y1 (ko) 냉장고의 냉기 분출량 조절장치
KR100595434B1 (ko) 냉장고
KR200345580Y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장치
KR100234067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479493B1 (ko) 냉장고
KR10023543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950002330Y1 (ko) 냉장고의 냉기흐름 제어장치
KR100260318B1 (ko) 급냉포켓을 구비한 냉장고
KR200142505Y1 (ko) 냉장고
KR200141856Y1 (ko) 냉동실의 온도조절장치
KR20030052280A (ko) 냉장고의 온도센서부 구조
JPH05141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