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362Y1 -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 Google Patents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362Y1
KR200220362Y1 KR2020000015236U KR20000015236U KR200220362Y1 KR 200220362 Y1 KR200220362 Y1 KR 200220362Y1 KR 2020000015236 U KR2020000015236 U KR 2020000015236U KR 20000015236 U KR20000015236 U KR 20000015236U KR 200220362 Y1 KR200220362 Y1 KR 200220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wage
hole
toil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기
Original Assignee
안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기 filed Critical 안영기
Priority to KR2020000015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362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변기를 기준으로 하여 대변과 소변을 깨끗이 씻어 내리면서도 물을 가장 적게 사용 하도륵 하였다. 집안에서 쓰는 세탁후의 물과 머리를 감은 후에 남는 물, 빗물 등도 오수통에 받아서 변기 내의 배출기에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수도관과 연계하여 오수통에 있는 오수를 먼저 사용후에 오수통 내에 있는 부유구의 작동으로 수돗물이 공급 되도록 하였고, 변기의 물받이와 좌변기의 중간에 중간 보조대를 두어 간격을 높게하여 물이 떨어지는 낙차를 크게 함으로서 적은 물로도 변이 내려 갈 수 있게 하였고, 변기 물받이 내에서 좌변기로 내리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주는 하수관 커버에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레버를 들어 올리면 대변, 소변 각각의 부유구를 통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였기에 꼭 필요한 양의 물만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지금의 변기에 위의 기능을 가진 부품을 교환하여 주면 되므로 경제적으로 효과가 크고 환경개선에도 기여할 수가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water saving toilet bowl for multipule use of both recycling water and clean water}
기존의 변기들은 절수를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물이 절약되는 양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대변과 소변을 차이를 두어 물을 내리는 방법의 경우 실제로 소변을 내릴 때의 물의 양은 많지 않음에도 실제 내려오는 물은 획일 적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양이 흐르는데, 이 방법도 물의 양을 조정할 수가 없어서 대변과 거의 같은 양의 물을 내리게 되고 대변도 지금의 변기 구조를 가지고는 거의 변기물통 내의 물을 모두 소비 하고서야 하수관 커버를 닫게 됨으로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물을 소비하게 되어 결국에는 변기물통 속에 물을 채운 물병이나 벽돌을 넣어서 절약하는 것이 확실한 방법? 이었다. 한번에 내려지는 변기물통 내의 물의 양을 생각 하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하겠다. 상단에 있는 부유구는 특히나 물의 조정을 애매하게 만들어 대변을 조정하려 하면 소변에 물이 변동이 생기고 소변을 조정하면 대변에 이상이 생겨 조절을 할 수가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집안에서 세탁을 하고나서 마지막에 나오는 깨끗한 물을 받아서 쓰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하수도로 버리게 되고 머리를 감을 때의 마지막 물 등등.. 많은 곳에서 오수가 버려지게 되는데 너무나 아까운 생각이 든다. 특히나 빌딩 같은 건물에는 더욱 빗물의 사용이 절실해지고 오수나 3급수를 변기의 물로 사용해도 되는데 이를 뒷받침 해주는 제품이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하수관 커버와 2개의 부유대를 이용하여 대변과 소변시에 물의 양을 정확하게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변기물통을 높게 배치하여 줌으로서 같은 양의 물을 가지고도 높은 압력으로 내려오게 함으로서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도록 하였고 (물론 여기서도 대소변의 물의 양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배출기를 이용하여 빗물과 세탁물 등의 아까운 물들을 어려움 없이 지금의 수도관과 연결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세대나 건물에서 이를 사용하면 오수통의 장소만 정하여 주면 연결호스만 연결하는 것으로 수돗물과 오수를 겸해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할 수가 있다.
(도1)본 고안의 대표도로서 빗물이나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통(103)과 변기물통 내의 배출구의 호스배관 연결 상태를 나타 내었다
(도2)는 배출기와 변기고정나사세트①의 분리된 모습과 오수통②의 부유구(104)를 나타 내었다.
(도3)은 배출기에 있는 부유구가 물에 뜰 때①와 내려질 때②의 고무핀(324)과 박막판(310)의 상태를 나타 내었다.
(도4)는 박막판이 열려지고 내려질때에 물의 배출 상태②와 보조관(314)의 상태를 나타 내었다.
(도5)는 수돗물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 하여 주는 차단부①②의 개폐상태와 박막판의 단면②을 나타내었다.
(도6)은 좌변기로 물을 내려 보내는 하수관(701)과 하수관커버(710)의 작동순서를 나타내었다.
(도7)은 하수관①과 하수관커버②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도8)은 하수관커버(710)가 열리고 닫힐 때에 양끝에 있는 부유구(738)의 역할과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9)는 물을 내려주는 2단 레버의 구조와 단면을 나타 내었다.
(도10)은 2단 레버의 작동 상태①②와 몸체의 단면③을 나타내었다.
(도11)은 물을 배출시에 낙차를 높여 압력을 크게하여 주는 변기보조대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오수와 수둣물을 겸하여 분리해주는 배출기(370)와 오수통(103)의 부문, 대소변을 구분하여 주는 하수관(701)과 하수관 커버(710), 커버(710)에 부착된 부유구(738)의 부문과 변기를 높게 올려주는 변기 보조대(901) 부문, 그리고 하수관 커버(710)를 대소변으로 구분하여 당겨주는 2단레버의 부문으로 나눌수 있다.
(도1)에서 보면 오수통(103)은 기존의 변기 물통의 상부에 위치하여 있고 오수통(103) 하단의 관(115)에서 호스(110)가 연결되어 2단 레버의 내부에 있는 관로를 따라 변기물통 내부의 배출기(300)에 있는 관(330)으로 연결된다. 오수통(103) 내에는 수돗물 차단장치가 있는데 상부에 있는 작은 구멍이 있는 걸름망(114)를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오수통 안에 고이게 되고 오수통(103) 바닥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대(107)에 힌지축(108)을 만들고 여기에 부유구(104)가 부착 되는데 부유구(104)는 내부가 빈공간으로 물에 뜨는 밀폐형 구조이며 끝에 대(112)를 연결하여 고정대(107)의 힌지(108)에 끼우고 부유구(104)와 힌지(108)의 중간에 연한 고무재질의 쐐기형의 고무핀(106)을 두어서 고정대(107)에 있는 연결관(105)과 결합되게 위치한다. 연결된 연결관(105)은 가는 호스(111)로 연결되어 레버(801)를 통과하여 변기물통 내부에 있는 배출기(300)의 하단에 있는 물유입 차단부의 연결관(331)에 연결된다.
여기서 배출기(300)는 수돗물유입부(350)와 오수유입부(360), 그리고 배출기(300)의 앞부분에 위치해서 수돗물을 차단하여주는 차단기(370), 이렇게 3부문으로 되어 있으나 박막판(310)에 의한 작동원리는 모두 같으므로 (도3)과 (도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3)에서 박막판(310)은 원형의 모양으로(도5) 병뚜껑처럼 암나사의 형태로 된 몸체커버(302)와 수나사 형태의 몸체(303) 중간에 조립되어 끼워져서 원형의 박막판(310)을 기준으로 커버내실(304)과 몸체내실(305)의 공간이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다. 여기에 박막판(310)은 원형의 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중간부 두개의 지점에 원형의 모양으로 골을 파 주어서(313) 판의 구멍(312)이 있는 중앙의 원판이 상하로 움직일 때에 골(313)이 관절 역할을 하여 원할히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관(301)의 끝 부분에 있는 작은관(308)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데 그림①처럼 내부에 물이 차서 부유구(321)가 뜨게 되면 부유구(321)에 연결되어 있는 고무핀(324)이 차단용 배출구(309)를 막게되고 커버의 작은내실(306)과 몸체의 작은내실(307)을 통하여 물의 흐름이 차단된다. 커버내실(304)의 공간에 압력이 커지면서 P1의 화살표 방향으로 고무 박막판(310)을 밀어내면서 관(308)의 상부를 덮게된다. 이로서 관(301)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이 차단 되는데 이는 관(301)의 작은관(308)을 통하여 계속 밀어대는 압력 때문에 절대로 열리지 않는다.
커버내실(304)과 작은내실(306)은 U'자형으로 파여진 여러개의 홈으로 서로 연결되고 커버 작은내실(306)과 몸체 작은내실(306)은 박막판(310)으로 차단되어 있으나 중앙에 있는 관통구(도5;310)를 만들어 이를 통하여 물흐름이 연결되고, 몸체 작은내실(307)과 부유구(321)의 고무핀(324)과 접하는 곳에 차단용 배출구(309)를 두게된다. 부유구(321)는 내부가 비어있고 물에 뜨는 원형의 밀폐형 부유체로 중앙에 부유대(322)를 삽입하여 부유구(321)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부유대(322)의 밑 부분에 배출기 몸체(303)의 부유대 안내관(311)과 만나는 지점에 부유대 스토퍼(323)를 두어서 그림②와 같은 상태에서 부유구(321)가 내려 앉을때에 스토퍼(323)에 의하여 더이상 내려가지 않게 된다. 부유대(322)를 사각의 기둥에 끼워서 고정하고 이를 부유대 안내관(311) 내부에 삽입하여 상하가 작동 되도록 만들며 사각기둥의 끝에 고무핀이 삽입 되도록 두개의 구멍에 고무핀(324)을 고정한 판(325)을 가진다. 이로서 부유대(322)는 부유구(321)와 고무핀(324)이 일체가 되어 몸체에 고정된 부유대 안내관(31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다시 (도3)으로 돌아가서 이렇게 막힌 배출기는 변을 보고난 후에 물을 내리면 물이 빠지면서 ②와 같이 부유구(321)가 내려 가게 되는데 이때에 차단용 배출구(309)를 막고 있던 고무핀(324)이 이탈되어 구멍(309)에서 물이 빠지고, 내실(304)에 있던 물의 압력이 없어지게 되어 관(301)에 막혀 있던 물의 압력으로 박막판(310)이 위로 올려지면서 물이 몸체 내실(305) 아래의 배출구(315)를 통하여 아래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박막판(310)의 작용에 의한 차단 방법은 배출기(300)에 부착되어 있는 3곳의 동작이 모두 동일하다.
수돗물 배출관(301)과 오수 배출관(330)에는 물유입 차단부(340)와는 달리 보조관(314)이 있다. (도4)에서 단면의 지점의 몸체내실(305)에는 바닥이 모두 아래와 관통(315)되어 여기로 물이 배출 되지만 그중 일부의 공간에는 차단벽(312)으로 몸체 내실과는 분리된 부채꼴 모양의 공간의 내실(313)이 있는데 바닥은 몸체와 더불어 밀폐되어 있고 그중 한곳에 물이 빠져 나가는 원형의 보조관(314)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보조관(314)으로서 박막판(310)이 열려서 물이 변기 내부로 배출될 때에 몸체 내실(305)로 빠진 물은 변기 물통의 내부를 채우지만 내실의 보조관(314)으로 빠진 물은 (도7)의 하수관 측면에 형성된 다른 보조관(706)으로 연결되어 좌변기로 내려가서 채워지게 된다. 이는 변을 보고 난 후에 변이 빠지고 변기통에 있는 하수관(701)이 닫히면서 변기에 물이 차는 동안 별도의 하수가 좌변기 내부에 물을 채워주는 것인데 기존의 것들은 변기 물통 내의 수면 위로 돌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겉으로 보이지 않게 하여 변기 바닥으로 연결되게 하였고 이구조는 소음을 없애는 효과도 있었다. 몸체 내실(305)로 빠지는 물과 내실(313)의 물은 박막판(310)이 닫히면 동시에 막혀서 물의 흐름이 차단된다.
오수통(103)을 사용할 때의 수돗물의 자동 차단 장치(104)는 배출기의 하단(도1)에 있는 연결관(331)의 흐름을 차단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는 오수통(103) 내의 부유구(104)가 물에 잠겨 있을 때와 물이 빠져서 내려져 있을때에 (도2) 부유구(104)의 고무핀(106)이 연결관(109)를 막거나 또는 이탈 할 때에 작동되며 (도5)에서의 박막판(310) 작용은 상기 기술한 (도3)의 설명과 같으며 여기서 몸체 내실(305)로 빠지는 물은 모두 관(301)으로 빠져 나간가는 점이 다르다. (도2)의 부유구(104)가 내려오면 커버 내실(304)의 압력이 작아져서 관내(340)로 유입되는 수압의 힘으로 박막판(310)을 밀고 관(301)으로 이동하며, (도1)의 부유구(104)가 물에 떠서 배출구를 막으면 몸체 내실(304)의 압력이 커지면서 박막판(310)을 밀어내어 입구가 차단된다.
변기의 물을 내릴때에 끈(732)에 의해 당겨지는 하수관 커버(710)와 물이 내려지는 하수관(701)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작동된다. (도7)에서 하수관(701)은 원형의 내부가 관통된 관 모양으로하단부는 변기 물통에 고정 되도록 나사를 내어 너트에 고정하고 상단의 외부 형상은 'H'자 모양으로 사방 끝으로 판(703)을 세워 지지대(703)를 세우고 대칭으로 양끝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원형기둥의 힌지축(704)을 세우며 이와 맞대어서 밀림 방지대(705)를 나란히 세운다. 하수관(701)의 끝단면 내측으로 두개의 구멍(706)을 두어서 여기에 외부로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보조관(706)을 만드는데 이는 (도4)의 보조관(314)과 연결된다. 하수관커버(710)는 하수관의 내부로 닫혀지는 골과 이를 받쳐주는 원판을 일체로 하여 밀짚모자를 뒤집어 쓴 모양으로 양 끝에는 하수관(701)의 힌지축(704)을 감싸도록 만든 힌지커버(712)를 만드는데 (도7)의 ②에서 보듯이 감싼 모양이 서로 대칭이며 하수관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커버(710)를 수평으로 들어 내리거나 올릴 때에 마찰이 없이 잘 분리되고 결합 되도록 한다.
힌지 커버(710)는 구조상 힌지축(704)을 감싸지도록 같은 반원형의 내부를 가지고 아랫 방향으로 지름과 같은 폭으로 평행한 간격(721)을 유지하며 내측 단의 높이(722)는 주지 않고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게 끝을 원주의 중심에서 반원으로 돌출 되게 마감하며, 바깥측의 단의 길이(724)는 각도45도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점에서 단락하여 중심보다 길게 마감하는 길이로 한다.
하수관커버(710)의 중심 되는 선에 판을 세워서 부유대(735,736)를 고정할 수 있는 구멍(714)을 만들고 양끝에는 끈 연결부(713)를 두어서 부유대(735,736)와 끈(731,732)이 연결 되도록 한다.
(도6)에서 하수관 커버(710)는 한개의 커버에 양끝을 연결하는 끈으로 좌,우를 동시에 여닫을 수 있도록 하였는데 처음 사용 않을 때는 ①에서처럼 수압의 힘(P)으로 커버(710)는 열리지 않는다. h1,h2,h3,h4 4곳 모두 공간이 있어서 대변끈(731)과 소변끈(732) 두곳을 동시에 위로 당기면 커버(710)를 열수가 있지만 레버(802)의 힘으로는 당기기가 불가능 하다. ②에서 좌측에 끈(731)을 당기면 물이 누르는 힘(P) 때문에 당기는 곳의 힌지커버(712)는 위로 올라 가지만 우측에 있는 힌지 커버(713)는 힌지축(704)을 싸고 안으로 회전한다. 이때에 h3는 공간이 있지만 h4는 이미 힌지커버(713)가 안으로 감은 상태여서 겹쳐지게 되므로 바로 위로 올려서는 뺄 수가 없게 된다.하수관의 지지대(703)에 힌지축(704)과 나란히 부착되어 있는 밀림방지대(705)의 안내로 힌지커버(710)는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작동을 하게 된다③. 소변끈(732)을 당겼을 때의 작동은 좌측을 당겼을 때와 동일하다.
(도8)에서 부유구(738)는 원형의 내부가 빈 물위에 뜨는 밀폐형 공간으로 되어 있으며 구형의 끝단에 사각막대를 붙이고 내부에 사각 공간을 두어 사각의 부유대(736)에 끼워진 부유구(738)가 조립된 후에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상하로만 작동 되도록 만들고 부유대(736)의 한 끝을 구멍을 가공하여 하수관 커버(710)의 중앙부 대의 끝에 가공된 구멍(714)에 헐겁게 맞추어 지도록 하며 이 힌지점(714)을 기준으로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다. 반대편도 이와 같이 만들지만 좌측을 대변시의 끈(731)으로, 우측을 소변시의 끈(732)으로 하였을 때에 우측(732)을 좌측(731)보다 길게 하여 물의 하수량에 따른 차이를 둔다. (도8)의 ①은 평상의 상태인데 양끝에 부유구(737,738)가 있지만 물이 하수관 커버(710)를 내리 누르는 힘(P)이 부유구(737,738)의 뜨는 힘보다 크기 때문에 그림과 상태로 있게 된다. ②는 소변시에 우측 끈(732)을 당긴 상태이다. 끈을 당기면 동시에 부유구(738)가 뜨는 힘으로 하수관 커버(710)를 위로 당겨 끌어 올리는데 ②와 같이 수면A의 물이 빠지면서 수면B 까지는 부유구(738)가 그대로 있지만 수면B 부터는 부유구(738)의 물에 뜨는 성질 때문에 수면에 붙어서 수면이 C와 D로 이동을 하면 부유구(738)는 수면에 밀착되어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하수관 커버(710)는 부유대(736)의 미는 힘으로 닫히게 된다. 이로서 하수관 커버(710)가 닫히는데 그림 ③에는 수면B에서 수면D까지의 단계적인 그림이 높이처럼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수면A와 수면B는 차이가 있으나 수면B와 수면D사이는 ②에서의 물이 빠지면서 하수관커버(710)를 빨고 들어가는 힘(P2) 때문에 거의 순식간에 닫혀 지므로 수면의 차이가 거의 없고 훨씬 적은 양의 물만이 내려가게 된다. 소변 부유구(738)의 높이를 조정함에 따라 수량을 조절 할 수가 있다. 좌측에 대변의 끈(731)을 당겼을 때도 마찬가지로 작동하며 대변은 소변과 달리 물의 양이 많으므로 높이를 낮게 하였다.
(도10)에서 대변과 소변을 가려서 당겨주는 레버는 몸체(801)의 구조는 단면을 사각으로 하여 중심을 기준으로 상단에는 두개의 구멍을 만들어 원형의 소변용 레버축(808)과 대변용 레버축(804)을 삽입 하도록 하였으며 하단에는 물이 흐르는 관로(813)를 만들어 오수통(103)의 물이 통로(813)를 통하여 변기 물통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대각선 방향 4곳(821)에 몸체를 고정하여주는 나사(821)를 두어서 원형의 너트(802)로 결합하여 고정하게 하였고, (도9)에서 아랫 그림은 전체적인 조립도면으로 ①은 정면도로 손잡이부분(805)과 원형의 축(801) 부분이 일체가 되어 몸체(801)의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움직이고 여기에 축의 끝단 즉, 몸체 원형의 끝부분이 닿는부분 아래에는 내부의 단면(804)이 (도10) 각A의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되며 여기에 맞추어지도록 원통(821)을 만들어서 삽입하고 이와 연결되는 긴 막대(805)를 부착하여 끝에 끈(809)을 고정 하도록 하였다. 소변레버(805)의 작동은(도10)처럼 중앙 하단에 있는 관로(813)의 위에 레버축의 끝부분(804), 각A를 둔 부분(821)이 얹어지게 되는데 누워 있는 평상의 상태①에서는 (도10) 아래로 쳐지지 않고 위로 올린 상태②에서도 각A의 면 때문에 더이상 올려지지 않아서 그 자체가 레버 작동의 한계를 지정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도11)에서는 변기 물통을 좌변기에서부터 적당한 위치로 높여주는 변기 보조대(901)는 (도11)에서 사각의 좌우 사각의 형상의 중앙에 변기의 하수관에 이어서 내리는 물의 흐름이 연속 연결 되도록 원통형의 하수관로(901)를 두었고 볼트(907)를 관통하는 구멍(902)을 두었으며 하수관로(901)와 볼트 구멍(902)을 서로 지지하는 대(911)를 서로 연결하여 치우쳐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③에서 변기의 뒷부분에 쳐지지 않도록 판넬의 받침을 연장(903)하고 하단에 삼각모양의 받침대(904)를 연결하여 지지를 튼튼히 하고 보조대의 하단은 길이를 ③의 좌측부 변기카바 고정구까지 연결(910)하고 고정구(906)가 장치 되도록 구멍(905)을 두었다. 변기 고정구는 변기 물통과 변기 보조대, 좌변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긴 나사모양의 볼트를 넣어서 양단에 너트와 고무링으로 조립되어진다. 높이 만큼이나 큰 수압으로 물통내의 물이 내려질때에 물의 압력이 큰 만큼 적은 양의 물로도 변이 내려 갈 수가 있다.
본 고안으로 ①집안에서 버려지는 세탁물이나 등등의 오수를 사용할 수가 있
고 특히나 옥상에 빗물통을 사용할 경우에 그 효과를 크게 할 수가 있으며 ②대변
과 소변을 확실하게 개별 적으로 구분하여 물을 내려 줌으로서 절약을 더할 수가
있고 ③지금의 변기를 높여주는 효과로 물을 내림으로 같은 조건이라도 적은 양으
로도 물이 절약되므로 상기 3가지가 각각의 절약 방법이면서도 부품들이 서로 유기
적으로 연관되어 한가지로 효과가 나타 나므로 그 절감 효과는 상당히 크다고 하겠
다. 더구나 지금의 변기 구조를 큰공사를 하지 않고도 부품을 교환 하는 것으로
설치가 되므로 경제적이고, 물을 절약하는 것은 환경과 연관 되므로 환경적인 면에
서도 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Claims (5)

  1. 별도의 오수를 저장하여 오수와 수돗물을 겸하여 쓸 수 있고 대변과 소변의 배출 수량(水量)을 각각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배수가 되는 물의 낙차가 높아서 절수 효과가 높은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수돗물을 저장하는 변기물통(290) 외에 별도의 오수와 빗물을 저장하는 오수통(103)과 연결하여 오수를 사용시에는 수돗물을 차단 하여주는 기능이 있는 배출기(370)를 가지고; 한개의 커버로 구성되어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양쪽으로 여닫을 수 있고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변용 부유구(737)와 소변용 부유구(738)가 장착된 하수관커버(710)를 가지며; 대, 소변을 구분하여 하수관을 열어주는 하수관 커버의 양끝에 끈(809,810)으로 연결되는 두개의 레버축(804,807)과 외부에 장착된 오수통에서 물을 공급받는 오수관로(811)를 한 몸체에 구성한 레버장치를 가지며; 변기물통을 높여서 물의 낙차를 크게 하여 주는 변기 보조대(801)를 가지는 오수겸용 절수형 변기
  2. 상기 1항에 있어서 배출기(370)는 변기물통(290)에 고정되어 있는 수돗물 유입관(102)과 분리되는 구조이며 배출기(300)에는 차단기(330)와 수돗물유입부(350)와 오수유입부(360)가 있으며 입구에 있는 차단기(330)에는 물 유입부의 관 끝이 직각(341)으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관(341)의 끝단에 작은 원통의 관(308)이 중앙에 별도로 고정되어지고 두 개의 관(341)은 통공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관(341)과 일체를 이루는 몸체(303)는 상단의 몸체커버(302)와 분리 합체하여 박막판(3l0)을 고정하며 박막판의 중앙 구멍(312)은 작은관(308)에 자유로이 삽입이 되며, 차단기의 몸체 하단(342)은 막혀 있고 그중 일부(343)가 수돗물유입부(350)로 연결 되어지며 여기에 연결된 관(301)은 몸체의 판(345)에 연결되어 수돗물유입부(350), 오수유입부(360)와 나란히 배치되며 수돗물유입부(350)와 오수유입부(360)의 박막판 내부 구조는 차단기(330)의 구조와 같으나 몸체커버의 하단부가 차단기는 일부(343)만 통공되고 수돗물유입부(350)와 오수유입부(360)의 밑면은 전체가 통공(315)되고, 그중에 몸체내실(305)의 원형관로(305)의 일부(313)가 판(312)에 의하여 차단되어 밀폐된 밑면(316)의 일부에 구멍(314)을 두어 별도의 관(314)으로 통공시키며, 몸체내실(305)과 연결된 몸체커버의 내실(304)은 박막판의 구멍(311)으로 서로 연결되고 몸체내실(305)에 연결되어 외부로 통공되는 구멍(331,310)은 차단기(370)에는 관(331)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돗물유입부와 오수유입부의 구멍(309)은 서로 같은 평면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그 중앙에 사각의 관로(311)를 두어 여기에 헐겁게 삽입이 되어진 부유대(321)는 상단에 높이가 조정되는 부유구(321)가 있고 하단에는 막대(325)에 고정 되어있는 쐐기 모양의 고무핀(324)에 의하여 구멍(310)이 닫히고 열리게 되며, 부유대(322)의 하단에는 스토퍼(323)가 있어서 상하운동을 제한하고, 오수통(103)의 밑바닥에 고정되어진 판(107)에 돌출 되어진 통공된 관(105)에 배출기의 관(331)이 호스(111)로 연결되고 구멍의 일면(109)에는 부유대(104)에 연결되어 힌지(108)에 의해 고정된 막대(112)의 일부에 쐐기모양의 고무핀(109)이 있어 구멍을 차단하는 특성이 있는 오수통(103)과 배출기(300)를 가지는 오수겸용 절수형 변기
  3. 상기 1항에 있어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하수관커버(710)는 밀짚모자를 뒤짚은 것 같은 형상으로 하수관(701)에 있는 원형축 모양의 힌지축(704)을 감싸는 형상의 힌지커버(710)를 가지고 힌지커버(712)가 외부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판 모양의 밀림 방지대(705)를 가지고 조립된 상태에서 좌 우측에 힘을 주면 하수관커버가 올려 지게 되는 구조로 이중 한곳의 끈(731)을 당기면 다른 한곳(732)은 물의 압력으로 아래로 힘을 받아 힌지축(70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수관커버(710)는 양끝단에 끈을 매는 곳(713)이 있고 부유대(735,736)를 고정하는 구멍(714)이 있어서 좌우측, 대소변을 구분하여 대변측의 부유대(735)는 짧고 소변측의 부유대(736)는 길게 만들고, 원형의 빈 공간을 가지는 부유구(737,738)는 끝단에 이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사각 기둥의 부유대에 삽입 되어져 길이 조정이 가능 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수관(701)의 상부 끝단에는 두개의 두멍을 두고 여기에 호스를 삽입 하도록 원형의 보조대(706)를 두어 보조대(314)와 연결 되는 구조를 가지고 힌지 커버(712)는 구조상 힌지축(704)이 감싸지도록 같은 반원형의 내부를 가지고 아랫 방향으로 지름과 같은 폭으로 평행한 간격(721)을 유지하며 내측 단의 높이(722)는 주지 않고 끝을 원주의 중심에서 반원으로 돌출 되게 마감하며, 바깥측의 단의 길이(724)는 각도 45도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점에서 단락하여 중심보다 길게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 하수관 커버(710)와 하수관(701)을 가지는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4. 상기 1항에 있어서 2단 레버는 상단의 평면상에 나란히 원형의 구멍(804,807)을 두어 여기에 레버축(804,807)이 삽입 되도록 하고 하단에는 물이 흐르는 관로(813)를 만들어 오수가 이곳을 통과 하도록 하여 양 끝단에 입구측 관(806)과 출구측 관(812)을 두고, 레버의 손잡이(803)와 원형의 레버축(804)은 일체로 하여 몸체(801)에 삽입하고 몸체(801)로부터 끝단에는 각A를 'V'자 형으로 두는 축을 만들어 여기에 삽입되는 관(821)을 레버대(805)와 연결하여 각A의 구조를 통하여 레버의 조작이 한계 가지도록 하는 구조의 2단 레버를 가지는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5. 상기 1항에 있어서 변기의 하수관(701)에 이어서 내리는 물의 흐름이 연속 되도록 원통형의 하수관로(901)를 두고 볼트를 관통하는 구멍(902)을 두었으며 하수관과 볼트 구멍을 서로 지지하는 대(911)를 서로 연결하고, 보조대의 뒷부분에 받침(903)을 연장하고 하단에 삼각모양의 받침대(904)를 연결하여 지지하며 보조대의 하단(901)의 길이를 변기카바 고정구(906)까지 연결하고 고정구(906)가 장치 되도록 구멍(905)을 두는 구조의 변기 보조대를 가지는 오수겸용 절수형 변기.
KR2020000015236U 2000-05-30 2000-05-30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KR200220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236U KR200220362Y1 (ko) 2000-05-30 2000-05-30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236U KR200220362Y1 (ko) 2000-05-30 2000-05-30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362Y1 true KR200220362Y1 (ko) 2001-04-16

Family

ID=7308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236U KR200220362Y1 (ko) 2000-05-30 2000-05-30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27B1 (ko) * 2001-04-16 2004-10-15 장화성 변기용 절수식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27B1 (ko) * 2001-04-16 2004-10-15 장화성 변기용 절수식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192B2 (en) Building drainage system
KR200220362Y1 (ko) 오수와 수돗물을 겸해서 쓰는 절수형 변기
CN206385741U (zh) 一种用于大型建筑物的虹吸排水系统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CN208884656U (zh) 一种防淤积储水式粪道
CN201817860U (zh) 洗漱池节水系统
CN113073715B (zh) 一种快速疏通的防臭排水管
CN218713664U (zh) 一种防堵降噪的陶瓷马桶结构
CN201933564U (zh) 洗漱间节水装置
CN2905918Y (zh) 用于楼房的节水箱式盥洗台
CN2249778Y (zh) 差位节水箱
CN204551681U (zh) 一种封闭防臭马桶存水弯
CN220747148U (zh) 一种市政工程排水结构
CN201933559U (zh) 卫生间节水装置
CN113404230B (zh) 一种檐口排水结构
CN111350244B (zh) 卫生间节水系统
CN202595827U (zh) 卫生间节水系统
CN213508786U (zh) 防臭快冲下水管
CN218454599U (zh) 一种节能环保建筑结构
CN218508843U (zh) 一种屋面排水结构
CN107268740A (zh) 双箱双按双水源节水马桶
CN211113991U (zh) 一种挂管式截污管道
CN207228263U (zh) 双箱双按双水源节水马桶
CN100451253C (zh) 泡菜坛口水封式节水坐便器
CN2405976Y (zh) 排水管道防溢水、防返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