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361Y1 -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 Google Patents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361Y1
KR200220361Y1 KR2020000014059U KR20000014059U KR200220361Y1 KR 200220361 Y1 KR200220361 Y1 KR 200220361Y1 KR 2020000014059 U KR2020000014059 U KR 2020000014059U KR 20000014059 U KR20000014059 U KR 20000014059U KR 200220361 Y1 KR200220361 Y1 KR 20022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ental
supply device
guide mean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0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창주
Original Assignee
정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주 filed Critical 정창주
Priority to KR2020000014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36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361Y1/en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광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광공급 장치는 광원, 내부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의 입 근처로 안내하는 제1 광안내 수단 및 내부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로 안내하는 제2 광안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광안내 수단에는 상기 조성물에 광중합(photo-polymerization)을 야기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통과시키는 광필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광원이 환자 및 시술하는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환자와 의사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의 전자파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피할 수 있고, 광경화 시술시 광경화 장치를 트레이 테이블의 상판에 올려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판의 공간이 확보되어 의사에게는 시술의 편리함에 제공된다.A dental light supply device is disclosed. The light supply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an inside of an optical fiber, a first light guiding means for guid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near a mouth of a patient, and an inside of an optical fiber,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missing from a patient's tooth. And a second light guiding means for guiding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in the portion, wherein the second light guid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optical filter for passing light of a wavelength that can cause photo-polymerization in the composition. do. Therefore, sinc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patient and the surgeon, the patient and the doctor can avoid the harmful effects of the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it is necessary to put the photocuring device on the top of the tray table during the photocuring procedure. Since there is no space on the top plate is provided to the doctor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Description

광원이 환자 및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치과용 광공급 장치{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본 고안은 치과 시술시에 사용되는 조명등과 충치 등으로 인한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되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빛을 조사하여 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광경화 장치 등을 구비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머리 및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어 이들을 광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및 소음으로부터 보호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including a photocuring device for curing light by irradiating light to a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in a defective part of a patient's tooth due to a lamp and a tooth used in a dental procedur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a patient's head and a doctor to protect them from electromagnetic waves and noise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환자의 치아 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머리 위로부터 입 근처에 강한 빛을 조사하는 치과용 조명 램프가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조명 램프는 통상 치과용 의자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그 예(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 램프로는 통상 할로겐 램프 내지 할로겐-텅스텐 램프 등이 사용되고 있고 통상 1,500 럭스(lux) 내지 2,500 럭스에 이르는 강한 조도의 빛을 조사할 것이 요구되며, 이와 같이 강한 빛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강한 전자파와 함께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In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dental lighting lamps are now used which irradiate strong light from above the head of the patient and near the mouth. Such dental lighting lamps are typically used attached to a dental chair, an example 100 of which is shown in FIG. Halogen lamps or halogen-tungsten lamps are generally used as the lighting lamps, and it is generally required to irradiate light with strong illumination ranging from 1,500 lux to 2,500 lux.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trong light,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Together with noise.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램프가 환자의 머리 바로 위에 위치되므로 조명 램프에 의해 발생된 강한 전자파와 소음이 환자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환자 바로 옆에 위치하여 시술을 행하는 치과 의사는 여러 환자를 진료 및 치료하는 동안 장시간에 걸쳐 강한 전자파와 소음에 노출되므로, 이와 같은 유해한 영향은 의사에게는 더욱 심각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과용 조명 램프의 전자파 및 소음에 의한 유해 환경에 대해서는 아직 어떠한 해결책도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se lamps are located directly above the head of the pati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and noise generated by the illumination lamp have a harmful effect on the patient. Moreover, since the dentist who is located next to the patient and performing the procedure is exposed to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and noise for a long time during the treatment and treatment of several patients, such harmful effects are more severe for the doctor. However, no solution has been proposed for the harmful environment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s and noise of the dental lighting lamp.

한편, 치아 치료에 있어서, 충치의 충전 복원 치료에는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개시제 및 무기 충전제로 된 치과용 광중합성 조성물이 그 물리적 강도, 내마모성, 색상 부여 및 채형(採型)의 재형성의 향상에 힘입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중합을 야기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은 사용 및 조작이 용이하므로 그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중합성 조성물로는 미국 Dentsply Caulk사의 surefil(등록상표), 3M사의 Z100(등록상표) 및 Bisco, Inc의 Aelite Flo(등록상표) 등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dental treatment, dental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izable monomer, a polymerizable initiator, and an inorganic filler is used for the restoration of tooth decay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coloration, and shaping. Thanks to this, it is widely used. Among them,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which causes the polymerization by irradiat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s easy to use and manipulate, and thus the use thereof is increasing. Such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include surefil (registered trademark) of Dentsply Caulk, USA, Z100 (registered trademark) of 3M, and Aelite Flo (registered trademark) of Bisco, Inc., and the like.

이러한 광중합성 조성물의 광중합을 야기하기 위해서, 통상 300nm 내지 1000nm 범위의 특정 파장의 빛을 광중합성 조성물에 조사하여 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치과용 광경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치과용 광경화 장치(200)의 하나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개시된 문헌으로는 미국특허 제6,033,223호 및 제6,046,460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치과용 광경화 장치의 광원으로는 통상 할로겐 램프 등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cause photopolymerization of such a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a dental photocuring apparatus for irradiating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with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n the range of 300 nm to 1000 nm and curing the composition is widely used. 2 illustrates an example of such a dental photocuring device 200, and the disclosed documents include US Pat. Nos. 6,033,223 and 6,046,460. On the other hand, a halogen lamp or the like is usually used as a light source of such a dental photocuring device.

상기 치과용 광경화 장치는 환자의 입안, 구체적으로는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을 조사하여야 하므로, 환자의 머리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치과용 의자에 설치된 테이블을 환자의 머리에 매우 인접하게 회전 이동 시킨 후, 치과용 광경화 장치를 이 테이블 위에 배치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전술한 광중합 시술을 행하게 된다.Since the dental photocuring device must irradiate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in the patient's mouth, specifically the missing portion of the patient's teeth, it should be placed in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patient's head. Typically, by rotating the table installed in the dental chair as shown in Figure 1 very close to the patient's head, by placing a dental photocuring device on this table to irradiate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The photopolymerization procedure is performed.

한편, 상기 치과용 광경화 장치가 전술한 특정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며, 환자의 머리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시술 받는 환자와 시술중인 치과 의사는 강한 전자파에 노출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전자파와 함께 소음도 역시 발생시키며 이도 역시 불량한 시술 환경으로 지적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ntal photo-curing device generates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s known to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light of the specific wavelength described above, and because the dental photocuring device is disposed very close to the patient's head and used Dentist is being exposed to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In addition, such a device also generates noise alo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which is also pointed out as a poor surgical environment.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치과용 광경화 장치에는 이러한 유해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으며, 전술한 문헌에도 역시 이러한 전자파를 방지하는 여하의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dental photocuring apparatus used conventionally is not provided with a means for overcoming such harmful environment, and the above-mentioned document also does not disclose any means for preventing such electromagnetic waves.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광경화 장치와 조명 램프의 광원을 환자의 머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시킴으로써 시술 받는 환자와 시술중인 의사에 가해지는 전자파와 소음을 줄이고 그에 따라 유해한 시술 환경을 제거할 수 있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light source of the photocuring device and the illumination lamp at a distance from the patient's head to reduce the electromagnetic waves and noise applied to the patient and the doctor being treated, thereby eliminating harmful treatment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경화 장치의 광원을 치과용 의자에 부착된 트레이 테이블에 일체화함으로써 광경화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광경화 시술시의 트레이 테이블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light source of the photocuring device to the tray table attached to the dental chair to provide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to facilitate the photocuring procedure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tray table during the photocuring procedure It is.

도 1은 치과용 의자에 배치된 종래의 치과용 조명등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ntal lamp disposed on a dental chair.

도 2는 종래의 광경화 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hotocuring dev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igh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공급 장치가 제공된 치과용 의자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chair provided with a ligh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FIG. 6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5.

도 7은 도 6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상세도이다.FIG. 8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B of FIG. 5.

도 9는 도 5의 C 부분의 상세도이다.FIG. 9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C of FIG. 5.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f main part of drawing>

301 : 광공급 장치 302, 303 : 제1 및 제2 광원301: Light supply device 302, 303: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5, 307 :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 306, 308 : 집광부305 and 307: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means 306 and 308 condenser

306' : 분기부 309 : 광필터306 ': branch 309: optical filter

310a, 310b : 제1 및 제2 밸브310a, 310b: first and second valve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공급 장치는 광원, 내부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의 입 근처로 안내하는 제1 광안내 수단 및 내부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로 안내하는 제2 광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광안내 수단은 상기 조성물에 광중합(photo-polymerization)을 야기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통과시키는 광 필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광안내 수단에 빛을 공급하는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안내 수단에 빛을 공급하는 제2 광원으로 이루어진다.Dental light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light source, the optical fiber inside and the first light for guid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near the mouth of the patient And a second ligh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guide means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in the missing portion of the patient's teeth. In this case, the second light guiding means comprises an optical filter for passing light of a wavelength that can cause photo-polymerization in the composition. Preferably, the light source comprises a first light source for supplying light to the first light guide means and a second light source for supplying light to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광공급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dental ligh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공급 장치의 개념도로서, 광중합 및 조명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한가지 예를 나타낸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ntal ligh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providing light for photopolymerization and illumina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301은 광공급 장치를 나타내며, 2개의 제1 및 제2 광원(302, 303)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광원(302, 303)으로는 할로겐 램프가 적절하며, 할로겐-텅스텐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reference numeral 301 denotes a light supply device and includes two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Halogen lamps are suitable as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and halogen-tungsten lamps or light emitting diodes (LEDs) may be used.

도면 부호 305와 307은 2개의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을 나타내는데, 이들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305, 307)은 빛을 굴곡된 경로를 통해 진행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광안내 수단(305)은 제1 광원(302)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의 입 근처(도시되지 않음)로 안내하고, 제2 광안내 수단(307)은 제2 광원(303)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도시 되지 않음)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Reference numerals 305 and 307 denote two first and second light guiding means,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ing means 305 and 307 are formed of an optical fiber inside so that light can travel through a curved path. It is.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guides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light source 302 near the patient's mouth (not shown), and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is generat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303. Guide the light to a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not shown) filled in the missing portion of the patient's teeth.

상기 제1 광안내 수단(305)은 제1 광원(302)에서 발생된 빛을 모으기 위한 원추형의 제1 집광부(306)를 구비하며, 제1 집광부(306)의 내벽은 광섬유 등과 같은 빛을 반사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광안내 수단(305)은 제1 광원(302)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의 입 근처까지 안내하여 진료 보조용 조명을 제공하며, 이 때의 조도가 1500 럭스 내지 2500 럭스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집광부(306)는 제1 광원(302)과 약 1mm 정도의 간격(d)만큼 떨어져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서 통상 할로겐 램프인 제1 광원(302)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1 집광부(306)를 통해 제1 광안내 수단(305)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has a conical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306 for collec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302, the inner wall of the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306 is light such as an optical fiber, etc.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The first light guiding means 305 guides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light source 302 to the vicinity of the mouth of the patient to provide illumination for medical assistance,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illuminance at this time is 1500 to 2500 lux. In addition, the first light collecting unit 306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302 by about 1 mm,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302, which is a halogen lamp, is the first light collecting unit. Direct transmission through the 306 to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is prevented.

제2 광안내 수단(307)은 원추형의 제2 집광부(308)를 구비하며, 제2 집광부(308)는 제1 광안내 수단(305)의 제1 집광부(306)와 동일한 구성 및 재질을 가지며, 제2 집광부(308)도 제2 광원(303)으로부터 소정의 간격(d)만큼 떨어져 있다. 한편, 제2 광안내 수단(307)은 제2 광원(303)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필터링하여 특정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광 필터(309)를 제2 집광부(308) 쪽에 구비한다. 상기 광필터(309)는 약 300nm 내지 100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필요에 따라 광필터(309)를 교체하여 통과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has a conical second light collecting portion 308,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ortion 308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306 of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and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308 is also sepa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30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is provided with a light filter 309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denser 308 to filter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303 to pass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The optical filter 309 passes only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about 300 nm to 1000 nm, and may adjust the waveleng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filter 309 as necessary.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서, 제2 광원(303)을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발생시키는 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2 광안내 수단(307)에 설치되는 광필터(309)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보다 단순해진다.As another method, the second light source 303 may be configured as a lamp that generates only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n this case, since the optical filter 309 provided in the 2nd light guide means 307 can be omitted, the structure becomes simpler.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광공급 장치의 개념도로서, 광중합 및 조명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치과용 광공급 장치의 원리 및 구성은 도 3의 것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하 상이한 부분만 설명한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ntal light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other example of providing light for photopolymerization and illumination. Since the principle and configuration of the dental light supply device shown in FIG. 4 are similar to those of FIG. 3, the same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에 도시된 광공급 장치(301')는 하나의 광원(302)을 구비한다. 상기 광원(302)에서 발생된 빛은 집광부(306)를 거쳐 분기부(306')에서 분기(分岐)되어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305, 307)을 통해 진행한다. 이들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305, 307)과 분기부(306') 사이에는 각기 제1 및 제2 밸브(310a, 31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밸브(310a, 310b)를 제어하여 빛을 차단하고 또한 통과하는 빛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 supply device 301 ′ shown in FIG. 4 has one light source 302.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02 is diverged at the branch portion 306 ′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306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means 305 and 307. First and second valves 310a and 310b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means 305 and 307 and the branch portion 306 ',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valves 310a and 310b. You can control the light blocking and control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급 장치(301)가 채용된 치과용 의자(3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치과용 의자(300)는 의사의 시술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회전식 트레이 테이블(330),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본체(340), 의자 본체(3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41) 및 포스트(350)를 구비한다. 상기 포스트(350)는 트레이 테이블(330)을 지지하기 위한 아암(351)과 상기 아암(351)의 상부에 위치되고 2개로 분기된 아암(352, 353)들을 구비한다. 상기 아암(352)은 굴곡부(35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굴곡 가능한 벨로즈(bellows)(355)를 구비한다. 상기 아암(352)의 단부에는 제1 방사부(360)가 부착되어 있는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상기 아암(353)도 역시 굴곡부(35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단부에는 광중합 반응을 야기하는 빛이 방사되는 제2 방사부(370)가 부착되어 있는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고하여 후술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ntal chair 300 employing a light supply device 3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chair 300 is a rotary tray table 330 for the convenience of the doctor's operation, a chair body 340 for the patient to sit or lie down, a support 341 for supporting the chair body 340 and And a post 350. The post 350 has an arm 351 for supporting the tray table 330 and two arms 352, 353 positioned on top of the arm 351. The arm 352 is rotatable about the bend 354 and has bendable bellows 355. A first radiating part 360 is attached to an end of the arm 3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arm 353 is also rotatable about the bend 354, and a second radiating part 370 to which light causing a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is attached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arm 353. It will be described later.

트레이 테이블(330)은 그 위에 각종 치과용 기기를 놓을 수 있는 상판(331), 각종 핸드 피이스(hand piece)(332)를 걸어 놓을 수 있는 홀더(333) 및 핸드 피이스(33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334)을 구비하고 있다.The tray table 330 operates the top plate 331 on which various dental instruments can be placed, the holder 333 on which various hand pieces 332 can be placed, and the hand piece 332. The control panel 334 can be controlled.

시술중인 의사는 컨트롤 패널(334)에 부착된 각종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제1 및 제2 광원(302, 303)의 온/오프(ON/OFF) 및 제1 및 제2 밸브(310a, 310b)의 개폐를 제어하고 지속 시간 및 발생하는 빛의 조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광원(302, 303)과 제1 및 제2 밸브(310a, 310b)의 조작 스위치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방사부(360, 370)에 또는 이들 요소에 인접하게 각기 아암(352, 353)들에 설치될 수 있다.The surgeon is operating the various buttons attached to the control panel 334 to turn on / off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and the first and second valves 310a and 310b. ), And control the duration and illumination of the generated light. Meanwhile, the operation switch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and the first and second valves 310a and 310b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radiating parts 360 and 370 or elements thereof for ease of use. Adjacent to the arms 352 and 353, respectively.

전술한 광공급 장치(301)는 도 5에서 트레이 테이블(330)에 내장되어 있으며, 이 광공급 장치(301)에 의해 발생된 빛은 아암(351, 352, 353)들 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305, 307)을 통해 제1 및 제2 방사부(360, 370)로 진행한다.The above-described light supply device 301 is embedded in the tray table 330 in FIG. 5, and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upply device 301 is first and second installed in the arms 351, 352, and 353. 2 The light guide means 305, 307 proceeds to the first and second radiation portion (360, 370).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서, 광공급 장치(301)를 트레이 테이블(330)에 내장시키지 않고 별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공급 장치(301)는 발생된 빛이 상기 아암(351)을 경유하지 않고 포스트(350)와 아암(352, 353)들에 내장된 제1 및 제2 광안내 수단(305, 307)을 통해 진행하고, 컨트롤 패널(334)을 통해 광공급 장치(301)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As another method, the light supply device 301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without being embedded in the tray table 330. In this case, the light supply device 301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means 305 and 307 in which the generated light is embedded in the post 350 and the arms 352 and 353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rm 351. And the light supply device 301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panel 334.

도 6은 도 5의 A 부분, 즉 제1 방사부(360)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편의상 도 6과 도 7을 연계하여 설명한다.FIG. 6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that is, the first radiating part 360 of FIG. 5, and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6. Hereinafter, for convenienc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제1 방사부(360)는 아암(35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352)의 단부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분기된 연결부(361), 이 연결부(361)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반사경(362), 상기 연결부(361)에 연결되어 반사경(362) 전방에 설치된 광 출구(363) 및 반사경(362)의 각도를 조정하는 손잡이(364)를 구비한다. 손잡이(364)는 연결부(361)를 중심으로 각도 조정할 수 있도록 오목부(367)가 형성된 바(bar)의 형태이며, 착탈 가능하게 반사경(362)에 부착되어 있다. 이 손잡이(364)는 반사경(362)으로부터 분리되어 고압 증기 멸균기(autoclave)에 의해 살균 소독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반사경(362)의 전방에는 반사경(362)에 오물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리로 된 창(366)이 부착되어 있다.The first radiating part 36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arm 352, the branched connection portion 36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rm 352 so that the angle is adjustabl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61 to the angle adjustable And a handle 364 connected to the reflector 362, the connection part 361, and configured to adjust an angle of the light outlet 363 and the reflector 362 installed in front of the reflector 362. The handle 364 is in the form of a bar in which a recess 367 is formed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connection part 361. The handle 36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flector 362. The handle 364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reflector 362 and sterilized by an autoclave. In addition, a window 366 made of glass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eflector 362 to prevent dirt from adsorbed to the reflector 362.

상기 아암(352)에 설치된 제1 광안내 수단(305)을 통해 진행한 빛은 연결부(361) 내에 설치된 광섬유(365)(점선으로 도시함)를 경유하여 광 출구(363)를 통해 방사된다. 방사된 빛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어 환자의 입 근처에 강한 간접 조명을 제공하게 되며, 이 때의 조도는 대략 1,500 럭스 내지 2,500 럭스에 이른다.Light propagated through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provided in the arm 352 is emitted through the light outlet 363 via the optical fiber 365 (shown in dashed line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61.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or as shown in FIG. 7 to provide strong indirect illumination near the patient's mouth, with illuminance ranging from approximately 1,500 lux to 2,500 lux.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아암(353)의 단부에 부착된 제2 방사부(370)의 사시도이다.FIG. 8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5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radiating portion 370 attached to the end of the arm 353.

제2 방사부(370)는 아암(353)의 단부에 연결된 구부릴 수 있는 벨로즈(371), 이 벨로즈(371)에 의해 단부에 연결된 노즐(372), 노즐(372) 둘레의 벨로즈(371) 쪽에 설치된 제1 차폐부(374), 노즐(372)의 말단을 둘러싸는 제2 차폐부(375) 및 빛이 방사되는 구멍(373)을 구비한다. 벨로즈(371)와 노즐(372) 내부는 전술한 제2 광안내 수단(307)으로부터 진행해 온 빛을 계속 안내하기 위해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요소를 통해 진행해 온 빛은 노즐(372)의 구멍(373)을 통해 외부, 즉,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에 조사된다.The second radiating portion 370 includes a bendable bellows 371 connected to an end of the arm 353, a nozzle 372 connected to the end by the bellows 371, and a bellows around the nozzle 372 ( A first shield 374 provided on the side 371, a second shield 375 surrounding the end of the nozzle 372, and a hole 373 through which light is emitted are provided. The bellows 371 and the inside of the nozzle 372 are composed of optical fibers for continually guiding light traveling from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described above. Light that has traveled through these elements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through the holes 373 of the nozzle 372, ie, the missing portion of the patient's teeth.

전술한 광공급 장치(301)의 제1 및 제2 광원(302, 303)에서 발생한 빛은 그 중 특정 파장의 빛만이 광필터(309)를 통과하여 제2 광안내 수단(307)을 통해 진행한 후 이 제2 방사부(370)의 노즐(372)과 구멍(373)을 통해 조사됨으로써,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이 반응을 일으켜 광경화 되도록 한다. 이러한 특정 파장의 빛은 사람의 눈에 유해하므로, 이 빛이 노즐(372) 후방으로 방사되어 의사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노즐(372)과 구멍(373)의 둘레에는 제1 및 제2 차폐부(374, 37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차폐부(374, 375)는 눈에 유해한 약 300nm 내지 1000nm 범위의 특정 파장을 갖는 빛은 통과시키지 않지만 가시 광선은 통과시킨다. 따라서, 의사는 상기 파장의 빛에 대한 유해한 영향이나 시술 상의 불편함 없이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노즐(372)은 시술의 편의를 위해 가요성(可撓性) 재료로 제조되며, 경질(硬質)의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그 말단이 대략 45°정도로 하향 굴곡된다.Light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of the light supply device 301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by passing only the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through the light filter 309. Thereafter,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370 is irradiated through the nozzle 372 and the hole 373, so that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in the defective portion of the patient's teeth causes a reaction to be photocured. Since light of this specific wavelength is harmful to the human eye, the first and second shields are formed around the nozzle 372 and the hole 373 so that the light is radiated behind the nozzle 372 and does not enter the doctor's eye. 374 and 375 are provided. These first and second shields 374 and 375 do not pass light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n the range of about 300 nm to 1000 nm, which are harmful to the eye, but pass visible light. Therefore, the doctor can look at the missing part of the patient's teeth without any harmful effect on the light of the wavelength or discomfort in the procedure. On the other hand, the nozzle 37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and when the nozzle 372 is made of a hard material, its end is bent downward to about 45 degrees.

도 9는 도 5의 C 부분의 상세도로, 도 8에 도시된 제2 방사부(37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방사부(380)를 나타낸다.FIG. 9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C of FIG. 5 and shows a second radiating part 3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second radiating part 370 shown in FIG. 8.

제2 방사부(380)는 핸드 피이스의 형태이고, 고무 또는 중합체 등의 유연한 재료로 제조된 튜브(387)에 의해 제1 및 제2 광원(302, 303)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381)와 손잡이(38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381)의 전면에는 노즐(383)이 설치되고 이 노즐(383)과 본체(381) 사이에는 제1 차폐부(385)가 있다. 노즐(383)의 전방에는 노즐로부터(383) 대략 45°정도 하향 굴곡된 부분(384)이 있으며 굴곡된 부분(384) 둘레에는 제2 차폐부(38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차폐부(385, 386)는 눈에 유해한 전술한 범위의 특정 파장(약 300nm 내지 1000nm 범위)의 빛은 통과시키지 않지만 가시 광선은 통과시킨다. 한편, 본체(381)에는 제2 방사부(380)에 연결된 제1 및 제2 광원(302, 303) 또는 제1 및 제2 밸브(310a, 310b)의 작동을 제어하여 빛의 방출 및 방출되는 빛의 조도와 지속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388)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388)가 본체(381)의 좌측에 위치되므로, 치과 의사는 제2 방사부(380)의 손잡이(382)를 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이 스위치(388)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second radiating portion 380 is in the form of a hand piec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by a tube 387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olymer, and the main body 381. ) And a handle 382. A nozzle 38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381, and a first shield 385 is provided between the nozzle 383 and the main body 381. In front of the nozzle 383, there is a portion 384 that is bent downward by approximately 45 ° from the nozzle 383, and a second shield 386 is provided around the curved portion 384. These first and second shields 385 and 386 do not pas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n the range of about 300 nm to 1000 nm) in the aforementioned range, which is harmful to the eye, but pass visible light.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38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302 and 303 or the first and second valves 310a and 310b connected to the second radiator 380 to emit and emit light. A switch 388 is provided to adjust the light intensity and duration. Since the switch 388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381, the dentist can easily operate the switch 388 with the thumb of the hand holding the handle 382 of the second radiating part 38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광공급 장치에 있어서, 광원이 환자와 시술하는 치과 의사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환자와 의사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강한 전자파와 소음으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ntal light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dentist to be treated with the patient, the patient and the doctor can avoid the harmful effects due to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

아울러, 광경화 시술시 광경화 장치를 트레이 테이블의 상판에 올려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판의 공간이 확보되고 그에 따라 시술하는 의사에게는 시술의 편리함이 제공된다.In addition, since the photocuring apparatus does not need to be placed on the upper plate of the tray table during the photocuring procedure, the space of the upper plate is secur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surgeon.

Claims (19)

광원(302, 303);Light sources 302 and 303; 내부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의 입 근처로 안내하는 제1 광안내 수단(305); 및First light guiding means (305) formed inside the optical fiber and guid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near the mouth of the patient; And 내부가 광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충전된 광중합성 조성물로 안내하는 제2 광안내 수단(307)을 포함하며;A second light guiding means (307) formed inside the optical fiber and guid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to the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illed in the missing portion of the patient's teeth;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광중합(photo-polymerization)을 야기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통과시키는 광필터(30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And said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comprises an optical filter (309) for passing light of a wavelength that can cause photo-polymerization in sai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302, 303)에 의해 발생되는 빛의 조도는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02, 303) is controllab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302, 303)은The light sources 302 and 303 상기 제1 광안내 수단(305)에 빛을 공급하는 제1 광원(302); 및A first light source 302 for supplying light to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And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에 빛을 공급하는 제2 광원(3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And a second light source (303) for supplying light to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필터(309)는 300nm 내지 100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빛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optical filter 309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ass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300nm to 1000n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302, 303)과 상기 제1 광안내 수단(305) 사이의 빛의 흐름을 차단 및 조절하는 제1 밸브(310a); 및A first valve (310a) for blocking and controlling the flow of light between the light sources (302, 303) and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And 상기 광원(302, 303)과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 사이의 빛의 흐름을 차단 및 조절하는 제2 밸브(31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And a second valve (310b) for blocking and controlling the flow of light between the light source (302, 303) and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 밸브(310b)는 상기 광원(302, 303)과 상기 광필터(309)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second valve (310b)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light source (302, 303) and the optical filter (309).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 밸브(310b)는 상기 광원(302, 303)으로부터 상기 광필터(309)를 지난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And the second valve (310b) is provided at a position past the light filter (309) from the light source (302, 30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광안내 수단(305)의 단부에는 상기 단부에 연결된 벨로즈(355) 및 제1 방사부(360)가 제공되고, 상기 제1 방사부(360)는 상기 벨로즈(355)에 각도 조정 가능한 연결부(361) 및 상기 연결부(361)에 의해 상기 벨로즈(355)에 연결되는 반사경(36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An end portion of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is provided with a bellows 355 and a first radiating portion 360 connected to the end, and the first radiating portion 360 is angled to the bellows 355. And an adjustable connector (361) and a reflector (362) connected to the bellows (355) by the connector (361).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반사경(362)은 제1 광안내 수단(305)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여 간접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reflector (362)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n indirect illumination by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to the fron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반사경(362)은 착탈 가능하고 고압 증기 멸균기(autoclave)에 의한 처리가 가능한 손잡이(3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reflector (362) is a removable light supply device for dental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364) that can be processed by an autoclav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광안내 수단(305)은 굴곡부(354)에서 회전 가능한 아암(35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first light guide means (305)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rotatable arm (352) in the bend (354).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벨로즈(355)는 신축 및 굴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bellows 355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tretchable and bendab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의 단부에는 제2 방사부(370, 380)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방사부(370, 380)는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의 단부에 연결된 노즐(372, 383) 및 상기 노즐(372, 383)의 둘레에 형성된 제1 및 제2 차폐부(374, 375, 385, 38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Second radiating portions 370 and 380 are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light guiding means 307, and the second radiating portions 370 and 380 ar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light guiding means 307. (372, 383) and first and second shields (374, 375, 385, 386) formed around the nozzle (372, 383).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노즐(372)은 벨로즈(371)에 의해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nozzle (372)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the bellows (371) to the end of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 방사부(370, 380)는 상기 광원(302, 303)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376, 38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second radiating unit (370, 380)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376, 38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302, 303).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의 광섬유는 튜브(387)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fiber of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is surrounded by a tube (387).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은 굴곡부(354)에서 회전 가능한 아암(35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arm (353) rotatable in the bend (354).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2 방사부(370)는 신축 및 굴곡 가능한 벨로즈(371)에 의해 상기 제2 광안내 수단(30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The second radiating part (370) is a 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guide means (307) by a telescopic bellow (37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302, 303)은 할로겐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공급 장치.Dental light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ource (302, 303) is a halogen lamp or light emitting diode (LED).
KR2020000014059U 2000-05-18 2000-05-18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KR2002203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59U KR200220361Y1 (en) 2000-05-18 2000-05-18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59U KR200220361Y1 (en) 2000-05-18 2000-05-18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586A Division KR100375166B1 (en) 2000-05-18 2000-05-18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719U Division KR200214147Y1 (en) 2000-09-08 2000-09-08 Dental Chair Having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361Y1 true KR200220361Y1 (en) 2001-04-16

Family

ID=7308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059U KR200220361Y1 (en) 2000-05-18 2000-05-18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36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259B1 (en) * 2004-03-30 2006-01-26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LED having wide wavelength-range and light curing unit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259B1 (en) * 2004-03-30 2006-01-26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LED having wide wavelength-range and light curing unit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767B2 (en) Device for ultraviolet radiation treatment of body tissues
US6733290B2 (en) Dental illumination device
US6304712B1 (en) Bendable illuminating appliance
US9283292B2 (en) Device for use in a medical treatment room
US4445858A (en) Apparatus for photo-curing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US20030133203A1 (en) Optical lens used to focus led light
JPS6033071B2 (en) Surgical blunt hook
KR101858657B1 (en) Oral treatment apparatus
KR200220361Y1 (en)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WO2022014284A1 (en) Medical care apparatus
KR100375166B1 (en) Dental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KR200214147Y1 (en) Dental Chair Having Light Generating Apparatus with Light Source Arranged Remote Therefrom
KR101217041B1 (en) Oral treatment device
KR100746901B1 (en) Lighting apparatus for dental
JP3084178U (en) Surgical light
RU2652904C2 (en) Oral evacuating unit with a disposable tip and local lighting
KR101966307B1 (en) Dental care tool sterilizing device
KR101208140B1 (en) Lighting Apparatus for Dental and Dental Unit Chair with the same
RU168425U1 (en) DENTAL EXHAUSTING TOOL WITH DISPOSABLE TIP WITH LOCAL LIGHTING
CN105381546B (en) A kind of leucoderma therapeutic equipment
KR200362206Y1 (en) Unit chair attaching suction device at light portion
KR20040107709A (en) Optical suction catheter
KR20200015298A (en) Robotic surgical light system with cognitive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JPH0313301Y2 (en)
CN219167532U (en) Photodynamic tumor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