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67Y1 - fabrication wooden mat - Google Patents

fabrication wooden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67Y1
KR200220067Y1 KR2020000031372U KR20000031372U KR200220067Y1 KR 200220067 Y1 KR200220067 Y1 KR 200220067Y1 KR 2020000031372 U KR2020000031372 U KR 2020000031372U KR 20000031372 U KR20000031372 U KR 20000031372U KR 200220067 Y1 KR200220067 Y1 KR 200220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neck
wood
piece
ne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3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문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규 filed Critical 문승규
Priority to KR202000003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67Y1/en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나무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남은 폐 원자재를 대부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자 완성되지 않은 부품상태로 필요한 갯수 만큼의 목편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를 구입하여 사용용도에 맞는 크기의 나무 매트를 직접 조립에 의해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wooden mat structure, which allows users to make the most of the remaining raw materials used to make other wooden products, but to purchase as many pieces of wood and connecting rods as necessary to connect them in the state of unfinished parts. It is designed to be manufactured by directly assembling a wooden mat of a size suitable for the purpos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며 특정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목편(1)과, 상기 각 목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입부(2)와, 상기 각 목편(1)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요입부(2)와 수평상태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공(3)과, 상기 각 목편(1)에 형성된 통공(3)을 통해 요입부(2) 내로 끼워져 걸리도록 양단에 각각 탄성훅크(4a)가 일체화된 복수개의 연결대(4)로 구성되어 상기 각 연결대에 의해 복수개의 목편(1)을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eck pieces (1) having a certa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to form a specific shape, the recessed portion (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the peripheral surface of each neck piece (1) Elastic hooks at both end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 form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indentation (2) in a horizontal state and through the through holes (3) formed in each of the neck piece (1) (4a) is a prefabricated wooden mat structure tha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4 are integrat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ieces of wood 1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by each of the connecting rods.

Description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fabrication wooden mat}Prefabricated wooden mat structure

본 고안은 조립식 매트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적정한 크기의 사각 목편이나 원형 목편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를 필요한 갯수 만큼 구입한 다음 사용자가 직접 연결시켜 원하는 크기의 매트로 조립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매트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prefabricated mats, and more specifically, a square or circular piece of appropriate size and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it are purchased as necessary, and then the user can directly connect and use the mat of the desired size.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mat structure.

일반적으로 매트(mat)는 각 가정의 거실이나 현관 및 베란다 등에 깔아 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도 각기 다르고 그 크기도 각기 다르다.Generally, mats are used on living rooms, porches, and porches of each home, and materials are used in different sizes and sizes depending on the purpose.

즉,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소재로 만들어진 것에서 부터 나무와 같은 천연소재로 만들어진 것, 또는 쿠션력을 주기 위해 발포고무나 천으로 만들어진 것 등 매우 다양하므로 사용 용도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그 선택의 폭도 매우 넓은게 사실이다.In other words, since it is made from synthetic material such as plastic, made from natural material such as wood, or made of foam rubber or cloth to give cushioning power, the choice is very wide depending on the usage purpose and user's taste. It is true that it is wide.

하지만 근래에 접어들면서 부터는 각 가정의 주부들이 자연 친화적인 실내 인테리어를 조성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므로 매트 또한 천연소재인 나무로 만들어진 매트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실제로 천연소재인 나무로 만들어진 매트의 판매량이 합성소재로 만들어진 매트의 판매량에 비해 월등히 우세한 현실이므로 상기 나무로 만들어진 매트의 기술개발이 갈수록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since housewives in each household are focusing on creating an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mats are also favoring mats made of natural wood, and the sales volume of mats made of natural wood are actually increasing. Since the sales of mats made of synthetic materials are superior to the reality, the development of the mats made of wood is being accelerated.

그럼 여기서 종래의 나무 매트를 실시예로 하여 가략하게 살펴보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So here is a brief look at the conventional wooden mat as an example as follows.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목편(11)을 합성수지 시트(12)상에 접착제로서 접착고정하여 전체적으로 적정 크기가 되게 배열한 다음 그 사방 가장자리를 질긴물성을 지닌 섬유재로된 테두리부재(13)로서 감싸 일체화 하거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목편(21)을 적정 크기가 되게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다음 이를 끈(22)으로 꾀어서 일체화 하거나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목편(31)을 적정 크기가 되게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한 다음 이를 밑부분에서 복수개의 고정편(32)으로 고정하여 일체화 한 구조이다.1 and 2, a plurality of neck pieces 11 having a constant length, width and thickness as adhesive on the synthetic resin sheet 12 is fixed to an overall size and arranged to the appropriate size and then the four sides of the tough physical properties Wrapped and integrated as a frame member 13 made of fiber material or arrang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o a plurality of neck pieces 21 having a constant length, width and thickness as shown in Figs. 22) by integrating or integrally arranged o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rranged a plurality of neck pieces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thickness as appropriate size as shown in Figs. It is fixed structure with) and integrated.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나무 매트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여러개의 목편(11)(21)(31)이 일체화되어 적정한 크기에 맞게 처음부터 만들어져 나오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맞는 크기의 나무 매트를 구입하여 사용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ood mats such as several pieces of wood (11, 21, 31) having a certa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are made from the beginning to fit the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ize of the wood mat Purchasing and using had a very difficult problem in reality.

즉, 아파트의 베란다나 현관 입구 등에 있어서는 집의 평수나 구조에 따라 그 크기(길이 및 폭)가 각기 다르게 나오고 있는데, 처음부터 적정한 크기로 만들어져 있는 나무 매트를 구입하여 이를 집안의 특정한 장소에 깔 경우에는 그 크기가 정확히 맞지 않아 집안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함은 물론 특히 베란다나 현관 입구에 깔아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린이들이 뛰어 노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other words, the size (length and width) of the apartment's veranda or entr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structure of the house.If you buy a wooden mat made of the right size from the beginning and put it in a specific place in the hou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house was not exactly the same, and the atmosphere of the house was not harmonized as a whole. In particular, when it was placed on the porch or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a safety accident during the children's play.

또한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종래 나무 매트의 구성 요소인 목편은 특히 그 길이가 일정길이 이상을 요구하고 있는게 보통이므로 상기한 구조의 종래 나무 매트를 만들고 난 이후에는 그 보다 작은 크기의 필요 없는 나무 원자재가 다량 발생될 수 밖에 없고, 이는 결국 폐기 처리되거나 땔감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어 원자재의 활용폭이 매우 낮아짐은 물론 폐자재의 처리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neck piec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conventional wooden mat as in each of the embodiments, is particularly required to have a certain length or more, since the conventional wooden mat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made, the wooden raw material of the smaller size is not necessary.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is generated, which is eventually to be disposed of or used as a fire, so that the utilization range of the raw material is very low, as well as additional costs due to the disposal of the waste material.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른 나무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남은 폐 원자재를 대부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자 완성되지 않은 부품상태로 필요한 갯수 만큼의 목편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를 구입하여 사용용도에 맞는 크기의 나무 매트를 직접 조립에 의해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user can use most of the remaining waste materials used to make other wood products as they are, but the user can connect them with the required number of pieces of wood in the state of incomplete parts. The purpose of this is to purchase a connecting rod so that the size of the mat can be manufactured by assembly.

도 1은 종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무 매트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wood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요부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3은 종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무 매트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wood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요부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5는 종래 제3실시예에 따른 나무 매트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wood ma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6은 도 5의 요부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7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구성요소인 목편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neck piece as a component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두개의 목편을 연결하기 전 상태도Figure 9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before connecting two neck pieces

도 9b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두개의 목편을 연결하는 상태도Figure 9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connecting two neck pieces

도 9c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서, 두개의 목편을 연결한 후 상태도Figure 9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after connecting two neck pieces

도 10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Ⅰ-Ⅰ선 요부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line II of FIG. 10. FIG.

도 12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요부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line II-II of FIG. 12. FIG.

도 14는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14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목편 2. 요입부1. Wood 2. Indent

3. 통공 4. 연결대3. through-hole 4. connecting rod

4a. 탄성훅크 5. 돌출편4a. Elastic Hook 5. Protrusion

6. 보조 요입부 7. 고무편6. Auxiliary recess 7. Rubber pie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며 특정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목편과, 상기 각 목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입부와, 상기 각 목편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요입부와 수평상태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공과, 상기 각 목편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요입부 내로 끼워져 걸리도록 양단에 각각 탄성훅크이 일체화된 복수개의 연결대로 구성되어 상기 각 연결대에 의해 복수개의 목편을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neck pieces having a certain length and width and thickness and forming a specific shape, the recess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and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neck piec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entation in a horizontal st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each having elastic hooks integrated at both ends so as to be fitted into the indents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neck pieces. A prefabricated wooden mat structure is provided to allow as many connections as necessary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7 to 14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in more detail as follows.

첨부된 도 7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구성요소인 목편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neck piece that is a component of the assembl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assembl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0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Ⅰ-Ⅰ선 요부 단면도이며, 도 12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요부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나무 매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line I-I of Figure 10, Figure 12 is a prefabrica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wooden mat, and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line II-II of Fig. 12, and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assembled wooden ma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 실시예는 일차 가공된 원목이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도록 절단되어 사각형상의 목편(1)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각 목편의 하부면에는 적정 깊이로 요입부(2)가 형성되며, 상기 각 목편(1)의 사각 둘레면에는 요입부(2)와 수평상태로 연통되게 통공(3)이 형성되고, 상기 각 목편(1)에 형성된 통공(3)을 통해 요입부(2) 내로 끼워져 걸리도록 양단에 각각 탄성훅크(4a)가 일체화된 연결대(4)가 구비되어 상기 각 연결대에 의해 복수개의 사각형 목편(1)이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imary processed wood is cut so as to have a constant length, width and thicknes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tangular neck piece (1),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2) at an appropriate depth, A through hole 3 is formed on the rectangula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neck piece 1 so as to communicate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indentation part 2, and into the indentation part 2 through the through hole 3 formed in each neck piece 1. Connecting rods 4 each having elastic hooks 4a integrated therein are provided to be hooked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rectangular neck pieces 1 can be connected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by the respective connecting rods.

상기 연결대(4)의 가운데 부분에는 연결대를 중심에 두고 상기 연결대 보다 더 크게 돌출편(5)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4)에 의해 복수개의 목편(1)이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되었을 때 상기 돌출편(5)이 각 목편(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4) with a center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larger than the connecting rod (5) is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neck pieces (1) by the connecting rod 4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as necessary When the projection piece (5) is positioned between each neck piece (1).

또한 각 목편(1)의 하부면에는 요입부(2)와는 별도로 복수개의 보조 요입부(6)가 형성되고, 상기 각 보조 요입부에는 그 끝단부가 목편(1)의 하부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고무편(7)이 끼워져 각 목편(1)이 연결대(4)에 의해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된 후 실내의 바닥면에 깔아 사용할 때에는 상기 각 고무편(7)이 실내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indentations 6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1 separately from the indentation part 2, and each of the auxiliary indentations has a rubber piece such that its end portion slightly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neck piece 1. (7) is inserted so that each piece of wood (1) is connected to the required number of length and width direction by the connecting rod (4), and when used on the floor of the room, each rubber piece (7)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To help.

한편 본 고안에서 각 목편(1)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입부(2)는 각 통공(3)이 수평상태로 일체 연통되게 하나로 되어도 좋고, 각 통공(3)이 수평상태로 각각 분리 연통되게 복수개로 되어도 좋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ntation portion 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1 may be one in which each through hole 3 is integrally communicated in a horizontal state, and a plurality of each through hole 3 is separated and communicated in a horizontal state. It may b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조립식 나무 매트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의 목편(1)과 상기 각 목편을 길이 및 폭방향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대(4)을 필요한 갯수 만큼 구입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한데, 이하에서 조립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ssemble the prefabricated wooden ma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a square neck piece 1 and a connecting rod 4 used to connect each piece of wood piece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should be purchased as many as necessary. The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구입된 복수개의 목편(1)을 연결대(4)으로서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하면 적정 크기의 나무 매트가 조립 완료되는데, 이하에서는 두개의 목편(1)을 연결대(4)으로서 연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화 하면 다음과 같고, 나머지 다른 목편의 연결도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 된다.Connecting the purchased plurality of pieces of wood (1)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as necessary as the connecting rod (4)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appropriate size of wooden mat, in the following it is to connect the two pieces of wood (1) as connecting rod (4) In detail, the process is as follows, and the rest of the other linkages go through the same process.

도 9a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목편(1)중 어느 하나의 목편 둘레면에 형성된 한곳의 통공(3)으로 연결대(4)의 일단을 끼워 넣으면, 상기 통공(3)은 목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입부(2)와 수평상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는 탄성훅크(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연결대(4)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훅크(4a)가 통공(3)을 지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받아 안쪽으로 오므라 들다가 상기 탄성훅크(4a)가 통공(3)을 완전히 빠져나와 요입부(2)에 위치되는 순간 오므라 들었던 탄성훅크(4a)는 원상태인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 결국 연결대(4)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그 일단이 하나의 목편에 도 9b와 같이 연결 완료된다.When one end of the connecting table 4 is inserted into one through hole 3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two neck pieces 1 to be connect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9a, the through hole 3 is the lower part of the neck piece The elastic hook 4a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table 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cave indentation 2 formed on the surface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elastic hook 4a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 the elastic hook 4a is lifted inwardly, and the elastic hook 4a is pulled out at the moment when the elastic hook 4a completely exits the through hole 3 and is located at the recessed part 2. Since it unfolds outward in the original state, one end is completely connected to one neck piece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목편 둘레면에 형성된 통공(3)으로 상기 하나의 목편에 연결되어 있던 연결대(4)의 다른 일단부를 끼워 넣으면, 기 설명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과 같이 상기 연결대(4)의 다른 일단에 형성된 탄성훅크(4a)가 통공(3)을 지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받아 안쪽으로 오므라 들다가 상기 탄성훅크(4a)가 통공(3)을 완전히 빠져나와 요입부(2)에 위치되는 순간 오므라 들었던 탄성훅크(4a)는 원상태인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 결국 연결대(4)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그 다른 일단이 다른 하나의 목편에도 도 9c와 같이 연결 완료되고, 이에 따라 두개의 목편(1)이 연결대(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table 4 connected to the one neck piec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 formed on the other neck piece peripheral surface. The elastic hook 4a formed at the other end receives an elastic forc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 and then retracts inward, and the elastic hook 4a completely exits the through hole 3 and is positioned at the recessed part 2. Retracted elastic hook (4a) is unfolded outward in the original state, so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4) is not separated i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neck piece as shown in Figure 9c, accordingly two neck pieces (1) The connecting table 4 i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한 과정에 의해 여러개의 목편(1)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결시키면 상기 목편의 갯수에 따라 적정한 크기의 나무 매트가 조립 완료되므로 이를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거실에 깔아 사용하던지, 베란다에 깔아 사용하던지, 현관 입구에 깔아 사용하던지, 아니면 주방의 씽크대 앞에 깔아 사용하던지 하면 된다.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ood pieces (1)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by the above process, the wood mat of the appropriate size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ieces of woo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n the living room according to the purpose, or on the veranda Either use it, use it at the front door, or use it in front of the kitchen sink.

이와 같이 하여 적정한 크기의 나무 매트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각 목편(1)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연결대(4)의 가운데 부분에 연결대를 중심에 두고 상기 연결대 보다 크게 돌출편(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편이 서로 연결된 각 목편(1) 사이에 위치되어 있게 되는데, 이는 각 목편이 길이 및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적정한 크기로 나무 매트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각 목편과 목편 사이 부분이 돌출편(5)의 두께에 비례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하여 미관상 보기에 좋도록 하기 위함과 함께 서로 연결된 각 목편(1)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사용 과정에서 목편끼리의 접촉에 따른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mat of the appropriate size is completed, the protrusion piece 5 is formed larger than the connecting rod centering the connecting ro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rod 4 used to connect the respective pieces of wood 1. The protrusion pieces are located between each of the neck pieces (1) connected to each other, which means that the pieces between the neck pieces and the neck pieces are protrusion pieces (5) in the state that the wood pie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so that the wood mat is assembled in an appropriate size. In order to ensure aesthetical appearance by spaced apart by a distance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each other, and to prevent the direct contact between each piece of wood pieces (1)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ct between the pieces of wood in use. For sake.

한편 상기한 본 고안 구성요소인 각 목편(1)은 도 10 내지 도 11의 제1실시예와 같이 모두가 정사각형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아니면 도 12 내지 도 13의 제2실시예와 같이 모두가 직사각형만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실시예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neck piece (1)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10 to 11 all may use only a square, or 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s. Only a rectangle may be used,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embodiment, a square and a rectangle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14의 제3실시예와 같이 사각형 이외인 원형만을 사용하여도 좋는데, 바람직 하기로는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의 가장자리 부분 마무리가 깔끔해 보이는 사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모두 해당)만을 사용함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In addition, if necessary, a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4, only a circle other than a rectangle may be used. Preferably, only a square (square or rectangle) that has a clean edge finish in the assembled state may be used. I think it will be good.

이와 같이하여 적정한 크기로 조립된 본 고안 나무 매트를 사용하기 위해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깔아 놓은 상태에서는 각 목편(1)의 하부면에 요입부(2)와는 별도로 복수개의 보조 요입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보조 요입부에는 그 끝단부가 목편(1)의 하부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고무편(7)이 끼워져 있음에 따라 상기 각 목편(1)의 하부면이 거실이나 베란다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는 각 목편(1)의 보조 요입부(6)에 끼워져 있는 고무편(7)이 접촉되는데, 이는 조립 완료된 나무 매트의 사용시 고무편과 바닥면의 접촉력을 향상시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Thus, a plurality of auxiliary recesses 6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piece of wood 1 apart from the recesses 2 in the state of being laid on a living room or porch in order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wood mat assembled to an appropriate size.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ving room or porch as the rubber pieces 7 are fitted in the auxiliary recesses so that the end portions thereof protrude slight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neck piece 1. In reality, the rubber pieces 7 fitted to the auxiliary recesses 6 of the respective wood pieces 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improves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rubber pieces and the bottom surface when the assembled wooden mat is used so that there is no slipping. For sake.

또한 본 고안 나무 매트를 사용하다 보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몇개의 목편(1)이 파손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므로 이때에는 파손된 목편만을 때어낸 다음 새로운 목편으로 교환하여 주면 되는데, 상기 파손된 목편을 때어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목편(1)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입부(2) 내로 손이나 공구를 넣어 연결대(4)의 양단에 형성된 탄성훅크(4a)를 안쪽으로 강제 오므라들게 한 다음 상기 연결대(4)를 목편(1)의 통공(3)을 통해 외부로 잡아 당겨 빼내면 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wooden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pieces of wood (1) may be damaged due to various factors. At this time, only the broken pieces of wood are to be removed and then replaced with new pieces of wood. In order to put out, the user pushes his hand or tool into the recess 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neck piece 1 to force the elastic hook 4a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4 inwardly, and then the connecting table 4 Pull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3) of the neck piece (1).

한편 지금까지 설명된 본 고안은, 조립식 나무 매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여 목편(1) 대신 프라스틱으로 된 합성수지편을 사용하고, 이 합성수지편을 연결대(4)에 의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하면, 이는 조립식 합성수지 매트구조에 관한 고안이 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has described a prefabricated wooden mat, but by using this technique, a synthetic resin piece made of plastic is used instead of the wooden piece 1, and the synthetic resin piece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by the connecting rod 4. It can be understood that if the required number of connections, the design of the prefabricated plastic mat structure.

그러므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인 여러개의 목편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를 필요한 갯수 만큼 구입하여 상기 각 목편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결시켜서 하나의 나무 매트를 만들게 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urchases a number of pieces of wood pieces that are not assembled by the user, and the number of connecting rods for connecting them, and connects each piece of wood pieces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to make a single wooden mat. It works.

첫째, 낱개로 된 목편의 사용 갯수에 따라 조립된 상태의 나무 매트가 적정 크기로 각기 달라지므로 사용자가 사용장소의 공간 면적에 맞게 그 크기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가 있음에 따라 사용시 집안의 다른 구조물과 조화가 잘 이루어져 미감의 효과가 커짐은 물론 사용과정에서 안전성도 확보된다.First, since the wooden mats assembled in each state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eces of wood used,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space area of the place of use. As well as the effect of aesthetics is increased, as well as safety in the use process is secured.

둘째, 다른 구조물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상태의 폐기된 원자재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므로 원자재의 활용폭이 높아 자원의 절약으로 인해 수익성 증대가 기대됨은 물론 폐자재의 처리비용이 큰 폭으로 줄어들어 이 또한 수익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Second, since other structures can be used and the remaining scraps of raw materials can be used as they are, the utilization of raw materials is high,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profitability due to saving of resources, and the disposal cost of waste materials is greatly reduced. Will contribute greatly.

셋째, 어른은 물론 어린아이들도 충분히 조립이 가능하므로 가족끼리 조립작업을 할 경우 가정의 화목에도 도움이 되고, 특히 어린아이들의 지능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Third, adults as well as young children can be fully assembled, so if you work together in the family reconciliation of the family will be helpful, especially affect the intelligenc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넷째, 나무가 가지고 있는 자연 친화적인 무늬를 그대로 살릴수가 있고, 목편의 나무 색깔을 여러 색깔별로 얼마든지 배열할 수 있어 집안의 분위기를 바꾸는데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Fourth, it is possible to preserve the nature-friendly pattern of the tree as it is, and the color of the wood of the wood can be arranged by any number of colors, which will greatly contribute to changing the atmosphere of the house.

Claims (3)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며 특정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목편과,A plurality of neck pieces having a certa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and forming a specific shape, 상기 각 목편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입부와,A recess in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상기 각 목편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요입부와 수평상태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공과,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neck piece and communicating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recess; 상기 각 목편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요입부 내로 끼워져 걸리도록 양단에 각각 탄성훅크가 일체화된 복수개의 연결대로 구성되어 상기 각 연결대에 의해 복수개의 목편을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무 매트구조.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each having an elastic hook integrated at both ends to be hooked into the recess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each neck piece so that the plurality of neck pieces can be connected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 by the respective connecting rods. Prefabricated wood mat structure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연결대의 가운데 부분에는 연결대를 중심에 두고 상기 연결대 보다 더 크게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에 의해 복수개의 목편을 길이 및 폭방향으로 필요한 갯수 만큼 연결하였을 때 상기 돌출편이 각 목편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무 매트.At the center of each connecting rod,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rod to be larger than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protrusion pieces are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wooden pieces when the plurality of neck pieces are connected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by the connecting rod. Featured prefab wood ma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목편의 하부면에는 요입부와는 별도로 복수개의 보조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보조 요입부에는 그 끝단부가 목편의 하부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고무편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무 매트.Prefabricated wood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each neck pie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concave portions separate from the concave portion, each of the auxiliary concave portion is fitted with a rubber piece so that its end portion slightly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neck piece.
KR2020000031372U 2000-11-09 2000-11-09 fabrication wooden mat KR2002200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72U KR200220067Y1 (en) 2000-11-09 2000-11-09 fabrication wooden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372U KR200220067Y1 (en) 2000-11-09 2000-11-09 fabrication wooden ma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042A Division KR100364364B1 (en) 2000-11-08 2000-11-08 fabrication wooden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67Y1 true KR200220067Y1 (en) 2001-04-16

Family

ID=7306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372U KR200220067Y1 (en) 2000-11-09 2000-11-09 fabrication wooden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6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27Y1 (en) 2018-06-19 2018-11-22 안희중 Multi-function m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27Y1 (en) 2018-06-19 2018-11-22 안희중 Multi-function m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US3577672A (en) Modular rigid block-type dollhouse construction toy
KR100364364B1 (en) fabrication wooden mat
WO2006075827A1 (en) A prefab block for use much
KR200220067Y1 (en) fabrication wooden mat
KR20160001539U (en) Assemblying-type mat
KR200196453Y1 (en) Prefabricated floor mat unit
KR101244718B1 (en) A chopping board having a fixing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01192581Y (en) Interest assembling combination device
KR200363988Y1 (en) A foohold of assemble type use much
CN209965845U (en) Detachable children vaulting horse chair
KR200303189Y1 (en) Fabricate mat
CN206240078U (en) A kind of multiaspect well word component puzzle for interlocking mutually button
TWM565059U (en) Assembled toy
KR200381524Y1 (en) Fabricated mat that use bamboo board
US9144747B2 (en) Constructible playhouse
KR200273572Y1 (en) Sectional dryer of farm products
KR200378437Y1 (en) Frame structure for furniture
KR200485983Y1 (en) Assembly block
KR20200009537A (en) Self-assembly foothold for pet
KR102055524B1 (en) Assembly type panel
CN105167462A (en) Children desk-and-chair assembly
KR0116072Y1 (en) Building blocks with pagoda shape
KR200224318Y1 (en) Prefabricated floor
KR200487927Y1 (en) Multi-function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