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22Y1 -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22Y1
KR200220022Y1 KR2020000030785U KR20000030785U KR200220022Y1 KR 200220022 Y1 KR200220022 Y1 KR 200220022Y1 KR 2020000030785 U KR2020000030785 U KR 2020000030785U KR 20000030785 U KR20000030785 U KR 20000030785U KR 200220022 Y1 KR200220022 Y1 KR 200220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shaft
gear
driven gear
vinyl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전국농자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전국농자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전국농자재산업
Priority to KR2020000030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22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천정(Roof)을 덮어주는 비닐을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천정에 설치되는 권취봉을 회전시키면서 끌어 올려서 비닐을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종동기어(13)가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나 구동기어(16)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이에 따라 자재롭게 회전이 되는 조작부(1); 상기 조작부(1)의 구동기어(16)에 축으로 연결되어 체인(42)으로 회전하는 휠(41)로 이루어지는 회전전달수단(4); 상기 종동기어(13)와 직결되는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을 감는 권취봉(31)으로 되는 비닐개폐수단(3); 및 상기 조작부(1)를 지지하도록 일단이 지면에 삽착되어 전장이 연신자재한 지축(2)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의 개폐를 원활하고 손쉽게 하면서, 개폐하여야 할 비닐이 아무리 길어도 개폐조작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구조체가 견고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염가로 제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개폐기{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inyl plastic hot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천정(Roof)을 덮어주는 비닐을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천정에 설치되는 권취봉을 회전시키면서 끌어 올려서 비닐을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비닐하우스는 계절작물이나 특용작물을 재배하도록 대기보다 고온의 온실을 형성시키는 비닐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비닐이 염가이면서 바람이나 열차단에 효과적이라는 점에 착안되어 개발된 것으로,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이제는 우리 농촌에서는 밭작물의 재배를 위해서는 상용화되었으며, 과거 고온만을 필요로 하던 일부 작물의 재배시와는 달리 상용작물은 온도와 함께 습도조절 및 환기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게 되었다.
게다가, 우리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인건비도 상승하여 과거 단순한 구조체로서는 재배 관리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인건비를 줄이고자 점점 자동화 무인화 율이 상승되고 있는데, 본 고안도 이러한 경향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 점점 대형화하는 비닐하우스의 관리에 편의를 기할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을 손쉽게 개폐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특히 폐쇄시에는 보온등에 지장이 없도록 밀폐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개폐기를 제공하고자 연구된 것으로, 이러한 개폐기에는 본인의 등록특허인 특허 제127953호의 '양방향지지가 가능한 기어구조'를 이용하는 개폐기가 있으며, 특허등록 제211397호의 '자동정지 개폐기'가 있으며, 그외에 다수의 개폐기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본인의 등록특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축(131)상에 인볼류트 나선(132)과 왼나선(133)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볼류트 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종동기어(13)의 앞뒤에 일측으로 경사된 경사기어(14, 14; 스프라켓)들이 그 내측에 상기 인볼류트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원판형의 가이드(141, 141)가 삽입되어 약간의 틈을 가지도록 각각 반대로 끼워지고, 상기 왼나선(133)에 나선치합된 왼너트(134)와, 상기 경사기어(14, 14)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프레임(12; 케이스)에 지지되는 스토퍼(15, 15)들과, 상기 종동기어(13)를 회전시키도록 기어 결합된 구동기어(16)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지지가 가능한 기어구조'로 되어 있어서, 모든 구조체나 기계장치등에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장치로서 손쉽고 간편하며 저렴하게 사용되어야 할 비닐하우스용의 전용장치가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 제211397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562)의 감속회전으로 비닐하우스의 비닐 덮개 등의 유연성 덮개를 권취 내지 방출시킴으로써 개폐시키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승강시기키 위한 개폐기에 있어서; 케이스(510, 590)로부터 돌출하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커버케이스(510)의 내면에 인접하여 대경의 고정돌기(523)가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523)에 연속하여 중경의 이송나사부(522')가 형성되며, 그 이송나사부(522')에 연속하여 소경의 고정나사부(522')가 형성되는 입력축인 핸들축(521); 그 핸들축(521)의 이송나사부(522')에 나사결합되어 핸들축(521)과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그 이송나사부(522')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입력기어(525); 각각 상기 핸들축(521)의 이송나사부(522')상에서 회전가능하고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그 이송나사부(522')에 상기 입력기어(525)의 양측에서 삽입되는 한쌍의 라체트기어(524, 524'); 상기 입력기어(525)와 한쌍의 라체트기어(524, 524')가 상기 핸들축(521)의 고정돌기(523)와의 사이에서 틈새를 유지한 채 상기 핸들축(521)의 고정나사부(522')에 고정되는 고정너트(526); 그리고 한쌍의 라체트기어(524, 524')중의 어느 하나의 일방향의 회전과 다른 하나의 다른 일방향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한쌍의 라체트기어(524, 524')의 각각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인 한쌍의 라체트(581, 58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축인 핸들축(521)의 회전을 정지시킨 때에 출력축(562)에 작용되는 부하에도 불구하고 출력축(562)이 정지되고, 중량물 내지 덮개의 자중이 작용되는 방향으로의 핸들축(521)의 약간의 회전으로 출력축에 작용하는 중량물 내지 덮개가 계속 하강하고 그 핸들축(521)을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그 하강이 정지하도록 상기 핸들축(521)의 고정돌기(523)와 고정너트(526) 사이의 간격에 대한 상기 입력기어(525) 및 한쌍의 라체트기어(524, 524')와의 틈새가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지 개폐기'로 되어 있어서,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물인 기어가 다수 결합되는 구조로서 자체 무게도 무거우며, 이는 조작에 큰힘을 소요로 하면서 제작 단가도 상승시킨다는 점 뿐만 아니라 조작부인 휠의 저항이 커서 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그 내구성도 떨어진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예의 주시하고 연구한 결과 완성된 고안으로,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의 개폐를 원활하고 손쉽게 하면서, 개폐하여야 할 비닐이 아무리 길어도 개폐조작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구조체가 견고하면서도 염가로 제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데, 이는 상하로 멈춤이 자제한 조작부와 조작부를 작동시키는 회전전달수단과 상기 조작부의 동작을 안내하는 지지봉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의 전개상태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의 발췌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성단면도,
도 6은 종래 다른 고안의 전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 부호의 설명
1. 조작부
11. 비닐 12. 케이스 13. 종동기어 131. 종동축
132. 인볼류트나선 133. 왼나선 134. 왼너트
14. 스프라켓 141. 가이드 15. 스토퍼 16. 구동기어
17. 스프링
2. 지축
3. 비닐개폐수단
31. 권취봉
4. 회전전달수단
41. 휠 411. 요입부 42. 체인
500. 개폐기 510. 커버케이스 512. 핸들축삽입공
520. 입력부 521. 핸들축(입력축) 522. 핸들고정공
523. 고정돌기 524. 라체트기어 525. 입력기어(복합기어)
526. 고정너트 540. 연결기어 542. 출력연결부
544. 입력연결부 560. 출력부 562. 출력축
564. 출력기어 566. 권취축 연결공 580. 스토퍼
590. 하부케이스 592. 스톱퍼 고정구 594. 입력기어 고정구
596. 연결기어 고정구 598. 출력축 삽입공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조작부(1)의 내부구성을 알수있도록 전개상태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회전전달수단(4)을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기어(13)가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나 구동기어(16)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이에 따라 자재롭게 회전이 되는 조작부(1); 상기 조작부(1)의 구동기어(16)에 축으로 연결되어 체인(42)으로 회전하는 휠(41)로 이루어지는 회전전달수단(4); 상기 종동기어(13)와 직결되는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11)을 감는 권취봉(31)으로 되는 비닐개폐수단(3); 및 상기 조작부(1)를 지지하도록 일단이 지면에 삽착되어 전장이 연신자재한 지축(2)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는 케이스(12)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축(131)상에 다줄의 인볼류트 나선(132)과 왼나선(133)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볼류트 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종동기어(13)의 앞뒤에 일측으로 경사된 스프라켓(14, 14)쌍이 그 내측에 상기 인볼류트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원판형의 가이드(141, 141)가 각각 삽입되어 약간의 틈을 가지도록 각각 반대로 끼워지고, 상기 왼나선(133)에 나선치합된 왼너트(134)와, 상기 스프라켓(14, 14)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케이스(12)에 스프링(17)으로 지지되는 스토퍼(15, 15)들과, 상기 종동기어(13)를 회전시키도록 기어 결합된 구동기어(16)가 상기 휠(41)에 축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3)의 휠(41)이 금속재로 플라스틱으로 피복되고, 상기 체인(42)이 장착되는 부분에 체인(42)의 외형과 동일한 요입부(411)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도 4의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를 참고로 이하에 기술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1)는 종동기어(13)가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나 구동기어(16)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이에 따라 자재롭게 회전이 되는 것으로, 이는 상술한 본인의 등록 특허와 같은 그 내부구조체에 의하여 실현되는 구조이며, 즉 종동축(131)상의 인볼류트나선(132)에 나선치합된 종동기어(13)는 회전시 인볼류트나선(132)에 가이드되어 전후진되는데, 인볼류트나선(132)은 오른나선이므로 시계방향 회전시 우진하고 반시계방향 회전시 좌진하고, 스프라켓(14, 14)이 상기 종동기어(13)와 약간의 틈을 가지고 앞뒤로 끼워져서 이 틈만큼 종동기어(13)가 좌우진 할 때까지 회전되어 종동기어(13)와 2개의 스프라켓(14, 14)중 어느하나와 밀착되게 되어 스프라켓(14, 14)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게 되고, 각 스프라켓(14, 14)들의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141, 141)들도 상기 인볼류트나선(132)에 나선 치합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13)와 함께 좌진 또는 우진이 이루어지므로 스프라켓(14, 14)의 좌우진을 멈추게 하며, 이에 따라 종동기어(13)의 측면과 스프라켓(14, 14)들중 어느하나의 측면이 밀착되어 종동기어(13)와 종동축(131)이 일체로서 움직이게 되어, 회전력이 구동기어(16)를 통해 치합된 종동기어(13)에 전달되면 적절히 종동축(131)으로 전달되어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전력을 종동기어(13)을 통해 종동축(131)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종동기어(13)가 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좌측의 스토퍼(15)가 좌측의 스프라켓(14)과 교차 치합되어 지지하므로 좌측의 스프라켓(14)의 회전을 방지하나, 종동기어(13)는 오른 나선에 의해 우진하여 우측의 스프라켓(14)과 밀착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멈추어진 좌측의 스프라켓(14)은 상기 인볼류트나선(132)위에서 상대적으로 헛돌게 되며, 반시계 방향 회전시는 상기와 반대로 작용되어 구동기어(16)의 회전력을 종동축(131)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동축(131)에서 구동기어(16) 측으로의 회전력의 전달인 경우에는 종동축(131)이 회전하면 종동기어(13)의 입장에서는 상대성 원리에 의해 역회전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종동축(1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인볼류트나선(132)상에서 종동기어(13)는 좌진하고 멈춰있는 종동기어(13)에 대하여 종동축(131)이 우진하므로 반시계방향이면 우진하게 되며, 따라서 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종동기어(13)가 좌측의 스프라켓(14)과 밀착되게 되며 좌측의 스프라켓(14)은 스프링(17)에 지지되는 스토퍼(15)가 지지하므로 회전이 방지되고, 종동축(131)이 반시계 방향 회전시에는 우측의 스프라켓(14)에 의하여 우측의 스토퍼(15)가 회전을 방지하므로, 결국 종동축(131)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어느 방향일지라도 구동기어(16) 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동축(131)에 연결되는 권취봉(31)의 회전은 구동기어(16)에 연결되는 휠(41)의 회전에 연동하나, 권취봉(31)의 회전은 종동축(131)이 정지되므로서 외력의 작용에 대하여 지지가 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전달수단(4)은 휠(41)과 체인(4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은 상기 조작부(1)의 구동기어(16)에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체인(42)을 어느 한 방향으로 당기므로서 휠(41)을 회전시켜 구동기어(16)를 회전시켜서 상술한 조작원리에 의해 종동기어(13)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비닐개폐수단(3)은 상기 종동기어(13)와 직결되는 권취봉(31)으로 되어 이 권취봉(31)의 외주에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11)을 감겨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천정 비닐(11)이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게다가, 상기 조작부(1)를 지지하도록 일단이 지면에 삽착되어 전장이 연신자재한 지축(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권취봉(31)에 감긴 비닐(11)은 비닐하우스의 천정이 돔상으로 되어 자중에 의하여 아래쪽(비닐이 풀리는 쪽)으로 항상 내려갈려고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기어(13)가 정지상태로 지지되어 천정 비닐(11)을 팽팽히 당기게 되며, 체인(42)의 조작에 의해서 비닐하우스의 천정을 타고 비닐(11)을 감은 권취봉(31)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예컨데 케이스(12)에 대하여 구동기어(16)나 종동기어(13)가 회전될때 약간이라도 저항이 있으면 케이스(12)도 함께 회전하려고 하여 케이스(12)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지축(2)을 추가시키는 것이며, 이 지축(2)은 예컨데, 안테나식으로 2개의 봉이 삽입/인출되는 방식으로 하면서, 일단이 지면에 삽입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골조에 연결된 지지축에 힌지 연결되는 것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이 돔상으로 되어 있어서 권취봉(31)의 위치에 따라 지면 또는 힌지까지의 거리가 바뀌어도 그 전장을 자체로 조절하면서 적응되어 지지력을 유지하며, 이는 또한 권취봉(31)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겸하므로 부드러운 이동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은, 상기 조작부(1)는 케이스(12)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축(131)상에 다줄의 인볼류트 나선(132)과 왼나선(133)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볼류트 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종동기어(13)의 앞뒤에 일측으로 경사된 스프라켓(14, 14)쌍이 그 내측에 상기 인볼류트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원판형의 가이드(141, 141)가 각각 삽입되어 약간의 틈을 가지도록 각각 반대로 끼워지고, 상기 왼나선(133)에 나선치합된 왼너트(134)와, 상기 스프라켓(14, 14)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케이스(12)에 스프링(17)으로 지지되는 스토퍼(15, 15)들과, 상기 종동기어(13)를 회전시키도록 기어 결합된 구동기어(16)가 상기 휠(41)에 축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인볼류트 나선(132)과 종동기어(13)를 다줄나선으로 한 것으로 일회전에 다줄나선에 의한 많은 피치를 이동하므로 힘의 절약 및 구성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상기 회전전달수단(3)의 휠(41)이 금속재로 플라스틱으로 피복되고, 상기 체인(42)이 장착되는 부분에 체인(42)의 외형과 동일한 요입부(411)가 형성된 것으로, 플라스틱 피복에 의하여 녹방지를 도모하므로서 내구성이 보장되고, 요입부(411)는 체인(42)이 이에 삽착되므로서 저항력을 향상시켜서 조작자의 힘을 그대로 휠(41)에 전달하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의 개폐를 원활하고 손쉽게 하면서, 개폐하여야 할 비닐이 아무리 길어도 개폐조작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구조체가 견고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염가로 제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종동기어(13)가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나 구동기어(16)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이에 따라 자재롭게 회전이 되는 조작부(1);
    상기 조작부(1)의 구동기어(16)에 축으로 연결되어 체인(42)으로 회전하는 휠(41)로 이루어지는 회전전달수단(4);
    상기 종동기어(13)와 직결되는 비닐하우스의 천정 비닐(11)을 감는 권취봉(31)으로 되는 비닐개폐수단(3);
    및 상기 조작부(1)를 지지하도록 일단이 지면에 삽착되어 전장이 연신자재한 지축(2)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는 케이스(12)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축(131)상에 다줄의 인볼류트 나선(132)과 왼나선(133)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볼류트 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종동기어(13)의 앞뒤에 일측으로 경사된 스프라켓(14, 14)쌍이 그 내측에 상기 인볼류트나선(132)에 나선치합되는 원판형의 가이드(141, 141)가 각각 삽입되어 약간의 틈을 가지도록 각각 반대로 끼워지고, 상기 왼나선(133)에 나선치합된 왼너트(134)와, 상기 스프라켓(14, 14)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케이스(12)에 스프링(17)으로 지지되는 스토퍼(15, 15)들과, 상기 종동기어(13)를 회전시키도록 기어 결합된 구동기어(16)가 상기 휠(41)에 축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3)의 휠(41)이 금속재로 플라스틱으로 피복되고, 상기 체인(42)이 장착되는 부분에 체인(42)의 외형과 동일한 요입부(411)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20000030785U 2000-11-03 2000-11-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0220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85U KR200220022Y1 (ko) 2000-11-03 2000-11-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85U KR200220022Y1 (ko) 2000-11-03 2000-11-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22Y1 true KR200220022Y1 (ko) 2001-04-16

Family

ID=7309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85U KR200220022Y1 (ko) 2000-11-03 2000-11-03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65B1 (ko) 2012-11-19 2015-04-21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천정형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220081478A (ko) 2020-12-09 2022-06-16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단일 방향 회전입력 정역회전출력 수동 개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65B1 (ko) 2012-11-19 2015-04-21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천정형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220081478A (ko) 2020-12-09 2022-06-16 유순기 볼 램프 브레이크를 포함한 단일 방향 회전입력 정역회전출력 수동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7008A (en) Mini blind and vertical blind actuator
US20070200519A1 (en) Barrier operator with flexible drive member
KR200220022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JP2004175211A (ja) 車両開口部のドア開閉システム
KR20010034763A (ko) 압력 및/또는 인장 하중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0220475Y1 (ko) 축사용 측면 개폐기
KR200404919Y1 (ko)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EP0194086B1 (en) Guidance system for a self-propelled machine
US6669134B2 (en) Take up guide tensioning system
KR200467670Y1 (ko) 비닐하우스용 커튼개폐기
KR950008292Y1 (ko) 수동식 개폐기가 부설된 비닐하우스 개폐기
KR200379002Y1 (ko) 농업용 개폐기의 감속장치
KR960004034Y1 (ko) 온실 및 건축물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90632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장치
KR940007868Y1 (ko) 연동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비닐의 권취개폐 장치
KR200356662Y1 (ko) 동력 개폐기
KR20190106606A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KR200237016Y1 (ko) 비닐하우스용 수동개폐기
KR0130157Y1 (ko) 비닐하우스 및 온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200171255Y1 (ko) 비닐하우스의 권취기 겸용 개폐기
KR920009004Y1 (ko) 비닐하우스용 거적권취기의 구동축봉 구동장치
CN2497030Y (zh) 一种卷帘门电动装置的改良
KR200412559Y1 (ko) 양방향 온실용 개폐기
KR200338838Y1 (ko) 단동하우스 내측의 터널식 소형하우스용 보온덮개 로프권취장치
KR960006683Y1 (ko) 온실 및 산업용 건축물의 천장·측창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