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17Y1 - 열교환기용 배수관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17Y1
KR200220017Y1 KR2020000030732U KR20000030732U KR200220017Y1 KR 200220017 Y1 KR200220017 Y1 KR 200220017Y1 KR 2020000030732 U KR2020000030732 U KR 2020000030732U KR 20000030732 U KR20000030732 U KR 20000030732U KR 200220017 Y1 KR200220017 Y1 KR 200220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ipe
drain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현
Original Assignee
권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진현 filed Critical 권진현
Priority to KR2020000030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17Y1/ko

Links

Landscapes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교환기용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의 배수구에 배수관(10)을 설치하면서, 배수관(10)에 개입되어 연결하는 관체(3)에 외부로 연결되는 통기공(5)을 형성하여 배수라인에서 배수관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냉동·냉장 장치 및 공기조화설비의 응축기, 증발기 및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배수관{.}
본 고안은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용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 소형의 에어콘디셔너를 비롯한 중대형 공기조화기 등에는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기는 예를 들어 냉동 장치의 경우 증발기에서 나오는 저온의 냉매증기와 수액기에서 팽창면에 이르는 고온의 냉매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시킴으로서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가스는 과열시키고,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는 과냉각시켜서 궁극적으로는 냉동 사이클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동기와 공기조화기 등에서는 필수적인 기기 중 하나이다.
이러한 열교환기에서는 저압측 배관의 외주면이 외부의 공기 보다 차갑기 때문에 노점온도에 도달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면서 상당한 양의 응축수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응축수의 발생은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발생되는 곳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이는 일반 냉동·냉장 장치의 증발기와 응축기를 비롯하여 공기 조화기기에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에서도 발생된다.
따라서 기기 내부에서 한곳에 모아진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종래의 냉동기 및 공기조화설비에서 열교환에 의하여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호스로 되는 배수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수관은 물받이와 같은 저장조를 구비하며, 배출측 단부가 상기 물받이 쪽에 놓여지게 되는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받이에 모여 있는 응축수(W)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어 응축수가 배수관(100)의 하단부를 막으면 응축수가 계속 배출되면서 배수관 내에 공기압이 발생되어 응축수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장치 내에 고이거나 다른 부분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배수관(100) 자체가 에스(S)자로 휘어지거나 혹은 엘(L)자로 휘어져서 배출관이 협소해지는 상황에서도 응축수는 배수관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다른 부분으로 흘러내리거나 장치내에 고이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가 장치와 주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됨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종래 응축수 배수관의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배수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응축수 배수관에서의 물 빠짐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자연법칙을 이용하여 물 빠지는 배수구의 일측에 구멍을 설치하면 배수구의 끝단이 물에 잠기어도 물 빠짐이 원활하게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구조적인 개선을 시도하게 되었다.
즉,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의 배수구에 배수관을 연결하면서 그 사이에 일측이 열려져 있는 연결관이 개입되는 새로운 구조의 배수라인을 설치하여, 배수관의 끝단이 물에 잠기거나 배수관 자체가 휘어져도 배수라인에서 배수관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
도 1은 종래 배수관이 설치되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 실시예의 각도표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인 특징은 냉동·냉장 및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을 형성함에 있어서, 배수관 내부의 배수공으로부터 외부로 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 내부의 배수공으로부터 외부로 통하는 공간은 배수관 내부에서 공기가 압축되는 공간을 배제하게 됨으로서 배수관의 하단부가 응축수에 잠기고 배수관 내부에 응축수의 유입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때에 공기의 저항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미 배출되어 배수관의 끝단부를 침수하고 있는 응축수와 새로이 배출되는 응축수 사이에서 공기의 압축이나 정체가 일어나서 응축수 배출압력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고 응축수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구의 끝단이 물에 잠기어도 원활한 배수를 함으로서 부품의 침수에 의한 누전현상 및 부식 등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본 고안이 구현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연결관(1)은 응축수가 흐르는 유로(2)가 형성되는 관체(3)의 외주연에 보조관체(4)를 형성하면서, 상기 보조관체(4)에는 관체의 외주로부터 유로(2)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기공(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연결관(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단부가 공기조화설비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10)의 적정한 부위에서 보조관체(4)의 통기공(5)이 상부를 향하도록 연결되어 배수관(10)에 개입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배수관이 양쪽으로 양분되어 한쪽의 배수관(10)은 입구측 단부(6)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의 배수관(10a)은 출구측 단부(7)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관체(4)의 통기공(5)의 중심선(21)은 연결관(1)의 중심선(20) 일정각도(도4. A참조)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각도는 90 이상이 되면 통기공의 배출방향이 냉각수 흐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냉각수가 통기공을 통해 배출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각도 A가 90이상 180 이하라고 하면 냉각수 흐름방향과 통기공의 배출방향이 유사한 방향이 되며, 이로 인해 연결관을 통해 흐르던 냉각수가 통기공을 통해 배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각도 A를 90도 보다 작은 것이 냉각수의 흐름방향과 통기공의 배출방향이 역 방향으로 되어 냉각수 배출을 어렵게 하며, 특히 본 발명자는 많은 실험을 통해 통기공의 배출구 방향을 결정하는 각도A를 30도 내지 60도로 하는 것이 냉각수가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자유로운 유입에 유리함과 동시에 미관이나, 제작상 유리하다는 것을 밝힌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에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냉동·냉장 설비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와 같이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제품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설치되는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10)에서 이미 외부로 유출된 응축수에 의해서 배수관(10a)의 끝단이 막히게 되어도 계속 배출되는 응축수에 의한 공기압이 보조관체(4)에 형성된 통기공(5)으로 배출되어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물받이의 배수구와 배수호스의 중간 일정위치에 개구된 연결 배수라인을 설치함으로서 호스의 공기압을 제거하여 항상 물이 아래로 배수가 되며 호스 끝부분이 물에 잠기거나 배수라인이 휘어져 있더라도 공기정화기 내부의 응축수 배출은 원활하게 진행된다.
결론적으로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어 부품이 누수에 의한 누전이나 부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냉동·냉장 및 공기조화설비로부터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을 형성함에 있어서, 냉각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배수관 내부의 배수공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통하도록 통기공(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배수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응축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양쪽 단부가 배수관에 연결되어 배수관에 개입되면서 상기 유로가 외부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연결관(1)을 구비하고, 연결관에는 외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공(5)를 배치하는 한편, 연결관 중심선(20)과 통기공 중심선(21) 사이의 각도(도4 A 참조)는 90도 이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배수관.
  3. 제 2항에 있어서, 연결관 중심선(20)과 통기공 중심선(21) 사이의 각도 30도 내지 60도를 적용하여 통기공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배수관.
KR2020000030732U 2000-11-03 2000-11-03 열교환기용 배수관 KR200220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32U KR200220017Y1 (ko) 2000-11-03 2000-11-03 열교환기용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32U KR200220017Y1 (ko) 2000-11-03 2000-11-03 열교환기용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17Y1 true KR200220017Y1 (ko) 2001-04-16

Family

ID=7309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32U KR200220017Y1 (ko) 2000-11-03 2000-11-03 열교환기용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9954A (zh) 热交换器及包括该热交换器的室内机
JP6091302B2 (ja) 空気調和機
CN106091114B (zh) 空调室内机
KR100459303B1 (ko) 냉동기의 응축시스템
JP2012136152A (ja) 船舶用空調装置
JP2012052682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20180202704A1 (en) Condensate drain pan port
KR101727914B1 (ko) 열교환기
KR100547669B1 (ko) 응결방지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 시스템
KR200220017Y1 (ko) 열교환기용 배수관
US9243650B2 (en) Fin array for use in a centrifugal fan
CN109579255B (zh) 空调冷凝水回收组件
KR100750969B1 (ko) 실외기일체형에어컨
KR200404716Y1 (ko) 드레인수를 이용하여 응축효율이 증대되는 공기조화기
KR100652888B1 (ko) 삼중관구조의 응축기를 구비한 에어컨
CN108489159A (zh) 一种提高空调过冷度的装置
CN213480420U (zh) 一种室内空调器
CN212408859U (zh) 空调室内机
CN216522077U (zh) 空调器
KR100436930B1 (ko) 응축수를 이용한 성능향상 에어컨
CN208886934U (zh) 一种挂壁式分体空调器的冷凝水回收再利用装置
JP3617854B2 (ja)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
KR200397304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역류방지장치
KR100243083B1 (ko) 일체형에어컨
JPH07127942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