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743Y1 -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743Y1
KR200219743Y1 KR2020000030788U KR20000030788U KR200219743Y1 KR 200219743 Y1 KR200219743 Y1 KR 200219743Y1 KR 2020000030788 U KR2020000030788 U KR 2020000030788U KR 20000030788 U KR20000030788 U KR 20000030788U KR 200219743 Y1 KR200219743 Y1 KR 200219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boiler
electric control
control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동섭
Original Assignee
염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동섭 filed Critical 염동섭
Priority to KR2020000030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743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히터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삼상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제어반의 터미널 블록의 전원 입력 터미널에 접지단을 제외한 일부 터미널들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부스바를 설치하여 히터를 단상으로 사용 가능토록 구성한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단상이나 삼상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본 고안은 제어반에 부스바를 설치하였기에 단상 및 삼상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Boiler of electric control board with changeable phsae input}
본 고안은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를 사용하는 전기적 환경에 상관없이 부스바를 사용하여 사용 가능케한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탄보일러에서 전기보일러 나 가스보일러 등으로 발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는 주로 삼상 환경에서 사용토록 설계된다. 이는 도 1 과 같이 전원 입력 터미널(1)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 받고, 그라운드 터미널(N)을 공통으로 분배기(3)에서 삼상 터미널(R,S,T)을 통한 삼상 입력전원은 히터부(5)로, 삼상 중 하나의 상만 연결 사용하는 단상 형태의 전원은 제어부(7)로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전기 제어반(10)을 가진다. 제어부(7)에는 릴레이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제어반(10)은 삼상으로 고정 설계되어 단상의 전원을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어 별도의 서비스를 받아 사용하거나 단상용 모델을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의 단상 또는 삼상의 환경에 따라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보일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 보일러의 전기 제어반에 삼상의 전원을 공통으로 하여 단상으로 만들 수 있는 부스바를 설치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보일러의 전기 제어 구성을 보이는 결선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부스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선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 사용 상태를 예시한 분해 상태의 요부 구성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입력 터미널 10 ; 전기 제어반
20 ; 부스바 21 ; 나사
즉, 본 고안은 히터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삼상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제어반의 터미널 블록의 전원 입력 터미널에 접지단을 제외한 터미널들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부스바를 설치하여 히터를 단상으로 사용 가능토록 구성하는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예를 나타낸 결선도로, 히터부(5)와 제어부(7)로의 전원 공급을 전기 제어반(10)의 분배기(3)를 통하여 공급하는 보일러에서, 전원 입력 터미널(1)의 그라운드를 제외한 터미널(R, S, T)을 동시에 공통으로 접속하는 부스바(20)를 설치하였으며, 부스바(20)는 전도성인 구리등으로 제조한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구성 예시도로, 보일러의 전기 제어반(10)에는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입력 터미널(R, S, T, N)을 가지는 터미널 블록(2)과, 터미널 블록(2)을 통한 전원을 분배하여 히터부(5) 및 제어부(7)로 제공하는 분배기(3)를 가진다. 상기 터미널 블록(2)에는 전원 입력 터미널(1)을 이루는 일부터미널(R, S, T)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부스바(20)를 끼움방식에 의해 착탈가능케 설치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나사(21)로 고정 결합하여 상기 일부 터미널(R, S, T)이 공통 접속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삼상 환경에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사용하고, 단상의 환경에서는 도 3 과 같이 전기 제어반(10)의 터미널 블록(2)의 전원 입력 터미널(1)의 해당 일부 터미널(R, S, T)에 부스바(20)를 끼움 방식으로 접속 시키거나 또는 나사(21)로 접속한다.
이 경우 부스바(20)는 일부 터미널(R, S, T)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 터미널(N)과, 공통을 이룬 일부 터미널(R, S, T)을 통하여 단상의 입력을 인가 받아 분배기(3)를 통하여 도 2 와 같이 분배한다.
즉, 부스바(20)를 통한 전원 일단과 터미널(N)을 통한 단상 전원을 히터부(5)로 제공하여 히터부(5)가 단상으로 구동토록 하고, 제어부(7)역시 분배기(3)를 통하여 입력 전원 그대로 인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일반적인 삼상의 환경에서는 설계되는 제어반을 그대로 사용하고, 단상의 환경에서는 부스바를 별도로 설치하여 기존의 설계 변경 없이 사용 가능토록 하므로 범용으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Claims (1)

  1. 히터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삼상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제어반(10)의 터미널 블록(2)의 전원 입력 터미널(1)에 접지단을 제외한 일부터미널(R, S, T)들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부스바(20)를 설치하여 히터를 단상으로도 사용 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KR2020000030788U 2000-11-03 2000-11-03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KR200219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88U KR200219743Y1 (ko) 2000-11-03 2000-11-03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88U KR200219743Y1 (ko) 2000-11-03 2000-11-03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743Y1 true KR200219743Y1 (ko) 2001-04-02

Family

ID=7309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88U KR200219743Y1 (ko) 2000-11-03 2000-11-03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536B1 (ko) 2005-07-07 2007-01-19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전기배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스웨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536B1 (ko) 2005-07-07 2007-01-19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전기배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스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36727A (ja) 回路ブレーカ
KR970049302A (ko)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27152B2 (ko)
KR200219743Y1 (ko) 단상 삼상 겸용 전기제어반을 가지는 보일러
KR100550205B1 (ko) 분전반
JP3542038B2 (ja) 一括操作スイッチ付き節電リモコンコンセントの基本ユニット、節電リモコンコンセントの増設ユニット、及び節電用設備機器
US7394632B2 (en) Line interface module
ATE99461T1 (de) Schaltschrank fuer elektrische anlagen.
KR100370106B1 (ko)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CN219833433U (zh) 一种微机控制直流装置
JP2003068379A (ja) 時間帯別電灯契約用端子台の端子配置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FI102022B (fi) Kytkentäväline
SE9003734L (sv) Anordning foer till- och fraanslagsstyrning av foerbrukarstaelle eller -grupp i befintlig gruppcentral hos elabonnenter
JP2007179862A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KR200166586Y1 (ko) 전원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플러그
KR19980028648U (ko) 전원코드
JPH08305468A (ja) 電子機器の配電装置
KR200284100Y1 (ko)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설치할 수 있는 소켓형어댑터장치
KR200270824Y1 (ko)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KR200285381Y1 (ko) 멀티탭이 구비된 어댑터
KR200363589Y1 (ko) 배선용 차단기반
JP4157273B2 (ja) 安全回路
KR200199639Y1 (ko)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 코드 스위치
GB2385215A (en) Socket adaptor with branching sp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