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574Y1 - 식생 호안용 블록 - Google Patents

식생 호안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574Y1
KR200219574Y1 KR2020000032671U KR20000032671U KR200219574Y1 KR 200219574 Y1 KR200219574 Y1 KR 200219574Y1 KR 2020000032671 U KR2020000032671 U KR 2020000032671U KR 20000032671 U KR20000032671 U KR 20000032671U KR 200219574 Y1 KR200219574 Y1 KR 200219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rous concrete
vegetation
concrete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김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환 filed Critical 김달환
Priority to KR2020000032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574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수성(透水性)과 투기성(投氣性)이 높은 다공질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일체 성형에 의하여 성형블록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강둑이나 하천의 언덕 및 사방용 댐 등에 설치하였을 때, 오염된 하천수가 다공질 콘크리트내의 공극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연정화되고, 또한 식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다공질콘크리트 속으로 침투하여 식생함에 따라서, 오염 하천수를 정화하는 기능은 물론 식물의 식생을 돕는 환경 친화적인 식생 호안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공극률이 높은 투수성과 투기성이 있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재질로 하여 구형 또는 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호안형성형블록(100)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며, 호안형성형블록(100)에는 다공질콘크리트부(10)와 일반콘크리트부(20)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식생 호안용 블록{A block for vegetal shore protection}
본 고안은 하천이나 강둑 등에 호안용으로 설치하는 호안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투수성(透水性)과 투기성(投氣性)이 높은 다공질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일체 성형에 의하여 성형블록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강둑이나 하천의 언덕 및 사방용 댐 등에 설치하였을 때, 오염된 하천수가 다공질 콘크리트내의 공극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연정화되고, 또한 식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다공질콘크리트 속으로 침투하여 식생함에 따라서, 오염수를 정화하는 기능은 물론 식물의 식생을 돕은 환경 친화적인 식생 호안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호안용블록은, 대부분 일반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하천이나 강둑 등에 호안용으로 설치하게 되면, 투수성과 통기성이 전혀 갖추어져 있지 아니하여, 오염된 하천수의 자연정화는 물론 집합적 식물의 식생을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예를들면 하천에 분포되어 있는 자연석(호박돌)을 이용하는 것이 도 7a,b 및 도 8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려져 있다.
즉, 도 7a,b의 경우에는 자연석(1)에 구멍(2)을 내어 이 구멍(2)에 일정길이의 철선(3)을 집어넣은 후, 에폭시몰탈을 충전시키어 철선(3)이 자연석(1)에 접착고정되도록 하고, 다른 끝단에는 고리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유지용철판(Stop pannel)(4)이 고정되도록 하여,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연석(1)들을 옹벽형으로 쌓아 올리면서 잡석(5)들이 채워지게 하여 옹벽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8a,b,c의 경우에는 자연석(1)에 구멍(2)을 천공하고 이 구멍(2)에 볼트(6)를 넣은 후, 역시 에폭시몰탈을 충전시키어 볼트(6)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이 볼트(6)에 철망(3)이 너트(7) 등의 조임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도 8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안블록용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자연석을 이용하여 옹벽형으로 쌓거나, 호안블록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자연석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자연을 훼손하게 되고, 또 채집의 허가 및 채집하는 과정 및 채집된 자연석을 운반하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의 비용이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자연석의 채집 등이 불가능하여 해결방안이 없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안용 블록을 다공질 콘크리트로 성형되도록 하여 블록의 형상을 원형 또는 각형 등으로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의 설치지역의 특성에 맞게 의암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음에 따라서, 호안용 블록의 생산 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다공질의 콘크리트로 의암을 제작하되 설치지역별로 색깔에 어울릴 수 있도록 안료를 사용하여 각 지역에 흔히 있는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공질 콘크리트의 공극들은 특유의 특성인 미생물과 유기물이 흡착되어 성장함에 따라서 하천수의 미생물의 성장에도 도움을 주어서 하천의 부유물 등을 분해처리하고 각종 초화류가 붙어서 성장함으로써, 하천의 자연정화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공극들은 식물의 뿌리가 그 공극속으로 뻗어 들어가서 성장할 수 있는 등의 식물의 식생을 돕은 환경 친화적인 식생 호안용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공극률이 높은 투수성과 투기성이 있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재질로 하여 구형 또는 각형으로 호안형성형블록이 성형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안형성형블록에는 다공질콘크리트부와 일반콘크리트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일체의 구조물로 성형되며, 상기 다공질콘크리트부에는 미생물의 성장에도 도움을 주며, 또한 식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다공질콘크리트 속으로 침투하여 식생함에 따라서, 오염수를 정화하는 기능 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식생 호안용 볼형(球形) 블록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식생 호안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a,b,c는 본 고안의 식생 호안용 블록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a,b는 본 고안의 식생 호안용 블록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식생 호안용 블록의 설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식생 호안용 블록에 식물이 뿌리를 내려 식생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b는 종래의 구형 자연석을 옹벽형으로 쌓은 예시도와 구형블록의 설치단면도,
도 8a,b,c는 종래의 구형 자연석을 호안블록용으로 쌓기 위한 단면, 설치예시 단면 및 설치 예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공질콘크리트부 11 : 요홈 12 : 연결고리
13 : 사각격자형홈 14,14' : 맞춤요철 15 : 격자틀
16 : 호박형돌기 20 : 일반콘크리트부 17 : 볼트연결구멍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극률이 높은 투수성과 투기성이 있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재질로 하여 구형 또는 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호안형성형블록(100)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가능하다.
우선 보통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및 물 둥을 혼합하여 콘크리트내부에 공극을 최소화하여 강도를 발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본 고안의 다공질 콘크리트는 소요의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콘크리트 속의 공극률을 최대한 높여 그 공극속으로 오염하천수를 통과시켜 자연정화시키거나 또는 식물의 뿌리가 콘크리트속으로 들어가면서 성장할 수 있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의 경우에는 다공질 콘크리트 재질의 구형상으로 성형한 호안형성형블록(100)을 나타낸 것으로 그의 내부에는 철선(도시생략)을 끼워넣어 호안형성형블록(100)들간을 서로 연결하여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천바닥의 세굴방지 및 수질정화용 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본 고안의 호안형성형블록(100)을 도 7a,b를 기초로 설명하면, 다공질콘크리트를 성형한 자연석형태의 구형블록(1), 이음부(2), 연결철선(3), 유지용철판(4)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별 자연석 색상에 따라 안료를 사용하여 자연과 조화롭게 성형하고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터 쌓아올리면서 뒷채움 부분을 잡석 깬돌 등으로 다져 올라 감으로써, 구형 블록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안정된 옹벽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a,b,c의 경우에는 다공질 콘크리트로 성형한 자연석 형태의 구형블록(1), 이음부(2), 철망(3), 연결구(6) 및 너트(7)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형블록을 성형한 후, 철망에 고정시켜 하천법면에 깔고 철망과 철망을 연결시키면 일체화되고 안정된 식생법면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호안형성형블록(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호안형성형블록(1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의 요홈(11)이 다수 가로질러 성형되어 있다. 이 요홈(11)들은 예를들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디 등의 식물이 식생하여 호안형성형블록(100)내의 공극속으로 뿌리를 내려 자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안형성형블록(100)의 사방의 모퉁이에는 연결고리(12)가 형성되어 도 5와 같이 법면 등에 호안형성형블록(100)들을 설치할 때, 호안형성형블록(100)의 상호간을 서로 연결하여 유동없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호안형성형블록(100)들은 전체가 다공질의 콘크리트로 성형되어 있으나, 구조적 강도를 요하는 경우에는 일부 일반콘크리트를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 도 3a,b,c는 각형의 호안형성형블록(100)으로써, 상면에 4개의 사각격자형홈(13)또는 삼각형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측면에는 이웃되는 호안형성형블록(100)과의 서로 맞물림 조립할 수 있는 맞춤요철(14),(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안형성형블록(100)은 시트부는 다공질콘크리트 재질의 다공질콘크리트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격자형홈(13)을 구획하는 격자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격자틀(15)에는 그의 둘레면에 볼트연결구멍(17)들이 뚫려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호안형성형블록(100)들을 서로 볼트,너트(도시생략)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자틀(15)은 일반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일반콘크리트부(2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호안형성형블록(100)의 다공질콘크리트부(10)와 일반콘크리트부(20)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다공질콘크리트부(10)와 일반콘크리트부(20)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별도로 다공질콘크리트부(10) 또는 일반콘크리트부(20)의 어느 한쪽을 미리 성형한 후, 일체로 성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4a,b의 경우에는 판형상의 호안형성형블록(100)의 상면에 호박형돌기(16)가 형성되고, 시트부는 평명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사방의 모퉁이에는 연결고리(12)가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에서 법면 등에 호안형성형블록(100)들을 설치할 때, 호안형성형블록(100)의 상호간을 서로 연결하여 유동없이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안형성형블록(100)전체를 다공질콘크리트 재질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공질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로 분리 성형하여 일체로 성형하여도 된다.
역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디 등의 식물이 식생하여 호안형성형블록(100)내의 공극속으로 뿌리를 내려 자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호안용 블록을 다공질 콘크리트로 성형되도록 하여 블록의 형상을 원형 또는 각형 구형등으로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의 설치지역의 특성에 맞게 의암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또한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음에 따라서, 호안용 블록의 생산 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다공질의 콘크리트로 의암을 제작하되 설치지역별로 색깔에 어울릴 수 있도록 안료를 사용하여 각 지역에 흔히 있는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다공질 콘크리트의 공극들은 특유의 특성인 미생물의 유기물이 흡착되어 성장함에 따라서 하천수의 미생물의 성장에도 도움을 주어서 하천의 부유물 등을 분해처리하고 각종 초화류가 붙어서 성장함으로써, 하천의 자연정화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공극들은 식물의 뿌리가 그 공극속으로 뻗어 들어가서 성장할 수 있는 등의 수중, 수변식물의 식생을 돕은 환경 친화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공극률이 높은 투수성과 투기성이 있는 다공질 콘크리트의 재질로 하여 구형 또는 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호안형성형블록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호안형성형블록에는 다공질콘크리트부와 일반콘크리트부가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블록.
KR2020000032671U 2000-11-22 2000-11-22 식생 호안용 블록 KR200219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71U KR200219574Y1 (ko) 2000-11-22 2000-11-22 식생 호안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71U KR200219574Y1 (ko) 2000-11-22 2000-11-22 식생 호안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574Y1 true KR200219574Y1 (ko) 2001-04-02

Family

ID=7309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671U KR200219574Y1 (ko) 2000-11-22 2000-11-22 식생 호안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5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96B1 (ko) * 2001-04-21 2004-06-04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자연석을 이용한 호안 법면(法面) 보호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96B1 (ko) * 2001-04-21 2004-06-04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자연석을 이용한 호안 법면(法面) 보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7321B (zh) 现浇反滤植生型混凝土生态护坡系统及其施工方法
CN102011379A (zh) 平原感潮河网地区农田排水的污染控制方法
CN106702980B (zh) 防止沟壁土壤流失的农田生态排水沟渠构建方法
CN102086643A (zh) 一种用于阻截河道岸带污染物入河与修复植被群落的生态工程技术
CN107268520B (zh) 一种直立河道护坡的斜坡化修复方法
KR200219574Y1 (ko) 식생 호안용 블록
KR100503878B1 (ko)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하천 호안 시공방법
KR100920400B1 (ko) 수질정화용 식생호안블록
KR100664993B1 (ko) 호안블럭
KR20100136595A (ko) 바이오 육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육각 블록 옹벽
JP3734186B2 (ja) 河川浄化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河川の浄化方法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CN104234020A (zh) 平原感潮河网地区农田排水的污染控制方法
KR200303587Y1 (ko) 다공질 망태블록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168465Y1 (ko) 호환성콘크리트블럭
KR200358532Y1 (ko) 호안블록
CN213358503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自然型岸坡防护结构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JP2003090022A (ja) 河川用護岸ブロック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100532824B1 (ko) 다공성 투수 콘크리트를 이용한 환경친화적인 경사면구축체 및 이의 구축방법
KR100376947B1 (ko)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콘크리트 수로 및 그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