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505Y1 - 총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총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505Y1
KR200219505Y1 KR2020000030620U KR20000030620U KR200219505Y1 KR 200219505 Y1 KR200219505 Y1 KR 200219505Y1 KR 2020000030620 U KR2020000030620 U KR 2020000030620U KR 20000030620 U KR20000030620 U KR 20000030620U KR 200219505 Y1 KR200219505 Y1 KR 20021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trigger
slide bar
firearm
pis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00030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505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총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총기의 방아쇠울(6) 하단부 후방에 방아쇠울(6)에 대응한 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그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안전장치(20)가 구비되되, 상기 안전장치(20)는 그 양측단에 방아쇠울(6)의 양측단에 밀착되어 안전장치(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유동방지턱(22)과; 상기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일측에 이의 회전은 방지되면서 이동은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방아쇠(4)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그 양단부에는 스토퍼(40,42)가 구비된 슬라이드바(32)와; 상기 슬라이드바(32)의 일측에 슬라이드바(32)의 이동에 따라 방아쇠(4)가 통과되거나 또는 그 일단부에 걸림되도록 단차져 형성된 요부(36)와; 상기 안전장치(20)와 접하는 슬라이드바(32)의 외주면 일측에 슬라이드바(32)가 안전장치(20)상에서 임의적으로 이동됨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슬라이드바(32)에 절도감을 제공하도록 탄성적으로 구비된 볼부재(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오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장치(2)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총기사용시의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총기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Gun}
본 고안은 총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총에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총기 오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총기의 긴급사용시 안전장치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이의 대응력이 향상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총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는 총신 및 그 전체적인 길이, 크기가 큰 장총과, 총신 및 그 길이가 짧고 휴대가 간편한 권총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총기에는 통상적으로 격발을 제어하도록 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주로 장총과 같은 총기류에는 안전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권총과 같은 총기류에는 안전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는 권총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안전장치와 권총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총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권총(2)의 하단부 일측에는 격발을 위한 방아쇠(4)가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방아쇠(4)의 하단부에는 방아쇠(4)가 회전되면서 그리는 궤적에 따라 형성된 방아쇠울(6)이 권총(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권총(2)의 방아쇠(4) 후방과 방아쇠울(6) 사이에는 권총(2)의 격발을 제어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안전장치(10)가 끼워져 압입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한 안전장치(10)는 방아쇠(4) 후면과 방아쇠울(6) 사이의 공간부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방아쇠(4)의 후방과 방아쇠울(6)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압입되도록 된 요홈(12)이 그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안전장치(10)의 일측에는 방아쇠울(6)에 끼워져 안전장치(10)가 방아쇠울(6)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리(1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안전장치(10)는 권총(2)의 비사용시에는 안전장치(10)가 그 전면의 요홈(12)을 통해서 방아쇠(4) 후면과 방아쇠울(6)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압입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후, 상기한 권총(2)의 사용시는 방아쇠(4)의 후면과 방아쇠울(6) 사이에 끼워져 압입된 안전장치(10)의 일면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내어 방아쇠(4) 후면과 방아쇠울(6) 사이로부터 빼내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안전장치(10)는 고리(14)에 의해서 방아쇠울(6)에 걸림되어 메달려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한 권총(2)은 격발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치(10)는 권총(2)의 사용시, 방아쇠(4)의 후면과 방아쇠울(6) 사이에 구비된 안전장치(10)를 일정한 힘으로 밀어내어 빼낸 후, 사용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안전장치(10)는 그 전면의 요홈(12)이 방아쇠(4)의 후면과 방아쇠울(6)에 끼워져 압입된 상태이므로 안전장치(10)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한 상황에서의 권총(2)의 신속한 사용이 매우 어렵게 되어 이의 대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10)의 장,탈착은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안전장치(10)의 요홈(12) 양단부가 스틸재로 이루어진 권총(2)의 방아쇠(4)와 방아쇠울(6)에 잦은 마찰로 인해 마모되어 안전장치(10)를 권총(2)에 구비할 때, 안전장치(10)와 권총(2)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권총(2)상에 안전장치(10)를 견고하게 구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10)의 마모로 인해 안전장치(10)를 일정기간동안 사용한 후에는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에 따라 비용 및 예산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총기의 방아쇠울에 방아쇠의 격발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스틸재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주므로써 오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장치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권총의 긴급사용시 이의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및 예산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총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총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총기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총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총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도 5a는 안전장치가 잠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안전장치가 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권총 4: 방아쇠
6: 방아쇠울 10: 안전장치
12: 요홈 14: 고리
20: 안전장치 22: 유동방지턱
24,26: 고정공 28: 볼트
30: 키홈 32: 슬라이드바
34: 돌출부 36: 요부
38: 볼부재 40,42: 스토퍼
40a,42a: 표시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총기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방아쇠울 하단부 후방에 방아쇠울에 대응한 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그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안전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안전장치는 그 양측단에 방아쇠울의 양측단에 밀착되어 안전장치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유동방지턱과; 상기 안전장치의 유동방지턱 일측에 이의 회전은 방지되면서 이동은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방아쇠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그 양단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측에 슬라이드바의 이동에 따라 방아쇠가 통과되거나 또는 그 일단부에 걸림되도록 단차져 형성된 요부와; 상기 안전장치와 접하는 슬라이드바의 외주면 일측에 슬라이드바가 안전장치상에서 임의적으로 이동됨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슬라이드바에 절도감을 제공하도록 탄성적으로 구비된 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총기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총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총기를 정면에서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도 5a는 안전장치가 잠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안전장치가 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총기는 권총(2)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20)는 권총(2)과 동일한 재질의 스틸재로 이루어져 권총(2)의 격발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안전장치(20)는 방아쇠울(6)의 하단 후방에 구비되고, 방아쇠울(6)에 대응한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그 양측단에는 방아쇠울(6)의 양측단에 밀착되어 접하도록 된 유동방지턱(22)이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권총(2)의 방아쇠울(6) 상에서 안전장치(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양끝단에는 고정공(24,26)이 관통형성되며, 이 고정공(24,2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안전장치(20)의 양끝단에 관통형성된 고정공(24,26)에는 볼트(28)가 체결되되, 이 볼트(28)는 고정공(24,26)에 체결되어 그 단부의 외주면이 방아쇠울(6)의 상면에 접하여 방아쇠울(6)에 걸림된 상태로서, 안전장치(20)를 방아쇠울(6)에 장착.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전장치(20)를 방아쇠울(6)에 고정.구비시키는 볼트(28)는 방아쇠(4)의 작동시 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안전장치(20)의 고정공(24,26)에 체결되어 방아쇠울(6)의 상면에 그 외주면이 접하도록 된 볼트(28)를 방아쇠울(6)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체결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일측에는 슬라이드바(32)가 삽입되어 구비되되, 이 슬라이드바(32)는 방아쇠(4) 후단부에 위치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슬라이드바(32)는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의 회전은 방지되면서 좌우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 상기한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양측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키홈(30)이 형성되고, 이 키홈(30)에 대응한 슬라이드바(32)의 양단부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키홈(3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바(32)는 항상 정위치로 장착되고, 또한 슬라이드바(32)의 이동시에는 키홈(30)에 삽입된 슬라이드바(32)의 돌출부(34)가 키홈(30)에 의해 가이드되므로써 이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안전장치(20)의 키홈(30)에 삽입되어 구비된 슬라이드바(32)는 그 일측면에 단차진 요부(36)가 형성되는 바, 상기한 요부(36)는 슬라이드바(32)의 이동에 따라 방아쇠(4)를 통과시키거나 또는 그 일단부에 걸림되도록 방아쇠(4)의 폭에 대응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안전장치(20)의 키홈(30)에 삽입되어 위치된 슬라이드바(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슬라이드바(32)의 임의적인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슬라이드바(32)에 절도감을 제공하도록 된 볼부재(38)가 탄성적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볼부재(38)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드바(32)의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이 탄성수단에 의해 볼부재(38)가 항상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드바(32)의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40,42)가 형성되되, 일측의 스토퍼(40)는 슬라이드바(3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의 스토퍼(42)는 슬라이드바(32)와 별도로 형성되어 슬라이드바(32)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스토퍼(40,42)에는 각각 안전장치(20)의 잠금 및 해제를 나타내는 문자 등의 표시부(40a,4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표시부(40a,42a)는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총기용 안전장치는 권총(2)의 방아쇠울(6) 하단 후방에 구비되어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양단에 형성된 고정공(24,26)에 볼트(28)를 삽입.체결하여 볼트(28)의 단부 외주면이 방아쇠울(6)의 상면에 접하게 되므로써 안전장치(20)가 권총(2)의 방아쇠울(6)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된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일측 양단에 형성된 키홈(30)에 슬라이드바(32)의 돌출부(34)를 일치시킨 후, 슬라이드바(32) 일단의 스토퍼(40)가 유동방지턱(22)에 완전히 면접촉될 때까지 밀어넣어 삽입시킨다.
이후, 상기한 슬라이드바(32)의 타단에 별도로 구비된 스토퍼(42)를 나사 결합하여 구비시키면, 상기한 슬라이드바(32)는 그 일측면에 단차져 형성된 요부(36)가 방아쇠(4)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안전장치(20)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전장치(20)가 구비된 권총(2)의 사용시는, 안전장치(20)의 슬라이드바(32) 일단의 스토퍼(40) 즉, '해제'라는 표시부(40a)가 형성된 스토퍼(40)를 유동방지턱(22)에 접할 때까지 완전히 누르면, 슬라이드바(32)가 안전장치(20)상에서 일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슬라이드바(32)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유동방지턱(22)의 고정공(24,26)에 접하여 있던 볼부재(38)가 고정공(24,26)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딸깍'하는 탁음을 내어 슬라이드바(32)가 완전히 이동되었음을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된 슬라이드바(32)상의 요부(36)의 중심은 안전장치(2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권총(2)의 격발시, 방아쇠(4)가 안전장치(20)의 슬라이드바(32)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되어 격발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권총(2)의 비사용시에는 총기 오발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20)를 잠그게 되는 바, 상기한 슬라이드바(32) 타단의 스토퍼(42) 즉, '잠금'이라는 표시부(42a)가 형성된 스토퍼(42)를 유동방지턱(22)에 접할 때까지 완전히 누르면, 슬라이드바(32)가 안전장치(20)상에서 전술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슬라이드바(32)상의 볼부재(38)는 다시 유동방지턱(22)의 고정공(24,26)내로 '딸깍'하는 탁음을 내며 삽입된다.
그리고, 이때 슬라이드바(32)상의 요부(36)의 중심은 안전장치(20)의 중심선상에서 일측의 유동방지턱(22)측으로 이동되어 편심된 상태가 되고, 권총(2)의 방아쇠(4)는 요부(36) 일단의 단턱부에 걸림되어 격발이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안전장치(20)는 총기 오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총기의 사용시, 안전장치(20)의 조작이 간편하여 이의 대응력이 향상되고, 또한 상기한 안전장치(2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및 예산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총기용 안전장치는 오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장치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총기의 긴급사용시 이의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및 예산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총기용 안전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총기의 방아쇠울(6) 하단부 후방에 방아쇠울(6)에 대응한 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그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안전장치(20)가 구비되되,
    상기 안전장치(20)는 그 양측단에 방아쇠울(6)의 양측단에 밀착되어 안전장치(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유동방지턱(22)과;
    상기 안전장치(20)의 유동방지턱(22) 일측에 이의 회전은 방지되면서 이동은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방아쇠(4)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그 양단부에는 스토퍼(40,42)가 구비된 슬라이드바(32)와;
    상기 슬라이드바(32)의 일측에 슬라이드바(32)의 이동에 따라 방아쇠(4)가 통과되거나 또는 그 일단부에 걸림되도록 단차져 형성된 요부(36)와;
    상기 안전장치(20)와 접하는 슬라이드바(32)의 외주면 일측에 슬라이드바(32)가 안전장치(20)상에서 임의적으로 이동됨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슬라이드바(32)에 절도감을 제공하도록 탄성적으로 구비된 볼부재(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안전장치.
KR2020000030620U 2000-11-02 2000-11-02 총기용 안전장치 KR200219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20U KR200219505Y1 (ko) 2000-11-02 2000-11-02 총기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20U KR200219505Y1 (ko) 2000-11-02 2000-11-02 총기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505Y1 true KR200219505Y1 (ko) 2001-04-02

Family

ID=7305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20U KR200219505Y1 (ko) 2000-11-02 2000-11-02 총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804B1 (ko) 2017-10-31 2018-12-07 조예자 오락실용 페인트 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804B1 (ko) 2017-10-31 2018-12-07 조예자 오락실용 페인트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581B1 (en) Holster for a firearm
US3553877A (en) Safety lock for firearms
US7685757B2 (en) Rifle
US3669325A (en) Quick draw holster
US9175925B2 (en) Handgun holster provided with a shutter safety lock
US5241769A (en) Safety locking devices for tubular magazine firearms
US5581927A (en) Firearm with safety device
US20060226185A1 (en) Holster for a handgun
US6889459B1 (en) Model 1911 type firearm safety lock
US5815973A (en) Compact pistol
US4261127A (en) Safety lock for firearms
US6629379B1 (en) Trigger lock
US2994981A (en) Hammer safety lock for firearms
US4658529A (en) Firing pin safety mechanism
US5910003A (en) Locking device for guns
US6055759A (en) Trigger lock
US6578884B2 (en) Latch assembly adapted to be mounted on a recessed door of a cabinet for closing the same
WO1996000372A1 (en) Gun's trigger locking mechanism
US5335437A (en) Gun hammer
US5548915A (en) Universal firearm disabling and alarm system
US5535537A (en) Firearm safeguard device
KR200219505Y1 (ko) 총기용 안전장치
CA2440428A1 (en) Trigger device for a rapid-firing portable firearm
US6591532B1 (en) Gun ejection port lock
US4989357A (en) Muzzleloader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