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364Y1 -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 Google Patents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364Y1
KR200219364Y1 KR2020000015874U KR20000015874U KR200219364Y1 KR 200219364 Y1 KR200219364 Y1 KR 200219364Y1 KR 2020000015874 U KR2020000015874 U KR 2020000015874U KR 20000015874 U KR20000015874 U KR 20000015874U KR 200219364 Y1 KR200219364 Y1 KR 200219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stand
heating element
evapor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엠아이코리아
김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엠아이코리아, 김종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엠아이코리아
Priority to KR2020000015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364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연향유의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 향유를 사용하는 방법은 약 40여가지가 있습니다만 실제로 생활에 쓰이는 향유의 종류는 약90여가지 이고 질병별 증상의 강약, 향기의 강약, 사용방법의 효과 정도에 따라 각각 방법이 다르며 향유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향유의 향기를 직접 흡입하는 방법, 공기 중에 증발시켜 코로 흡입하는 방법, 입으로 먹는 방법, 목욕물에 타는 방법, 마사지하는 방법, 피부에 직접 바르는 방법, 주사 법 등으로 분류되며 이중 본 고안은 공기 중에 증발 시켜 코로 흡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 하단 부에 천연 향유를 내장하고 여기에 발열체 을 설치하여 향을 증발시키고 발열체에 전원이 공급될 때 발광 다이오드에 점등이 되도록 하고 이때 증발된 향유가 증기로 변하여 스탠드 전등 바로 밑 부분의 향 발산 구로 나올 때 스탠드 전등의 자체 열로 인하여 스탠드 갓 내에서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이 대류현상을 활용 향기를 빠른 속도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탠드이다.

Description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본 고안은 천연향유의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 향유를 사용하는 방법은 약 40여가지가 있습니다만 질병별 증상의 강약, 향기의 강약, 사용방법의 효과 정도에 따라 각각 방법이 다르며 향유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향유의 향기를 직접 흡입하는 방법, 공기 중에 증발시켜 코로 흡입하는 방법, 입으로 먹는 방법, 목욕물에 타는 방법, 마사지하는 방법, 피부에 직접 바르는 방법, 주사 법 등으로 분류되며 이중 본 고안은 공기 중에 증발 시켜 코로 흡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 하단 부에 천연 향유를 내장하고 여기에 발열체 을 설치하여 향을 증발시키고 발열체에 전원이 공급될 때 발광 다이오드에 점등이 되도록 하고 이때 증발된 향유가 증기로 변하여 스탠드 전등 바로 밑 부분의 향 발산 구로 나올 때 스탠드 전등의 자체 열로 인하여 스탠드 갓 내에서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이 대류현상을 활용 향기를 빠른 속도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탠드이다.
종래의 향 증발 방법은 도자기 향 증발기 유리 향 증발기가 있으며 기타 방법으로 전기증발접시, 재떨이 등을 이용하여 양초/ 알코올 램프 등으로 증발시키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증발된 향을 확산시키는 방법은 부채, 선풍기 등을 활용하고 있으며 몇 일 이상 사용하지 못하고 그때그때 마다 향을 번거롭게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단순한 스탠드만의 기능에서 벗어나 향유를 일정량(15일분에서 45일분)을 내장하고 발열체로 가열하여 향유를 증발시켜 스탠드 전등 열 및 이로 인한 공기의 대류 현상을 활용하여 향기를 신속히 확산시켜 발열체에 의한 증발 향기의 입자를 더욱 미세하게 다시 증발시켜 확산시키므로 향을 부드럽고 느끼게 하며 향유를 사용하는데 종래에 번거롭게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
제2도는 향 증발 구 및 향기 이송튜브 상단 결합 부 위치의 단면도
제3도는 향 내장용 병 / 향기 이송 튜브 및 발광다이오드 의 단면도
제4도는 스탠드 하단 부의 배면도 및 측면도
제5도는 스탠드 밑 덮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6도는 전등, 발열체, 발광다이오드 배선도
제7도는 발열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도로 스탠드 갓 내부에서 전등(3)의 점등으로 공기의 대류(20) 현상이 일어나며 향 증발 구(1)를 통하여 나온 향기가 공기의 대류현상을 따라 전등에 접촉하여 다시 증발되고 공기의 대류 현상(20)을 따라 확산되고 제2도는 이중 파이프 구조로 발열체(11)에 의하여 증발된 향기가 향기 이송튜브(6)를 통하여 올라온 향기의 입자 중 작은 입자는 향 증발 구(1)를 통하여 발산되고 큰 입자는 이중 파이프 내부의 하단 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등(3)의 열로 인하여 다시금 미세한 입자로 향 증발 구(1)로 발산되게 하며 제3도는 향유 내장용 병(유리/금속)(10)에 내장된 향유가 발열체(11)의 열로 인하여 증발된 향기가 향기 배출구(8)를 통하여 향기 이송튜브(6)를 통하여 향기가 증발되며 향기 이송튜브 턱(18)은 향기 이송튜브 걸림 구(4)에 걸리게끔 턱을 두고 향유 내장용 (10)병의 뚜껑(7)은 향유 재충전 시 쉽게 충전 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병 뚜껑 디자인으로 되어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9)는 발열체(11)에 전기가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4도는 스탠드 배면 부의 향유 내장용 병(10) 및 고정기구(18), 발열체(11), 발광 다이오드(9), 향기 이송용 튜브의 이송 파이프(16)의 하단 입구(15)이며 전기 공급 시 발광 다이오드(9)가 점등되고 발열체(11)가 가열되며 향유 내장용 병에서 향유가 증발하여 이송파이프 하단 입구(15)를 통하여 향기가 이송된다. 제5도는 스탠드 하부덮개(14)로 체결용 나사 구멍(12)이 3개 가공되어 있으며 향유 내장용 병(10)에 내장된 향유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향유량 확인 구(13)로 향 유량 을 확인할 수 있다. 제6도는 발광다이오드(9), 발열체(11), 전등(3)의 전기 결선 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7도는 발열체(11)의 사시도로 발열체(11)의 체결을 위해 체결 구(17)를 활용하여 발열체(11)를 고정 할 수 있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탠드 하단 부에 일정량의 천연 향유를 내장하고 여기에 발열체 을 설치하여 향을 증발시키고 발열체에 전원이 공급될 때 발광 다이오드에 점등이 되도록 하고 이때 증발된 향유가 증기로 변하여 스탠드 전등 바로 밑 부분의 향 발산 구로 나올 때 스탠드 전등의 자체 열로 인하여 스탠드 갓 내에서 공기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이 대류현상을 활용 향기를 빠른 속도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도자기 향 증발기, 유리 향 증발기, 전기증발접시, 재떨이 등을 이용하여 양초/ 알코올 램프 등으로 증발시키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증발된 향을 확산시키는 방법이 부채, 선풍기 등을 활용하고 몇 일 이상 사용하지 못하며 그때그때 마다 향을 번거롭게 사용하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향유를 일정량(15일분에서 45일분)을 내장하고 발열체로 가열하여 향유를 증발시켜 스탠드 전등의 열 및 이로 인한 공기의 대류 현상을 활용하여 향기를 신속히 확산시켜 발열체에 의한 증발 향기의 입자를 더욱 미세하게 다시 증발시켜 확산시키므로 향을 부드럽게 느끼게 하며 향유를 유익하게 사용하게 되어 종래에 불편함이 해소되는 것이다.

Claims (3)

  1. 스탠드 갓 내부에 전등(3)의 점등으로 공기의 대류(20) 현상이 일어나며 향 증발구(1)를 통하여 나온 향기가 공기의 대류 현상을 따라 전등에 접촉하여 다시 증발되고 공기의 대류 현상(20)을 따라 확산되고 발열체(11)에 의하여 증발된 향기가 향기 이송튜브(6)를 통하여 올라온 향기의 입자중 작은 입자는 향 증발구(1)를 통하여 발산되고 큰 입자는 이중 파이프 내부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하여 전등(3)의 열로 인하여 다시금 미세한 입자로 향 증발구(1)로 발산되게 하며 향유 내장용 병(유리/금속 포함)(10)에 내장된 향유가 발열체(11)의 열로 인하여 증발된 향기가 향기 배출구(8)를 통하여 향기 이송 튜브(6)로 향기가 증발되며 향기 이송 튜브 턱(18)은 향기 이송튜브 걸림구(4)에 걸리게끔 턱을 두고 향유 내장용 병(10)의 뚜껑(7)은 향유 재충전 시 쉽게 충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9)는 발열체(11)에 전기가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향유 내장용 병(10)에 내장된 향유의 양을 확인 할 수 향 유량 확인구(13)를 가지고 있는 스탠드.
  2. 제1항에서 이중파이프는 내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로 구성되며 내부 파이프의 이송튜브 걸림구(4)가 외부 파이프의 향 증발구(1)보다 밑 부분에 위치한 스탠드.
  3. 제1항의 스탠드 갓에서 대류 현상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폐된 스탠드.
KR2020000015874U 2000-06-03 2000-06-03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KR200219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74U KR200219364Y1 (ko) 2000-06-03 2000-06-03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74U KR200219364Y1 (ko) 2000-06-03 2000-06-03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364Y1 true KR200219364Y1 (ko) 2001-04-02

Family

ID=7308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874U KR200219364Y1 (ko) 2000-06-03 2000-06-03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3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291B1 (ko) 2013-09-11 2014-05-02 김석환 Led 발열을 이용한 양초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WO2016199990A1 (ko) * 2015-06-08 2016-12-15 (주) 레판토 터치식 온오프수단을 구비한 캔들워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291B1 (ko) 2013-09-11 2014-05-02 김석환 Led 발열을 이용한 양초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WO2016199990A1 (ko) * 2015-06-08 2016-12-15 (주) 레판토 터치식 온오프수단을 구비한 캔들워머
US10145549B2 (en) 2015-06-08 2018-12-04 Lepanto Co., Ltd Candle warmer having touch type on/off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949B2 (en) Imitation flame air freshener
US7014819B2 (en) Device for vaporizing and diffusing oils
EP2047179B1 (en) Humidifeir with controlled heated scent mechanism
CA2329605C (en) Wick-based liquid emanation system with child-resistant and miniaturization features
US10905787B2 (en) Combination salt lamp and oil diffuser
CN1220526C (zh) 夜灯式空气清新器
US8137630B2 (en) Light-emitting smell-altering aroma dispenser
US5859952A (en) Humidifier with UV anti-contamination provision
US8301019B2 (en) Fragrance emanation system
US20080074864A1 (en) Tornado-Machine - A mist whirl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as an ornamental display of light, as an air humidifier and as an aerosol generator
US20070031298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US20080031784A1 (en) Flameless Candle Incorporating Insect Repellant Diffuser and an Ambient Light Sensor
US20050053368A1 (en) Illuminated air freshener
US20090122516A1 (en) Aroma lamp
US20130265743A1 (en) Lamp Structure
US20100270391A1 (en) Oil lamp with heat conductive element
US20230364293A1 (en) Fragrance diffuser with embodied lighting system
KR200219364Y1 (ko) 아로마 증발 확산 스탠드
US2591818A (en) Vaporizing device
GB2117639A (en) Air freshening devices
US8494351B1 (en) Decorative lighting with scent dispensers
KR20190119380A (ko) 아로마 발향기
KR200200392Y1 (ko) 아로마테라피 (향기치료요법) 훈증기의 기능을 첨부한조명기구
CN205695240U (zh) 一种挥发器
KR200305001Y1 (ko) 발향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