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331Y1 - Cursive Retention Holder - Google Patents

Cursive Retention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331Y1
KR200219331Y1 KR2019980018785U KR19980018785U KR200219331Y1 KR 200219331 Y1 KR200219331 Y1 KR 200219331Y1 KR 2019980018785 U KR2019980018785 U KR 2019980018785U KR 19980018785 U KR19980018785 U KR 19980018785U KR 200219331 Y1 KR200219331 Y1 KR 200219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holder
writing
outer cylinder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7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17387U (en
Inventor
타카히코 스즈키
토미지 우에키
Original Assignee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윤휘정
Publication of KR19990017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3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33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부분 이외에는 묻지 않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윤활제가 쓰인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이 홀더(10)의 외통(11)안에 필심송출기구(12)가 설치되고, 외통(1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a)에 구동조작부재(26)가 설치되어, 이 구동조작부재(26)가 외통(11)안으로 눌려지면 이 구동조작부재(26)의 운동을 필심송출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경사면(16b)이 필심송출기구(12)에 갖춰지도록 된 구조의 홀더에서, 상기 구동조작부재(26) 또는 경사면(16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미끄럼접촉면에 윤활제로서 왁스가 발라져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holder holding holder in which a lubricant is used which can be easily removed even if it is not asked except for the necessary part. The pen core feeding mechanism 12 is installed in the outer cylinder 11 of the holder 10. The drive operation member 26 is provided in the opening part 11a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11, and when this drive operation member 26 is pressed into the outer cylinder 11, the movement of this drive operation member 26 is sent out by a pen core transmission movement. In the holder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6b to be converted into the pen core sending mechanism 12 is provided, wax is applied as a lubricant to at least one of the sliding contact surfaces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or the inclined surface 16b. It is made.

Description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Cursive Retention Holde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이고,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riting suppor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이음부재의 정면도.2 (a) is a front view of the joint member shown in FIG.

제2(b)도는 제2(a)도의 평면도.FIG. 2 (b) is a plan view of FIG. 2 (a).

제3도는 구동조작부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e operating member.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andwriting h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riting-holder h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0, 40 : 홀더 11 : 외통10, 30, 40: holder 11: outer cylinder

11a : 개구부 12 : 필심송출기구11a: opening 12: lead delivery mechanism

16b : 경사면 17, 33 : 왁스막16b: slope 17, 33: wax film

26 : 구동조작부재 26a : 앞끝 안쪽면26: drive operation member 26a: front end inner surface

31 : 본체 32 : 캡31: body 32: cap

42 : 수용용기 46 : 마개42: container 46: stopper

47 : 왁스47: wax

[고안의 목적][Purpose of designation]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esign belongs and the prior art in the field

본 고안은 필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필기체 등을 보유지지하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필기체라 함은 필심이나 잉크, 볼펜용 필심, 크레파스류, 형광펜용 필심과 같이 문자나 그림을 쓰고 그리는 것에 한하지 않고, 고무지우개나 풀, 입술연지ㅡ 아이라이너(eyeliner), 눈썹용 연필 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holding a writing and the like in the writing instrument. Note that handwriting is not limited to writing and drawing letters or drawings, such as lead or ink, pen for pens, crayons, or pens for highlighters, but also rubber erasers, pastes, lipsticks, eyeliners, eyebrow pencils, etc. It includes.

종래의 이러한 필기체를 보유지지하는 홀더에서, 복수의 구성부품이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하게 되는 경우 미끄러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윤활제로서 실리콘오일이나 실리콘그리스가 사용되고 있다.In a holder holding such a writing body in the related art, silicone oil or silicone grease is used as a lubricant for smooth sliding when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relatively slid.

또, 이들 실리콘오일이나 실리콘그리스는 부품의 틈새를 메우는 밀봉제로서도 사용되고 있다.These silicone oils and silicone greases are also used as sealants to fill gaps in components.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Technical Challenges to be Done]

그러나, 이러한 실리콘 오일이나 실리콘그리스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바르는 작업이나 채우는 작업을 할 때 필요부분에만 바르기가 어려워 필요부분 이외에도 묻기가 쉽고, 또 이를 제거하는 데에 약품을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홀더의 표면에 실리콘오일이나 실리콘그리스가 묻으면 그 위에 인쇄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제거해야만 하므로, 그 제거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However, since the silicone oil or silicone grease has a high viscosity, it is difficult to apply only to the necessary part when applying or fill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ask in addition to the necessary part, and a chemical must be used to remove it. For example, if silicon oil or silicon grease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holder, it cannot be printed on it, so it must be removed, which takes a long time.

또한, 실리콘오일이나 실리콘그리스는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되지가 않아 이들이 묻은 부분이 끈적거리기 때문에, 이들이 묻은 부분으로 필심을 통과시킬 수가 없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licone oil or silicone grease is not completely dried at room temperature, and because of their sticky par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pass the core to the parts where they are stuck.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요부분 이외에는 묻지가 않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윤활제가 쓰이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ting holding holder in which a lubricant is used that can be easily removed even if asked.

또, 본 고안은 필요부분 이외에 묻게 되더라도 폐해가 생기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윤활제가 쓰이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to provide a writing holding holder for using a lubricant that does not cause any harm, even if asked in addition to the necessary portion,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고안의 구성][Composition of desig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윤활제로서 왁스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바, 즉 본 고안은 복수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의, 미끄럼이동하게 되는 구성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촉면에 왁스가 발라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use a wax as a lubrica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of the sliding member of the writing holding hold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x is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또, 본 고안은 외통내에 필심송출기구가 설치되고, 외통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구동조작부재가 설치되어, 이 구동조작부재가 외통안으로 눌려질 때 이 구동조작부재의 운동을 필심송출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경사면이 필심송출기구에 갖춰진 측방녹크식 필기구의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작부재 또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미끄럼접촉면에 왁스가 발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n core sending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outer cylinder, a driv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opening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er cylinder, when the drive operating member is pressed into the outer cylinder converts the movement of the drive operating member into the pen core sending motion A writing holding holder for a side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a pen core sending mechanism, wherein wax is applied to a sliding contact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and the inclined surface.

또한, 본 고안은 본체에 대해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해서 탈착될 수 있는 캡을 구비한 필기구 몸체에 있어서, 상기 캠의 안쪽면 또는 본체의 바깥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촉면에 왁스가 발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riting instrument body having a cap that can be removed by sliding free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wax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m or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do.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잉크와 같은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보유지지하는 홀더에 있어서, 이 수용용기의 뒤끝에 장착된 마개와 이 수용용기 사이의 틈새에도 왁스가 메워지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lder holding the container containing liquid such as ink, wax is also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plug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여기서 상기 왁스로는, 일본국 가부시키가이샤 고쇼부(株式會社 辛書房)에서 1983년 9월 10일 초판으로 발행한 단행본 “왁스의 성질의 응용” 1면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형태를 하고 있게 되는 유기물을 말하는 것으로, 천연왁스나 합성왁스 및 이들이 배합된 배합왁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와바왁스, 라이스왁스, 목랍, 호호바유와 같은 식물계 왁스와, 밀랍이나 라노린, 경랍과 같은 동물계 왁스, 몬탄왁스나 오조게라트, 세레신과 같은 광물계 왁스, 파라핀왁스나 미정질왁스, 와셀린 등의 석유왁스, 피셔-트로프쉬왁스나 폴리에틸렌왁스와 같은 합성탄화수소, 몬탄왁스유도체나 파라핀왁스유도체, 미정질왁스유도체와 같은 변성왁스, 경화피마자유나 경화피마자유 유도체와 같은 수소화왁스,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나 스테아린산아미드, 무수프탈산아미드, 염소화탄화수소와 같은 왁스가 1가지 또는 2가지 이상 혼합된 것을 주성분으로 한 것을 말한다.Here, as the wax, solid or at room temperature, as defined in page 1 of the book “Application of the Properties of Wax,” published in the first edition of September 10, 1983 by Koshobu, Japan. It refers to an organic substance that is in a semi-solid form, and it is a concept including natural wax or synthetic wax and compounded wax in which they are blended. Plant waxes, animal waxes such as beeswax, lanolin, spermatozoon, mineral waxes such as montan wax or ozogerat and ceresin, petroleum waxes such as paraffin wax or microcrystalline wax, and petrolatum, fischer-tropic wax or polyethylene wax Modified hydrocarbons such as synthetic hydrocarbons, montan wax derivatives, paraffin wax derivatives, microcrystalline wax derivatives, hardened castor oil or hardened castor oil derivatives Refers to a wax as a main component the same, such as hydrogenated waxes, 12-hydroxystearic acid and stearic acid amide, anhydrous phthalic acid amide, chlorinated hydrocarbons mixed 1 kinds or 2 or more.

상기와 같은 왁스를 미끄럼접촉면에 바르게 되면 실리콘오일이나 실리콘그리스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윤활성능이 얻어지게 된다.When the wax is applied to the sliding contact surface as described above, lubrication performance of silicon oil or silicon grease or the like is obtained.

또,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로 되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인 필기체의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얻을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becomes solid or semi-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is stabl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liquid of the writing which is a liquid can also be obtained.

또한,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기 때문에 바르는 작업과 채우는 작업을 할 때 필요한 부분 이외에는 왁스가 묻을 수가 없게 되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천같은 것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취급하기가 쉽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the wax can not be applied except for parts necessary for applying and filling, and the wax can be easily removed because it can be removed by wiping with a cloth.

그리고, 왁스는 상온에서 100℃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용융왁스를 사용하여 미끄럼접촉면에 바르거나 또는 틈새를 메운 다음 건조시키면 왁스가 도포면에 남게 되고, 또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왁스의 도포면 위를 필심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필심이 막히게 되는 일도 없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is melt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room temperature to 100 ° C., it is applied to the sliding contact surface by using the melted wax or the gap is filled and then dried, and the wax remains on the coated surface and is completely dried at room temperature. Therefore, the core can be smoothly moved on the wax-coated surface, and the core is not block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writing h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인 바, 이 실시예는 필심을 송출함과 더불어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10)를 예로 든 것으로, 이 필기구 몸체(10)는 외통(11)을 구비하고서, 이 외통(11)의 앞끝에는 선단캡(28)이 장착되어 있다.1 to 3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writing h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a writing holding holder 10 for sending out the pen lead and holding the pen lea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writing instrument body 10 includes an outer cylinder 11, and a tip cap 28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cylinder 11.

또, 상기 외통(11)의 내부에는 필심송출기구(12)가 설치되는 바, 이 필심송출기구(12)는 외통(11)의 뒤쪽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연통되는 중심구멍(16c)을 갖춘 이음부재(16)와, 이 이음부재(16)의 앞끝에 연결된 척(18), 이 척(18)의 바깥둘레에 끼워진 척링(20), 이 척링(20)의 뒤끝에 맞닿도록 된 슬리브(22), 이 슬리브(22)의 앞끝과 이음부재(16) 사이에 끼워져 이 이음부재(16)를 매개로 척(18)을 뒤쪽으로 밀어붙이는 척스프링(24) 및, 상기 슬리브(22)의 뒤끝과 외통(11) 내부의 계단부 사이에 끼워진 완충스프링(2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재(16)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직경이 넓어지면서 그 뒤끝에 뒤쪽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17b)을 갖춘 작동부(16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en core feeding mechanism 12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and the pen core sending mechanism 12 has a center hole 16c which communicates with a space formed in the rear of the outer cylinder 11. The member 16, the chuck 18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joint member 16, the chuck ring 20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uck 18, and the sleeve 22 abutting the rear end of the chuck ring 20. ), A chuck spring (24) fitt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leeve (22) and the joint member (16) to push the chuck (18) backward through the joint member (16), and the rear end of the sleeve (22). And a buffer spring 25 fitt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 inside the outer cylinder 11. Here, the operating portion 16a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joint member 16 with the inclined surface 17b inclined toward the rear at the rear end thereof while the diameter thereof is widened.

또, 상기 외통(11)의 측면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a)의 뒤끝에는 구동조작부재(26)가 뒤끝이 고정된 상태로 요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 구동조작부재(26)를 손가락으로 외통(11)의 안쪽으로 누르면, 이 구동조작부재(26)가 요동해서 그 앞끝 안쪽면(26a;제3도 참조)이 상기 작동부(16a)의 경사면(16b)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면서 이 작동부(16a)를 앞쪽으로 전진시키게 됨으로써 척(18)이 전진해서 필심이 일정량씩 송출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opening 11a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1 to correspond to a part held by a finger, and the driving manipulation member 26 can swing at a rear end of the opening 11a with the rear end fixed. When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is pushed inward of the outer cylinder 11 with a finger,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swings so that its front inner surface 26a (see FIG. By advancing this operating part 16a to the front while sli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16b of 16a, the chuck 18 advances and the pen core can be sent out by a predetermined amount.

이와 같이 외통(11)의 측면에 설치된 구동조작부재(26)를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경우, 지나치게 큰 힘이 들지 않도록 구동조작부재(26)와 경사면(16b)이 원활히 미끄러지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들의 미끄럼접촉면에 윤활제를 바를 필요가 있게 되어, 그 윤활제로서 왁스가 사용되게 된다. 왁스는 경사면(16b)이나 구동조작부재(26)의 앞끝 안쪽면(26a) 중 한쪽면에 발려지면 되는 바, 물론 경사면(16b)과 구동조작부재(26)의 앞끝 안쪽면(26a) 양쪽에 발려져도 되고, 또 이음부재(16)의 경사면(16a) 또는 구동조작부재(26)의 앞끝 안쪽면(26a) 뿐만 아니라 이음부재(16)의 전체 또는 구동조작부재(26)의 전체에 발려져도 상관 없다. 도면에서는 경사면(16b)에만 발려진 것이 도시되어 있는 바, 참조번호 17이 왁스막을 나타내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cylinder 11 is operated with a finger,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and the inclined surface 16b should slide smoothly so as not to cause excessive force. It is necessary to apply a lubricant to the sliding contact surface, and wax is used as the lubricant. The wax may be applied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16b or the front end inner surface 26a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Of course, the wax may be applied to both the inclined surface 16b and the front end inner surface 26a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It may be applied, or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inclined surface 16a of the joint member 16 or the front end inner surface 26a of the drive manipulation member 26, but also to the entirety of the joint member 16 or the entire drive manipulation member 26. Does not matter. In the figure, only the inclined surface 16b is shown, and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 wax film.

왁스는 비교적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면서 낮은 용융점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용융왁스를 경사면(16b) 또는 구동조작부재(26)의 미끄럼접촉면에 바른 후 건조시키면 왁스가 도포면에 남게 된다. 그리고 상온에서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되어, 예컨대 필심이 통과하는 이음부재(16)의 중심구멍(16c)부분에 왁스가 묻게 되더라도 그에 의해 필심이 통과할 수 없다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되고, 또 외통(11)의 바깥둘레면과 같은 왁스가 불필요한 부분에 묻을 수도 없으며, 설사 묻는다 하더라도 단지 천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를 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일도 없게 된다.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while having a relatively low melting temperature, when the wax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16b or the sliding contact surface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26 and dried, the wax remains on the coated surface. And at room temperature, it becomes a completely dry state, for example, even if wax gets to the center hole 16c part of the joint member 16 which a pen core passes, it will not be able to pass a pen core by it, and an outer cylinder ( No wax, such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1), can be deposited on unnecessary parts, and even if it is asked, it can be removed simply by wiping with a cloth, thus preventing the printing from becoming impossibl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제1도에 도시된 홀더(10)의 이음부재(16)에 실리콘그리스(상품명 : 도시바 실리콘)와, 왁스(상품명 : NISSIN NIAGAR WAX(닛신세이키(주) 제품), 주성분 : 파라핀왁스와 카르나우바왁스 및 양이온계면활성제)를 각각 바른 것과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것을 대비하는 비교실험을 하였다. 실험에서는 각각 전체길이가 20mm인 구동조작부재(26)를 앞쪽에서 5mm가 되는 곳을 눌러 척링(20)이 척(18)을 개방시켰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였고, 이 측정을 각각 50회씩 행하여 그 최대치와 최저치 및 평균치를 구한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낸 것과 같았다.Silicone grease (trade name: Toshiba Silicone) and wax (trade name: NISSIN NIAGAR WAX (product of Nisshin Seiki Co., Ltd.)), main component: paraffin wax and car on the joint member 16 of the holder 10 shown in FIG. Naubawax and cationic surfactants) were compared with the application of each and nothing. In the experiment, each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s 26 having a total length of 20 mm was pushed to 5 mm from the front, and the load when the chuck ring 20 opened the chuck 18 was measured. The maximum, minimum and average values were as shown in the table below.

[표 1]TABLE 1

표 1에서, 왁스를 바른 경우에는 아무 것도 바르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잘 미끄러져 적은 힘으로도 누를 수가 있었고, 더구나 실리콘그리스에 비해 우수한 윤활성능이 발휘됨을 알 수 있었다.In Table 1, when wax was applied, it was remarkably well slipp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nothing was applied, and it could be pressed with less force. Moreover, it was found that excellent lubrication performance was exhibited compared to silicone grease.

또, 윤활제를 이음부재(16)의 경사면(16b) 뿐만 아니라 이음부재(16)의 전체에다 바르는 경우, 실리콘그리스의 경우에는 이음부재(16)의 중심구멍(16c)에 묻은 실리콘그리스에 의해 필심의 진행이 막히는 일이 있었으나, 왁스의 경우에는 이음부재(16)의 중심구멍(16c)에 묻더라도 필심이 막히는 일이 일체 일어나지 않았다.In addition, when the lubricant is applied not only to the inclined surface 16b of the joint member 16 but also to the entire joint member 16, in the case of silicon grease, it is filled with silicon grease applied to the center hole 16c of the joint member 16. Although the progress of the shim was blocked, in the case of wax, even though the center hole 16c of the joint member 16 was clogged, clogging of the core did not occur at all.

다음에는, 제4도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제2실시예는 아이라이너를 보유지지하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30)를 예로 든 것으로, 이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30)는 본체(31)를 갖추고서, 이 본체(31)내에 필기체인 아이라이너액이 수용되어, 본체(31)의 선단부에 설치된 필기부(31a)로부터 아이라이너액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30)는 본체(31)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러져 탈착될 수 있는 캡(32)을 갖추고 있어서, 이 캡(32)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필기부(31a)를 보호하면서 아이라이너액의 건조를 방지하게 되는 한편, 사용할 때는 캡(32)이 본체(31)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writing holding holder 30 holding the eyeliner is taken as an example. The writing holding holder 30 includes a main body 31, and the writing object is a child in the main body 31. The liner liquid is accommodated so as to supply the eyeliner liquid from the writing portion 31a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main body 31. The writing holding holder 30 is provided with a cap 32 which can be freely slid and detach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1, and protects the writing unit 31a while not being used by the cap 32. While the liner liquid is prevented from drying, the cap 32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1 during use.

그리고, 이 캡(32)의 본체(31)에 대한 탈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이들의 접촉면에 왁스가 발려지게 되는 바, 참조번호 33이 왁스막을 나타내는 것이다. 왁스는 상기 캡(32)의 안쪽면과 본체(31)의 바깥면 중 한쪽의 미끄럼접촉면에 발려지면 되는 바, 물론 캡(32)의 안쪽면과 본체(31)의 바깥면 양쪽의 미끄럼접촉면에 발려져도 된다.Then, wax is applied to these contact surfaces so that the cap 32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31.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a wax film. Wax may be applied to the sliding contact surface of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3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1, of course, the sliding surface of bo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3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1. It may be applied.

따라서, 상기 캡(32)이 본체(31)에 대해 원활히 미끄럼이동하기 때문에 캡(32)의 분리조작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기 때문에 바르는 작업을 할 때 미끄럼접촉하는 부분 이외에는 왁스가 묻을 수 없고, 설사 묻는다 하더라도 천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31)의 표면 또는 캡(32)의 표면에 왁스가 남게 되는 일은 없어 이들 표면에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cap 32 slides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1, the separating operation of the cap 32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the wax cannot be attached except for the part in sliding contact when applying, and even if it is asked, it can be removed simply by wiping with a cloth, so that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31 or the cap 32 can be removed. No wax will remain on the surface, allowing printing on these surfaces.

다음에는, 제5도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제3실시예는 잉크를 사용하는 형식의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40)를 예로 든 것으로, 이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40)는 잉크를 침투시킨 면체(綿體;41)를 수용하는 수용용기(42)와 상기 면체(41)와 연속되는 유도심(43), 볼(44)을 구비한 필기부(45) 및 상기 수용용기(42)의 뒤끝에 장착된 마개(46)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용기(42)와 마개(46) 사이의 틈새에는 왁스(47)가 메워지도록 되어 있어서, 면체(41)로부터 스며나오는 잉크가 수용용기(42)와 마개(46) 사이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로 되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도 견딜수 있게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writing holding holder 40 of the ink type is taken as an example, and the writing holding holder 40 i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facet 41 penetrating ink. 42 and a guide core 43 continuous with the facet 41, a writing unit 45 having a ball 44, and a stopper 46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container 42. It is. Then, the wax 47 is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42 and the stopper 46, so that the ink leaking from the facet 41 leaks out between the container 42 and the stopper 46. It can be prevented, the wax is solid or semi-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stable, so that it can withstand long-term use.

또한,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기 때문에 채우는 작업을 할 때 틈새 이외의 부분에 왁스가 묻을 수 없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천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홀더(40)의 표면에 왁스가 남게 되는 일은 없어 출더(40)의 표면에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the wax cannot adhere to portions other than the gap when filling, and the wax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holder 40 because it can be removed simply by wiping with a cloth. There is no work,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int on the surface of the extractor 40.

[고안의 효과][Effect of desig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구성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미끄럼접촉면에 왁스가 발려짐으로써, 윤활성능이 향상될 수가 있어서 구성부재가 원활히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ax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liding contact surfaces of the relatively sliding members, the lubric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components can be smoothly moved.

또,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기 때문에 바르기 작업을 할 때 미끄럼접촉하는 부분 이외에는 왁스가 묻을 수 없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천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the wax may not be allowed except for the part that is in sliding contact when the wax is applied, and the wax may be removed simply by wiping with a cloth.

또한, 왁스는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되어 끈적거리지 않기 때문에, 왁스의 도포면 위를 필심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필심이 막히는 일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is completely dried at room temperature and is not sticky, the wax can move smoothly on the surface of the wax so that the wax is not clogged.

또,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조작부재가 경사면을 원활히 미끄럼이동하기 때문에 적은 하중으로 구동조작부재를 움직이게 할 수 있어서 손가락으로 간단히 조작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왁스는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되어 끈적거리지 않기 때문에 왁스의 도포면 위를 필심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필심이 막히는 일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slides the inclined surface smoothly, the driving operation member can be moved with a small load so that it can be easily operated by a finger, and the wax is completely dried at room temperature so that it is not sticky. As a result, the core can move smoothly over the surface of the wax so that the core is not blocked.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캡이 본체에 대해 원활히 미끄럼이동하기 때문에, 캡의 분리조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기 때문에 바르는 작업을 할 때에 미끄럼접촉하는 부분 이외에 왁스가 묻을 수 없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천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표면 또는 캡의 표면에 왁스가 남게 되는 일은 없어서 표면에다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p slides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cap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the wax can be attached to the part other than the sliding contact when applying the cap. It can be removed by simply wiping with a cloth even if it is asked, and no wax is left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surface of the cap so that printing can be performed on the surface.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왁스에 의해 액체인 필기체의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로 되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liquid of the writing object which is liquid be leaked by the wax, but also the wax becomes solid or semi-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thus it can withstand long-term use.

또한,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기 때문에 채우는 작업을 할 때에 틈새부분 이외의 부분에 왁스가 묻을 수 없고, 또 묻는다 하더라도 천으로 닦기만 하면 제거될 수 있으므로, 홀더의 표면에 왁스가 남게 되는 일은 없어서 표면에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x has a low melt viscosity, the wax can not be applied to parts other than the gaps when filling, and it can be removed simply by wiping with a cloth even if it is asked.Therefore, wax does not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holder. You can print on.

Claims (3)

복수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져 필기체 등을 보유지지하는 홀더의 구성부품 중,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구성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구성부재의 미끄럼접촉면에 왁스가 발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And a wax is applied to a sliding contact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constituent member that is relatively slid, among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holder holding the stylus and the lik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구성부재가, 외통(11)내에 설치된 필심송출기구(12)를 상기 외통(1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a)에 설치된 구동조작부재(26)를 이용해서, 외통(11)내로 압압함으로써 상기 구동조작부재(26)의 운동이 필심송출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측방녹크식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10)에서의, 상기 구동조작부재(26)와 상기 필심송출기구(12)의 경사면부(16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2. The drive operating member (26)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relatively sliding component member is provided at an opening (11a) formed at a side surface of said outer cylinder (11) with a pen delivery mechanism (12) provided in said outer cylinder (11). In the side knock-type writing-holder holding holder 10, which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motion of the drive operation member 26 into a pen core feeding motion by pressing into the outer cylinder 11, the drive operation member 26 and the The writing hold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6b) of the pen delivery mechanism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구성부재가, 본체(31)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럼이동해서 탈착될 수 있는 캡(32)을 구비한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30)의 본체(31)와 캡(32)으로서, 상기 캡(32)의 안쪽면 또는 상기 본체(31)의 바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미끄럼접촉면에 왁스가 발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보유지지 홀더.2. The main body 31 of the writing holding holder 3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relatively slidable constituent member has a cap 32 that can be freely slid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31; The cap 32 is a writing hold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x is applied to the sliding contact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32) or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
KR2019980018785U 1997-10-13 1998-09-30 Cursive Retention Holder KR200219331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79194 1997-10-13
JP27919485 1997-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7U KR19990017387U (en) 1999-05-25
KR200219331Y1 true KR200219331Y1 (en) 2001-04-02

Family

ID=6951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785U KR200219331Y1 (en) 1997-10-13 1998-09-30 Cursive Retention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33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7U (en)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07806A (en)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
JPH02303896A (en) Writing materials
US11766887B2 (en) Writing instrument
KR200219331Y1 (en) Cursive Retention Holder
MXPA03008989A (en) Applicator.
JP2016078332A (en) Writing instrument
JPH11113630A (en) Holder
JP3923024B2 (en) Fluid applicator
JP2006289904A (en) Fluid applicator
JP4037214B2 (en) Bar-shaped material feeding device
JP2004082707A (en) Ballpoint pen
CN112677677A (en) Marking pen with ink refilling function
JPH0659093U (en) Rod-shaped core extrusion tool
KR20010091787A (en) Safety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KR19980065056U (en) Writing utens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