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923Y1 -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923Y1
KR200218923Y1 KR2020000023615U KR20000023615U KR200218923Y1 KR 200218923 Y1 KR200218923 Y1 KR 200218923Y1 KR 2020000023615 U KR2020000023615 U KR 2020000023615U KR 20000023615 U KR20000023615 U KR 20000023615U KR 200218923 Y1 KR200218923 Y1 KR 200218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앤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앤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앤티테크
Priority to KR2020000023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923Y1/ko

Links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 물을 노즐로서 증기탱크에 강제 분사하여 분사된 물을 비등없이 기화시키므로서 증기발생장치를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열원에 공급되는 에너지의 소모를 극소화시킨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증기발생장치는 급수밸브가 구비된 급수관의 적소에 물을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을 열원 및 증기배출구가 구비된 증기탱크에 연결하되, 상기 급수관과 증기탱크의 사이에 급수된 물을 미세알갱이로 고압 분사할 수 있는 노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기발생장치{Devices for generator steam}
본 고안은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에 의해 가열된 증기탱크에 물을 강제 분사하여 비등없이 기화시키므로서 증기발생장치를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열원에 공급되는 에너지의 소모를 극소화시킨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발생장치(또는 증기보일러)는 난방은 물론이고 사우나, 세탁소 등 증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곳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을 기화시켜 이 기화된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써 종래의 증기보일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증기발생장치는 탱크의 내부에 다수의 수관이 구비되고, 물이 차 있는 수관과 연결되어 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증기탱크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수관의 물을 기화시키기 위한 열원이 증기탱크의 외측, 또는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열원에 의해 기화된 증기를 외부로 공급하는 증기배출관이 증기탱크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된 수관의 내부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고 열원을 이용하여 수관을 가열시키면 가열된 물은 기화되어 수관과 연결된 증기탱크에 증기가 모이게 되며, 열원이 수관을 계속 가열시키게 되면 계속하여 발생되는 새로운 증기에 의해 증기탱크의 내부에 있던 증기는 증기탱크에 연결된 증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증기발생장치는 증기탱크로 물을 직접 공급하여 이 물을 열원으로서 기화시키기 때문에 공급된 소정량의 물을 기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단시간에 증기탱크로 급수된 물을 기화시키고자 하면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에너지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증기탱크내의 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증기탱크내에 열전도관 등 또 다른 부속물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증기발생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다단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 물을 노즐로서 증기탱크에 강제 분사하여 비등없이 기화시키므로서 증기발생장치를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열원에 공급되는 에너지의 소모를 극소화시킨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또 다른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급수밸브 20:급수관
30:급수펌프 40:열원
50:증기배출구 60:증기탱크
70:노즐수단 80:증기배출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급수밸브가 구비된 급수관의 적소에 물을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을 열원 및 증기배출구가 구비된 증기탱크에 연결하되, 상기 급수관과 증기탱크의 사이에 급수된 물을 미세알갱이로 고압 분사할 수 있는 노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개요도이다.
먼저,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급수밸브(10)가 구비된 급수관(20)의 적소에 물을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펌프(30)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20)이 열원(4 0) 및 증기배출구(50)가 구비된 증기탱크(60)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급수관(20)과 증기탱크(60)의 사이에 급수된 물을 미세알갱이로 고압 분사할 수 있는 노즐수단( 7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노즐수단(70)에서의 분사압력이 증기탱크 (60)내의 압력보다 높아야만 물이 증기탱크(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급수관(20)을 통해 급수된 물을 노즐수단(70)으로서 증기탱크(60)에 강제 분사하여 열원(40)에 의해 가열된 증기탱크(60)내의 열기로서 비등없이 직접 기화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적용되는 열원(40)은 도 1과 같이 기름을 원료로 하는 버너일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증기탱크(60) 내에 설치되어지는 전기히터일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80은 증기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된 증기의 출입을 제어하는 증기배출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증기발생장치가 동작하고자 하면, 먼저 열원(40)을 동작시켜 증기탱크(60) 내부가 충분히 가열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급수밸브(1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급수펌프(30)를 동작시켜 외부로 부터 급수된 물이 급수관(20)을 따라 고압으로 강제 급수되도록 하고, 상기 급수관(20)을 통해 강제 공급된 물이 노즐수단(70)에 의해 미세알갱이로 증기탱크(60)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데, 이때 증기탱크(60)의 내부로 분사된 물분자는 증기탱크(60) 내부의 고열에 의해 즉시 기화되며, 이렇게 기화된 증기는 증기배출밸브(80)의 개방에 따라 증기탱크(60) 일측의 증기배출구(50)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급수관(20)을 통해 급수된 물을 노즐수단(70)으로서 증기탱크(60)에 강제 분사하여 비등없이 기화시키므로서 증기발생장치를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열원에 공급되는 에너지의 소모를 극소화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급수밸브가 구비된 급수관의 적소에 물을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을 열원 및 증기배출구가 구비된 증기탱크에 연결하되, 상기 급수관과 증기탱크의 사이에 급수된 물을 미세알갱이로 고압 분사할 수 있는 노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증기발생장치.
KR2020000023615U 2000-08-21 2000-08-21 증기발생장치 KR200218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15U KR200218923Y1 (ko) 2000-08-21 2000-08-21 증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15U KR200218923Y1 (ko) 2000-08-21 2000-08-21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923Y1 true KR200218923Y1 (ko) 2001-04-02

Family

ID=7308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615U KR200218923Y1 (ko) 2000-08-21 2000-08-21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9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37201Y (zh) 一种蒸汽电熨斗
JP2009030963A (ja) スチーム発生装置及びその発生方法
BR9506530A (pt) Dispositivo de aquecimento
WO2006081720A1 (fr) Procede et systeme de generation de vapeur de type sec par atomisation et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KR100651959B1 (ko) 고압 포화 증기 발생 장치
KR200218923Y1 (ko) 증기발생장치
CN201462768U (zh) 瞬间雾化蒸汽炉
KR102311147B1 (ko) 전기 스팀 다리미
KR20020015170A (ko) 증기발생방법 및 그 장치
KR101719206B1 (ko) 인덕션 보일러를 이용한 가열시스템
KR940003747Y1 (ko) 열저장기의 중기액화탱크
KR200241537Y1 (ko) 세탁소용 다리미의 스팀발생용 보일러
KR200261669Y1 (ko) 저.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증기보일러
KR200259750Y1 (ko) 증기 발생 장치
KR200364836Y1 (ko) 스팀발생장치
JPH05294601A (ja) メタノール切替型燃料電池発電装置
US34874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am
CN219229628U (zh) 一种新型蒸汽开水一体机结构
KR20060102867A (ko) 스팀 세차 장치
KR100678177B1 (ko) 순간 증기 발생기
KR20010045377A (ko) 스팀 오일 버너
KR100288912B1 (ko) 순간증기발생기
CN215259720U (zh) 一种高效稳定且体积小的蒸汽发生器
KR100481276B1 (ko) 스팀발생장치
RU2812625C1 (ru) Вакуумный деаэратор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и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два вариа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