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54Y1 -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54Y1
KR200218754Y1 KR2020000029685U KR20000029685U KR200218754Y1 KR 200218754 Y1 KR200218754 Y1 KR 200218754Y1 KR 2020000029685 U KR2020000029685 U KR 2020000029685U KR 20000029685 U KR20000029685 U KR 20000029685U KR 200218754 Y1 KR200218754 Y1 KR 200218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trip
absorbent
housing
stick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6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구
Original Assignee
이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구 filed Critical 이형구
Priority to KR2020000029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5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54Y1/en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성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료 수획시에 손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응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iagnostic apparatus, which prevents hand contamination and prevents a reaction error during sample collection.

본 고안은 캡(4)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의 상하부 케이스(2,3) 일측이 하향되게 절곡부(5)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5)에 흡수 스틱 막대(6)를 설치하여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흡수 스틱 막대(6)의 타단에 접촉되게 스트립(7)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스트립(7)이 투시창(8)과 대향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bent portion 5 so th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3 of the housing 1 to which the cap 4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absorbent stick rod 6 is formed on the bent portion 5. )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trip 7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absorbent stick rod 6 so that the strip 7 faces the viewing window 8.

Description

다기능성 진단기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Multifunction Diagnostics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본 고안은 다기능성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iagnostic device.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다기능성 진단기는 각종 질병의 진단과 분석물의 존재 여부를 생물학적인 방법 또는 면역학적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기능성 진단기는 시료의 흡수와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시료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시료의 이동으로 반응되는 결과치 또는 반응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As is generally known, the multifunctional diagnostic apparatus checks the diagnosis of various diseases and the existence of analytes by biological or immunological methods. The multifunctional diagnostic apparatus facilitates the absorption and movement of the sample and It is formed to be able to control the moving speed, it is to be formed so that the result or the reaction phenomenon reacted by the movement of the sample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상기한 진단기는 카드형과 스틱형으로 분류되는 바, 상기 카드형 진단기는 시료를 수획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 및 진단기의 주입구에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피펫 등이 필요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시료를 직접 별도의 용기에 수획함과 아울러 피펫을 이용하여 적당량의 시료를 주입구에 투입시키는 것이고, 상기 스틱형 진단기는 흡수 스틱 막대를 돌출 형성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흡수 스틱 막대를 통해 시료를 흡수시키는 것이다.The diagnostic device is classified into a card type and a stick type bar. The card type diagnostic device requires a separate container for collecting a sample and a pipette for injecting a sample into the inlet of the diagnostic device. In addition to collect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sample into the inlet by using a pipette, the stick-type diagnostic device is a protrusion formed by the absorption stick bar, the user directly absorbs the sample through the absorption stick bar.

상기한 전자의 방법은 별도의 용기에 시료를 수획함과 아울러 피펫을 통해 적당량의 시료를 시료 주입구에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상기한 후자의 방법은 직접적으로 시료를 흡수시키므로써 사용상 편리한 것이다.The former method is cumbersome to collect the sample in a separate container and to inject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sample into the sample inlet via a pipette. The latter method is convenient for use by directly absorbing the sample. will be.

종래의 스틱형 진단기는 상하부케이스가 결합된 하우징 내측에 반응용 스트립을 내장하는 것이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립에 접촉되게 흡수 스틱 막대를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흡수 스틱 막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캡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Conventional stick type diagnostic device is to embed the reaction strip inside the housing to which the upper and lower cases are coupled, to protrude out of the housing and to install the absorbing stick rod in contact with the strip, to protect the absorbing stick rod The cap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o that it can be detached.

상기 하우징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흡수 스틱 막대로 시료를 수획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결합된 캡을 분리하여 흡수 스틱 막대가 개방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하우징의 흡수 스틱 막대를 분사되는 소변으로 위치시켜 시료가 흡수 스틱 막대로 수획되게 하는 것이다.The housing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in order to collect the sample with the absorbent stick rod of the housing, the cap coupled to the housing is removed to open the absorbent stick rod, and the absorbent stick rod of the housing is positioned as urine being injected. This allows the sample to be harvested with an absorbent stick rod.

상기 흡수 스틱 막대는 다공성 섬유막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섬유막 구조를 갖는 구조물은 공극의 수에 따라 흡수할 수 있는 최대 시료의 양이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흡수될 때 일정 이상의 과시료는 흡수하지 못하게 됨과 아울러 흡수 스틱 막대가 삽입된 방향과 위치에 따라 시료가 방출되는 것이다.The absorbent stick rod is formed of a porous fiber membran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having the porous fiber membrane structure determines the maximum amount of sample that can be absorb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res. In addition, the sample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position in which the absorbent stick rod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시료를 수획한 후 편평한 곳에 위치시켜 놓고 반응 결과를 관찰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찰시에 투시창을 통해서 반응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시료가 흡수 스틱 막대를 통해 스트립으로 과량 흡수되게 되면 시료와 스트립에 처리된 화학 성분간의 반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립의 니트로셀룰로즈 막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응 오류가 발생되기도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ample is collected and placed on a flat surface to observe the reaction result. The reaction result is confirm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hen the sample is excessively absorbed into the strip through the absorbent stick rod, a reaction error may occur as the sample moves to the strip of nitrocellulose membrane in a state in which the reaction between the sample and the chemical component treated on the strip is not completed.

상기 오류의 대부분은 흡수 스틱 막대가 흡수 할 수 있는 최대 시료의 양을 초과하여 하우징 내부로 위치된 과다의 시료가 다공성 섬유막에 처리된 화학적 성분과 반응하지 못하고 니트로 셀룰로즈 막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응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다.Most of these errors exceed the maximum amount of sample that can be absorbed by the absorbent stick rods, causing excess samples placed inside the housing to react with nitro cellulose membranes as they fail to react with the chemical components treated in the porous fibrous membrane. To cause.

상기한 진단기는, 하우징에 흡수 스틱 막대를 일자형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시료 수획시 흡수 스틱 막대에 접촉되는 시료의 반사로 인해서 손의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대두됨과 아울러 하우징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은 과다 시료가 하우징 내측의 니트로셀룰로즈 막(스트립)으로 이동하면서 반응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diagnostic apparatus has a straight absorbent stick rod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problem of hand contamination due to reflection of the sample in contact with the absorbent stick rod during sample collection has arisen. Moved to the nitrocellulose membrane (strip) inside the housing, there was a problem that a reaction error occurs.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시료 수획시에 손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응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다기능성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diagnostic apparatus that corrects the above problems and prevents contamination of the hands and prevents a reaction error during sample colle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의 상하부 케이스 일측이 하향되게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 흡수 스틱 막대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흡수 스틱 막대의 단부에 접촉되게 스트립을 설치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ent portion to the upper and lower case side of the housing downward, and to install the strip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absorbent stick bar and the absorption stick bar to the bent portion. .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저면도,3 is a bottom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하우징 2: 상부 케이스1: housing 2: upper case

3: 하부 케이스 4: 캡3: lower case 4: cap

5: 절곡부 6: 흡수 스틱 막대5: bend 6: absorption stick rod

7: 스트립 8: 투시창7: strip 8: viewing window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4)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의 상하부 케이스(2,3) 일측이 하향되게 절곡부(5)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5)에 흡수 스틱 막대(6)를 설치하여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흡수 스틱 막대(6)의 타단에 접촉되게 스트립(7)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스트립(7)이 투시창(8)과 대향되도록 하는 것이다.1 to 4, the bent portion 5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3 of the housing 1 to which the cap 4 is detachably coupled, is formed downward. The absorption stick rod 6 is installed at the bent portion 5 so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trip 7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absorption stick rod 6. It is to face this viewing window 8.

상기 캡(4)은 손으로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서 시료 분석 중에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흡수 스틱 막대(6)는 시료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수획된 시료 중의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cap 4 is detachable by hand to prevent inhalation of foreign substances during sample analysis, and the absorbing stick rod 6 automatical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 the collected sample by absorbing the sample. To do.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5)는 투시창(8)의 반대방향으로 1 내지 30°의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절곡부(5) 내부에 흡수 스틱 막대(6)를 절곡부(5)의 진행방향과 일치되게 설치함으로써 시료의 과방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시료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The bent portion 5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 has an angle of 1 to 30 °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e-through window 8 ( By having the absorption stick rod 6 in the bent portion 5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5 to prevent the over-release of the sample and to keep the flow of the sample constant will be.

상기 시료는 흡수 스틱 막대(6)에 접촉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스트립(7)의 다공성 섬유막과 니트로셀룰로즈 막으로 이동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면역반응은 절곡부(5)의 기울어짐 각도()에 의해서 최적량의 시료가 위치되면서 이루어지게 됨과 아울러 투시창(8)의 대향지점에 위치되는 반응 결과부위 및 반응 종료부위의 발색차이를 통해서 진단 및 판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sample is in contact with the absorbing stick rod (6)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hen move to the porous fiber membrane and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f the strip (7) to cause an immune reaction, the immune response is inclined of the bent portion (5) Angle( The optimal amount of the sample is positioned and the diagnosis and determin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reaction result portion and the reaction termination portion located at the opposite point of the viewing window 8.

상기 흡수 스틱 막대(6)에 접촉되면서 상하부 케이스(2,3)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립(7)은 시료의 전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일자모양으로 설치되는 것이다.The strip 7,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3 while contacting the absorbing stick rod 6, is installed in a straight shape to increase the development speed of the sample.

미설명 부호 9는 손잡이부로서 하우징(1)을 픽업할 때 손이 접촉되는 부분이다.Reference numeral 9 is a part of the hand contact to pick up the housing 1 as a handl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시료 수획시에 손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응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하부 케이스(2,3)가 결합되는 하우징(1)의 투시창(8) 하측방향으로 1 내지 30°의 기울기를 갖는 절곡부(5)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5)의 내측에 흡수 스틱 막대(6)를 설치하여 절곡부(5)의 기울기와 일치되게 하며, 상기 절곡부(5)에 설치된 흡수 스틱 막대(6)에 접촉되게 스트립(7)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hand when the sample is collected and to prevent the reaction error, the low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8 of the housing 1 to which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3 are coupled 1 To form a bent part 5 having an inclination of about 30 °, and an absorbent stick bar 6 is installed inside the bent part 5 so as to coincid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bent part 5 and the bent part ( The strip 7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absorbing stick rod 6 installed in 5).

상기 절곡부(5)에 의해서 투시창(8)의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흡수 스틱 막대(6)는 시료의 과흐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수 스틱 막대(6)의 기울어짐에 의해서 흡수 스틱 막대(6)에 위치되는 시료의 일부는 흡수됨과 아울러 흡수되지 않은 잔여분은 자중에 의해서 흡수 스틱 막대(6)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 흡수 스틱 막대(6)의 기울어짐이 1 내지 30°로 존재함에 따라 시료 수획시 흡수 스틱 막대(6)에 접촉되는 시료가 반사된다 하더라도 손의 하측방향으로 반사됨으로써 손과의 접촉현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The absorbent stick bar 6 inclined downward by the bent portion 5 of the see-through window 8 prevents an excessive flow of the sample, and the absorbent stick bar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absorbent stick bar 6. A portion of the sample placed in 6) is absorbed and the remaining unabsorbed portion is released out of the absorbent stick rod 6 by its own weight. As the inclination of the absorbent stick rod 6 is present in the range of 1 to 30 °, even when the sample contacting the absorbent stick rod 6 is reflected at the time of sample collection, the absorbing stick rod 6 is reflected downward, thereby making contact with the hand. It is not lost.

상기 흡수 스틱 막대(6)를 통해서 수획된 시료는 스트립(7)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스트립(7)으로 이동된 최적량의 시료는 스트립(7)의 다공성 섬유막과 니트로셀룰로즈 막으로 이동하여 반응시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며, 상기 면역반응이 진행되면 투시창(8)을 통해서 진단과 판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e sample collected through the absorbent stick rod 6 moves to the strip 7, and the optimum amount of sample transferred to the strip 7 moves to the porous fiber membrane of the strip 7 and the nitrocellulose membrane to react. In this case, an error occurs without causing an error, and when the immune response progresses, diagnosis and determination can be made through the viewing window (8).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시료 수획시의 어려움 및 시료의 과흡수를 해소하여, 임신, 배란, 약물중독,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 감염, 알러지, 독극물 검사 등 임상학적 면역검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olves the difficulties in sample collection and the overabsorption of samples, which are pointed out as a problem of the prior art, as well as clinical immunological tests such as pregnancy, ovulation, drug poisoning, bacterial or viral infection, allergy, poison test, etc.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의 일측을 투시창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절곡부를 형성함과 아우러 상기 절곡부의 진행방향과 일치되게 흡수 스틱 막대를 설치함으로써 수획되는 시료의 양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수획되는 시료의 양을 최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반응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ptimally adjusting the amount of sample collected by forming a bent portion so that one side of the housing is inclined downward in the viewing window and installing an absorbing stick bar to matc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Optimizing the amount of sample harvested ensures that no reaction error occurs.

또한 상기 절곡부 및 흡수 스틱 막대의 기울기를 1 내지 30°로 유지함에 따라 흡수 스틱 막대에 접촉되는 시료가 반사되더라도 손으로 접촉되지 않는 것이고, 상기 손에 접촉되지 않게 되면서 진단시 손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bent portion and the absorbent stick bar at 1 to 30 °, even if the sample in contact with the absorbent stick bar is not touched by the hand, it is not touched by the hand and maintains the cleanliness of the hand during diagnosis. It can be.

Claims (2)

하우징(1)의 상하부 케이스(2,3) 일측이 하향되게 절곡부(5)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5)에 흡수 스틱 막대(6)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흡수 스틱 막대(6)의 단부에 접촉되게 스트립(7)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진단기.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3 of the housing 1 forms the bent part 5 downward, and the absorbent stick bar 6 is installed on the bent part 5 and the absorbent stick bar 6 is formed. Multifunctional diagnos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stall a strip (7)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곡부(5)는 1 내지 30°기울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진단기.The bent portion (5) is a multifunctional diagnos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1 to 30 °.
KR2020000029685U 2000-10-25 2000-10-25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KR2002187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85U KR200218754Y1 (en) 2000-10-25 2000-10-25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85U KR200218754Y1 (en) 2000-10-25 2000-10-25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754Y1 true KR200218754Y1 (en) 2001-04-02

Family

ID=7305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685U KR200218754Y1 (en) 2000-10-25 2000-10-25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5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539A1 (en) * 2020-10-08 2022-04-14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KR20220047125A (en) * 2020-10-08 2022-04-15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Diagnostic kit with integrated detection device and specimen collection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539A1 (en) * 2020-10-08 2022-04-14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KR20220047125A (en) * 2020-10-08 2022-04-15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Diagnostic kit with integrated detection device and specimen collection tool
KR102580403B1 (en) 2020-10-08 2023-09-20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Diagnostic kit with integrated detection device and specimen collection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8148A (en)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5393496A (en)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CN100563561C (en) Body fluid sampling device
US4789639A (en) Liquid recovery device
WO2018188458A1 (en) Sample collector, and sample collection and detection device and method
JP5015178B2 (en) Sample collection / testing device with swing arm
US9179895B2 (en) Oral fluid collection device
EP0254246A2 (en) Improved cuvette
CN102072951B (en) Reaction cassette, assay device, and assay method
BR9509582A (en)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samples
JP2006527013A5 (en)
WO2006100452A1 (en) Device for sampling oral fluid
US20060292036A1 (en) Fluid specimen testing device
US20090318829A1 (en) Sample collection and testing device with pivot arm
KR200218754Y1 (en) Multipurpose diagnostic device
KR20190067777A (en) How to measure the glycated hemoglobin ratio
KR101553041B1 (en) Spuit
US6050956A (en) Hemolyzing tube and a method of preparing a hemolysis blood sample within tube
US20060147348A1 (en) Sampling device and methods
JPH06505342A (en) Improved test strip
US58077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glycosylated protein
KR20190049765A (en) Separable cassette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KR102498295B1 (en) Enclosed type all-in-one target detection kit
CN210982461U (en) Detection device for immunochromatography
US20050009203A1 (en) Multi-drug test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