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018Y1 - 폐기물 소각로 - Google Patents

폐기물 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018Y1
KR200218018Y1 KR2020000028444U KR20000028444U KR200218018Y1 KR 200218018 Y1 KR200218018 Y1 KR 200218018Y1 KR 2020000028444 U KR2020000028444 U KR 2020000028444U KR 20000028444 U KR20000028444 U KR 20000028444U KR 200218018 Y1 KR200218018 Y1 KR 200218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waste
supply unit
ai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8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018Y1/ko

Links

Landscapes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토우커장치에 의해 피소각물을 아래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소각하도록 된 폐기물 소각로에 있어,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의 저면부에 공기통로가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1차 연소실의 양 측벽에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와 중간 차벽에 설치된 주 연소급기부의 각 노즐방향이 폐기물 투입부 쪽으로 향하도록 되었으며, 폐기물 투입부 쪽에 연소가스의 선회급기부가 설치되게 한 구성으로서, 송풍장치로 공급되는 스토우커장치의 냉각공기는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의 저면에 수평으로 관통된 공기통로를 통과하면서 스토우커장치의 과열을 방지해 주고, 이 냉각공기는 다시 고온의 열공기로 변하여 전면부로 토출되어서 상면에 쌓여 있는 다습한 폐기물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여 건조를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소화염과 연소가스는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와 주 연소급기부에서 폐기물 투입부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맞부딪쳐 엄청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다시 선회급기부에 의해 360도 회전하면서 역학적으로 반사열구조가 되게 개선함으로서 방대한 방사열을 연소실내로 확산시키며, 또한 충분한 열 축적을 이루어 연소효율을 높여줌으로서 폐기물의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되었고, 에너지의 절감효과가 매우 높은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폐기물 소각로{INCINERATOR FOR WASTE PRODUCTS}
본 고안은 스토우커장치에 의해 피소각물을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소각하도록 된 폐기물 소각로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에는 공기통로가 몸체의 수직으로 관통되게 천공되어서 송풍장치로 공급되는 연소촉진공기가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의 상면으로 토출되어서 2차 연소실로 직상하도록 되었다. 따라서 스토우커의 상부에 쌓여 있는 다습한 폐기물은 열 축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소효율이 저하됨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연소버너를 계속 가동시켜야 하며, 미연소된 가스는 2차 연소실에서 별도의 재연소 버너로 재차 연소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함수율이 높은 도시쓰레기의 경우, 불안전연소로 인하여 과다한 연료의 소모는 물론이며, 더욱이 맹독성 물질인 다이옥신의 과다한 배출로 인해 환경오염 등 사회적인 문제가 되어 있는 현실이다. 또한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의 공기통로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공기실로 미연소 폐기물이 과다하게 낙하됨으로서 소각로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를 개선하여서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고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서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의 저면부에 공기통로가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1차 연소실의 양 측벽에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와 중간 차벽에 설치된 주 연소급기부의 각 노즐의 방향이 폐기물 투입부 쪽으로 향하도록 되었으며, 폐기물 투입부 쪽에 연소가스의 선회급기부가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서, 송풍장치로 공급되는 스토우커장치의 냉각공기는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의 저면에 수평으로 관통된 공기통로를 통과하면서 스토우커장치의 과열을 방지해 주고, 이 냉각공기는 다시 고온의 열공기로 변하여 전면부로 토출되어서 상면에 쌓여 있는 다습폐기물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여 건조를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소화염과 연소가스는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와 주 연소급기부에서 폐기물 투입부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맞부딪쳐 엄청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다시 선회급기부에 의해 360도 회전하면서 역학적으로 반사열구조가 되게 개선함으로서 방대한 방사열을 연소실내로 확산시키게 되며, 또한 충분한 열 축적을 이루어 연소효율을 높여줌으로서 폐기물의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되였고, 에너지의 절감효과가 매우 높은 유용한 것이다. 특히 도시의 생활폐기물은 주방쓰레기를 포함하여 수분함량이 70%이상인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다습한 폐기물이기 때문에 종래의 장치로는 엄청난 보조연료비가 소요됨은 물론 불완전연소로 인해 맹독성인 다이옥신의 과다한 배출이 필연적이었다.
도 1은 종래 소각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이동스토우커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고정스토우커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폐기물 홉퍼 11 : 투입판 20 : 1차 연소실
21 : 연소버너 30 : 스토우커장치 31 : 이동스토우커
32, 35 : 공기통로 33, 36 : 토출구 34 : 고정스토우커
40 : 링크장치 50 : 공기실 60 : 송풍장치
70 : 2차 연소실 71 : 재연소버너
80 : 미연소 낙하폐기물 이송장치 81 : 재 배출장치
100 : 연소급기부 101 : 주 연소급기부
110 : 연소가스 선회급기부 120 : 중간 차벽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소각로의 단면도로서, 폐기물 홉퍼(10)의 하부에 유압식 투입장치(11)가 설치되고, 1차 연소실(20)내는 스토우커장치(30)가 링크장치(40)에 의해 진퇴 작동되게 설치되었으며, 스토우커장치(3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실(50)에는 연소촉진공기의 송풍장치(60)가 연통되었다. 그리고 1차 연소실(20)의 전,후벽에는 연소버너(21)가 설치되고, 1차 연소실(20)의 상부에는 재연소버너(71)를 갖인 2차 연소실(70)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80은 미연소 낙하폐기물 이송장치, 81은 재 배출장치이다.
상기의 작동과정을 보면, 폐기물 홉퍼(10)에 수집된 폐기물은 투입장치(11)에 의해 1차 연소실(20)내로 투입되고, 스토우커장치(30)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송되면서 연소버너(21)에 의해 연소된다. 이때 송풍장치(60)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촉진공기는 스토우커장치(40)의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의 몸체에 수직으로 천공된 공기통로를 통해 상승되어서 2차 연소실(70)로 진행된다. 따라서 1차 연소실(20)내에서 열 축적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다습한 생활폐기물의 완전연소가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2차 연소실(70)에서 별도의 재연소 버너(71)를 지속적으로 가동시켜서 다시 연소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폐기물 홉퍼(10)의 하부에 유압식 투입장치 (11)가 설치되고, 1차 연소실(20)내는 연소버너(21)와 유압장치(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진퇴 작동되는 스토우커장치(30)가 설치되었으며, 스토우커장치 (30)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실(50)에는 냉각공기의 송풍장치(60)가 연통되었다. 그리고 1차 연소실(20)의 양 측벽에는 연소급기부(100)가 다단으로 설치되어서 각 노즐의 방향이 폐기물 투입부(W) 쪽으로 향하도록 되었고, 폐기물 투입부(W) 쪽에 연소가스 선회급기부(110)가 설치되었다. 또한 1차 연소실(20)과 2차 연소실(70)과의 중간 차벽(120)에는 1차 연소실(20)의 주 연소급기부(101)가 폐기물 투입부(W)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고, 그 하부에 위치한 1차 연소가스배출구(121)가 2차 연소실(70)로 연통되게 구성되었다. 미설명부호 102는 2차 연소실(70)의 재연소급기부이다.
상기의 작동과정을 보면, 폐기물 홉퍼(10)에 수집된 폐기물은 투입장치(11)에 의해 1차 연소실(20)내로 투입되고, 스토우커장치(30)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송되면서 연소버너(21)에 의해 연소된다. 이때 송풍장치(60)에 의해 공기실(50)에 공급되는 냉각공기는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의 저면에 수평으로 관통된 공기통로(32)(35)를 통과하면서 냉각작용을 하여서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의 과열을 방지하고, 또한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를 통과하여 전면으로 토출되는 과정에 고온의 열공기로 변하여서 상면에 쌓여 있는 다습폐기물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여서 건조를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연소화염과 연소가스는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100)와 주 연소급기부(101)에서 폐기물 투입부(W)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맞부딪쳐 엄청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다시 선회급기부(110)에 의해 360도 회전하면서 역학적으로 반사열구조가 되게 개선함으로서 방대한 방사열을 연소실내로 확산시키게 되며, 또한 충분한 열 축적이 이루어져서 연소효율을 높이고, 폐기물의 완전연소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서 이동스토우커의 측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로서, 이동스토우커(31)는 저면의 양측에 공기통로(32)가 형성되고, 전면에 토출구(33)가 형성되어서 송풍장치(60)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공기통로(32)를 지나면서 이동스토우커(31)를 냉각시키고, 이 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는 토출구(33)로 토출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서 고정스토우커의 측면도로서, 고정스토우커(34)는 저면의 양측에 공기통로(35)가 형성되고, 전면에 토출구(36)가 형성되어서 송풍장치(60)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공기통로(35)를 지나면서 고정스토우커 (34)를 냉각시키고, 이 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는 토출구(36)로 토출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1차 연소실(20)의 양 측벽에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100)와 중간 차벽(120)에 설치된 주 연소급기부(101)의 각 노즐의 방향이 폐기물 투입부(W) 쪽으로 향하도록 되고, 폐기물 투입부(W) 쪽에 연소가스 선회급기부(110)가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서, 송풍장치(60)에 의해 공기실(50)에 공급되는 스토우커장치(30)의 냉각공기는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의 저면에 수평으로 관통된 공기통로(32)(35)를 통과하면서 과열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다시 고온의 열공기로 변하여 토출구(33)(36)전면부로 토출되어서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의 상면에 쌓여 있는 다습폐기물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여서 건조를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100)와 주 연소급기부(101)에서 폐기물 투입부(W)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맞부딪쳐 엄청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이 연소화염과 연소가스는 다시 선회급기부(110)에 의해 360도 회전하면서 역학적으로 반사열구조가 되게 개선함으로서 방대한 방사열을 연소실내로 확산시키게 되며, 또한 충분한 열 축적을 이루어 연소효율을 높여줌으로서 폐기물의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되었고, 에너지의 절감효과가 매우 높은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폐기물 홉퍼(10)의 하부에 유압식 투입장치(11)가 설치되고, 1차 연소실(20)내는 연소버너(21)와 스토우커장치(30)가 설치되었으며, 스토우커장치(30)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실(50)에는 송풍장치(60)가 연통되게 한 것에 있어서, 1차 연소실 (20)의 양 측벽에 다단으로 설치된 연소급기부(100)와 중간 차벽(120)에 설치된 주 연소급기부(101)의 각 노즐의 방향이 폐기물 투입부(W) 쪽으로 향하도록 되고, 폐기물 투입부(W) 쪽에는 연소가스 선회급기부(110)가 설치되었으며, 각 이동 및 고정스토우커(31)(34)의 저면에 공기통로(32)(35)가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소각로
  2. 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 각 이동스토우커(31)의 공기통로(32)와 고정스토우커(34)의 공기통로(35)에 형성된 토출구(33)(36)의 방향이 서러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소각로
KR2020000028444U 2000-10-12 2000-10-12 폐기물 소각로 KR200218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444U KR200218018Y1 (ko) 2000-10-12 2000-10-12 폐기물 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444U KR200218018Y1 (ko) 2000-10-12 2000-10-12 폐기물 소각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018Y1 true KR200218018Y1 (ko) 2001-03-15

Family

ID=7308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444U KR200218018Y1 (ko) 2000-10-12 2000-10-12 폐기물 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0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59B1 (ko) 2010-02-23 2011-03-07 부강산업(주) 와류가 형성되는 소각장치
WO2018066786A1 (ko) * 2016-10-07 2018-04-12 최상철 녹스 저감용 쓰레기 소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59B1 (ko) 2010-02-23 2011-03-07 부강산업(주) 와류가 형성되는 소각장치
WO2018066786A1 (ko) * 2016-10-07 2018-04-12 최상철 녹스 저감용 쓰레기 소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986B1 (ko) 소각열 회수식 연소장치
WO2004092648A1 (ja) 火格子式廃棄物焼却炉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CN104930537A (zh) 一种烟气再循环燃烧装置
US20040060553A1 (en) Wood burning furnace
KR20010056546A (ko) 배기가스 재순환방식에 의한 저질소산화물 소형 응축식가스보일러 및 연소 방법
KR200218018Y1 (ko) 폐기물 소각로
CN107152686B (zh) 一种微波辅助热解气化炉及垃圾热解气化焚烧的方法
KR19980074713A (ko) 다단 사이클론 연소방식의 열분해 겸용 원통형 쓰레기 소각장치
JP4415087B2 (ja) 焼却炉
JP6887917B2 (ja) 焼却プラント
KR20040061708A (ko) 폐고무 가공 고형연료를 사용하는 하향식 다단 연소장치
CN115264505A (zh) 一种用于生活垃圾焚烧的炉排炉装置
CN106765123B (zh) 大容量垃圾高温气化喷燃系统
KR102165912B1 (ko) 연소기
JP4608636B2 (ja) 焼却炉
WO1997041390A1 (fr) Incinerateur a lit fluidise
KR20000002871A (ko) 연소가스 재순환을 이용한 도시폐기물 소각로 건조 촉진장치
CN206803124U (zh) 一种气化燃烧系统
KR890004814B1 (ko) 유동상 소각 장치
CN214581100U (zh) 高热值焚烧炉系统
KR0114474Y1 (ko) 조립식 소각로
CN218864179U (zh) 无动力无助燃垃圾焚烧炉
KR100660757B1 (ko) 폐기물소각로의 조업방법 및 폐기물소각로
CN217302810U (zh) 一种高效式垃圾焚烧锅炉
CN215259842U (zh) 一种可分级供风的回转燃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