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26Y1 - 쓰레기 압착기 - Google Patents

쓰레기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26Y1
KR200217926Y1 KR2020000017377U KR20000017377U KR200217926Y1 KR 200217926 Y1 KR200217926 Y1 KR 200217926Y1 KR 2020000017377 U KR2020000017377 U KR 2020000017377U KR 20000017377 U KR20000017377 U KR 20000017377U KR 200217926 Y1 KR200217926 Y1 KR 20021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sing
upper plate
ro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오정기계
안성식
안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오정기계, 안성식, 안정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오정기계
Priority to KR2020000017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대(16)로 연결한 본체(10)의 상판(12) 상부에 베어링(22)이 내장된 지지부(20)를 형성하여 상단부에는 핸들(32)을 구비한 회전나사봉(30)을 설치하고 상판(12) 저면에는 각형으로 된 안내관(24)을 형성하여 압착판(34)의 상부의 각형으로 형성된 승강봉(34a)을 상기의 안내관(24)에 끼우되 승강봉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회전나사봉(30)을 나사결합하여 회전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압착판(34)이 승강되게 한 압착부(A)와; 본체(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에 안내봉(18)을 형성하고 이 안내봉(18)에 끼워진 승강관(4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압착통(50)을 일체로 형성하고 승강관(40)의 하단에는 연결부(42)를 형성하여 상판(12)과 연결부(42)를 코일스프링(44)으로 연결한 압착통부(B)와; 본체(10)의 지지대(16) 일측에 복귀스프링(62)을 설치하여 지지대(16)에 핀설치된 걸편(60)을 복귀스프링 (62)으로 탄설하고 걸편(60) 하부에는 연결부(42)에서 걸편(60)을 이탈시키는 발판 (64)을 핀설치하며,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체인풀리(68)를 지나는 체인(66)의 일측단부를 연결부(42)에 연결하되 체인(66)의 타측단부는 본체(10)의 하판(14)에 연결된 연결스프링(66a)의 단부에 고정하여 체인풀리(68) 일측의 핸들(68a)로 압착통 (5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 압착통승강부(C)로 구성하므로서 가압판을 이용하여 압착통 내부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압착하여 쓰레기의 부피를줄이고 쓰레기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되어 쓰레기 종량비닐의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시 침출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압착기 {A waste compressor}
본 고안은 쓰레기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이나 음식점등의 상점에서 배출되는 일반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는 제거하고 쓰레기의 양과 부피를 현저하게 줄이므로서 쓰레기 처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쓰레기 매립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쓰레기종량제가 실시됨에 따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재생가능한 쓰레기와 재생 불가능한 쓰레기의 분리가 필수가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재생 불가능한 쓰레기의 배출 처리를 위한 쓰레기 종량비닐의 구입이 의무화 되었으나 산업발달에 따른 소비의 증가와 더불어 각종 합성물질로 된 재생 불가능한 쓰레기의 증가로 인하여 쓰레기의 처리에 필요한 쓰레기 종량비닐의 구매 경비부담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뿐 만 아니라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 다량으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쓰레기 자체에 많은 물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를 그대로 종량비닐에 넣어서 버릴경우 부피가 크기때문에 많은 양의 봉투가 필요할 뿐 만 아니라 주로 매립에 의해 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많은 물기가 포함되어 있으면 산화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할 뿐 만 아니라 다량의 침출수로 인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각종 해충이 모이는등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로 인하여 쓰레기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착통 내부에 투입된 쓰레기를 승강가능한 가압판으로 가압하는 압착부와 쓰레기가 투입되는 압착통부와 종량비닐 내부에 투입된 압착통을 배출하는 압착통승강부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쓰레기 종량비닐이 씌워지는 압착통 내부에서 쓰레기를 압착한 후 이를 배출하므로서 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압착기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압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압착기의 압착통을 쓰레기봉투에서 빼내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압착통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압착통에서 쓰레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8, 도 9, 도 10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타나낸 단면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래칫휠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압착통이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압착통을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15는 도 8의 압착통을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압착부 B : 압착통부
C : 압착통승강부 10 : 본체
12 : 상판 14 : 하판
16 : 지지대 18,18b : 안내봉
18a : 나사봉 20 : 지지부
22 : 베어링 24,24a : 안내관
30,30a : 회전나사봉 30b,30b' : 실린더
32 : 핸들 34 : 가압판
34a : 승강봉 40 : 승강관
42 : 연결부 44,44a : 코일스프링
46 : 고정부 48 : 래칫기어
50,50a,50b,50c : 압착통 502 : 출수공
504 : 탄력받침 506 : 가이드홈
60 : 걸편 62 : 복귀스프링
64,64a,64b : 발판 66 : 체인
66a : 연결스프링 66b,68b' : 권취로울러
68 : 체인풀리 68a : 핸들
70,70a : 모우터 연결체인
80 : 승강가이드 82 : 설치판
84 : 구동모우터 84a : 피니언기어
86 : 래크기어 90 : 폐수수집통
92 : 다공판덮개 94 : 배출밸브
100 : 쓰레기종량비닐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대(16)로 연결한 본체(10)의 상판(12) 상부에 베어링(22)이 내장된 지지부(20)를 형성하여 상단부에는 핸들(32)을 구비한 회전나사봉(30)을 설치하고 상판(12) 저면에는 각형으로 된 안내관(24)을 형성하여 압착판(34)의 상부의 각형으로 형성된 승강봉(34a)을 상기의 안내관(24)에 끼우되 승강봉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회전나사봉(30)을 나사결합하여 회전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압착판(34)이 승강되게 한 압착부(A)와; 본체(10)의 상판(12)과 하판(14)사이에 안내봉(18)을 형성하고 이 안내봉(18)에 끼워진 승강관(4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압착통(50)을 일체로 형성하고 승강관(40)의 하단에는 연결부(42)를 형성하여 상판(12)과 연결부(42)를 코일스프링(44)으로 연결한 압착통부(B)와; 본체(10)의 지지대(16) 일측에 복귀스프링(62)을 설치하여 지지대(16)에 핀설치된 걸편(60)을 복귀스프링(62)으로 탄설하고 걸편(60) 하부에는 연결부(42)에서 걸편(60)을 이탈시키는 발판(64)을 핀설치하며,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체인풀리(68)를 지나는 체인(66)의 일측단부를 연결부(42)에 연결하되 체인(66)의 타측단부는 본체(10)의 하판(14)에 연결된 연결스프링(66a)의 단부에 고정하여 체인풀리(68) 일측의 핸들(68a)로 압착통(5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 압착통승강부(C)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은 압착통(50a)의 표면에 다수의 출수공(50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탄력받침(504)을 부착한 구조이며 첨부도면 도 8, 도 9, 도 10, 도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회전나사봉(30a)의 상단부에 베벨기어(301)를 설치하여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모우터(70)의 구동기어와 치합되게 하며, 본체(10) 양측에는 모우터(70a)와 연결체인(72)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봉(18a)을 설치하여 이 나사봉(18a)을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에 압착통(50b) 양측의 가이드홈(506)을 끼울 수 있게하여 다공판덮개(92)와 배출밸브(94)가 설치된 폐수수집통(90) 상부에 압착통(50b)을 안착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이며,
도 9는 상판 저면에 실린더(30b)를 설치하여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가압판(34)를 설치하고, 하판 상부에 실린더(30b')를 설치하여 안내봉(18b)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의 저면에 실린더(30b')의 로드를 설치한 구조이고
도 10은 안내봉(18b)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의 일측에 설치판(8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 구동모우터(84)를 설치하고 상판(12)과 하판(14)사이에는 래크기어(86)를 설치하여 구동모우터(84)에 피니언기어(84a)와 래크기어(86)를 치합시켜 구동모우터(84)에 의해 승강가이드(80)가 승강할 수 있게 한 구조이며,
도 11은 상판(12) 상부에 권취로울러(68b)를 설치하고 하판(14)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44a)으로 탄설된 발판(64a)으로 밟아서 간헐회전 하도록 하는 래칫휠(48)을 설치하여 래칫휠과 일체로 형성된 권취로울러(68b')와 상판의 권취로울러간에 와이어(66a)를 연결하되 승강관(40)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6) 일측에 와이어(66a)의 일측을 고정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압착통(50) 외부에 쓰레기 종량비닐(100)를 씌운 후 압착통(50) 내부에 일반쓰레기를 투입하고 회전나사봉(30) 상단부에 형성된 핸들(3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압착부(A)의 지지부(20)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22)에 설치된 회전나사봉(30)이 회전하면서 회전나사봉(30)과 나사결합된 가압판(34) 상부의 승강봉(34a)도 같이 회전하여야 하지만 각형으로 된 승강봉(34a)은 상판(12) 저면에 돌출형성된 각형의 안내관(24)에 끼워져 있기때문에 회전할 수 없으므로 회전나사봉(30)이 회전함에따라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아래로 하강하여 승강봉(34a)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판(34)이 압착통(50) 내부의 쓰레기를 가압하여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가압판(34)을 이용하여 압착통(50) 내부의 쓰레기의 부피가 더 이상 줄어들지 않을 정도로 많은 양의 쓰레기가 가압되게 되면 쓰레기 종량비닐(100)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압착통(50)을 빼내게되는데 이를 위하여 첨부도면 도 2에서와 같이 걸편(60) 아래에 설치된 발판(64)을 밟아서 압착통(50)과 일체로 형성된 승강관(40)의 연결부(42)에 걸려있던 걸편(60)을 이탈시킨 후 상판(12)에 설치된 체인풀리(68)에 일체로 형성된 핸들(68a)을 회전시키면 체인풀리(68)를 지나 승강관(40) 하부의 연결부(42)에 연결된 체인(66)에 의해 승강관(40)이 상승하면서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쓰레기 종량비닐(100) 내부에 투입되어 있던 압착통(50)은 위로 상승하여 배출되고 압착통(50) 내부에 있던 쓰레기는 남아서 자연스럽게 쓰레기 종량비닐(100)의 내부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승강관(40)의 연결부(42)에 일측단부를 연결한 체인(66)의 타측단부는 하판(14)에 설치된 연결스프링(66a)의 단부와 연결되어 연결스프링(66a)의 복원력이 체인(66)에 전달되므로서 핸들(68a)을 돌려서 체인풀리(68)를 회전시킬때 적은 힘으로도 압착통(50)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되며 상판(12)과 연결부(42)간에 연결된 코일스프링(44)이 이를 보조하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은 물기가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 압착통(50a)의 표면에는 다수의 출수공(50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탄력받침(504)이 부착되어 있어서 탄력받침(504)의 저면이 본체(10)의 하판(14)과 밀착되게 한 후 압착통(50a) 외부에 쓰레기 종량비닐(100)를 씌우지 않은 상태에서 압착통(50a)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가압판(34)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게되면 압착통(50a) 표면에 형성된 출수공(502)과 압착통(50a) 저면에 설치된 탄력받침(504)의 틈새(504a) 사이로 쓰레기의 물기가 배출되게되며 물기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을 정도로 쓰레기가 가압되었으면 압착부(A)의 핸들(32)을 이용하여 가압판(34)을 들어올린후 압착통(50a)외부에 쓰레기 종량비닐(100)를 씌울 수 있도록 압착통승강부(C)의 핸들(68a)을 이용하여 쓰레기가 투입되어 있는 압착통(50)을 들어올리게된다.
이때, 압착통(50a) 하부에 설치된 탄력받침(504)은 탄력성이 뛰어난 강판으로 되어있기때문에 압착통(50a)을 들어올려도 내부에 담겨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쏟아지지 않게되며 첨부도면 도 7과같이 들어올린 압착통(50a) 외부에 쓰레기 종량비닐(100)를 씌운 후 압착부(A)의 핸들(32)을 이용하여 가압판(34)을 다시 하강시키면 압착통(50a) 하부에 설치된 탄력받침(504)이 가압판(34)의 압력에 의해 하향으로 벌어지면서 압착통(50a) 내부의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가 쓰레기 종량비닐(100) 내부로 쏟아지게되며 압착통(50a) 내부의 쓰레기가 다 쏟아지고나면 압착통(50a) 하부에 설치된 탄력받침(504)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0)의 상판(12) 하부에 각형으로 된 안내봉(24a)을 형성하여 가압판(34)의 상부에 형성된 각형의 승강봉(34a)을 각형으로 된 안내봉(24a)내부에 끼우고 승강봉(34a) 내부에는 회전나사봉(30a)을 나사결합하되 회전나사봉(30a)의 상단부에는 베벨기어(301)를 설치하여 이와 치합된 구동기어를 설치한 모우터(70)를 회전시키면 회전나사봉(30a)이 회전하여 회전나사봉(30a)과 나사결합되어 각형으로 된 안내봉(24a) 내부에 끼워진 승강봉(34a)이 승강하면서 가압판(34)이 승강하게 한 것이며 본체(10) 양측에는 모우터(70a)와 연결체인(72)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봉(18a)을 설치하여 이 나사봉(18a)을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에 압착통(50b) 양측의 가이드홈(506)을 끼울 수 있게하므로서 압착통(50b)의 배출이 용이할 뿐 만 아니라 다공판덮개(92)와 배출밸브(94)가 설치된 폐수수집통(90) 상부에 압착통(50b)이 안착되게 하므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시에 배출되는 더러운 물기를 폐수수집통(90) 내부에 수집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폐수수집통(90)의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서, 압착통(50b)이 상부에 얹혀있는 상태에서 폐수수집통(90)을 본체(10)에서 배출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압착통(50b)이나 승강가이드(80)를 승강시키는 수단은 회전나사봉 (30a) 대신에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실린더(30b)(30b')를 이용하거나 첨부도면 도 10과 같이 구동모우터(84)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84a)와 래크기어(86)의 치합을 활용할 수도 있게되며, 첨부도면 도 11과 같이 발판(64a)으로 밟아서 간헐회전 하도록 하는 래칫휠(48)을 설치하여 래칫휠과 일체로 형성된 권취로울러(68b')와 상판의 권취로울러간에 와이어(66a)를 연결하되 승강관(40)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6) 일측에 와이어(66a)의 일측을 고정하면 압착통(50)의 용량이 커져서 중량이 무거워지더라도 발로 밟는 힘을 이용하기때문에 압착통(50)을 충분히 들어 올릴 수 있을뿐 만 아니라 압착통(50)을 내릴때는 발판(64a) 상부에 설치된 정지구(64b)를 발로 밟아주면 래칫휠(48)이 풀리면서 압착통(50)이 하강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13과 같이 압착통(50b)의 단면이 타원형이 되도록 하면 쓰레기 종량봉투(100)를 씌우기가 편리할 뿐 만 아니라 내부에 쓰레기를 담을때도 봉투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가정이나 상점에서 배출되는 일반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히 줄이므로서 쓰레기배출에 필요한 쓰레기 종량비닐의 구매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일 뿐 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를 쉽게 제거하므로서 쓰레기 매립시 침출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대(16)로 연결한 본체(10)의 상판(12) 상부에 베어링(22)이 내장된 지지부(20)를 형성하여 상단부에는 핸들(32)을 구비한 회전나사봉(30)을 설치하고 상판(12) 저면에는 각형으로 된 안내관(24)을 형성하여 압착판(34)의 상부의 각형으로 형성된 승강봉(34a)을 상기의 안내관(24)에 끼우되 승강봉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회전나사봉(30)을 나사결합하여 회전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압착판(34)이 승강되게 한 압착부(A)와; 본체(10)의 상판(12)과 하판(14)사이에 안내봉(18)을 형성하고 이 안내봉(18)에 끼워진 승강관(4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압착통(50)을 일체로 형성하고 승강관(40)의 하단에는 연결부(42)를 형성하여 상판(12)과 연결부(42)를 코일스프링(44)으로 연결한 압착통부(B)와; 본체(10)의 지지대(16) 일측에 복귀스프링(62)을 설치하여 지지대(16)에 핀설치된 걸편(60)을 복귀스프링(62)으로 탄설하고 걸편(60) 하부에는 연결부(42)에서 걸편(60)을 이탈시키는 발판(64)을 핀설치하며,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체인풀리(68)를 지나는 체인(66)의 일측단부를 연결부(42)에 연결하되 체인(66)의 타측단부는 본체(10)의 하판(14)에 연결된 연결스프링(66a)의 단부에 고정하여 체인풀리(68) 일측의 핸들(68a)로 압착통(50)을 승강시킬 수 있게 한 압착통승강부(C)로 이루어진 쓰레기 압착기
  2.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부(A)는 회전나사봉(30a)의 상단부에 베벨기어(301)를 설치하여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모우터(70)의 구동기어와 치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3. 상기 1항에 있어서, 상판 저면에 실린더(30b)를 설치하여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가압판(34)를 설치하고, 하판 상부에 실린더(30b')를 설치하여 안내봉(18b)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의 저면에 실린더(30b')의 로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4.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통(50)은 단면이 타원형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5.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통(50a)은 표면에 다수의 출수공(50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탄력받침(504)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6.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통승강부(C)는 본체(10) 양측에는 모우터(70a)와 연결체인(72)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봉(18a)을 설치하여 이 나사봉(18a)을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에 압착통(50b) 양측의 가이드홈(506)을 끼울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7.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통승강부(C)는 안내봉(18b)를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승강가이드(80)의 일측에 설치판(8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 구동모우터(84)를 설치하고 상판(12)과 하판(14)사이에는 래크기어(86)를 설치하여 구동모우터(84)에 피니언기어(84a)와 래크기어(86)를 치합시켜 구동모우터(84)에 의해 승강가이드(80)가 승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8.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통승강부(C)는 상판(12) 상부에 권취로울러(68b)를 설치하고 하판(14)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44a)으로 탄설된 발판(64a)으로 밟아서 간헐회전 하도록 하는 래칫휠(48)을 설치하여 래칫휠과 일체로 형성된 권취로울러(68b')와 상판의 권취로울러간에 와이어(66a)를 연결하되 승강관(40)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6) 일측에 와이어(66a)의 일측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9. 상기 1항에 있어서, 압착통(50b)은 다공판덮개(92)와 배출밸브(94)가 설치된 폐수수집통(90)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압착기
KR2020000017377U 2000-06-19 2000-06-19 쓰레기 압착기 KR20021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77U KR200217926Y1 (ko) 2000-06-19 2000-06-19 쓰레기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77U KR200217926Y1 (ko) 2000-06-19 2000-06-19 쓰레기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926Y1 true KR200217926Y1 (ko) 2001-03-15

Family

ID=7308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377U KR200217926Y1 (ko) 2000-06-19 2000-06-19 쓰레기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992B1 (ko) * 2018-05-01 2019-10-14 나기대 스텝퍼 방식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무동력 폐기물 분리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992B1 (ko) * 2018-05-01 2019-10-14 나기대 스텝퍼 방식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무동력 폐기물 분리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CN110877792B (zh) 一种防止垃圾外落的环保垃圾箱
KR100756543B1 (ko) 쓰레기 압축장치
KR200454709Y1 (ko) 씽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217926Y1 (ko) 쓰레기 압착기
KR20030857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0200419Y1 (ko) 쓰레기통
US3908541A (en) Crushing device for household wastes
CN215400818U (zh) 旋转挤压式家用厨余垃圾脱水垃圾桶
KR102655017B1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압착 및 탈수장치
KR200163155Y1 (ko) 탈수용 음식물 쓰레기통
CN220032957U (zh) 一种垃圾压缩装置
CN218143604U (zh) 一种多功能垃圾桶
CN108996074A (zh) 一种具有自动倾倒垃圾功能的垃圾桶
KR200158934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920004014A (ko) 주방용 쓰레기 압축처리장치
CN218950108U (zh) 一种具有压缩打包功能的环保垃圾桶
CN211033863U (zh) 一种新型压缩垃圾桶
CN208746806U (zh) 一种具有自动倾倒垃圾功能的垃圾桶
KR0112718Y1 (ko) 압축 쓰레기통
KR950005723Y1 (ko) 음식 쓰레기의 압착 탈수기
KR0138986Y1 (ko) 음식물 찌꺼기용 탈수장치
KR200262579Y1 (ko) 쓰레기 압축기
KR200329470Y1 (ko) 쓰레기압착장치
KR970004711Y1 (ko) 압축장치가 형성된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