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85Y1 -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85Y1
KR200217085Y1 KR2020000023778U KR20000023778U KR200217085Y1 KR 200217085 Y1 KR200217085 Y1 KR 200217085Y1 KR 2020000023778 U KR2020000023778 U KR 2020000023778U KR 20000023778 U KR20000023778 U KR 20000023778U KR 200217085 Y1 KR200217085 Y1 KR 200217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tag
article
lock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아이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아이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아이인텍
Priority to KR2020000023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85Y1/ko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난방지 회로가 내장된 물품 제조택을 필요에 따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품 택 부재(3)와 와이어 부재(5)로 구성된 물품 제조 택(1)에 있어서, 물품 택 부재(3)의 몸체부(9)에는 와이어 부재(5)가 통과하는 삽입홀(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홀(11)에 삽입된 와이어 부재(5)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몸체부(9)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잠금수단(13)과, 잠금수단(13)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 부재(5)를 해제하도록 택 부재(3)와 별체로 형성된 해제수단(10)으로 이루어진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경보회로를 구비한 물품 택의 와이어 강도를 높임으로써 물품택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망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택 잠금 해제 장치에 의해 상품에서 물품 택을 매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상품 판매 시 전혀 불편을 느끼지 않는 가운데 물품 택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매장 내에서의 물품 택 망실로 인한 상품의 분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locking/unlocking device for burglarproof tag}
본 고안은 도난방지용 택(tag) 잠금/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소비자에게 공개된 상태로 전시 진열된 각종 상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도난방지 회로가 내장된 도난방지용 택을 잠금상태로 상품에 부착하고 상품이 판매된 경우와 같이 택의 탈거가 필요할 때 택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상품을 전시 판매하는 판매점의 규모가 할인 매장과 같이 점차적으로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매장의 관리 소홀로 인해 진열된 상품이 도난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으며, 백화점이나 편의점 같은 기존의 대형 또는 소형매장에서도 진열된 상품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매점에서의 도난 사고가 판매점의 매출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에서는 매장 내에 CCTV를 설치하거나 매장 관리 인원을 증대시켜 상품의 도난을 예방하고 있으며, 더욱 적극적인 방식으로서 상품에 붙는 물품 제조 택에 경보장치를 동작시키는 도난방지회로를 내장하여 계산대를 거치지 않은 상태로 상품을 외부 반출하는 경우 경보장치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도난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CCTV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쇼핑 중인 고객에게 혐오감을 주게 되므로 구매 욕구를 저하시켜 매출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품 제조 택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물품 택을 상품에 끼우도록 해주는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와이어가 굵은 경우에는 상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상품 사용시 물품 택을 쉽게 제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와이어를 얇게 만드는 경우에는 매장 내에서 구매를 가장한 절도범이 와이어를 쉽게 끊을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물품 제조 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보장치가 내장된 종래의 물품 제조 택에 사용되는 와이어에 비해 훨씬 강도가 높은 와이어를 사용하면서도, 이 와이어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택에 장착함과 동시에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장치를 계산대 등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물품 제조 택이 고의로 또는 부주의로 상품에서 망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상적인 상품 판매의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상품으로부터 물품 제조 택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물품 택 제거에 따른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매장 내에서의 물품 도난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택의 개략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택 부재의 삽입홀과 와이어 부재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도 4의 DD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도 3의 CC선에 따른 부분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해제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택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제수단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잠금수단의 정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EE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잠금수단의 잠금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잠금수단의 잠금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 : 물품 제조 택 3,103 : 물품 택 부재
5 : 와이어 부재 7,107 : 도난방지용 회로
9,109 : 몸체부 10,110 : 해제수단
11 : 삽입홀 13,113 : 와이어 잠금수단
15 : 걸림홈 17 : 걸림돌기
19,119 : 케이스 21 : 버튼부
25 : 잠금홈 27 : 탄성편
29,129 : 해제공 31,131 : 기부
33,133 : 해제용 자석 105 : 밴드 부재
141 : 잠금핀 151 : 탄성링
153 : 잠금볼 155 : 안내돌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품의 재원이 기록되어 있으며 도난방지 회로가 내장된 물품 택 부재와, 상품에 끼우도록 물품 택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부재로 구성된 물품 제조 택에 있어서, 물품 택 부재의 몸체부에는 와이어 부재가 통과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홀에 삽입된 와이어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잠금수단과, 이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 부재를 해제하도록 택부재와 별체로 형성된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품의 재원이 기록되어 있으며 도난방지 회로가 내장된 물품 택 부재와, 상품에 끼우도록 물품 택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부재로 구성된 물품 제조 택에 있어서, 상품에 끼우도록 물품 택 부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잠금핀이 관통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 부재, 핀구멍 및 잠금수단에 삽입되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잠금핀, 밴드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밴드 잠금수단 및, 이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된 밴드 부재를 해제하도록 몸체부와 별체로 형성된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택 잠금/해제장치가 적용된 도난방지용 물품 택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난방지용 물품 택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면번호 1로 표시된 바와 같이, 물품 택부재(3)와 와이어 부재(5)를 기본 구성으로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물품 택부재(3)는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2개의 케이스(12,14)로 이루어진 몸체부(9)를 가지고 있다. 이 몸체부(9)의 내부에는 도난방지용 회로(7)가 내장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14)의 저면에는 상품의 재원 등이 기록되는 상품 레이블을 부착하기 위한 레이블 부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9)에는 물품 택 부재(3)를 상품에 매달기 위한 와이어 부재(5)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장치가 적용된 물품 제조 택(1)의 택 부재(3)는 도 1에 은선으로, 도 2에 실선으로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부재(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11)이 몸체부(9)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홀(11)의 바닥면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 레일(18)을 따라 톱니 형태로 된 복수개의 걸림홈(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부재(5)에도 도 2 및 도 4에 가압 시 대응 걸림홈(15)에 맞물림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택 부재(3)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잠금 시 삽입홀(11)에 끼워 넣어진 와이어 부재(5)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와이어 잠금수단(13)이 삽입홀(11)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몸체부(9)의 상부 케이스(12)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 와이어 잠금수단(13)은 다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케이스(12)에 부착되어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9), 상하 이동하면서 와이어 부재(3)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버튼부(21) 그리고 잠금 시 버튼부(21)를 잠금 상태로 구속하는 탄성편(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19)는 탄성편(27)을 둘러싸도록 중공 상태로 길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버튼부(21)는 잠금 시 와이어 부재(5)의 배면과 맞닿음되는 헤드(22)와 관통공(23)을 통해 케이스(19) 밖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몸체(2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몸체(24)의 중단 부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튼부(21)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에 따라 좌우 한 쌍의 탄성편(27)이 탄력적으로 착탈을 거듭하는 잠금홈(25)이 절결되어 있으며, 헤드(22)는 잠금 택 부재(3)의 상부 케이스(12)에 관통 형성된 버튼 통공(26)의 내주부에 돌출된 버튼 가이드(28)를 따라 버튼 통공(26)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탄성편(27)의 기다란 박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단이 와이어 부재(5) 잠금 시 잠금홈(25)에 끼워 맞춤되도록 타단이 케이스(19)의 내부면에 매립 고정되어 있다.
택 부재(3) 잠금 상태에서 와이어 부재(5)를 고정하고 있는 잠금수단(13)을 해제하는 해제수단(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 부재(3) 또는 본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바 있는 CD 포장 케이스(35)와 별체로 구비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박스 형태의 기부(31)로 되어 있다. 이 기부(31)의 상면 일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택 부재(3)에 부착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CD 포장 케이스(35)에 부착된 잠금수단(13)의 케이스(19)와 형합되도록 기다랗게 뻗어 있는 해제공(29)이 가공되어 있으며, 해제공(29)의 양측 벽면에는 잠금수단(13) 삽입 시 탄성편(27)을 잡아당겨 벌리는 한쌍의 해제용 자석(33)이 일부 노출 상태로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해제공(29)의 바닥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해제 시 케이스(19) 밖으로 돌출되는 버튼부(21)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버튼부(21)와 동축 상에 버튼공(32)이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상품의 도난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초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어 부재(5)를 도난방지가 요구되는 상품의 적소에 감아 끼우게 된다. 그리고 나서 와이어 부재(5)의 선단부(17)를 도 2와 같이 택 부재(3)의 몸체부(9) 삽입홀(11)에 끼워 넣는다. 이때 버튼부(21)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들어 올려져 있으므로 와이어 부재(5)를 큰 저항 없이 안내레일(18)을 따라 삽입홀(11)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와이어 부재(5)가 적정한 길이만큼 삽입홀(11)에 삽입되면 버튼부(21)의 노출부분을 눌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 헤드(22)에 의해 와이어 부재(5)가 가압됨으로써 와이어 부재(5)의 걸림돌기(17)와 삽입홀(11)의 걸림홈(15)이 치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버튼부(21)는 잠금홈(25)에 탄성편(27)이 끼워 맞춤되어 상하이동이 억제되므로 버튼부(21)를 더 이상 누르지 않아도 와이어 부재(5)에 대한 구속을 지속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해서 상품에의 물품 택(1) 부착이 완료된다.
정상적으로 상품이 판매된 때에는 통상 계산대에서 이 물품 택(1)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계산대에는 미리 해제수단(10)이 준비되어야 한다. 구입자가 상품을 가져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택 부재(3)를 뒤집어 잠금수단(13)이 해제수단(10)의 해제공(29)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해제공(29) 양측의 자석(33)이 탄성편(27)을 끌어 당겨 잠금홈(25)과의 결합을 해제시키므로 버튼부(21)는 자중에 의해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내려간다. 이에 따라 버튼부(21)에 의한 와이어 부재(5)의 가압이 풀리므로 와이어 부재(5)를 택 부재(3)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가 적용된 물품 제조 택(101)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택(101)은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와이어 부재에 해당하는 밴드 부재(105)와 물품 택 부재(103)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밴드 부재(105)를 택 부재(103)에 연결시키는 잠금핀(141), 이 잠금핀(141)을 택 부재(103) 측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113) 그리고 잠금수단(113)에 의해 잠금된 잠금핀(141) 및 밴드 부재(105)를 해제시키는 데 사용하는 도 7의 해제수단(11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물품 택 부재(103)도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2개의 케이스(112,114)로 이루어진 몸체부(109)를 가지고 있다. 이 몸체부(9)의 내부에는 도난방지용 회로(107)가 내장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114)의 저면에는 상품 레이블을 부착하기 위한 레이블 부착홈(116)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수단(113)과 동축 상의 위치에 안내돌기(155)가 돌출 형성되어 물품 제조 택(101) 해제 시 해제수단(110)의 해제공(13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택 부재(103) 몸체부(109)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밴드 부재(10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에 끼워져 위 실시예의 와이어 부재(5)와 같이 몸체부(9)를 상품에 매달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09)가 부착된 부분의 반대쪽에 하나 이상의 핀구멍(14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핀구멍(143) 위쪽둘레부분에는 동심원을 이루는 핀 자리(147)가 가공되어 핀구멍(143)에 삽입되는 잠금핀(141)의 헤드(145)를 안착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잠금핀(141)은 핀 자리(147)에 밑부분이 일부 잠기도록 안착되는 대직경의 헤드(145)와 이 헤드(145)의 중심에서 돌출 연장되는 원통형의 몸통(1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잠금핀(141)을 통해 밴드부재(105)를 몸체부(109)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수단(113)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119)와 이 케이스(119)에 내장된 잠금볼(15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119)는 단면 사다리꼴의 원뿔대 형태를 갖도록 측벽면이 위쪽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고, 잠금핀(141)이 삽입되는 핀 입출공(149)이 상면에 관통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절단된 복수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차폐막(152)이 이 입출공(149)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잠금볼(153)은 적어도 3개 이상이 구비되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링(151)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로 하나의 부품처럼 조립되어 있다.
잠금수단(113)에 의해 고정된 밴드 부재(105)를 해제하도록 몸체부(109)와 별체로 구비된 해제수단(110)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를 이루는 기부(131)와 잠금수단(113)을 해제하는 자석(133)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기부(131)에는 상단면에 도 5에 도시된 바 있는 장방형의 해제공(29) 한쪽에 몸체부(109)의 안내돌기(155)가 삽입되는 원형의 해제공(129)이 함입 형성되어 있고, 이 해제공(129)의 바닥면에는 해제공(129)과 동축 상으로 상부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해제용 자석(133)이 기부(131)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잠금/해제 작동을 수행한다.
일단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밴드 부재(105)를 상품의 적당한 위치에 감아 끼우고 잠금핀(141)을 밴드 부재(105)의 핀구멍(143) 중 적당한 핀구멍에 삽입한 뒤 다시 도 8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잠금수단(113)의 핀 입출공(149) 안으로 압입해 넣는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수단(113)의 케이스(119)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던 잠금볼(153) 뭉치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 몸통(146)에 의해 중앙으로 이동되어 몸통(146)의 직경만큼 방사상으로 벌어짐으로써 탄성링(151)의 탄력에 의해 잠금핀(141)을 파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택 부재(101)의 잠금이 완료되는데, 만일 이 상태에서 해제수단(110)에 의하지 않고 잠금수단(113)으로부터 강제로 잠금핀(141)을 빼내려고 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141)의 몸통(146) 둘레에 끼워져 있던 잠금볼(153)도 핀(141)과 같이 들어올려져 케이스(119)의 내벽면과 핀 몸통(146)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일으킴으로써 핀 몸통(146)에 압착되므로 적어도3개 이상의 잠금볼(153)에 의해 압착되는 핀(141)은 외부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더 이상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핀(141)은 케이스(119) 내에서 잠금볼(153)이 들어 올려지는 거리만큼의 유격 내에서만 상하로 유동할 뿐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품으로부터 물품 택(101)을 떼어내고자 할 때는 해제수단(110)을 이용해 잠금수단(113)에서 잠금핀(141)을 빼내면 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도 10에 은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해제수단(110)이 위치하도록 잠금수단(113)의 안내돌기(155)를 해제수단(110)의 해제공(129) 내에 끼워 넣는다. 이렇게 되면 해제용 자석(133)의 자력에 의해 잠금볼(153) 뭉치가 도 10에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B)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게 되며, 이때 잠금핀(141)을 잡아 당기면 자석(133)의 자력으로 인해 잠금볼(153)이 위쪽으로 딸려 올라가지 못하게 되어 더 이상 잠금볼(153)에 의한 쐐기작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잠금수단(113)으로부터 잠금핀(141)을 빼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물품 택(101)을 상품에서 분리해내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에 따르면, 상품에 연결되는 부분인 와이어 부재나 밴드 부재를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와이어 또는 밴드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품으로부터 도난방지 회로가 내장된 물품 택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망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품의 분실이나 도난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이로 인한 매출 감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품 판매 시 물품 택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해주므로 정상적인 상품 구매자에게는 물품 택 분리에 따른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매장 내에서의 대고객 서비스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표면에 상품의 재원이 기록되어 있으며 도난방지 회로(7)를 내장하고 있는 물품 택 부재(3)와, 상품에 끼우도록 상기 물품 택 부재(3)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부재(5)로 구성되어 있는 물품 제조 택(1)에 있어서, 상기 물품 택 부재(3)의 몸체부(9)에는 상기 와이어 부재(5)가 통과하는 삽입홀(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 부재(5)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부(9)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잠금수단(13)과, 상기 잠금수단(13)에 의해 고정된 상기 와이어 부재(5)를 해제하도록 상기 택 부재(3)와 별체로 형성된 해제수단(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10)은 일면에 상기 잠금수단(13)의 케이스(19)가 삽입되는 해제공(29)이 형성된 기부(31)와, 상기 해제공(29)의 양측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한쌍의 해제용 자석(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9)와 상기 해제공(29)은 일변이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110)은 상기 해제공(29)의 일측에 원형 돌기(155)가 삽입되는 원형 해제공(129)이 형성된 기부(131)와, 상기 원형 해제공(129)의 바닥면에 일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기부(131)에 매립되어 있는 해제용 자석(1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KR2020000023778U 2000-08-22 2000-08-22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KR200217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78U KR200217085Y1 (ko) 2000-08-22 2000-08-22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78U KR200217085Y1 (ko) 2000-08-22 2000-08-22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85Y1 true KR200217085Y1 (ko) 2001-03-15

Family

ID=7305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78U KR200217085Y1 (ko) 2000-08-22 2000-08-22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69A1 (ko) * 2018-02-28 2019-09-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물품 위치 추적 장치
US11210915B2 (en) 2018-02-28 2021-12-28 Amosense Co., Ltd. Item location tracking device having anti-theft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69A1 (ko) * 2018-02-28 2019-09-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물품 위치 추적 장치
US11210915B2 (en) 2018-02-28 2021-12-28 Amosense Co., Ltd. Item location tracking device having anti-thef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4882A (en) Device for retaining in side-by-side relationship flexible tying means such as shoelaces
US5437172A (en) Anti-theft device for eyeglasses
US7614265B2 (en) Lockable storage container
US6374648B1 (en) Commodity antitheft implement
US6449991B1 (en) One part theft deterrent device
US8341985B2 (en) Security device for ring products
US5944185A (en) Lockable media storage box with lock and key
CN204098644U (zh) 多用途安全装置
US20040123311A1 (en) Security device for information storage media
EP1074682A1 (en) Anti-theft device for items having portions which can be surrounded by straps or the like
WO2006081650A1 (en) Security device and system for use therewith
JP3565162B2 (ja) 盗難防止装置
WO2013192390A1 (en) Merchandise securit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5438738A (en) Theft-deterrent device for attachment to theft-attractive articles
EP1463866B1 (en) Lockable media storage container
KR200217085Y1 (ko) 도난방지용 택 잠금/해제장치
EP1108105A1 (en) Anti-theft device for objects having tubular or otherwise substantially cylindrical portions
CN107452173B (zh) 一种断线自鸣报警的有跟鞋防盗装置
EP1338011B1 (en) Improved disk holder
JP5470130B2 (ja) タグ
EP2169158B1 (en) Disposable anti-theft device for eyeglasses
US11745924B2 (en) Saw blade holder
KR100372928B1 (ko) 상품 도난 방지장치
JP5456086B2 (ja) 紙箱入り商品の盗難防止器具
GB2611581A (en) Security t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